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242B1 -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242B1
KR101659242B1 KR1020150166200A KR20150166200A KR101659242B1 KR 101659242 B1 KR101659242 B1 KR 101659242B1 KR 1020150166200 A KR1020150166200 A KR 1020150166200A KR 20150166200 A KR20150166200 A KR 20150166200A KR 101659242 B1 KR101659242 B1 KR 10165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cover plate
hing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606A (ko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5016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6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oth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결합되는 가림막판에 여닫이 방식의 출입문을 형성하여 가림막판을 손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하수관거의 내부를 손쉽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구 상의 투명판을 보호하도록 결합된 덮개판의 타면으로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하수관거 내부에 자동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A BLIND BOARD APPARATUS FOR SEWAGE PASSAGE WITH A DOOR}
본 발명은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결합되는 가림막판에 여닫이 방식의 출입문을 형성하여 가림막판을 손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하수관거의 내부를 손쉽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구 상의 투명판을 보호하도록 결합된 덮개판의 타면으로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하수관거 내부에 자동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빗물만을 배출하거나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같은 오수 및 오염물질이 많은 하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하수관거는 통상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악취가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은 하천변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에게 악취를 풍기게 되는 건강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다.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는 우천 시 하천 수위상승으로 인해 하수의 역류 현상으로 악취가 건물 외내부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불어 저지대 도심의 건물 외부로 하수가 역류될 경우, 상당한 침수 피해를 발생시킬 위험 소지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거는 하천변과 만나는 말단부에 개방된 상태로 그대로 노출되는 바, 도심자연형 하천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특허등록 제1548478호)"가 선행 등록된 바 있다.
종래의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는 하수관거의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기 위해 제 2가림막판을 들어올려 제 1가림막판에 고정시켜 사람이 손쉽게 하수관거의 내부로 진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제 2가림막판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사람이 고개를 숙여 들어가거나 무릅을 꿇어 진입해야 하는 문제점과,
둘째: 무게가 무거운 제 2가림막판을 들어올리데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뿐만 아니라 제 1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창을 통해 하수관거 내부를 검침할 때 조명수단이 없을 경우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없어 사람이 직접 하수관거의 내부로 진입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484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제 1가림막판에 형성된 출입문을 제 2가림막판 까지 연장시켜 사람이 진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확보하고, 더불어 제 1,2출입문을 상호 간 힌지 결합시켜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이 출입문의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2단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구 상의 투명판을 보호하도록 결합된 덮개판의 타면으로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하수관거 내부에 자동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크기에 따라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시켜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되며, 수위가 높은 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다수의 제 1가림막판; 및 상기 제 1가림막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제 1가림막판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수위가 낮은 하수/초기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제 2가림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제 1가림막판은 여닫이 방식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출입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가림막판은 제 1출입문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출입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출입문과 제 1출입문은 힌지 결합에 의해 상호 간 간섭없이 제 2가림막판과 제 1가림막판에 개별적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1출입문은 일측면이 상기 제 1가림막판의 면상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2출입문과 여닫이 방식으로 동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 및 제 2가림막판에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절곡된 다수의 함몰부를 갖고, 상기 함몰부로는 장식재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 및 제 2가림막판의 테두리에는 장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장식재는 각종 글씨가 양각 또는 음각된 합성목재판, 천연목재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에는 하수관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에는 냄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판(51)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에는 투명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판이 힌지 결합되되, 상기 덮개판의 타면에는 발광수단이 결합되어 점검구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 손쉽게 하수관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덮개판의 일면에는 발광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형태의 솔라셀이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덮개판의 타면에 고정되는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에 내장되는 충전지로 구성되되, 상기 LED모듈의 LED는 상부를 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덮개판을 90°들어 올리면 LED의 위치가 점검구를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덮개판의 타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7발명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단에는 충전지의 전원을 LED모듈로 공급하는 접점스위치가 형성되되, 상기 접점스위치는 덮개판을 90°개방하면 제 1가림막판의 면상에 밀착되어 충전지의 전원이 LED모듈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덮개판은 상단에 고정수단이 더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덮개판을 90°들어 올린 상태로 제 1가림막판의 면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 또는 고무흡착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출입문은 단층 또는 복층의 제 1가림막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출입문의 상단에는 점검구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에 결합된 투명판을 보호하는 덮개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점검구에는 덮개판의 오픈을 감지할 수 있는 접점스위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발명은, 제 11항 발명에서, 상기 제 1가림막판의 타면에는 발광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발광수단은 접점스위치의 ON/OFF에 따라 차집관거의 내부를 광 조사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따르면,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이 출입문의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2단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1가림막판에 형성된 출입문을 제 2가림막판 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출입문이 사람이 진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구 상의 투명판을 보호하도록 결합된 덮개판의 타면으로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하수관거 내부에 자동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어 별도의 조명수단이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가림막판과,제 2가림막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덮개판의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의 수위에 따른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판 개폐에 따른 발광수단의 작동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덮개판이 구비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제 1가림막판과,제 2가림막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덮개판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노출 단면에 결합되는 가림막판에 여닫이 방식의 출입문을 형성하여 가림막판을 손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하수관거의 내부를 손쉽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 이는 제 1가림막판(10)과, 제 2가림막판(20) 및 출입문(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가림막판(10)은 하수관거(200)의 노출 단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되어 우천시 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것으로, 하수의 초기우수의 수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 1가림막판(10)은 하수관거(200)의 크기에 따라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유체의 수위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가림막판(20)은 도 5와 같이, 상기 제 1가림막판(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제 1가림막판(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수/초기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 1가림막판(10)과, 제 2가림막판(20)의 개방구조는 하수관거(200)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 또는 하수/초기우수의 수압에 의해 개별적으로 다단 개방되는 구성이다
상기 출입문(40)은 제 1가림막판(10)에 여닫이 방식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출입문(41)과, 제 1출입문(41)의 하단에 상호 간 힌지 결합되는 제 2출입문(4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출입문(41)은 단층 또는 복층의 제 1가림막판(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복층의 제 1가림막판(41)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출입문(41)의 일측면은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제 2출입문(42)과 함께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7참조)
그리고 상기 제 2출입문(42)은 제 1출입문(41)의 하단에 상호 간 힌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는 상기 제 2가림막판(20)과 연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출입문(40)을 제 2가림막판(20) 까지 연장시켜 사람이 진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확보하고, 더불어 제 1,2출입문(41,42)을 상호 간 힌지 결합시켜 제 1가림막판(10)과 제 2가림막판(20)이 출입문(40)의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다단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제 1가림막판(10) 및 제 2가림막판(20)은 세로 또는 가로방향을 따라 절곡된 다수의 함몰부(30)를 갖고, 상기 함몰부(30)로 장식재(31)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장식재(31)는 금속재질의 제 1,2가림막판(10,20)의 갖는 차가운 이미지를 목재의 이미지로 꾸밀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장식재(31)가 결합된 제 1가림막판(10) 및 제 2가림막판(20)의 테두리에는 보강대(P)를 결합시켜 장식재(31)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불어 제 1,2가림막판(10,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재(31)는 각종 글씨가 양각 또는 음각된 합성목재판, 천연목재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 1,2가림막판(10,20)에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 이외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 1가림막판(10)에는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50)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3과 같이, 상기 점검구(50)에는 냄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판(51)이 결합되어 출입문(40) 또는 제 1,2가림막판(10,20)의 오픈 없이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된 투명판(51)은 유리, 아크릴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구(50)는 실시예로 1개가 설치되는 구성이지만, 선택적으로 다수의 제 1가림막판(10)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50)가 형성된 제 1가림막판(10)에는 덮개판(60)을 힌지 결합시켜 점검구(50)에 결합된 투명판(51)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덮개판(60)의 타면에는 발광수단(70)이 결합되어 점검구(5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 손쉽게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수단(70)은 상기 덮개판(60)의 타면에 고정되는 LED모듈(71)과, 상기 LED모듈(71)에 내장되는 충전지(712)로 구성된다.(도 8 및 도 9참조)
이 때 상기 LED모듈(71)은 상기 덮개판(60)을 90°들어 올리면 LED(711)의 위치가 점검구(50)를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덮개판의 타면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LED모듈(71)은 덮개판(60)이 닫혔을 경우, 접이되는 구성으로, 상기 덮개판(60)을 90°들어 올리면 자중에 의해 펼쳐저 LED(711)의 위치가 점검구(50)를 방향으로 자동 전환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는 덮개판(60)을 들어 올리면 광이 점검구(50) 방향으로 수평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손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덮개판(60)의 일면에는 발광수단(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형태의 솔라셀(61)이 부착되어 발광수단(70)의 충전지(712)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60)의 상단에는 충전지(712)의 전원을 LED모듈(71)로 공급하는 접점스위치(611)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은 상기 덮개판(60)을 들어올려 접점스위치(611)가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밀착되어 충전지(712)의 전원이 LED모듈(71)로 공급되도록 하여 LED(711)로부터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대 상기 덮개판(60)의 상단에는 고정수단을 결합시켜 90°들어 올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접점스위치(611)가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LED(711)로부터 광이 지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수단을 영구자석(81)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제 1가림막판(10)에는 영구자석(81)에 대응되는 금속판(82)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고무흡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광수단(70)은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하여 제 1,2출입문(41,42)을 통해 하수관거(200)의 내부로 사람이 진입할 경우, 발광수단(70)을 관찰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의 수위에 따른 제 1가림막판과 제 2가림막판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판 개폐에 따른 발광수단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2개의 제 1출입문(41)과, 제 2출입문(42)은 상호 간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제 1,2가림막판(10,20)이 유체의 수위에 따라 개별적으로 개방되는데 있어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하수관거(200)의 내부로 사람이 진입할 경우, 제 1출입문(41)에 형성된 잠금장치(43)를 해제하고, 제 1출입문(41)을 여닫이 방식으로 당기면 상호 힌지 결합된 제 1출입문(41)과, 제 1출입문(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제 2출입문(42)이 동시 개방되어 사람이 손쉽게 하수관거(200)의 내외부로 손쉽게 진출입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문(40)을 개방시키지 않고, 점검구(50)를 통해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검침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도 8과 같이, 상기 LED모듈(71)은 덮개판(60)이 닫혔을 경우, 접이되는 구성이다.
이 상태에서 덮개판(60)을 90°들어 올리면 상기 덮개판(60)은 영구자석(81)에 의해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개방된 상태로 고정된다.(도 3참조)
그러면 덮개판(60)의 상단에 형성된 접점스위치(611)는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밀착되어 눌러지게 됨으로 충전지(712)의 전원이 LED모듈(71)로 공급된다.
동시에 도 9와 같이, 상기 LED모듈(71) 자중에 의해 펼쳐져 LED(711)의 위치가 점검구(50)를 방향으로 자동 전환되어 광을 점검구(50)를 거쳐 하수관거(200)의 내부로 조사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덮개판이 구비된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1출입문(41)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게 점검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점검구(50)에 결합된 투명판(51)을 보호하는 덮개판(60)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판(60)은 점검구(50)에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점검구(50)에는 덮개판(60)의 오픈을 감지할 수 있는 접점스위치(611)가 더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판(60)이 자중에 의해 하강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점스위치(611)와 접촉되어 OFF된 상태를 유지하며, 덮개판(60)의 상승하면 접점스위치(611)가 ON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제 1가림막판(10)의 타면에는 발광수단(70)이 장착되고, 상기 발광수단(70)은 접점스위치(611)의 ON/OFF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차집관거(200)의 내부를 광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덮개판(60)을 상승시키면 접점스위치(611)에 의해 발광수단(70)에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됨으로써, 투명판(51)을 통해 차집관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수관거(200)에 지주대(90)가 결합되고, 상기 지주대(90)에는 솔라셀(61)과, 충전지(712)가 내장된 배전함(91)이 더 형성되어 외부의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발광수단(70)을 점등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제 1가림막판
20: 제 2가림막판
30: 함몰부 31: 장식재
40: 출입문 41: 제 1출입문 42: 제 2출입문
43: 잠금장치
50: 점검구 51: 투명판
60: 덮개판 61: 솔라셀 611: 접점스위치
70: 발광수단 71: LED모듈 711: LED
712: 충전지
80: 고정수단 81: 영구자석 82: 금속판
90: 지주대 91: 배전함
P: 보강대
100: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200: 하수관거

Claims (12)

  1. 하수관거(200)의 노출단면 크기에 따라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시켜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되며, 수위가 높은 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다수의 제 1가림막판(10); 및
    상기 제 1가림막판(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성형되어 제 1가림막판(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수위가 낮은 하수/초기우수의 수압에만 개방되는 제 2가림막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가림막판(10)은 여닫이 방식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출입문(4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가림막판(20)은 제 1출입문(4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2출입문(4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출입문(42)과 제 1출입문(41)은 힌지 결합에 의해 상호 간 간섭없이 제 2가림막판(20)과 제 1가림막판(10)에 개별적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1출입문(41)은 일측면이 상기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2출입문(42)과 여닫이 방식으로 동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10) 및 제 2가림막판(20)에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절곡된 다수의 함몰부(30)를 갖고, 상기 함몰부(30)로는 장식재(31)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10) 및 제 2가림막판(20)의 테두리에는 장식재(31)의 이탈을 방지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P)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재(31)는 각종 글씨가 양각 또는 음각된 합성목재판, 천연목재판,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10)에는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구(50)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50)에는 냄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판(51)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10)에는 투명판(51)을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판(60)이 힌지 결합되되,
    상기 덮개판(60)의 타면에는 발광수단(70)이 힌지 결합되어 점검구(50)의 내부로 광을 조사하여 별도의 조명기구 없이 손쉽게 하수관거(2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60)의 일면에는 발광수단(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형태의 솔라셀(61)이 부착되고,
    상기 발광수단(70)은 상기 덮개판(60)의 타면에 결합되는 LED모듈(71)과, 상기 LED모듈(71)에 내장되는 충전지(712)로 구성되되,
    상기 LED모듈(71)은 상기 덮개판(60)을 90°들어 올리면 LED(711)의 위치가 점검구(50)를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덮개판의 타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60)의 상단에는 충전지(712)의 전원을 LED모듈(71)로 공급하는 접점스위치(611)가 형성되되,
    상기 접점스위치(611)는 덮개판(60)을 90°개방하면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밀착되어 충전지(712)의 전원이 LED모듈(71)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60)은 상단에 고정수단이 더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덮개판(60)을 90°들어 올린 상태로 제 1가림막판(10)의 면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81) 또는 고무흡착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출입문(41)은 단층 또는 복층의 제 1가림막판(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출입문(41)의 상단에는 점검구(5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점검구(50)에 결합된 투명판(51)을 보호하는 덮개판(60)이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점검구(50)에는 덮개판(60)의 오픈을 감지할 수 있는 접점스위치(6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림막판(10)의 타면에는 발광수단(70)이 장착되고, 상기 발광수단(70)은 접점스위치(611)의 ON/OFF에 따라 차집관거(200)의 내부를 광 조사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1020150166200A 2015-11-26 2015-11-26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10165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00A KR101659242B1 (ko) 2015-11-26 2015-11-26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200A KR101659242B1 (ko) 2015-11-26 2015-11-26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606A KR20150140606A (ko) 2015-12-16
KR101659242B1 true KR101659242B1 (ko) 2016-09-22

Family

ID=5508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200A KR101659242B1 (ko) 2015-11-26 2015-11-26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7B1 (ko) * 2018-05-12 2019-08-07 (주)티케이이앤씨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20230168389A (ko) 2022-06-07 2023-12-14 전상훈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274B1 (ko) * 2016-12-02 2018-10-05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KR102110072B1 (ko) * 2019-02-01 2020-05-28 최인환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52B1 (ko) * 2010-08-09 2011-01-19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 장치
KR101548478B1 (ko) * 2015-02-02 2015-08-28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119U (ko) * 2006-11-13 2008-05-16 이호실 기능성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52B1 (ko) * 2010-08-09 2011-01-19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 장치
KR101548478B1 (ko) * 2015-02-02 2015-08-28 진두남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617B1 (ko) * 2018-05-12 2019-08-07 (주)티케이이앤씨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102418387B1 (ko) * 2020-12-23 2022-07-06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20230168389A (ko) 2022-06-07 2023-12-14 전상훈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606A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242B1 (ko)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CN102227362B (zh) 装载码头
KR101548478B1 (ko)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
DE502008002102D1 (de) Fahrzeugleuchtvorrichtung mit einem zusatzreflektor zum seitlichen umlenken eines lichtteils einer lichtquelle
US2009009473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backlighting swimming pools
KR101252537B1 (ko) 물분사 기능을 갖는 광고펜스
KR101863890B1 (ko) 물받이 홈통이 구비된 버스 승강장
DE502005008740D1 (de) Sonnenschutzsystem für ein Fahrzeugdach mit einem lichtdurchlässigen Deckel
KR20180062805A (ko) 상시 지지 및 이물질 차단형 가동보
DE60322150D1 (de) Vorzeltkonstruktion und mit einem solchen Vorzelt versehener Wohnwagen
US20130058073A1 (en) Illuminated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Outlet Cover
DE102006052403A1 (de) Armatur für Badewannen
NO20053718D0 (no) Installering for innhenting av et forurensende fluid i minst en tverrseksjon av tankene i et sunket fartoy
CN209087330U (zh) 一种led广告灯箱
CN103703195B (zh) 照明玻璃隔件
KR101241957B1 (ko)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AU2007202980B2 (en) Filter device and top cover for a rain water filter device
CN213927671U (zh) 一种装配式室内卫生间隔断安装墙面保护组件
DE602007000265D1 (de) Gepäckabdeckungsvorrichtung für hinteren Teil eines Kraftfahrzeugs
KR20150004127U (ko)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CN205824913U (zh) 一种带有防水结构的灯具
CN112282433A (zh) 一种装配式室内卫生间隔断安装墙面保护组件
KR100926164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휀스
DE50203603D1 (de) Unterflurfeuer für Verkehrsflächen, wie Flughafenrollwege oder Strassen
RU2442928C1 (ru) Светильник для откры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