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341A -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341A
KR20140022341A KR1020130050192A KR20130050192A KR20140022341A KR 20140022341 A KR20140022341 A KR 20140022341A KR 1020130050192 A KR1020130050192 A KR 1020130050192A KR 20130050192 A KR20130050192 A KR 20130050192A KR 20140022341 A KR20140022341 A KR 2014002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closing plate
fram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668B1 (ko
Inventor
진두남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3005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6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하고,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Flow Control Device Of Sewage Gathering Duct}
본 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등록번호: 10-0969488)는 별도의 점검구가 마련되지 않아 우수토실의 내부에 모래나 자갈이 유입되면 이를 준설하기 위해 하수유입홀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임에 설치된 물막이판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사이에 갭이 발생되어 오수 및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축에 협잡물이 걸려 개폐판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개폐판을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간 프레임에 링크결합시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이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우수의 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40);과,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레벨판(50);과,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과,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40)은 오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 1절곡면(41)의 외측에는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411)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레벨판(50)은 폐쇄된 개폐판(40)의 타측과 부분 중첩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스토퍼판(6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고,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의 제 2절곡면(621) 일측에는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에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점검구(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보조프레임(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은 여기서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각봉(43)을 설치하고, 상기 각 각봉(43)의 양측에 아이볼트(I)를 체결시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개폐판(40)에 고정된 아이볼트(I)의 고리와 링크결합시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30)이 결합되는 부위에 아이볼트(I)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하수로(10)에는 개폐판(40)을 통해 우수토실(11)의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90)이 다중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90)은 하수로(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2발명은, 제 11발명에서,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이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따르면,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결합된 개폐판과 스토퍼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판의 양측에 지수판을 결합시켜 물막이판과의 사이로 협잡물의 진입을 방지하여 개폐판의 작동 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물막이판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판을 분리구성하되 각각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개폐판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을 아이볼트를 통해 상호 간 프레임에 링크결합시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이 개폐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스토퍼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2에서 수평레벨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서 개폐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스토퍼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수평레벨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판의 양측 절곡면에 무게추를 결합시켜 개폐판을 분리시키지 않고 손쉽게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우수토실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점검구를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 내부를 손쉽게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는 크게 프레임(20)과, 개폐판(40)과, 수평레벨판(50)과, 스토퍼판(60) 및 물막이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 또는 기존 하수로 상의 우수토실(11)에 설치된 스틸그레이팅(미도시)을 제거하고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20)은 우수토실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경우, 점검구(211)가 형성되도록 보조프레임(21)을 더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오수, 초기우수 및 우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필요시 점검판(212)를 분리하여 프레임(20)에 결합된 개폐판(40)과, 스토퍼판(60)을 분리하지 않아도 우수토실(11)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의 양측에 보조프레임(21)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우수토실(11)의 형태에 따라 프레임(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판(40)은 상기 프레임(2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30)에 결합되어 우수토실(1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을 갖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 수평레벨판(50)이다. 이러한 수평레벨판(50)은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폐판(40)이 폐쇄되면 개폐판(40)의 타측과 스토퍼판(60)이 상호 간 들뜸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출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판(60)은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은 제 2절곡면(621)이 "┏"자 형상으로 물막이판(70)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내측으로 오수, 우수 및 초기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게 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물막이판(70)은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판(70)과 접하는 상기 스토퍼판(60)의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은 물막이판(70)과의 사이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단면이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상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도록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물막이판(7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외측에는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추(411)가 제 1절곡면(41)의 일측과 타측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무게추(411)는 개폐판(40)의 높이 보다 더 높게 설치되어 있어 개폐판(40)을 분리하지 않고, 물막이판(70)만을 제거하여 손쉽게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이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스토퍼핀(73)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수로(10)에는 오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됨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9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90)은 각종 협잡물을 미리 분리하여 우수토실(11)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로(10) 상에 다단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90)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은 하수로(10)의 양측이 개방되도록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이와 반대로 제 2협잡물스크린(90b)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협잡물을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분산시켜 각 협잡물스크린(90)에 협잡물이 쌓여 "댐" 현상이 발생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제 1협잡물스크린(90a)으로 제거되지 않는 협잡물은 제 2협잡물스크린(90b)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7의 (a)와, 같이 오수 또는 초기우수 시에는 협잡물이 우수토실(11)로 유입되지 않도록 협잡물이 걸러지도록 기능한다.
이와 반대로 도 7의 (b)와 같이, 수량이 많은 우수시에는 개폐판(40)이 폐쇄되는 바, 협잡물이 걸쳐진 걸림판(92)이 우수의 수압에 의해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각도가 낮아지게 되어 협잡물이 개폐판(40)을 지나 하천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별도로 각 걸림판(92)에 걸쳐진 협잡물을 제거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협잡물이 제거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하수로의 수위가 낮아지므로, 상기 각 걸림판(92)은 금속판재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도 7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 협잡물이 우수토실(11)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에서 개폐판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면도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개폐판을 회전축(30)이 없이 프레임(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0)은 아이볼트(I)의 고리를 프레임(20)의 내측 방향에 위치시키고, 볼트부분을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시켜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각봉(43)을 설치하고, 상기 각 각봉(43)의 양측에 아이볼트(I)를 체결시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결합된 아이볼트(I)의 고리와, 프레임(20)에 결합된 아이볼트(I)의 고리를 상호 링크 결합시켜 개폐판(40)이 프레임(20)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20)에 회전축을 베어링 결합시켜도 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개폐판(40)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회전축이 필요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수로 11: 우수토실 12: 차집관거
20: 프레임 21: 보조프레임 211: 점검구
212: 점검판
30: 회전축
40: 개폐판 41: 제 1절곡면 411: 무게추
412: 걸림판 42: 부력통
421: 연결바 421a: 체결공
43: 각봉
50: 수평레벨판 51: 브라켓
60: 스토퍼판 62: 상향절곡판 621: 제 2절곡면
622: 지수판 63: 낙수조절판
64: 장홈
70: 물막이판 71: 결합홀 72: 너트
73: 스토퍼핀
90: 스크린 90a: 제 1협잡물스크린 90b: 제 2협잡물스크린
91: 지지바 911: 앵커볼트
92: 걸림판
I: 아이볼트

Claims (12)

  1. 하수로(10) 상에 형성되고, 차집관거(12)와 연계된 우수토실(11)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우수의 양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판(40);
    상기 프레임(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수평레벨판(50);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개폐판(40)의 닫힘을 단속하는 스토퍼판(60);
    상기 프레임(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오수와 초기우수를 우수토실(11)로 유도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40)은 오수 및 우수를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된 제 1절곡면(4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 1절곡면(41)의 외측에는 개폐판(4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411)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레벨판(50)은 폐쇄된 개폐판(40)의 타측과 부분 중첩되는 스토퍼판(60)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판(50)은 저면 양측에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단면이 "┓"자 형태를 취하는 브라켓(5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브라켓(51)을 통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판(60)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 2절곡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벨판(50)의 양측에 고정되는 상향절곡판(62)과, 상기 각 상향절곡판(62) 사이로 양측면이 부분 중첩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 낙수조절판(63)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낙수조절판(63)은 각각 장홈(6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레벨판(50)의 상부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이며,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개방된 개폐판(40)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초기우수의 낙하 위치를 달리하여 오수 및 초기우수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오수 및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판(70)은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형상이고,
    상기 각 상향절곡판(62)의 제 2절곡면(621) 일측에는 물막이판(70)의 일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판(70)의 면상에 접하여 고정되는 "┏"자 형상의 지수판(622)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수판(622)은 개방되는 개폐판(40)의 제 1절곡면(41)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의 각 제 1절곡면(41) 일측 하부에는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단속하는 걸림판(412)이 결합되고,
    상기 각 물막이판(70)에는 상기 걸림판(412)에 간섭받도록 하여 상기 개폐판(4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수단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절수단은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회전반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형성되는 결합홀(71)과, 상기 각 결합홀(71)에 고정되는 너트(72)와, 상기 각 너트(72)에 중 어느 하나의 너트(72)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판(412)을 간섭하는 스토퍼핀(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은 타측 저면에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부력통(42)이 더 결합되되, 상기 부력통(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421a)이 형성되어 상호 간 볼트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42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각도조절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양측에 점검구(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보조프레임(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보조프레임(21)의 상부면으로는 상기 점검구(211)를 폐쇄하는 점검판(2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여기서 상기 개폐판(40)은 저면에 각봉(43)을 설치하고, 상기 각 각봉(43)의 양측에 아이볼트(I)를 체결시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개폐판(40)에 고정된 아이볼트(I)의 고리와 링크결합시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30)이 결합되는 부위에 아이볼트(I)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로(10)에는 개폐판(40)을 통해 우수토실(11)의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90)이 다중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90)은 하수로(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제 1협잡물스크린(90a)과, 상기 제 1협잡물스크린(90a) 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수로(10)의 중앙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수로(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2협잡물스크린(9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협잡물스크린(90)은 앵커볼트(911)를 통해 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바(91)와, 상기 지지바(9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걸림판(9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걸림판(92)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직립된 상태로 지지바(91)에 고정되고, 탄력성이 있는 금속판재로 구성되어 우수의 수압에 각도가 우수의 진행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20130050192A 2013-05-03 2013-05-03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453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3-05-03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3-05-03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41A true KR20140022341A (ko) 2014-02-24
KR101453668B1 KR101453668B1 (ko) 2014-10-22

Family

ID=5026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92A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3-05-03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009A (zh) * 2015-06-15 2017-03-08 全商勋 环保无动力流量调节装置
CN116585799A (zh) * 2023-07-17 2023-08-15 河北骏业纤维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原液杂质净化分离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06B1 (ko) 2015-06-29 2015-10-28 전상훈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715561B1 (ko) 2016-05-12 2017-03-10 전상훈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KR102035387B1 (ko) 2017-08-21 2019-10-22 전상훈 경첩을 이용한 유량조절장치
KR101950599B1 (ko) * 2017-09-01 2019-05-08 전상훈 오수 역류 방지 장치
KR101950600B1 (ko) * 2017-09-01 2019-05-08 전상훈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7B1 (ko) * 2004-09-18 2006-07-31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74588B1 (ko) 2007-01-18 2007-11-09 이경우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101189539B1 (ko) * 2009-05-06 2012-10-11 김준형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139533B1 (ko) 2011-05-12 2012-05-02 고철환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009A (zh) * 2015-06-15 2017-03-08 全商勋 环保无动力流量调节装置
CN106489009B (zh) * 2015-06-15 2019-03-29 全商勋 环保无动力流量调节装置
CN116585799A (zh) * 2023-07-17 2023-08-15 河北骏业纤维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原液杂质净化分离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668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0980234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139533B1 (ko)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33532B1 (ko) 우수 및 오수 분리배출장치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564205B1 (ko)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446515Y1 (ko)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343859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697043B1 (ko)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56852B1 (ko)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