KR101374446B1 -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446B1
KR101374446B1 KR1020120089825A KR20120089825A KR101374446B1 KR 101374446 B1 KR101374446 B1 KR 101374446B1 KR 1020120089825 A KR1020120089825 A KR 1020120089825A KR 20120089825 A KR20120089825 A KR 20120089825A KR 101374446 B1 KR101374446 B1 KR 10137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sewage
plate
screening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100A (ko
Inventor
진두남
Original Assignee
진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두남 filed Critical 진두남
Priority to KR1020120089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4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내측으로 거치홈(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가 상향으로 접이된 상태로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거치바(10);와,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수평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거치바(10)의 거치홈(11)을 가로질러 거치되는 지지빔(20);과,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되어 상기 지지빔(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1가림막판(30);과, 상기 제 1가림막판(3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평소 하수관거(70) 내 오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가림막판(40); 및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작동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로드(312)는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내측에 링크되고, 가스실린더(311)는 상기 하수관거(70)의 내측벽에 고정된 브라켓(50)에 링크 연결되는 가스쇼바(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A BLIND BOARD APPARATUS FOR SEWAGE BOX}
본 발명은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2개의 가림막판을 힌지 고정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는 저감하고,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우수 및 초기우수는 수압에 의해 선별적으로 2단 개방되어 자동 방류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또한 제 1가림막판과 결합되는 지지빔은 하수관거에 결합된 거치바의 거치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제 1가림막판에 가스쇼바를 연결하여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의 개폐충격을 완화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빗물만을 배출하거나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같은 오수 및 오염물질이 많은 하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하수관거는 통상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악취가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은 하천변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에게 악취를 풍기게 되는 건강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거는 하천변과 만나는 말단부에 개방된 상태로 그대로 노출되는 바, 도심자연형 하천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오수나 우수는 배출시키고, 하수관거 내 악취는 차단하는 하수관거 개폐판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하수관거 개폐판은 오수나 빗물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것으로, 오수나 빗물이 없을 경우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과정에서 개폐판의 무게에 의한 폐쇄충격으로 개폐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개폐판은 하천수가 조금만 역류하여도 개폐판의 무게와, 역류된 하천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지 않아 소나기와 같은 급격한 빗물 증대에 따른 빗물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주택가나 도로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2개의 가림막판을 힌지 고정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는 저감하고,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우수 및 초기우수는 수압에 의해 선별적으로 2단 개방되어 자동 방류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제 1가림막판과 결합되는 지지빔은 하수관거에 결합된 거치바의 거치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구조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제 1가림막판에 가스쇼바를 연결하여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의 개폐충격을 완화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의 내측면에 각각 부력통을 결합시켜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의 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내측으로 거치홈(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가 상향으로 접이된 상태로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거치바(10);와,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수평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거치바(10)의 거치홈(11)을 가로질러 거치되는 지지빔(20);과,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되어 상기 지지빔(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1가림막판(30);과, 상기 제 1가림막판(3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평소 하수관거(70) 내 오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가림막판(40); 및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작동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로드(312)는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내측에 링크되고, 가스실린더(311)는 상기 하수관거(70)의 내측벽에 고정된 브라켓(50)에 링크 연결되는 가스쇼바(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30)은 하수관거(70) 내 오수에 의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2가림막판(40)은 하수관거(70) 내 초기우수 또는 우수의 수압에 의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에 따르면, 오수와, 우수 및 초기우수는 수압에 의해 선별적으로 2단 개방되어 자동 방류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가림막판과 결합되는 지지빔은 하수관거에 결합된 거치바의 거치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가림막판에 가스쇼바를 연결하여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의 개폐충격을 완화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의 내측면에 각각 부력통을 결합시켜 오수나 우수 및 초기우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제 1작동도,
도 3은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제 2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2개의 가림막판을 힌지 고정하여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는 저감하고,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우수 및 초기우수는 수압에 의해 선별적으로 2단 개방되어 자동 방류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또한 제 1가림막판과 결합되는 지지빔은 하수관거에 결합된 거치바의 거치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제 1가림막판에 가스쇼바를 연결하여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의 개폐충격을 완화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6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60)는 거치바(10)와, 지지빔(20)과,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과, 가스쇼바(31)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유지보수 편리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바(10)는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거치바(10)는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에 상부를 앙카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볼팅결합시키고 하부를 상향으로 접이시켜 내측으로 거치홈(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향으로 접이된 하부 역시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에 결합수단을 통해 볼팅 결합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 거치바(10)는 2개의 볼팅 결합을 통해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빔(20)은 제 1가림막판(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거치바(10)의 거치홈(11)을 가로질러 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가림막판(30)은 하수관거(70) 내의 악취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되는 구조이다. 이 때 제 1가림막판(30)은 제 2가림막판(40)과 힌지 결합될 시 비로써, 하수관거(70) 전체의 노출 단면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성형되는 구조이다.
즉, 제 1가림막판(30)은 우천시 우수 및 초기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것으로, 평소 오수의 수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이로 지지빔(20)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 2가림막판(40)은 상기 제 1가림막판(3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제 1가림막판(3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평소 오수의 수압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의 개방구조는 하수관거(70)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 및 초기우수와, 평소 오수의 수압에 의해 개별적으로 2단 개방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제 1가림막판(30) 및 제 2가림막판(40)의 구조는 평소 제 2가림막판(40)만이 개방되게 하여 중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제 1가림막판(30)의 개폐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가림막판(30)은 가스쇼바(31)와 연결되어 작동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개폐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쇼바(31)는 가스실린더(311)와, 상기 가스실린더(311)에서 인출입되는 로드(31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실린더(311)는 상기 하수관거(70)의 내측벽에 고정된 브라켓(50)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로드(312)는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내측에 링크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쇼바(31)는 제 1가림막판(30)의 개방시에만 작동하는 것으로써, 하수관거 내 우수 및 초기우수의 수압에 의해 작동되며, 하천수가 역류하여 하수로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되지 않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관거(70) 내부의 수위가 최대한으로 높아질 경우,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 1,2가림막판(30,40)의 무게와 하수관거(70) 바깥쪽의 하천수의 수압에 의해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되지 않을 것을 가스쇼바(31)를 통해 제 1가림막판(30)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가스쇼바(31)는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 후 급속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쇄 충격을 완화하여, 결과적으로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가림막판(30)은 하수관거(70) 내 오수에 의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B) 더 포함하고, 제 2가림막판(40) 역시 하수관거(70) 내 수위에 의해 곧바로 반응할 수 있도록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각 부력통(B)은 무게가 무거운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의 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수관거(70) 내 오수와, 우수 및 초기우수의 수위에 의해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이 곧바로 반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하천수가 역류에 의해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이 개방되지 않을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부력통(B)의 크기는 하천수가 역류하는 양보다 하수관거(70)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또는 우수 및 초기우수량이 많을 경우에만 제 1가림막판(30)과 제 2가림막판(40)이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제 1작동도이고, 도 3은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의 제 2작동도이다.
먼저 도 2의 (a)(b)와 같이, 하수관거(70)의 내부로 오수가 흐를 경우에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제 2가림막판(40)만이 개방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제 2가림막판(40)에는 부력통(B)이 결합되어 있어 낮은 오수의 수위에도 제 2가림막판(40)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평소 제 2가림막판(40)만을 개방시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하수관거(70) 내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우천시 도 3의 (a)와 같이, 하천수가 역류하여 하수관거의 바깥쪽 하천수의 수위가 제 1가림막판(30)의 하부까지 올라와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되지 않을 것을 가스쇼바(31)와 부력통(B)이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우천시 도 3의 (b)와 같이, 제 1가림막판(30)의 무게와 외부 하천수의 수압에도 가스쇼바(31)와 부력통(B)의 부력에 의해 제 1가림막판(30)을 원활히 개방시켜 하수관거(70) 내부의 오수나 초기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외부 하천수의 수위 보다 하수관거(70) 내부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만 제 1가림막판(30)이 개방되도록 가스쇼바(31)의 힘과, 부력통(B)의 크기를 먼저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는 각 가림막판이 단일 판으로 구성되지만, 이를 다수개로 분리 결합시켜 손쉽게 증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 결합된 각 가림막판에도 부력통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거치바 11: 거치홈
20: 지지빔 30: 제 1가림막판
31: 가스쇼바 311: 가스실린더
312: 로드 40: 제 2가림막판
50: 브라켓 B: 부력통
60: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70: 하수관거

Claims (3)

  1.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거치홈(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가 상향으로 접이된 상태로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거치바(10);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상단부에 수평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거치바(10)의 거치홈(11)을 가로질러 거치되는 지지빔(20);
    상기 하수관거(70)의 노출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되어 상기 지지빔(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1가림막판(30);
    상기 제 1가림막판(3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평소 하수관거(70) 내 오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가림막판(40); 및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작동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로드(312)는 상기 제 1가림막판(30)의 내측에 링크되고, 가스실린더(311)는 상기 하수관거(70)의 내측벽에 고정된 브라켓(50)에 링크 연결되는 가스쇼바(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30)은 하수관거(70) 내 오수에 의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림막판(40)은 하수관거(70) 내 초기우수 또는 우수의 수압에 의해 원활히 개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KR1020120089825A 2012-08-17 2012-08-17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KR10137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25A KR101374446B1 (ko) 2012-08-17 2012-08-17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25A KR101374446B1 (ko) 2012-08-17 2012-08-17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00A KR20140023100A (ko) 2014-02-26
KR101374446B1 true KR101374446B1 (ko) 2014-03-17

Family

ID=5026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25A KR101374446B1 (ko) 2012-08-17 2012-08-17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7B1 (ko) * 2018-05-12 2019-08-07 (주)티케이이앤씨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86B1 (ko) * 2018-12-18 2019-08-26 주식회사 성지기업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91Y1 (ko) * 2004-04-22 2004-07-19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JP2005299326A (ja) * 2004-04-15 2005-10-27 Shinsuke Miyake トラップ装置
KR200423840Y1 (ko) * 2006-04-18 2006-08-11 (주)디케이엠엔이 2중 개폐장치가 구비된 하수악취방지장치
KR20070027168A (ko) * 2005-09-06 2007-03-09 민승기 하수 역류 방지구
KR20110058489A (ko) * 2009-11-26 2011-06-01 정균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270370B1 (ko) * 2011-07-08 2013-06-05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326A (ja) * 2004-04-15 2005-10-27 Shinsuke Miyake トラップ装置
KR200356591Y1 (ko) * 2004-04-22 2004-07-19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20070027168A (ko) * 2005-09-06 2007-03-09 민승기 하수 역류 방지구
KR200423840Y1 (ko) * 2006-04-18 2006-08-11 (주)디케이엠엔이 2중 개폐장치가 구비된 하수악취방지장치
KR20110058489A (ko) * 2009-11-26 2011-06-01 정균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270370B1 (ko) * 2011-07-08 2013-06-05 진두남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7B1 (ko) * 2018-05-12 2019-08-07 (주)티케이이앤씨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00A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4778A1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KR101270370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860890B1 (ko) 그레이팅의 이물질 유입방지 및 악취 차단장치
CN208563541U (zh) 一种方便清理的市政工程用防堵塞井盖
US10653983B2 (en) Connector pipe screen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374446B1 (ko)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120075808A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20060025988A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064257B1 (ko) 배수구 덮개
KR101241737B1 (ko) 스틸그레이팅 빗물역류 및 악취 저감장치
KR100336314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용 집수받이
KR101129398B1 (ko) 악취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KR100731679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KR20060073441A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582815B1 (ko) 홍수 역류 방지, 악취 유출 방지 및 쓰레기 차단 기능을갖는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KR100617043B1 (ko) 도로나 철도부근의 산사면에 설치되는 우수저장조의 구조
CN213805755U (zh) 一种用于市政建筑工程的集水井盖体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