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86B1 -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86B1
KR102014186B1 KR1020180164321A KR20180164321A KR102014186B1 KR 102014186 B1 KR102014186 B1 KR 102014186B1 KR 1020180164321 A KR1020180164321 A KR 1020180164321A KR 20180164321 A KR20180164321 A KR 20180164321A KR 102014186 B1 KR102014186 B1 KR 10201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shielding plate
sewage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섭
조경일
안창진
오성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기업
Priority to KR102018016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나 생활하수 및 공장에서 나오는 오수 등의 도심지의 하수를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하수관에서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관거의 말단부를 은폐시켜 악취를 차단하고 도시 미관을 정비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는 가림판을 설치할 때 가변형 힌지로서 가림판의 설치위치를 보정하여 수압이 작용하지 않은 평상시에 가림판이 하수관거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Shutter plate of sewer pipe}
본 발명은 빗물이나 생활하수 및 공장에서 나오는 오수 등의 도심지의 하수를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하수관에서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관거의 말단부를 은폐시켜 악취를 차단하고 도시 미관을 정비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는 가림판을 설치할 때 가변형 힌지로서 가림판의 설치위치를 보정하여 수압이 작용하지 않은 평상시에 가림판이 하수관거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업장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오수는 하수관로를 따라 정화조에 집수된 후 배수관을 통해 대형의 하수관거로 유입되고 이후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져서 특정한 하수 처리 과정에 의해 정화 처리되어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때 오폐수가 하수관거로 부터 하수 처리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오폐수는 일단 하천에 방류된 다음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각 가정과 건물에 설치되는 하수관으로 부터 집수되는 오폐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통공이 형성되고 하천 쪽에 위치하는 출구측 단부는 하천을 형성하는 제방의 법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하수관거로 배출되는 오폐수는 각종 유기물이 유기산, 황화수소 등에 의해 생활 하수가 정화조에 집수된 후 배수관을 통하여 대형의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하수관거와 연결되는 배수관의 사이에 맨홀을 설치하고 차단판이나 역류방지판을 마련하여 하수관거에서 발생한 악취가 하천 주변으로 배출되거나 역류하여 주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수관의 출구는 대개 하천의 제방 법면이나 도로와 산책로가인접해 있어서 악취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고 외관상으로 보기 좋지 못하여 도시미관을 해치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제10-1548478호, 제10-1361607호, 10-1659242호 등 다수의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안출된 가림막 장치는 대개 가림막판을 프레임에 경첩과 같은 힌지로서 연결 설치하여 개페문을 개폐할 만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혀있고 높은 수압이 작용할 때에는 수압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한 구조로서 개폐문은 힌지에 의해 자중으로 닫히게 되어 있으며 차단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웨이트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가림판은 크기가 대형으로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을 정도의 중량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상단부만 힌지로서 연결 설치되므로 가림판의 중량에 따른 무게 중심이 한쪽에 편중되거나 비틀어지면 가림판이 수직으로 바르게 세워지지 않고 개방된 하부가 들려 열려있는 상태가 되므로 악취가 누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림판의 힌지를 가변형 힌지로 연결하되 인장스프링으로 개페문의 확실한 닫힘을 보강하여 수압이 작용하지 않은 평상시에 가림판이 확실하게 하수관거를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악취 누출을 차단할 수 있게 한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힌지장치로서 연결되는 대가림판과 상기 대가림판의 하단에 힌지장치로서 연결되는 소가림판으로 구성된 하수관거용 가림판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변형 ㄱ 자 형상의 가변형 힌지로 구성하되 상단은 프레임의 내측핀으로 축설하고 하단은 대가림판의 상단 내측에 연결하여 핀을 축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힌지에 의해 대가림판이 앞으로 개방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변형 힌지는 프레임에 아이볼트로서 연결한 인장스프링의 하단과 스프링볼트로서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어지되 스프링볼트는 가변형 힌지에 요설된 다수개의 스프링볼트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대가림판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가림판의 하단에 소가림판을 내측으로 연결하는 힌지장치는 소가림판이 충분히 개방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의 힌지로 형성되고 이를 대가림판에 축설한 축핀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관삽하여 소가림판이 내측의 닫힘방향으로 긴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림판이 가변형 힌지와 인장스프링에 의해 가림판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하수관거를 정확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악취 누출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림판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가" 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면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1차 가림판의 개방 상태 종단면도
도 8은 가림판의 전체 개방 상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거(100)의 노출 단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의 상부에 힌지장치(50)로서 연결되는 대가림판(60)과 상기 대가림판(60)의 하단에 힌지장치(70)로서 연결되는 소가림판(80)으로 구성된 하수관거용 가림판(200)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50)는 변형 ㄱ 자 형상의 가변형 힌지(51)로 구성하되 상단은 프레임(1)의 내측에 핀(2)으로 축설하고 하단은 대가림판(60)의 상단 내측에 연결하여 핀(2)을 축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힌지(51)에 의해 대가림판(60)이 앞으로 개방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변형 힌지(51)는 프레임(1)에 아이볼트(3)로서 연결한 인장스프링(52)의 하단과 스프링볼트(53)로서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어지되 스프링볼트(53)는 가변형 힌지(51)에 요설된 다수개의 스프링볼트홈(54)(5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대가림판(6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대가림판(60)의 하단에 소가림판(80)을 내측으로 연결하는 힌지장치(70)는 소가림판(80)이 충분히 개방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의 힌지(71)로 형성되고 이를 대가림판(60)에 축설한 축핀(72)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73)을 관삽하여 소가림판(80)이 내측의 닫힘방향으로 긴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는 점검구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가림판은 하수관거(10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통상시의 적은 수압에서는 소가림판(80)이 개방되어 오폐수를 배출하고 큰 수압이 작용할 때에는 소가림판(80)과 함께 대가림판(60)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오폐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게 됨은 기지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구조와는 달리 힌지장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힌지장치(50)(7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데 힌지장치(50)(70)는 모두 만곡된 형태의 ㄱ 자 형상 또는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가림판(60)과 소가림판(80)의 개폐 각도에 따른 차이로 인해 대가림판(60)의 힌지장치(50)는 ㄱ 자 형상에 가까우며, 소가림판(80)의 힌지장치(70)는 < 자 형상의 힌지(71)로 구성되지만, 이들 모두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특히, 대가림판(60)을 프레임(1)에 연결하는 힌지장치(50)는 ㄱ 자 형상의 가변형 힌지(51)로서 선단은 프레임(1)의 내측에 핀(2)으로 축설되고 하단은 대가림판(60)의 상단 내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핀(2)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데 그 형상이 만곡된 ㄱ 자 형상으로서 만곡된 형태 만큼 대가림판(60)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게 되고 힌지장치(50)가 모두 프레임(1)과 대가림판(60)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형 힌지(51)는 프레임(1)에 아이볼트(3)로서 연결한 인장스프링(52)의 하단과 스프링볼트(53)로서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가림판(60)은 인장스프링(52)의 당김 탄지력에 의해 하수관거(100)의 출구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인장스프링(52)의 탄지력은 스프링볼트(53)의 위치 변경에 의해 조절되는 데 즉, 가변형 힌지(51)에는 다수개의 스프링볼트홈(54)(54')이 요설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스프링볼트홈(54)(54')을 선택하여 스프링볼트(53)를 끼우게 되면 대가림판(60)을 보다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부연하면, 가림판은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고 힌지장치(50)(70)에 의해 설치되므로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하수관거(100)의 출구를 차단하게 되지만, 가림판은 힌지장치(50)(70)나 중량 등에 의해 전체가 동일한 힘을 받지 않고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가림판을 설치시 약간 비틀어지거나 한쪽으로 쏠려 똑바르게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부가 들리게 되어 완벽한 차단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보정하는 데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가림판을 설치시에 가림판이 하수관거(100)의 출구를 긴밀하게 차단하는 위치의 스프링볼트홈(54)(54')을 선택하여 스프링볼트(53)를 끼우면 되는 데, 인장스프링(52)을 보다 길게 늘려 하측의 스프링볼트홈(54)(54')에 끼워 넣을 수록 인장스프링(52)의 당김 탄지력이 커지므로 가림판의 크기와 중량 및 무게 편중상태에 따라 스프링볼트(53)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여 가림판을 설치하게 되면 가림판이 인장스프링(52)의 당김 탄지력에 의해 당겨져 보다 정확하게 하수관거(100)의 출구를 차단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대가림판(60)의 하부에 < 자 형상의 힌지(71)로 설치된 소가림판(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축설한 축핀(72)에 비틀림코일스프링(73)을 관삽하여 소가림판(80)이 내측의 닫힘방향으로 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가림판(80)은 항상 비틀림코일스프링(73)의 당김 탄지력에 의해 당겨져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하수관거(100)의 출구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가림판의 힌지장치(50)(70)가 내측에 설치되므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미관상으로 보기 좋으며, 대가림판(60)이 가변형 힌지(51)로서 인장스프링(52)의 탄지력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가림판의 크기나 중량 및 힌지장치(50)(70)에 의한 무게 편중을 보정하여 똑바르면서도 인장스프링(52)의 당김 탄지력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차단을 할 수 있으므로 악취 누출을 방지하여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1 : 프레임 2 : 핀 3 : 아이볼트 50, 70, 71 : 힌지장치 51 : 가변형 힌지 52 : 인장스프링 53 : 스프링볼트 54, 54' : 스프링볼트홈 60 : 대가림판 72 : 축핀 73 : 비틀림코일스프링 80 : 소가림판 100 : 하수관거 200 : 하수관거용 가림판

Claims (2)

  1. 하수관거(100)의 노출 단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의 상부에 힌지장치(50)로서 연결되는 대가림판(60)과 상기 대가림판(60)의 하단에 힌지장치(70)로서 연결되는 소가림판(80)으로 구성된 하수관거용 가림판(200)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50)는 변형 ㄱ 자 형상의 가변형 힌지(51)로 구성하되 상단은 프레임(1)의 내측핀으로 축설하고 하단은 대가림판(60)의 상단 내측에 연결하여 핀(2)을 축으로 회전하는 가변형 힌지(51)에 의해 대가림판(60)이 앞으로 개방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변형 힌지(51)는 프레임(1)에 아이볼트(3)로서 연결한 인장스프링(52)의 하단과 스프링볼트(53)로서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연결되어지되 스프링볼트(53)는 가변형 힌지(51)에 요설된 다수개의 스프링볼트홈(54)(5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대가림판(6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대가림판(60)의 하단에 소가림판(80)을 내측으로 연결하는 힌지장치(70)는 소가림판(80)이 충분히 개방될 수 있도록 < 자 형상의 힌지(71)로 형성되고 이를 대가림판(60)에 축설한 축핀(72)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73)을 관삽하여 소가림판(80)이 내측의 닫힘방향으로 긴장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KR1020180164321A 2018-12-18 2018-12-18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KR10201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21A KR102014186B1 (ko) 2018-12-18 2018-12-18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21A KR102014186B1 (ko) 2018-12-18 2018-12-18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86B1 true KR102014186B1 (ko) 2019-08-26

Family

ID=6780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21A KR102014186B1 (ko) 2018-12-18 2018-12-18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0502U (ko) * 1979-12-14 1981-07-20
JP2008291961A (ja) * 2007-05-28 2008-12-04 Teramoto Corp ヒンジ機構
KR20140023100A (ko) * 2012-08-17 2014-02-26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0502U (ko) * 1979-12-14 1981-07-20
JP2008291961A (ja) * 2007-05-28 2008-12-04 Teramoto Corp ヒンジ機構
KR20140023100A (ko) * 2012-08-17 2014-02-26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9586A1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KR10073461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2014186B1 (ko) 하수관거의 가림판 장치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020062234A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101241737B1 (ko) 스틸그레이팅 빗물역류 및 악취 저감장치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1374446B1 (ko)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KR102141311B1 (ko) 하수관거용 가림판의 개폐력 조정 유도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2008617B1 (ko)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200353900Y1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자동비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90034154A (ko) 부표식 플랩밸브
KR200379714Y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150078311A (ko) 개폐식월류벽이 구비된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와 유량조절 장치
KR20120000758U (ko) 맨홀의 악취방지장치
KR101802960B1 (ko) 악취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
KR19990035530U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KR100637608B1 (ko) 신도시 하수관의 역류방지장치
KR100520909B1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자동비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