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206B1 -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206B1
KR101564206B1 KR1020150091863A KR20150091863A KR101564206B1 KR 101564206 B1 KR101564206 B1 KR 101564206B1 KR 1020150091863 A KR1020150091863 A KR 1020150091863A KR 20150091863 A KR20150091863 A KR 20150091863A KR 101564206 B1 KR101564206 B1 KR 10156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r
main frame
opening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5009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206B1/ko
Priority to CN201580025653.8A priority patent/CN106489009B/zh
Priority to PCT/KR2015/011986 priority patent/WO20162043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 배출 방향인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부력체를 마련하여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또한 부력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우수토실의 준설을 위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개판 및 고정판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A FLOW CONTROL DEVICE WITH NON-POWER ECO-FRIENDLY}
본 발명은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배출 방향인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부력체를 마련하여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또한 부력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우수토실의 준설을 위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개판 및 고정판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계된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유량조절장치는 하수 및 오수를 우수토실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토사 유입방지장치 또는 개폐장치 또는 우수 유입 방지장치 또는 유량조절 및 역류방지장치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량조절장치는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가 만수위가 될 경우, 개폐판의 저면에 부력통을 결합시켜 부력에 의해 개폐판이 폐쇄되는 구조가 등록된 바 있다.
특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특허등록 제1453668호)는 개폐판의 물 유입측에 부력통을 결합시켜 부력에 의해 개폐판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량조절 및 역류방지장치(특허등록 제1355092호) 개폐판의 물 유입측에 부력통을 결합시켜 부력에 의해 개폐판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등록특허는 하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될 시 부력통에 직접 접촉되어 부력통의 협잡물이 끼이거나 엉켜 개폐판의 기능과, 부력통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는 개폐판의 저면에 부력통이 결합되어 있어 외부에서 부력통의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는 굴착 심도가 깊은 우수토실에 설치될 경우, 부력통의 높낮이 조절이 한계가 있어 부력통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 또한 야기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53668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550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물 배출 방향인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부력체를 마련하여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또한 부력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우수토실의 준설을 위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개판 및 고정판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협잡물스크린이 탑재된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로(200)의 우수토실(210)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a);과,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횡설된 회전축(12)에 결합되는 개폐판(40);과,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개폐판(40)의 개방 정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하부에 횡설된 하락방지바(90);와, 상기 개폐판(40)을 부력에 의해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4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부력체(70);와, 상기 부력체(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어 부력체(70)와 연결되는 제1높이조절수단(50); 및 상기 하락방지바(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어 상기 하락방지바(90)와 연결되는 제2높이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력체(70)는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과 지렛대 형태로 힌지 연결된 회동바(60)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바(60)는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력체(70)와 연동되어 개폐판(40)의 타측을 강제 하강시켜 개폐판(40)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1회전레버(51)와, 상기 제1회전레버(5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1스크류봉(52)과, 상기 각 제1스크류봉(52)과 스크류결합된 제1관절부(53)와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개폐판(40)의 하부에 횡설되는 지지바(54)로 구성되되, 상기 제1관절부(53)는 제 1스크류봉(5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너트(531) 또는 스크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60)는 지지바(54)의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 결합된 연결바(541)에 지렛대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회동바(60)는 연결바(541)를 중심으로 길이가 긴 쪽은 부력체(70)와 연결되고, 길이가 짧은 쪽은 와이어(W)를 매개로 개폐판(40)의 저면과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우수토실(210)에는 메인프레임(10a)의 외각에 배치되는 틀프레임(10b)이 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은 틀프레임(10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4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a) 또는 틀프레임(10b)의 양측에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개폐판(40)으로 유도하는 제1물막이판(1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제1물막이판(11)의 사이에는 협잡물스크린(20)이 횡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협잡물스크린(20)은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상단에 고정된 안착대(111)에 안착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에 일정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하향 결합된 스크린봉(2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스크린봉(22)은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스프링(221)이 더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21)에는 합성수지층(222)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40)은 일단과 타측 저면에 무게를 조절하는 다수의 무게판(44)을 포함하되, 상기 각 무게판(44)은 안내구(441)가 형성되어 개폐판(40)의 양단에 체결된 다수의 볼트(43)에 중첩되게 삽입한 후 볼트(43)의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물막이판(31)이 양측에 더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대해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고정판(30)은 중앙영역이 절개되어 개별적으로 회동하는 절개판(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판(32)의 상부면에는 위치가 가변되는 유량조절판(33)이 중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회동바(60)와, 연결바(541)와, 지지바(54)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H)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2높이조절수단(8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2회전레버(81)와, 상기 제2회전레버(8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2스크류봉(82)과, 상기 각 제2스크류봉(82)과는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하락방지바(90)와는 힌지 결합되는 제2관절부(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따르면, 물 배출 방향인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부력체를 마련하여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여 개폐판 및 부력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력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토실의 준설을 위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개판 및 고정판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잡물스크린을 탑재시켜 협잡물이 우수토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스크린봉에 개별적으로 스프링을 마련하여 스크린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유량조절판을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개폐판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스크린의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판 및 고정판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높이조절수단의 작동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유량조절판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개폐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 배출 방향인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부력체를 마련하여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또한 부력체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우수토실의 준설을 위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개판 및 고정판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100)는 크게 7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메인프레임(10a)과, 개폐판(40)과, 고정판(30)과, 하락방지바(90)와, 부력체(70) 및 제1,2높이조절수단(50,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a)은 하수로(200)의 우수토실(21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좌/우 양측에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개폐판(40)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1물막이판(11)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각 제1물막이판(11)의 사이에는 협잡물스크린(20)이 횡설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협잡물스크린(20)은 제1물막이판(11)의 상단에 횡설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하향 결합되는 다수의 스크린봉(2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상단에는 지지봉(21)을 안착시키기 위해 안착대(111)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대(111)는 상단에 지지봉(21)의 이탈방지를 위한 구속볼트(112)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속볼트(112)를 제거할 경우 협잡물스크린(20)을 안착대(111)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봉(21)은 안착대(111)에서 자유 회동될 수 있게 안착되며, 일정수압에서만 회동 후 탄성 복귀되도록 안착대(111)에 판스프링(미도시)을 매개로 탄설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스크린봉(22)은 외부충격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스프링(221)이 더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21)에는 합성수지층(222)이 피복 또는 코팅되는 구성이다.
상술된 스프링(221)은 하수의 진행방향으로 스크린봉(22)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한 구성이고, 합성수지층(222)은 스프링(221)으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 상부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물막이판(31)이 양측에 더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대해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30)은 중앙영역이 절개된 절개판(3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개판(32) 역시 고정판(30)과 별개로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절개판(32)의 상부면에는 위치가 가변되는 유량조절판(33)이 중첩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절개판(32)은 유량조절판(33)과 중첩되는 부분에 다수의 나사봉(321)이 더 결합되고, 상기 유량조절판(33)은 상기 고정판(30)과 중첩되는 부분에 나사봉(321)을 안내할 수 있는 장홈(331)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판(33)은 절개판(32)의 상부면에서 장홈(331)의 길이만큼 위치가 가변되어 물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횡설된 회전축(12)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40)은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 조율을 위한 무게판이 일단과 타측 저면에 다수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개폐판(40)의 일단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향 절곡된 절곡면(41)이 형성되고, 타측 저면에는 고정판(42)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개폐판(40)의 절곡면(41)과, 고정판(42)의 면상에는 무게판(44)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볼트(43)가 체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각 무게판(44)은 분해 조립이 쉽도록 판상의 사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외각에서 중심영역까지 형성된 안내구(441)가 형성되어 있어 가(假) 체결된 다수의 볼트(43)에 안내구(441)를 삽입한 후 볼트(43)의 가압 체결에 의해 절곡면(41) 또는 고정판(42)의 면상에 분산시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무게판(44)은 절곡면(41) 또는 고정판(42)에 다수 중첩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어 손쉽게 개폐판(40)의 일측/타측/좌측/우측의 무게 중심을 조율할 수 있고, 또한 절곡면(41) 또는 고정판(42)의 면상에 밀착되므로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부력체(70)는 종래의 부력체(70)와는 달리 회전축(12)을 중심으로 개폐판(4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 시 협잡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부력에 의해 개폐판(40)을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부력체(70)는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는 제1높이조절수단(50)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부력체(70)는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과 지렛대 형태로 힌지 연결된 회동바(60)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60)는 개폐판(40)의 타측 저면과 와이어(W)를 매개로 연결되어 부력체(70)와 개폐판(40)은 상호 간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1회전레버(51)와, 상기 제1회전레버(5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1스크류봉(52)과, 상기 각 제1스크류봉(52)과 스크류결합된 제1관절부(53)와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개폐판(40)의 하부에 횡설되는 지지바(54)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관절부(53)는 제1스크류봉(5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너트(531) 또는 스크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제1관절부(53)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어 지지바(54)의 수평이 맞지 않아도 지지바(54)가 제1스크류봉(52)을 따라 원활히 승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60)는 지지바(54)의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 결합된 연결바(541)에 지렛대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60)와, 연결바(541)는 힌지 결합부위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H)이 더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회동바(60)는 연결바(541)를 중심으로 길이가 긴 쪽은 부력체(70)와 연결되고, 길이가 짧은 쪽은 와이어(W)를 매개로 개폐판(40)의 저면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부력체(70)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회동바(60)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개폐판(40)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60)는 우수토실(210)의 내부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력체(70)와 연동되어 개폐판(40)의 타측을 와이어(W)로 강제 하강시켜 개폐판(40)이 폐쇄될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한편 부력체(70)는 부력을 받는데 있어 회동바(60)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바와 연결되는 연결봉(71)이 더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체(70)는 연결봉(71)과, 제1높이조절수단(50)에 의해 굴착 심도가 깊은 우수토실(210)에서 낮은 수위에 의한 부력체(70)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하락방지바(90)는 상기 개폐판(40)의 개방 정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하부에 횡설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하락방지바(90) 역시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는 제2높이조절수단(80)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높이조절수단(8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2회전레버(81)와, 상기 제2회전레버(8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2스크류봉(82)과, 상기 각 제2스크류봉(82)과는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하락방지바(90)와는 힌지 결합되는 제2관절부(83)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높이조절수단(80)은 외부에서 하락방지바(90)의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판(40)의 개방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물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각부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협잡물스크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스크린의 작동도,
도 5의 (a)와 같이, 평소 하수 및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은 스크린봉(22)에 걸러져 우수토실(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후 도 5의 (b)와 같이, 수량이 많은 우수의 수압에서는 스크린봉(22)에 걸린 협잡물의 저항에 의해 스크린봉(22)은 우수의 진행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협잡물이 스크린봉(22)에서 이탈된다.
이 때 개폐판(40)은 우수의 수압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우수토실(210)로 협잡물이 유입되지 않고 방류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봉(22)에 걸린 협잡물을 일일이 제거하지 않아도, 우수토실(210)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우수토실의 내부를 준설할 경우, 절개판 및 고정판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판 및 고정판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우수토실(210)의 내부를 준설할 경우, 무거운 메인프레임(10a)을 분리하지 않고, 유량조절판(33)이 결합된 절개판(32)만을 상향 회동시켜 오픈 한 다음 준설파이프(미도시)를 우수토실(210)로 진입시켜 가능하다.
또한 준설파이프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고정판(30)과 절개판(32)을 동시 오픈한 다음 준설파이프를 우수토실(210)로 진입시켜 가능하다.
이렇게 선택적으로 절개판(32) 및 고정판(30)을 오픈시킴으로써, 종래의 메인프레임(10a) 전체의 오픈 방식과 달리, 개폐 충격에 의한 유량조절장치(1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제1높이조절수단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높이조절수단의 작동도이다.
도 8과 같이, 제1높이조절수단(50)은 부력체(7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부력체(7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제1높이조절수단(50)의 제1회전레버(51)를 회전시켜 가능하다.
도 8의 (a)와 같이, 메인프레임(10a)의 양측 상부면으로 노출된 제1회전레버(51)를 회전시키면 제1스크류봉(52)과 스크류 연결된 제1관절부(53)가 승강된다.
제1관절부(53)가 승강되면 제1관절부(53)와 연결된 지지바(54)가 승강되고, 지지바(54)가 승강되면 부력체(70)와 연결된 회동바(60)가 상승하여 결국 부력체(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8의 (b)와 같이, 2개의 제1관절부(53)의 높이가 같지 않아 지지바(54)의 수평이 맞지 않다 하더라도, 상기 각 관절부(53)는 지지바(54)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제1스크류봉(52)을 따라 원활히 승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제2높이조절수단(80)의 작동은 제1높이조절수단(5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력체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의 작동도이다.
도 9와 같이, 평소 개폐판(4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수 및 초기우수는 개방된 개폐판(40)을 통해 우수토실(210)로 유입되어 차집관거로 배출되낟.
그리고 도 1과 같이, 우천시 우수토실(210)과 연결된 차집관거(300)의 내부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차집관거(300)의 빗물이 역류하여 우수토실(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우수토실(210)의 내부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력체(70)는 부력에 의해 우수토실(210)의 내부수위와 함께 상승된다.
그러면 부력체(70)의 연결봉(71)과 연결된 회동바(60)의 우측은 상승하고, 반대로 회동바(60)의 좌측은 하강한다.
그러면 회동바(60)의 좌측과 와이어(W) 연결된 개폐판(40)은 회동바(60)의 하강에 의해 폐쇄되어 더 이상 우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회동바(6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부력체(70)의 크기를 작게 제작하여도 무거운 개폐판(40)을 원활히 폐쇄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우수토실(210)에는 메인프레임(10a)의 외각에 배치되는 틀프레임(10b)이 더 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은 틀프레임(10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우수토실(210)의 내부로 사람이 진입할 경우, 메인프레임(10a)을 틀프레임(10b)을 지지삼아 회동시켜 우수토실(210)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제1물막이판(11)은 제1실시예와는 달리 틀프레임(10b)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a)을 회동시키는데 있어, 무게를 저감하고, 더불어 제1물막이판(11)의 간섭을 없앨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a: 메인프레임 10b: 틀프레임 11: 제1물막이판
111: 안착대 112: 구속볼트
12: 회전축
20: 협잡물스크린 21: 지지봉 22: 스크린봉
221: 스프링 222: 합성수지층
30: 고정판 31: 제2물막이판 32: 절개판
321: 나사봉 33: 유량조절판
331: 장홈
40: 개폐판 41: 절곡면 42: 고정판
43: 볼트 44: 무게판
441: 안내구
50: 제1높이조절수단 51: 제1회전레버 52: 제1스크류봉
53: 제1관절부 531: 너트
54; 지지바 541: 연결바
60: 회동바
70: 부력체 71: 연결봉
80: 제2높이조절수단 81: 제2회전레버 82: 제2스크류봉
83: 제2관절부
90: 하락방지바
100: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200: 하수로 210: 우수토실
300: 차집관거
H: 관통공 W: 와이어

Claims (11)

  1. 하수로(200)의 우수토실(210)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a);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횡설된 회전축(12)에 결합되는 개폐판(40);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0);
    상기 개폐판(40)의 개방 정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40)의 일측 하부에 횡설된 하락방지바(90);
    상기 개폐판(40)을 부력에 의해 폐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4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부력체(70);
    상기 부력체(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어 부력체(70)와 연결되는 제1높이조절수단(50); 및
    상기 하락방지바(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하향 결합되어 상기 하락방지바(90)와 연결되는 제2높이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력체(70)는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과 지렛대 형태로 힌지 연결된 회동바(60)와 연결되고,
    상기 회동바(60)는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력체(70)와 연동되어 개폐판(40)의 타측을 강제 하강시켜 개폐판(40)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1회전레버(51)와, 상기 제1회전레버(5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1스크류봉(52)과, 상기 각 제1스크류봉(52)과 스크류결합된 제1관절부(53)와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개폐판(40)의 하부에 횡설되는 지지바(54)로 구성되되,
    상기 제1관절부(53)는 제 1스크류봉(5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너트(531) 또는 스크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60)는 지지바(54)의 양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 결합된 연결바(541)에 지렛대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60)는 연결바(541)를 중심으로 길이가 긴 쪽은 부력체(70)와 연결되고, 길이가 짧은 쪽은 와이어(W)를 매개로 개폐판(40)의 저면과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210)에는 메인프레임(10a)의 외각에 배치되는 틀프레임(10b)이 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은 틀프레임(10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a) 또는 틀프레임(10b)의 양측에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개폐판(40)으로 유도하는 제1물막이판(11)이 더 결합되고,
    상기 각 제1물막이판(11)의 사이에는 협잡물스크린(20)이 횡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스크린(20)은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상단에 고정된 안착대(111)에 안착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에 일정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하향 결합된 스크린봉(2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스크린봉(22)은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스프링(221)이 더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21)에는 합성수지층(222)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0)은 일단과 타측 저면에 무게를 조절하는 다수의 무게판(44)을 포함하되,
    상기 각 무게판(44)은 안내구(441)가 형성되어 개폐판(40)의 양단에 체결된 다수의 볼트(43)에 중첩되게 삽입한 후 볼트(43)의 가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제1물막이판(1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2물막이판(31)이 양측에 더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a)에 대해 상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는 중앙영역이 절개되어 개별적으로 회동하는 절개판(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판(32)의 상부면에는 위치가 가변되는 유량조절판(33)이 중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60)와, 연결바(541)와, 지지바(54)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H)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조절수단(80)은 상기 메인프레임(10a)의 양측에 노출되는 제2회전레버(81)와, 상기 제2회전레버(81)에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a)에 하향 관통되는 제2스크류봉(82)과, 상기 각 제2스크류봉(82)과는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하락방지바(90)와는 힌지 결합되는 제2관절부(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20150091863A 2015-06-15 2015-06-29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56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863A KR101564206B1 (ko) 2015-06-29 2015-06-29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N201580025653.8A CN106489009B (zh) 2015-06-15 2015-11-09 环保无动力流量调节装置
PCT/KR2015/011986 WO2016204356A1 (ko) 2015-06-15 2015-11-09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863A KR101564206B1 (ko) 2015-06-29 2015-06-29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206B1 true KR101564206B1 (ko) 2015-10-28

Family

ID=5442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63A KR101564206B1 (ko) 2015-06-15 2015-06-29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492A (ko) * 2017-04-22 2018-10-31 최인환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CN117949047A (zh) * 2024-03-26 2024-04-30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闸门流量与液位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9B1 (ko) 2009-12-29 2011-02-17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59B1 (ko) 2009-12-29 2011-02-17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492A (ko) * 2017-04-22 2018-10-31 최인환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2021656B1 (ko) * 2017-04-22 2019-11-04 최인환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CN117949047A (zh) * 2024-03-26 2024-04-30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闸门流量与液位测量装置
CN117949047B (zh) * 2024-03-26 2024-05-31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闸门流量与液位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242B2 (en) Drain grate system and method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715561B1 (ko)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119192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564206B1 (ko) 친환경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564205B1 (ko)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AU2013271362B2 (en) Surface drainage system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101132847B1 (ko) 부력실을 갖는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101356852B1 (ko)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1511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A2949117A1 (en) Water skimming device and method
KR1012934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시스템
US7003817B1 (en) Tank with automatic fill and overfill drain
US20190138034A1 (en) Water leveling and filtering system
JP2004285663A (ja) 雨水ます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