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072B1 -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072B1
KR102110072B1 KR1020190013677A KR20190013677A KR102110072B1 KR 102110072 B1 KR102110072 B1 KR 102110072B1 KR 1020190013677 A KR1020190013677 A KR 1020190013677A KR 20190013677 A KR20190013677 A KR 20190013677A KR 102110072 B1 KR102110072 B1 KR 10211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dor
rainwater
link
sl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최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환 filed Critical 최인환
Priority to KR102019001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상부에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우수토실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천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과; 상측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안착되는 링크체결포스트에 체결되는 링크부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수문연결대가 구비되며, 상기 수문연결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밀착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수문과; 상측이 상기 링크체결포스트에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무동력 링크식으로 개폐시키는 링크부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악취방지차단문으로 구성되며,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비전문가라도 현장에서 편리하게 유지 관리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가 폐쇄되어 악취가 원천 차단되어 하수로 인한 악취를 차단할 수 있으며, 대형토출구의 경우 악취방지차단문을 다단으로 구비하여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점검구를 구비하여 그 내부의 상황을 수시로 간편하게 확인하여 유지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A nonpower sand chamber Equipment shut out a stink}
본 발명은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상부에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비전문가라도 현장에서 편리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유입되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가 폐쇄되어 하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대형 토출구일경우 악취방지차단문을 다단으로 분활 설치하여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고, 우수토실의 내부 상황을 수문의 개방 없이도 점검구를 통하여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폐수 및 오수는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와 가지관로에 집수되어 합류식하수관로에 모이게 되고, 상기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을 경유 연결관을 통하여 대용량의 하수차집관로에 연결되어 하수가 집하되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전량을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고 강우시 우수와 합류된 저농도하수의 일정량은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되고, 상기 하수차집관로로 유입된 하수와 하수가 내포된 우수는 하수종말처리장과 연계되어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하천에 다시 방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합류식하수관로에서 평상시에 유입된 하수의 전량을 차집 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차집하고 있으나, 강우시와 같이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대량의 우수를 모두 차집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는 경우 하수정화 처리계통의 과부하로 인하여 효율저하가 발생되고, 하수차집관로의 파손 및 상부를 개폐하는 맨홀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하수처리장의 설비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며, 또한 대구경의 하수차집관거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우수토실이 설치된다.
상기 우수토실은 방류수역별로 우천시 계획된 하수량만큼만 차집 할 수 있고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시키도록 고안 설치된 구조물로써 그 기능을 다해야하는데 강우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장마철이나 국지성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 하천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하천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되어 이런한 경우를 대비해서 지역별로 수위를 감안한 하천수 월류 방지벽이 설치되어있어 강우시 대량으로 유입된 우수가 합류식하수관로 말단부의 통수단면을 축소시켜 이로 인하여 대량으로 유입된 우수가 하천으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상류지역의 홍수의 원인이 되고 대량으로 유입된 우수와함께 상류로부터 이동해온 토사를 하천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부재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쌓이게되고 또한 하수차집관로가 만관에 이를때까지 우수를 차집하게 되어 차집관로에 많은 부하를 주게되어 하수종말처리장에 수처리에 많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원발명의 발명자가 이를 해결하기위한 기술을 다수 개발하여 등록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506117호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도 14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의 상부에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우천시 대량의우수 유입시 토사나 이물질이 우수토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천수의 역류를 방지하였으나, 무동력으로 개폐되는 수문(30)이 수압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제작되어 많은 무게로 인하여 인력으로 상측으로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 합류식하수관로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진입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우수토실의 우수 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수문(30)이 설치 지역별 방류하천의 수위에 대응하여 일정 높이로 제작설치되어 토출구 전체가 폐쇄되지 못하고 상측이 개방되어 평상시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하여 민원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가 밀실하게 폐쇄되어 악취가 원천 차단되어 하수로 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으며, 대형토출구인 경우 악취차단문을 분활하여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점검구를 구비하여 합류식하수관로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내부 상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수문을 전방으로 개방하여 합류식하수관로로의 진출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되어 유지 및 보수작업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상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하수차집관로로 유입시키고,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설치된 우수토실 상부에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판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우수토실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로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과; 상기 측면판의 양측에 안착되는 한쌍의 링크체결포스트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체결포스트에는 링크부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체결부 상부에는 수문연결대가 체결되고, 상기 수문연결대 상측에는 링크부의 연동시점을 설정하기위한 링크연동시점설정공이 다수개 타공되고 수문의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수문이탈방지핀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문연결핀이 구비되어 수문이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악취방지차단문이 체결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수문과 함께 연동하여 개방되는 악취차단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방지차단문은 하수관로의 내주연과 대향되어 내측이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고 상기 수문과 밀실하게 마주하도록 다단형의 테두리형상으로 구비된 악취차단프레임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의 전방에는 고무씰이 구비되고, 상측에 다수개 구비된 연결고리에 힌지연결되어 그 상측을 개폐하는 상측악취차단문과, 상기 상측악취차단문의 하측에 구비된 하측분리형힌지에 힌지체결핀과 함께 상측분리형힌지가 이탈이방지되도록 힌지연결되어 상기 악취차단프레임의 하측을 개폐하는 하측악취차단문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판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방지차단문은 악취차단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창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수시로 점검이 가능토록 개폐되는 점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의 전방에는 우천시 토사 및 이물질이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유도하고 일정 수위에 다다를때까지 하수의 방류를 막아주는 경사진 수위설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의 상측 양쪽에는 수문의 이탈이방지되도록 핀으로 연결되는 고리형상의 수문이탈방지고리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문이 전후로 개방되도록 고리형상의 수문연결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의 양측 하단에는 수문이 전후로 개방되면서 악취차단프레임에 안착된 고무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무씰파손방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상부에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장치를 설치하여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우수토실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차집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내포한우수는 우수토실 상부의 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우수와 함께 이동되는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상기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수문과 악취방지차단문이 설치됨으로써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의 말단부가 폐쇄되어 악취가 원천 차단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완전개방되어 하수차집관로에 대량의 우수가 과차집됨을 방지하고 동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악취차단문을 조립이 용이토록 다수개로 나누어 분할 설치가 가능하여 대형토출구에도 악취차단문을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악취차단문 내측에는 점검구가 구비되어 우수토실의 내부 상황을 수시로 편리하게 확인하여 유지 및 보수 할 수 있고,
넷째, 상기 수문과 연동되는 링크부와 회전판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 수압에 의하여 수문이 개방될때 링크연동으로 회전판이 회전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현장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섯째, 상기 링크부는 상기 수문연결대에 구비된 연동시점설정핀에 의하여 링크연동시점의 조절이 가능하여 수문이 일부개방되어도 회전판의 회전이 억제되어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 우수의 유출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여섯째, 상기 수문을 전후 뿐만 아니라 상하로 개방되도록 설치하여 중량물의 수문을 간편하게 전후로 개방하여 우수토실 내부에 용이하게 진출입이 가능하여 점검 및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수문의 하단에 고무씰파손방지판이 구비되어 수문이 전후로 개방되면서 악취차단프레임에 구비된 고무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차단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문의 분리시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방상태를 나타낸 확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구성품을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수문의 전방개방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링크연동설정핀을 사용하여 링크연동시점이 설정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태낸 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부분개방 상태를 나태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전체개방 상태를 나태낸 상태도.
도 14는 종전의 기술을 나태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 상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1)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우수토실(2)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우수토실을(2)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고,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로써, 상기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의 상부에 안착되는 프레임(10)과,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20)과,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수문(30)과, 상기 회전판(20)을 수문(30) 개방시 무동력 링크연동 방식으로 개폐시키는 링크부(40)와,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악취방지차단문(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판(12)이결합되고, 상기 측면판(12)에는 링크체결포스트(11)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에는 링크부(40)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부 상측에는 수문연결대(31)가 체결되고, 상기 측면판(12)에는 악취차단프레임(51)이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은 프레임(10)의 상측에 안착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우수를 우수토실(2)로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중심축(21)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20)의 전방에는 우천시 토사 및 이물질이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안내하고 일정수위에 다다를때까지 하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설정판(13)이 구비된다.
상기 수문(30)은 하측이 수문연결대(31)의 하측에 구비된 수문연결핀(31a)에 상하 및 전후로 회전 개방되도록 체결되고 상측은 상기 수문연결대(31) 상부에 구비된 수문이탈방지핀(31b)에 수문이탈방지고리(30c)가 함께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에 안착된 고무씰(55)에 밀착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고 하천수위가 상승하게되면 폐쇄되어 하천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40)는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에 체결되어 상측은 수문연결대(31)에 연결되고 하측은 회전판중심축(21)과 연결되어 상기 수문(30)이 개방될때 무동력 링크연동으로 회전판(20)을 개폐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5에서,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상기 프레임(10)에 체결되어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1)의 토출구를 폐쇄시켜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문(30)과 연계하여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며, 합류식하수관로(1)의 내주연과 대향되어 내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측면판(12)과 체결되는 다단의 테두리형상의 악취차단프레임(51)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고리(51a)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상측을 개폐하는 상부악취차단문(52)과, 상기 상부악취차단문(52)의 하측에 구비된 하측분리형힌지(52b)에 힌지체결핀(56)과 함께 상측에 구비된 상측분리형힌지(53a)가 체결되어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하측을 개폐하는 하부악취차단문(53)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판(12)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57)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악취차단판(60)이 조립이 용이토록 다수개의 창틀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점검이 용이하도록 개폐되는 점검구(54)가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수문(30)의 상부 양측에는 수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핀으로 연결되는 고리형상의 수문이탈방지고리(30c)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문(30)이 전후로 개방되도록 고리형상의 수문연결고리(30b)가 구비된다.
상기 수문(30)의 양측 하단에는 수문(30)이 전후로 개방되면서 악취차단프레임(51)에 구비된 고무씰(55)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무씰파손방지판(30a) 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문(30)의 수문연결대(31)에는 상부에 링크부(40)의 연동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연동설정핀(31c)이 구비된다.
도 9에서, 유지관리를 위하여 우수토실(2)에 진출입하기 위하여 수문(30)의 개방이 필요한경우 하부악취차단문(53)을 상부로 개방한후 수문(30)의 전방으로 회전개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간편한 수문이탈방지핀(31b)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의 상부에 프레임(10)이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는 판형의 회전판(20)이 상기링크부(40)와 연동 회전되어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게 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장방형의 수문(30)이 입설되어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고, 상기 수문(30)과 무동력 링크연동 방식으로 회전판(2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수문(30)의 상측 개방부에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방지차단문(50)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어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양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판(12)이 체결되고 되고, 상기 측면판(12)에는 링크체결포스트(11)체결되어 우수토실(2)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에는 링크부(40)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부(40) 상측에는 수문연결대(31)와 체결되고 하측에는 회전판(20)이 체결되어 연동하게된다.
상기 회전판(20)은 프레임(10)의 상측에 안착되고 회전판중심축(21)이 상기 링크부(40)의 하측에 체결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우수토실(2)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유출시키고 강우로 인하여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문(30)의 개방과함께 링크의 연동으로 상하로 회전되어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대량의우수와 함게 이동되는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0)의 전방에는 경사진 수위설정판(22)이 구비되어 우천시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토사 및 이물질을 하천으로 용이하게 안내하고 일정수위에 다다를때까지 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게된다.
상기 수문(30)은 하측이 상기 수문연결대(31)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하 전후로 회전개방되고 상측은 상기 수문연결대(31) 상측에 구비된 수문이탈방지핀(31b)과 함께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우수토실(2)의 유지보수를 요할시에는 수문이탈방지핀(31b)를 분리 수문(30)을 전방으로 회전 개방시켜 진출입이 용이하고,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에 구비된 고무씰(55)의 양측에 밀착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고 강우의 지속으로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면 폐쇄되어 하천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40)는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에 체결되며 상측에는 수문연결대(31)가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중심축(21)과 체결되어 상기 수문(30)이 대량의 우수유입으로 개방될때 무동력 링크연동으로 회전판(2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식하수관로(1)의 내주연과 대향되어 내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측면판(12)과 다단형의 테두리형상의 악취차단프레임(51)이 체결되고,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상측에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고리(51a)에 힌지연결되는 상부악취차단문(52)이 구비되어 그 상측을 개폐하게 되며, 상기 상부악취차단문(52)의 하측과 연동되며 하측분리형힌지(52b)에 힌지연결되는 하부악취차단문(53)이 구비되어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하측을 개폐하게 되고,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측면판(12)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57)이 구비되어 견고하게 체결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악취차단판(60)의 조립이 용이토록 다수개의 창틀형상으로 다단으로 구비하여 대형의 하수토출구에도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고, 그 내측에는 점검구(54)가 구비되어 내부의 상황을 수시로 간편하게 확인하여 편리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수문(30)의 상부 양측에 수문(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수문이탈방지핀(31b)으로 체결되는 고리형상의 수문이탈방지고리(30c)가 구비되어 수문연결대(31)와 연동되고, 상기 수문(30)의 하측에는 고리형상의 수문연결고리(30b)가 구비되어 상기 수문연결대(31)에 체결되어 수문(30)이 상하 전후로 개방되어 우수토실(2) 내부에 용이하게 진출입이 가능하게되어 점검 및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문(30)의 양측 하단에는 고무씰파손방지판(30a)이 연결되어 수문(30)이 전후 개방되면서 악취차단프레임(51)에 구비된 고무씰(55)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평상시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판(20)을 통하여 우수토실(2)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로 배출된다.
그리고,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우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우수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수문(30)이 일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는 회전개방이 이루어지나 링크연동시점설정핀(31c)에 의하여 정해진 설정각도에 이르기전에는 링크부(40)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회전판(20)을 통하여 우수토실(2)로 배출시켜 초기우수의 방류를 막아 하천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도 12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30)이 높아진 수위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회전되고 설정된 각도에 다다르게되면 링크부(40)가 연동되고,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되면서 우수토실(2)에 유입되는 유입단면을 축소시켜 다량의 우수가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방출되고 동시에 우수에 내재된 토사도 방류하천으로 방출되어 우수토실(2)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도 높아진 수위에 의하여 개방되어 다량의 우수가 방류하천으로 자연스럽게 방출되고 동시에 우수에 내재된 토사도 방류하천으로 방출되어 우수토실(2)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합류식하수관로 2 : 우수토실
3 : 연결관
10 ; 프레임 11 ; 링크체결포스트
12 ; 측면판 13 ; 수위설정판
20 ; 회전판 21 ; 회전판중심축
30 ; 수문 30a ; 고무씰파손방지판
30b ; 수문연결고리 30c ; 수문이탈방지고리
31 ; 수문연결대 31a ; 수문연결핀
31b ; 수문이탈방지핀 31c ; 링크연동설정핀
40 ; 링크부 50 ; 악취방지차단문
51 ; 악취차단프레임 51a ; 연결고리
52 ; 상부악취차단문 52a ; 연결고리
52b ; 하측분리형힌지 53 ; 하부악취차단문
53a ; 상측분리형힌지 54 ; 점검구
55 ; 고무씰 56 ; 힌지체결핀
57 ; 프레임고정브라켓
60 ; 악취차단판

Claims (7)

  1.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상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합류식하수관로(1)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우수토실(2)로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우수토실(2)로 유입시키고,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류식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위치한 우수토실(2)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고정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면판(12)과, 상기 측면판 양측에 링크체결포스트(11)가 체결되게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안착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우수토실(2)로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21)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2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고정되는 측면판(12)에는 한쌍의 링크체결포스트(11)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에는 링크부(40)가 체결되고 상기 링크부(40)의 상측에는 수문연결대(31)가 체결되고 상기 수문연결대(31)에 체결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수문(30)과;
    상측이 상기 링크체결포스트(11)의 상단에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중심축(21)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20)을 무동력 링크식으로 개폐시키는 링크부(40)와;
    상기 수문(30)의 상부에서 양측이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를 방지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악취방지차단문(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하수관로의 내주연과 대향되어 내측이 상기 프레임(10)과 연결되는 다단의 테두리형상의 악취차단프레임(51)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상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결고리(51a)에 힌지연결되어 그 상측을 개폐하는 상부악취차단문(52)과, 상기 상부악취차단문(52)의 하측과 연동되며 하측분리형힌지(52b)에 힌지체결핀(56)과 함께 상측분리형힌지(53a)가 함께 연결되어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하측을 개폐하는 하부악취차단문(53)과, 상기 악취차단프레임(51)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판(12)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프레임고정브라켓(5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은 악취차단판(60)의 조립이 용이토록 다수개의 창틀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청소와 점검이 가능토록 개폐되는 점검구(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전방에는 우천시 토사 및 이물질을 하천으로 유도하고 일정수위에 다다를때까지 하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경사진 수위설정판(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30)의 상부 양측에는 수문(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핀으로 연결되는 고리형상의 수문이탈방지고리(30c)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문(30)이 전후로 개방되도록 고리형상의 수문연결고리(30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30)의 수문연결대(31)에는 상부에 링크부(40)의 연동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연동설정핀(3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차단문(50)의 악취차단프레임(51) 내측에는 수문(30)과 밀착되도록 신축재질의 고무씰(56)이 안착되고, 상기 수문(3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고무씰(56)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무씰파손방지판(30a)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20190013677A 2019-02-01 2019-02-01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211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677A KR102110072B1 (ko) 2019-02-01 2019-02-01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677A KR102110072B1 (ko) 2019-02-01 2019-02-01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072B1 true KR102110072B1 (ko) 2020-05-28

Family

ID=7092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677A KR102110072B1 (ko) 2019-02-01 2019-02-01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0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07B1 (ko) * 2013-11-27 2014-02-11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자연친화적인 악취저감장치
KR101533943B1 (ko) * 2015-01-15 2015-07-09 최지영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50140606A (ko) * 2015-11-26 2015-12-16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07B1 (ko) * 2013-11-27 2014-02-11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자연친화적인 악취저감장치
KR101533943B1 (ko) * 2015-01-15 2015-07-09 최지영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50140606A (ko) * 2015-11-26 2015-12-16 전상훈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200461576Y1 (ko)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CN107558600A (zh) 一种提升式捞渣装置
KR20090083884A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CN109763400A (zh) 具有应急排水功能的园林道路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533943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40022341A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0447049B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2110072B1 (ko) 악취가 차단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64826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WO2013039309A2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N207436237U (zh) 一种提升式捞渣装置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0711853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2145783B1 (ko)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JP2012140845A (ja) 上下2段構造の分流装置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50078311A (ko) 개폐식월류벽이 구비된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와 유량조절 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849023B1 (ko)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