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76Y1 -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76Y1
KR200461576Y1 KR2020090013469U KR20090013469U KR200461576Y1 KR 200461576 Y1 KR200461576 Y1 KR 200461576Y1 KR 2020090013469 U KR2020090013469 U KR 2020090013469U KR 20090013469 U KR20090013469 U KR 20090013469U KR 200461576 Y1 KR200461576 Y1 KR 200461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ewage
door
inflow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982U (ko
Inventor
김병학
김병호
오석택
Original Assignee
김병학
오석택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학, 오석택,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학
Priority to KR2020090013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7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에 섞여있는 각종 오물과 이물질들의 하수관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에 설치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하수를 도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통로를 갖는 본체와; 하수가 제 1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제 1통로를 개방하고, 제 1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제 1통로를 폐쇄하는 제 1도어와; 하수가 제 2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제 2통로를 개방하고, 제 2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제 2통로를 폐쇄하는 제 2도어와; 제 1통로로 도입된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제 1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 1도어를 닫침위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과; 제 2통로를 통과하는 하수 속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제 2통로상에 설치되는 포집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RAINWATER COLLECTOR FOR PREVENTING INFLOW IN SEWAGE AND BAD SMELL}
본 고안은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에 섞여있는 각종 오물과 이물질들의 하수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맨홀이 설치된다.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된다. 따라서, 집수된 빗물이나 오수를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맨홀의 트인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는 격자 구조물이 설치되어 크고 거친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런데, 이러한 맨홀과 하수관은,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하수의 역류를 허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역류된 하수를 도로상에 그대로 방출시켜 도로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맨홀과 하수관은,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의 악취를 그대로 역류시 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역류된 악취를 대기 중에 방출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통로(1) 상에 마주보는 한 쌍의 도어(3)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수가 도입될 경우에는 하수통로(1)를 개방하고, 하수의 도입이 중지되거나 또는 하수가 역류될 경우에는 하수통로(1)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하수통로(1)를 폐쇄함으로써,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라도 하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하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통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역류된 악취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빗물?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빗물?하수 등과 함께 도입되는 각종 오물과 이물질, 예를 들면, 담배꽁초, 쓰레기, 비닐봉지 등을 그대로 통과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각종 오물과 이물질(이하, "오물"이라 통칭함)들이 빗물?하수와 섞여 지하의 하수관에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각종 오물들이 빗물?하수와 섞여 지하의 하수관에 유입됨으로써, 지하의 하수관을 막히게 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빗물?하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들을 여과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오물의 하수관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오물의 하수관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오물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에 설치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하수를 도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통로를 갖는 본체와; 상기 하수가 상기 제 1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상기 제 1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 1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상기 제 1통로를 폐쇄하는 제 1도어와; 상기 하수가 상기 제 2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상기 제 2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 2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상기 제 2통로를 폐쇄하는 제 2도어와; 상기 제 1통로로 도입된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 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제 1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도어를 닫침위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과; 상기 제 2통로를 통과하는 하수 속의 오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통로상에 설치되는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의하면, 하수가 통로로 도입될 경우에는 상기 통로를 개방하여 배출시키고, 배출된 하수와 악취가 거꾸로 역류할 경우에는 통로를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하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수와 악취의 역류로 발생하는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빗물?하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 쓰레기들을 여과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오물과 쓰레기의 하수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과 쓰레기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그 결과, 하수관의 청소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종 오물, 쓰레기들이 한쪽으로 수집되도록 구성한 다음, 수집된 오물과 쓰레기를 진공청소기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측의 격자구조물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오물과 쓰레기의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오물과 쓰레기의 관리가 쉽고, 오물과 쓰레기의 청소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 로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맨홀에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기존의 맨홀에도 오물유입과 하수 및 악취의 역류 방지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유입과 하수 및 악취의 역류 방지기능을 갖는 맨홀을 새롭게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본체(10)를 갖는다.
본체(10)는, 지면(A)에 매설되어 있는 맨홀(A1)의 트인 상부에 장착된다. 특히, 맨홀(A1)의 상측 개방부 둘레에 형성된 단차부(A2)에 안착되며, 이렇게 안착되는 본체(10)는 기존의 맨홀(A1)의 내부통로(A3)에 추가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10)는, 사각의 관체로 구성되며, 내부의 메인통로(12)를 구비한다. 메인통로(12)는, 상측의 입구(14)와, 입구(14)로부터 양쪽으로 분지되는 제 1 및 제 2분지통로(16, 18)와, 제 1 및 제 2분지통로(16, 18)와 연통되는 하측의 출구(19)로 구성된다.
입구(14)는, 빗물과 하수(이하, "하수"라 통칭함)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측에는 격자 구조물(B)이 얹혀진다.
제 1 및 제 2통로(16, 18)는, 입구(14)로 도입된 하수의 이동통로로서, 출구(19)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통로(16)는 제 2통로(18)보다 더 크고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19)는, 맨홀(A1)의 하수관(19a)과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통로(16, 18)를 따라 이송된 하수를 하수관(19a)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본체(10)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철재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제 1통로(16)를 개폐하는 제 1도어(20)를 구비한다.
제 1도어(20)는, 힌지부(20a)를 중심으로 제 1통로(16)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1도어(20)는, 제 1통로(16)로 도입되는 하수의 흐름 압력에 의해 회전한다. 특히, 도입된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 하수의 흐름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V)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통로(16)를 개방한다. 따라서, 하수의 배출을 허용한다.
반대로, 제 1도어(20)는, 제 1통로(16)로 도입되는 하수의 흐름이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이거나 하수의 도입이 없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탄성가압수단(24)에 의해 닫침위치(W)로 복귀하면서 상기 제 1통로(16)를 폐쇄한다.
또한, 제 1도어(20)는,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하수의 압력에 의해 닫침위치(W)로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 1통로(16)를 닫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수의 역류를 차단한다.
한편,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24)은, 일종의 판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24a)가 제 1통로(16)의 내벽에 고정되고, 그 말단부(24b)가 제 1도어(20)를 가압한다. 특히, 닫침위치(W)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탄성가압수단(24)은, 제 1통로(16)에 하수가 도입되지 않거나 또는 제 1통로(16)로 도입되는 하수량이 적어서 그 흐름 압력이 자체의 탄성력(설정압력)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 1통로(16)를 폐쇄한다.
경우에 따라, 탄성가압수단(24)은, 코일타입(Coil Type)의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토션스프링이 제 1도어(20)의 힌지부(20a)에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제 1도어(20)는 닫침위치(W)로 회전되어 제 1통로(16)를 닫았을 경우에는, 제 2통로(18)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왜냐하면, 설정압력 미만의 적은 수량의 하수가 제 1통로(16)로 도입될 경우, 제 1통로(16)를 닫은 채, 상기 제 1통로(16)로 도입된 하수를 제 2통로(18)로 가이드 하기 위함이며, 이는, 많은 수량의 하수가 도입될 경우에만 제 1통로(16)를 개방시키면서 상기 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이 밖에도, 제 1도어(20)는, 말단부분에 설치되는 자석(26)을 더 구비한다. 자석(26)은, 제 1도어(20)가 닫침위치(W)로 회전되어 제 1통로(16)를 닫았을 경우, 제 1통로(16)의 주변부분(16a)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도어(20)가 닫침위치(W)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탄성가압수단(24)의 탄성력이 줄어들어 제 1도어(20)에 대한 지지력이 감소되더라도, 이를 대신하여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상태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제 1통로(16)의 주변부분(16a)에 대한 자석(26)의 부착력은, 탄성가압수단(24)의 탄성력과 동일해야 한다.
한편, 제 1도어(20)가 개방위치(V)로 회전될 경우, 제 1도어(20)의 자석(26)이 제 1통로(16)의 내벽부분(16b)에 부착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자석(26)에 대응되는 제 1통로(16)의 내벽부분(16b)에 상기 자석(26)과 척력(斥力)이 발생되는 보조자석(28)이 더 설치된다.
보조자석(28)은, 제 1도어(20)의 자석(26)과 반대극성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석(26)과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자석(26)과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닫침위치(W)로 복귀하려는 제 1도어(20)의 회전을 돕는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제 2통로(18)에 설치되는 포집망(30)을 구비한다.
포집망(30)은, 제 2통로(18)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제 2통로(18)로 유입되는 하수 속의 각종 오물과 쓰레기 등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수 속의 각종 오물과 쓰레기를 포집함으로써, 포집된 각종 오물과 쓰레기가 맨홀(A1)의 하수관(19a)으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이로써, 각종 쓰레기와 오물이 하수관(19a)에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하수관(19a)의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포집망(30)은, 많은 오물과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사각 주머니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집망(30)의 재질은 철망으로 구성된다. 물론, 합성수지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포집망(30)은, 상측의 격자 구조물(B)을 통해 진공청소기(C)를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며, 이렇게 삽입된 진공청소기(C)를 이용하여 포집된 각종 오물과 쓰레기들을 흡입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포집된 오물과 쓰레기를 손쉽게 수거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오물과 쓰레기의 수거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여주고, 오물수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적으로 줄여줄 수 있게 한다.
한편, 포집망(30)은 메인통로(12)의 입구(14)를 통해 인출가능하게 구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포집된 각종 오물과 쓰레기들을 수작업으로 털어낼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상기 포집망(3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제 2도어(40)를 더 구비한다.
제 2도어(40)는, 제 2통로(18)상에 마주보며 설치되는 한 쌍의 도어 플레이트(42)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도어 플레이트(42)는, 힌지부(42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며 "V"자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 플레이트(42)들은 제 2통로(18)로 도입되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외측의 개방위치(X)로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제 2통로(18)를 개방하며, 하수의 배출이 없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추(46b)에 의해 닫침위치(Y)로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 2통로(18)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하수에 의해 닫침위치(Y)로 역회전하여 상기 제 2통로(18)를 닫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2도어(40)에 의하면, 하수가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제 2통로(18)를 개방하여 하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하수가 역방향으로 역류할 경우에는, 제 2통로(18)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집중호우 또는 장마 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라도 하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하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제 2통로(18)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며, 따라서 역류된 악취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2도어(40)의 도어 플레이트(42)는, 스토퍼(44)에 의해 지지되어 닫침위치(Y)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양쪽의 도어 플레이트(42)는 닫침위치(Y)에서 서로 마주보며 "V"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V"형태를 유지하면서 제 2통로(18)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 2도어(40)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42) 각각을 닫침위치(Y)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46)을 더 구비한다.
복귀수단(46)은 도어 플레이트(42)의 힌지부(42a)로부터 상기 도어 플레이 트(4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편(46a)과, 연장편(46a)에 설치되는 추(46b)로 구성된다. 특히, 추(46b)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 중력방향으로 상기 연장편(46a)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어 플레이트(42)를 닫침위치(Y)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귀수단(46)에 의하면, 도어 플레이트(42)를 닫침위치(Y) 방향으로 항상 가압함으로써, 제 2통로(18)로 하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 즉 하수의 배출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42)들을 닫침위치(Y)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2통로(18)를 항상 폐쇄시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적은 수량의 빗물과 하수가 유입될 경우를 살펴본다. 적은 수량의 빗물과 하수가 격자 구조물(B)을 통해 메인통로(12)의 입구(14)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제 1 및 제 2통로(16, 18)를 향해 이송된다. 이때, 제 1통로(16)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력[탄성가압수단(24)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제 1도어(20)는 닫침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1통로(16)로 이송된 빗물과 하수를 제 2통로(18)로 가이드 한다.
따라서, 메인통로(12)의 입구(14)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모두 제 2통로(18)로 도입되고, 도입된 빗물과 하수는 제 2통로(18)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제 2통로(18)를 통과하는 빗물과 하수는 포집망(30)을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각종 오물이 여과된다. 그리고 오물에 여과된 빗물과 하수는 제 2도어(40)를 개방시키면서 통과하고, 통과된 빗물과 하수는 출구(19)를 통해 맨홀(A1)의 하수관(19a)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많은 수량의 하수가 유입될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많은 수량의 빗물과 하수가 격자 구조물(B)을 통해 메인통로(12)의 입구(14)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제 1 및 제 2통로(16, 18)를 향해 이송된다. 이때, 제 1통로(16)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된 압력[탄성가압수단(24)의 탄성력]보다 크면, 제 1통로(16)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제 1도어(20)를 개방시키면서 통과하고, 통과한 빗물과 하수는 출구(19)를 통해 맨홀(A1)의 하수관(19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2통로(18)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포집망(30)을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각종 오물이 여과된다. 그리고 오물에 여과된 빗물과 하수는 제 2도어(40)를 개방시키면서 통과하고, 통과된 빗물과 하수는 출구(19)를 통해 하수관(19a)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제 2통로(18)의 포집망(30)에 오물과 쓰레기가 다량 포집되어 빗물과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포집망(30)에 오물과 쓰레기가 다량 포집된 상태에서, 빗물과 하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포집망(30)에 포집된 오물과 쓰레기 때문에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메인통로(12)의 입구(14)에 계 속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메인통로(12)의 입구(14)에 저장된 빗물과 하수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탄성가압수단(24)의 탄성력]보다 커지면, 입구(14)의 빗물과 하수는 제 1도어(20)를 개방시키면서 통과하고, 통과한 빗물과 하수는 출구(19)를 통해 맨홀(A1)의 하수관(19a)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메인통로(12)의 입구(14)로 유입된 빗물과 하수는 제 2통로(18)가 막히더라도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하수가 통로로 도입될 경우에는 상기 통로를 개방하여 배출시키고, 배출된 하수와 악취가 거꾸로 역류할 경우에는 통로를 폐쇄하는 구조이므로, 하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수와 악취의 역류로 발생하는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빗물?하수 등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오물, 쓰레기들을 여과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오물과 쓰레기의 하수관(19a)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과 쓰레기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관(19a)의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그 결과, 하수관(19a)의 청소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본 고안은, 각종 오물, 쓰레기들이 한쪽으로 수집되도록 구성한 다음, 수집된 오물과 쓰레기를 진공청소기(C)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측의 격자구조물(B)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오물과 쓰레기의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오물과 쓰레기의 관리가 쉽고, 오물과 쓰레기의 청소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여준다.
또한, 본 고안의 빗물받이는, 기존의 맨홀(A1) 뚜껑인 격자구조물(B)을 열고 내부통로(A3)에 끼워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기존의 맨홀(A1)에도 오물유입과 하수 및 악취의 역류 방지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유입과 하수 및 악취의 역류 방지기능을 갖는 맨홀(A1)을 새롭게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빗물받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구비하지 않고 맨홀(A1)의 메인통로(12)에 직접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맨홀(A1)의 입구측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1 및 제 2통로(16, 18)와, 제 1통로(16)를 개폐하는 제 1도어(20)와, 제 2통로(18)상에 설치되는 포집망(30)과, 제 2통로(18)를 개폐하는 제 2도어(40) 및,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24) 등을 갖추고 있다.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다. 그리고 그 이외의 모든 부분들도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다. 다만, 상술한 일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다른 실시예에서 맨홀(A1)이 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본 고안은, 맨홀(A1)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노후된 맨홀(A1)을 교체할 시에, 교체된 새것의 맨홀(A1)이 오물유입과 하수 및 악취의 역류 방지기능을 갖출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적은 수량의 빗물과 하수가 배수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많은 수량의 빗물과 하수가 배수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오물과 쓰레기가 다량 포집되어 빗물과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메인통로
14: 입구 16: 제 1통로
18: 제 2통로 19: 출구
19a: 하수관 20: 제 1도어
24: 탄성가압수단 24a: 탄성가압수단의 일단부
24b: 탄성가압수단의 말단부 26: 자석
28: 보조자석 30: 포집망
40: 제 2도어 42: 도어 플레이트(Door Plate)
44: 스토퍼(Stopper) 46: 복귀수단
46a: 연장편 46b: 추
A: 지면 A1: 맨홀(Manhole)
A2: 단차부 A3: 맨홀의 내부통로

Claims (10)

  1. 하수구 맨홀에 설치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하수를 도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통로(16, 18)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하수가 상기 제 1통로(16)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상기 제 1통로(16)를 개방하고, 상기 제 1통로(16)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상기 제 1통로(16)를 폐쇄하는 제 1도어(20)와;
    상기 하수가 상기 제 2통로(18)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상기 제 2통로(18)를 개방하고, 상기 제 2통로(18)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상기 제 2통로(18)를 폐쇄하는 제 2도어(40)와;
    상기 제 1통로(16)로 도입된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제 1통로(16)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24)과;
    상기 제 2통로(18)를 통과하는 하수 속의 오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통로(18)상에 설치되는 포집망(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어(40)는,
    상기 제 2통로(18)상에 마주보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통로(18)로 배출되는 상기 하수의 흐름에 의해 닫침위치(Y)에서 개방위치(X)로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제 2통로(18)를 개방하는 한 쌍의 도어 플레이트(42)와;
    상기 제 2통로(18)로 하수의 배출이 중단될 시에, 상기 도어 플레이트(42)들을 개방위치(X)에서 닫침위치(Y)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24)은,
    일단부(24a)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말단부(24b)는 상기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20)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자석(26)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자석(26)은, 상기 제 1통로(16)의 주변부분(16a)에 부착되어 상기 제 1도어(20)가 상기 제 1통로(16)를 닫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로(16)를 개방한 상기 제 1도어(20)의 자석(26)과 척력(斥力)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보조자석(28)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자석(28)은, 상기 자석(26)과 발생된 척력을 통해 상기 제 1도어(20)를 닫침위치(W)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20)는,
    상기 제 1통로(16)로 도입된 하수의 흐름압력이 설정압력 미만일 경우에 닫침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입된 하수를 상기 제 2통로(18)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통로(18)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30)은,
    포집된 오물과 쓰레기들을 진공청소기(C)로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30)은,
    상기 제 2도어(40)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포집된 오물과 쓰레기들을 털어낼 수 있도록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는, 맨홀(A1) 뚜껑인 격자구조물(B)을 열고 내부통로(A3)에 끼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10. 삭제
KR2020090013469U 2009-10-16 2009-10-16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KR200461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469U KR200461576Y1 (ko) 2009-10-16 2009-10-16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469U KR200461576Y1 (ko) 2009-10-16 2009-10-16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82U KR20110003982U (ko) 2011-04-22
KR200461576Y1 true KR200461576Y1 (ko) 2012-07-20

Family

ID=442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469U KR200461576Y1 (ko) 2009-10-16 2009-10-16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538B1 (ko) 2019-03-13 2020-04-0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침투형 빗물받이 구조
KR102190972B1 (ko) 2020-09-09 2020-12-14 박영석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656B1 (ko) * 2017-04-22 2019-11-04 최인환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CN107761929A (zh) * 2017-11-29 2018-03-06 华中科技大学 一种高排水率防堵雨水口结构
KR101996173B1 (ko) * 2018-05-08 2019-10-01 최인환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CN110670699A (zh) * 2019-09-12 2020-01-10 白文杰 一种可自动调节排水能力的市政道路排水结构
CN110847329A (zh) * 2019-12-02 2020-02-28 宁夏晓鸣农牧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排水槽
CN112538891A (zh) * 2020-12-01 2021-03-23 北京福曜倍丽科技有限公司 一种雨水口截污防异味组合装置
KR102581967B1 (ko) * 2023-02-20 2023-09-22 (주)정원엔지니어링 강수 수준별 하수구 악취 방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92B1 (ko) 2002-03-22 2005-02-07 이성헌 고압살수장치 및 진공흡입장치가 부설된 준설차
KR100941031B1 (ko) 2009-10-16 2010-02-10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92B1 (ko) 2002-03-22 2005-02-07 이성헌 고압살수장치 및 진공흡입장치가 부설된 준설차
KR100941031B1 (ko) 2009-10-16 2010-02-10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538B1 (ko) 2019-03-13 2020-04-0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침투형 빗물받이 구조
KR102190972B1 (ko) 2020-09-09 2020-12-14 박영석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US11753811B2 (en) 2020-09-09 2023-09-12 Yung Suk Park Apparatus for preventing offensive odors for drain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82U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576Y1 (ko)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120003026U (ko) 맨홀 악취방지 덮개
KR101335863B1 (ko) 하수구 맨홀용 쓰레기 투입방지기능을 가지는 악취차단장치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JP7470819B2 (ja) 下水溝用悪臭遮断装置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994795B1 (ko) 하수도 맨홀용 역지변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020719B1 (ko)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26910B1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835751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290545Y1 (ko) 악취방출 및 오물제거, 병충해방지, 역류처리 등 다기능하수구 뚜껑
KR101715378B1 (ko)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KR20160057682A (ko) 우수맨홀 하수관 파이프에 연결하는 쓰레기 분리 및 하수구 냄새 막는 거름망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