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389A -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389A
KR20230168389A KR1020220068783A KR20220068783A KR20230168389A KR 20230168389 A KR20230168389 A KR 20230168389A KR 1020220068783 A KR1020220068783 A KR 1020220068783A KR 20220068783 A KR20220068783 A KR 20220068783A KR 20230168389 A KR20230168389 A KR 20230168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en
sewer pipe
horizontal suppo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22006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389A/ko
Publication of KR2023016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말단에 설치되는 가림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상단에 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에 힌지결합되는 제1가림막판(200)과, 상기 제1가림막판(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가림막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가림막판(200,200')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H)의 축(HS)은 제1,2가림막판(200,200')의 연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열의 제1,2가림막판(200,200')은 좌우로 인접한 가림막판 끼리는 일체로 결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람이나 기압차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가림막판(200)은 슬라이드 브라켓(B)에 용접된 후 지지대(100)에 끼움 설치된다.

Description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An Odor screen for sewage passage}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말단에 설치되는 가림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한 각종 악취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림막의 구조를 개선하여 악취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 내부는 오수와 폐수에서 각종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하수관로 내부의 공기 흐름이나 외부와의 기압차로 인해 하수관로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어 민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 내지 4에서와 같이 하수관거의 말단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된 가림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 의한 가림막장치는 기본적으로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상단에 고정되는 가로 지지대와, 상기 가로 지지대에 힌지결합되는 제1가림막판, 상기 제1가림막판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가림막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2가림막판은 독립적으로 복수 열을 이루고 있어서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1,2가림막판이 복수 열을 이루고 각 열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분할되어 있었으므로 바람이 불거나 가림막의 내,외부 사이의 기압 차에 의해 각 열의 가림막판이 개별적으로 흔들리게 되면서 좌우로 인접한 열의 가림막판이 서로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가림막판의 지속적인 흔들림으로 인해 가림막판 사이의 틈새로 하수관거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어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1,2가림막판 사이에 연결된 힌지의 축이 가림막판의 연직선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가림막판이 수직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들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상단의 가로 지지대에 제1가림막판을 설치하기 위한 힌지를 용접방식으로 직접 부착함으로써 용접시 발생한 열에 의해 가로 지지대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이를 바로 잡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하단의 바닥이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지 않을 경우, 제2가림막판과 바닥 사이의 틈새가 일정하지 않아 틈새가 많이 벌어지는 위치에서 악취가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폭이 길 경우, 힌지로 매달린 가림막판의 하중에 의해 상단의 가로 지지대 중간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5740호(2015.07.0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659242호(2016.09.13.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0634호(2016.01.27.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905274호(2018.09.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로 인접한 개별 가림막판 사이의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 발생 및 악취 유출문제를 해소하고, 가림막판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가림막판 상단의 가로 지지대에 힌지를 결합할 때 열변형이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가림막판과 하수관거 바닥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상단에 고정되는 가로 지지대와, 상기 가로 지지대에 힌지결합되는 제1가림막판, 상기 제1가림막판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가림막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가림막판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의 축은 제1,2가림막판의 연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열의 제1,2가림막판 사이는 좌우 일체로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가림막판 상단의 힌지는 슬라이드 브라켓에 용접된 후 슬라이드 브라켓이 가로 지지대에 끼움 설치되고, 하수관거 노출단면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가로 지지대 중간에 기둥을 세우며, 상기 제2가림막판의 하부에는 하수관거 노출단면 바닥의 기울기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고무 지수판을 설치한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바람이 불거나 가림막판 내외부의 기압차가 발생하더라도 가림막판이 개별적으로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가림막판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수관거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으며, 힌지의 축이 제1,2가림막판의 연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하부의 제2가림막판이 전방으로 들리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단의 가로 지지대에 힌지가 직접 용접되지 않고 슬라이드 브라켓에 용접된 후 끼워지게 되므로 가로 지지대의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폭이 넓은 경우에는 가로 지지대 중간에 기둥을 설치함으로써 가로 지지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제2가림막판의 하부에는 하수관거 노출단면의 바닥 기울기에 맞추어 고무 지수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악취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림막장치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4는 도 2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힌지 결합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좌우 가림막판 사이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전면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림막장치의 배면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수직 힌지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전면부 사시도,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가림막장치의 배면부 사시도,
도 12는 가림막판 하단부의 고무지수판 설치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배면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시 생략된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상단에 고정되는 가로 지지대(100)와, 상기 가로 지지대(100)에 힌지(H)로 결합되는 제1가림막판(200)과, 상기 제1가림막판(200)의 하단에 힌지(H')결합되는 제2가림막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가림막판(200,200')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H')의 축(HS)은 제1,2가림막판(200,200')의 연직선(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 열의 제1,2가림막판(200,200') 사이 즉, 좌우로 인접한 가림막판 끼리는 고정나사(B; 또는 볼트)에 의해 좌우 일체로 결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람이나 기압차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가림막판(200) 상단의 힌지(H)는 사각 단면 형태의 슬라이드 브라켓(C)에 용접된 후 가로 지지대(100)에 끼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C)은 가로 지지대(100)에 끼움 설치된 후 간단한 점 용접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간단한 점 용접 시에는 가로 지지대(100)에 열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며, 간단한 점 용접 외에도 볼트조임이나 리벳팅 작업을 통해서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가림막판(200)의 하부에 상하 길이가 제1가림막판(200)보다 짧은 제2가림막판(200')이 힌지(H)로 결합되고, 제2가림막판(200')의 하부에 상하 길이가 제2가림막판(200')보다 짧은 제3가림막판(200")이 힌지(H)로 결합된 3단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2단만으로 이루어지거나 4단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제1,2,3가림막판(200,200',200")의 상하 길이는 설치되는 하수관거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00과 400은 각각 가림막장치 상단의 가로 지지대(100) 부분과 측부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로 다양한 형태로 타공이 이루어져 있어 가로 지지대가 하수관거 노출단면에 부착된 상태를 가려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출단면의 상단과 측부에 발생할 수 있는 틈새를 통한 악취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500은 출입문이며, 부호 600은 지지대(100)를 하수관거 노출단면 상단(외벽 또는 내부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고, 부호 700은 상기 마감부재(400)를 노출단면 측부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며, 상기 고정브라켓(600)은 지지대(100) 고정 외에도 마감부재(300)를 부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2가림막판(200,200')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H)의 축(HS)이 제1,2가림막판(200,200')의 연직선(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제2가림막판(200')이 전방(외측)으로 기울어져 들리게 되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H)의 크기에 맞추어 적정 두께의 스페이서(S)를 사용함으로써 힌지(H)의 축(HS)을 제1,2가림막판(200,200')이 이루는 연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가림막판(200,200)(200',200')사이가 고정나사(B; 또는 볼트) 등으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개별적인 회동동작이 아닌 동시에 회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 개별적인 회동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틈을 통한 악취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좌우의 가림막판(200,200) 사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겹치기 또는 맞대기 방식이나 별도의 브라켓을 배면에 덧대어 고정하는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나, 다만 가림막장치(1)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보조 가림막판(800,800', 80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보조 가림막판은 상술한 제1실시 예에 개시된 수평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는 가림막판이 하수관거 노출단면 전방의 측부 날개벽이 있는 장소에서는 서로 간섭을 일으켜 제대로 개방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판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좌우 양측에 모두 보조 가림막판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가림막판(800,800',800")은 세로 지지대(110)에 일측이 힌지(H")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H")는 스프링(P)에 의해 폐쇄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는 상기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보조 가림막(800,800',800")의 개폐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상기 보조 가림막(800,800',800")은 일측이 세로 지지대(110)에 수직으로 부착된 힌지(H")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힌지(H")를 축으로 측방향으로 개방되되 스프링(P)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타측은 인접한 제1,2가림막판(200,200',200")의 단턱(210)에 걸려 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은 제지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힌지(H")는 사각 단면 형태의 슬라이드 브라켓(C')에 용접된 후 세로 지지대(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가림막판이 채광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는바, 각 가림막판(200,200',200")에 타공창(W)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창(W)에는 후방에 투명 또는 반투명 판(T)이 브라켓(K)으로 설치되어 있어 타공창(W)을 통한 외부의 빛이 하수관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제3가림막판(200")의 하부에 고무 지수판(220)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바닥의 기울기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고무 지수판(220)을 설치함으로써 노출단면의 바닥이 수평이 아닌 장소에서도 하수관거 노출단면의 기울어진 바닥과 고무 지수판(2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림막판 하단부를 통한 악취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가림막장치의 배면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수관거 노출단면의 폭이 넓은 경우 지지대(100) 중간에 기둥(120)을 세워 지지대(100) 및 가림막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둥(120)은 지지대(100)에 2개의 짧은 사각관이 직각으로 부착된 형태의 연결 브라켓(130)으로 연결되고, 기둥 하단(120)은 노출단면 바닥의 앵커 브라켓(140)에 고정되며, 상기 기둥(1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가림막장치의 외관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림막장치의 개폐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의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 예에 각각 개시된 개별적인 구성을 조합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의 가림막판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가림막장치
100 : 가로 지지대
110 : 세로 지지대
120 : 기둥
130 : 연결 브라켓
140 : 앵커 브라켓
200 : 제1가림막판
200' : 제2가림막판
200" : 제3가림막판
210 : 단턱
220 : 고무 지수판
300 : 마감부재
400 : 마감부재
500 : 출입문
600 : 고정브라켓
700 : 고정브라켓
800,800',800" : 보조 가림막판
B : 고정나사(또는 볼트)
C,C' : 슬라이드 브라켓
H,H',H": 힌지
HS : 축
K : 브라켓
P : 스프링
S : 스페이서
T : 투명판(또는 반투명판)
W : 타공창

Claims (9)

  1. 하수관거의 노출단면 상단에 고정되는 가로 지지대(100)와, 상기 가로 지지대(100)에 힌지결합되는 제1가림막판(200)과, 상기 제1가림막판(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가림막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가림막판(200,200')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H)의 축(HS)은 제1,2가림막판(200,200')의 연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가림막판(200,200')은 좌우로 복수 열이 설치되되 좌우로 인접한 가림막판 끼리는 고정나사(B)나 볼트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막판(200)은 슬라이드 브라켓(C)에 용접된 후 가로 지지대(100)에 끼움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판(200,200')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보조 가림막판(800,8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림막판(800,800')은 세로 지지대(110)에 일측이 힌지(H")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H")는 스프링(P)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가림막판(200,200')에는 타공창(W)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창(W)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판(T)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림막판(200')의 하단에는 고무 지수판(22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100)에는 기둥(120)을 세워 가로 지지대(100) 및 가림막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기둥(120)은 가로 지지대(100)에 2개의 짧은 사각관이 직각으로 부착된 형태의 연결 브라켓(130)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둥(120) 하단(120)은 노출단면 바닥의 앵커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 노출단면의 상단이나 측부에는 악취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 향상을 위한 마감부재(300,4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20220068783A 2022-06-07 2022-06-07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230168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83A KR20230168389A (ko) 2022-06-07 2022-06-07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83A KR20230168389A (ko) 2022-06-07 2022-06-07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389A true KR20230168389A (ko) 2023-12-14

Family

ID=8916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83A KR20230168389A (ko) 2022-06-07 2022-06-07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38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740A (ko) 2013-12-26 2015-07-06 전상훈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160010634A (ko) 2016-01-08 2016-01-27 전상훈 친환경 가림막장치
KR101659242B1 (ko) 2015-11-26 2016-09-22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101905274B1 (ko) 2016-12-02 2018-10-05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740A (ko) 2013-12-26 2015-07-06 전상훈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659242B1 (ko) 2015-11-26 2016-09-22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20160010634A (ko) 2016-01-08 2016-01-27 전상훈 친환경 가림막장치
KR101905274B1 (ko) 2016-12-02 2018-10-05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394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US20090148236A1 (en) Flood and combustion air vent
KR102044472B1 (ko) 리폼형 방음벽 시스템
JP2014031709A (ja) 建物の換気構造
KR20230168389A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120029897A (ko)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
JP2008138438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防音パネルの取付方法
JP2006283297A (ja) 防音壁
JP2006342542A (ja) 引違いサッシの下枠改装構造
JP6201194B2 (ja) 道路用吸音板
JP4105136B2 (ja) 前背面分離式遮音壁
KR102297568B1 (ko) 조립식 방음패널
JP2006328858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防音壁
JPH0617407A (ja) 防音壁用遮音パネル及び防音壁
KR101409661B1 (ko) 퍼즐형 방음판 설치 구조
KR102293799B1 (ko) 도시형 탈부착 타입 멀티 방음판
KR200291869Y1 (ko) 도로용 방음벽
KR200496027Y1 (ko) 건설 현장용 소음 방지 패널
KR102273815B1 (ko) 터널형 방음벽용 배수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투명 방음패널
JP7236901B2 (ja) ヒンジクローザの設置構造
JP2023058816A (ja) フェンス
KR102366965B1 (ko) 터널 방음벽의 천장판 시공방법
JP2847382B2 (ja) 小屋裏の界壁の施工方法
JP3143947U (ja) 仮囲い
JP7120946B2 (ja) 防煙垂れ壁の塞ぎ部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