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378B1 -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 Google Patents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5378B1 KR101715378B1 KR1020160107057A KR20160107057A KR101715378B1 KR 101715378 B1 KR101715378 B1 KR 101715378B1 KR 1020160107057 A KR1020160107057 A KR 1020160107057A KR 20160107057 A KR20160107057 A KR 20160107057A KR 101715378 B1 KR101715378 B1 KR 101715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matter
- receiving
- bolt
- hole
- superi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거부와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 및 우수유도경계석을 포함하여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고 우수받이부에는 우수만 유입되므로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도 분야 기술 중에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하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관거는 생활오수, 기타 공장폐수 중 자체 정화처리된 폐수, 그리고 우수관거를 통해 합류된 우수 등의 각종 오폐수(이하, '하수'라 함)를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수도 관거는 통상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수관을 연결하며 일정 구간마다 맨홀을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하수도 관거에는 하수와 함께 다양한 이물질이 섞여서 유입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하수의 이송에 지장을 주게 되며, 하수도 관거 내에서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하수에 섞여서 하수도 관로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181호(2003.06.17. 등록)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 적어도 둘 이상 연통되고, 하폐수가 유입되는 상단 개구부에는 이물질을 걸르는 철재망이 덮여진 하수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에는, 둘레면으로 상기 하수관이 인입되어 연통되는 호퍼가 내입ㆍ설치되되, 하수관들 중 호퍼에 저수된 하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은 둘레면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역류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역류구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이물질역류관을 매개로 호퍼의 하단부에 연통되며; 호퍼의 내측 상단부에는, 하기 걸름틀을 지지하면서 호퍼 안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2차배출구가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대와, 2차배출구에 상응하는 1차배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높이의 펜스가 형성되고 이 펜스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며 안착대 상면에 조적되는 걸름틀로 이루어진 유입물차단기구가 탑재되어 하수구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하수관으로의 유입을 저지하고, 아울러 하수관으로 유입된 이물질들도 재여과시킴으로써 퇴적물에 의한 배수량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하수구로 우수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이 하수도 관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는 있으나, 철재망에 걸러진 이물질이 철재망을 막게 되어 우수의 유입에 지장을 주게 되어 우수가 지면이나 노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6033호(2016.06.28. 등록)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이하, '선행기술2'라 함)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스러지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준설펌프 및 준설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슬러지와 함께 배출되는 상하수가 상하수관거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슬러지맨홀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 양에 따른 운반 및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하수와 함께 상하수관거로 유입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없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하수관거에 축적되면서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수도 관거에 하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을 통해 유동하는 하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거부와; 인도와 차도 사이의 경계석과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측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수관거부에 연결되는 우수받이부와; 상기 우수받이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노면을 흐르는 우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로 떠내려가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 및 상기 차도와 배수측구 사이에 설치되어 차도 측 우수와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차단부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수받이부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가 구비된 우수받이본체와; 상기 우수받이본체 내에 삽입되며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하단 플랜지부와, 상기 하단 플랜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본체의 수직부 상단에 걸쳐지는 상단 플랜지부를 가지는 보강통체와; 상기 보강통체의 하단개방부에 결합되는 걸름망과; 상기 보강통체의 상단개방부에 복개되는 격자형 우수받이덮개와; 상기 걸름망을 우수받이덮개에 결합하는 걸름망 결합수단; 및 상기 우수받이본체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수받이본체는 배수측구에 천공된 우수받이설치공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수직부는 우수받이설치공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쳐지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은 격자형 망틀과, 상기 격자형 망틀에 설치되는 망체로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통체의 하단 개방부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틀을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망틀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과, 상기 망틀 중앙부 하면에 용접고정되며 볼트관통공과 동축을 이루는 너트와, 상기 우수받이덮개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과, 상기 볼트관통공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머리삽입홈과, 상기 망틀의 중앙부 상면에 하단부가 밀착되고 상기 우수받이덮개의 중앙부 하면에 상단부가 밀착되는 환봉과, 상기 볼트관통공과 환봉 및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체결되며 머리부가 상기 볼트머리삽입홈에 삽입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차단부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상자모양의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삽입되어 이물질이 걸리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된 이물질차단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차단부의 지지틀은 배수측구에 형성된 이물질차단부설치홈에 삽입안착되며, 상기 우수유도경계석은 상기 우수받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완전차단용 경계석과, 상기 우수받이부가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리도록 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이물질차단용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계석은 상기 우수받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경계석을 다른 경계석들보다 높게 형성하여 인도를 따라 이물질과 함께 흐르는 우수가 우수받이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에 의하면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고 우수받이부에는 우수만 유입되므로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의 설치 상태를 인도 측 및 차도 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의 종단정면도,
도 6은 우수받이부의 종단측면도,
도 7은 이물질차단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의 설치 상태를 인도 측 및 차도 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우수받이부와 이물질차단부의 종단정면도,
도 6은 우수받이부의 종단측면도,
도 7은 이물질차단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거부(100)와; 인도(10)와 차도(20) 사이의 경계석(30)과 차도(20)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측구(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수관거부(100)에 연결되는 우수받이부(200)와; 상기 우수받이부(20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노면을 흐르는 우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200)로 떠내려가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300); 및 상기 차도(20)와 배수측구(40) 사이에 설치되어 차도(20) 측 우수와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20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차단부(300)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경계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류측'이라 함은 배수측구(40)의 기울기에 따라 우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이물질은 나뭇가지, 나뭇잎 등을 포함하는 조대이물질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하수관거부(100)는 인도(10) 측이나 차도(20) 측에 매설될 수 있으나, 추후 유지보수를 위한 굴착 작업을 감안하여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드는 인도(10) 측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관거부(100)는 사각형 단면의 콘크리트 관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하수관(110)과, 상기 하수관(110)에 형성된 우수유입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수관거부(100)의 우수유입구(120)는 상기 우수받이부(200)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받이부(200)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211)와 상기 플랜지부(2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212)가 구비된 우수받이본체(210)와; 상기 우수받이본체(210) 내에 삽입되며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부(211)에 안착되는 하단 플랜지부(221)와, 상기 하단 플랜지부(2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222)와, 상기 수직부(222)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의 수직부(212) 상단에 걸쳐지는 상단 플랜지부(223)를 가지는 보강통체(220)와; 상기 보강통체(220)의 하단개방부에 결합되는 걸름망(230)과; 상기 보강통체(220)의 상단개방부에 복개되는 격자형 우수받이덮개(240)와; 상기 걸름망(230)을 우수받이덮개(240)에 결합하는 걸름망 결합수단(250); 및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와 하수관(110)을 연결하는 연결관(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수받이본체(210)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통체(220)는 구상흑연주철(FCD; Ferrum Casting Ductile) 등과 같은 주철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의 일측에는 연결관(260)이 연결되는 우수배출구(213)이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본체(210)는 배수측구(40)에 천공된 우수받이설치공(41)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부(211)와 수직부(212)는 우수받이설치공(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42)에 걸쳐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걸름망(230)은 격자형 망틀(231)과, 상기 격자형 망틀(231)에 설치되는 망체(232)로 구성된다.
상기 걸름망 결합수단(250)은 상기 보강통체(220)의 하단 개방부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틀(231)을 지지하는 지지턱(251)과, 상기 망틀(231)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52)과, 상기 망틀(231) 중앙부 하면에 용접고정되며 볼트관통공(252)과 동축을 이루는 너트(253)와, 상기 우수받이덮개(24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54)과, 상기 볼트관통공(254)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머리삽입홈(255)과, 상기 망틀(231)의 중앙부 상면에 하단부가 밀착되고 상기 우수받이덮개(240)의 중앙부 하면에 상단부가 밀착되는 환봉(256)과, 상기 볼트관통공(254)과 환봉(256) 및 볼트관통공(252)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253)에 체결되며 머리부(258)가 상기 볼트머리삽입홈(255)에 삽입되는 결합볼트(2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름망 결합수단(250)에 의하여 걸름망(230)과 우수받이덮개(24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환봉(256)의 하단을 망틀(231)의 상면에 볼트관통공(252)과 동축을 이루도록 위치시킴과 아울러 환봉(256)의 상단은 우수받이덮개(240)의 하면에 볼트관통공(254)와 동축을 이루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볼트(257)를 볼트관통공(254)과 환봉(256) 및 볼트관통공(252)에 관통시켜 망틀(231)의 하면에 용접되어 있는 너트(253)에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걸름망(230)은 우수받이덮개(240)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보강통체(22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볼트(257)는 머리부(257)가 볼트머리삽입홈(255)에 삽입되어 우수받이덮개(24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름망(230)을 우수받이덮개(240)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는 너트(253)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257)를 해체하는 것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차단부(300)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상자모양의 지지틀(310)과; 상기 지지틀(310)에 삽입되어 이물질이 걸리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된 이물질차단덮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300)의 지지틀(310)은 배수측구(40)에 형성된 이물질차단부설치홈(43)에 삽입안착된다.
상기 우수유도경계석(400)은 상기 우수받이부(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완전차단용 경계석(410)과, 상기 우수받이부(200)가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리도록 하는 복수개의 통공(421)이 형성된 이물질차단용 경계석(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공(421)은 차도(20)를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바닥이 차도(20)의 노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계석(3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우수받이부(20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경계석(30A)은 다른 경계석(30)들보다 높게 형성하여 인도(10)를 따라 이물질과 함께 흐르는 우수가 우수받이부(200)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수받이부(200)가 이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도(10)를 따라 이물질과 함께 흐르는 우수는 경계석(30A)에 의하여 우수받이부(20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경계석(30A)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경계석(30)이 설치된 부분, 즉 배수측구(40) 또는 이물질차단부(300)측으로 유입되어, 배수측구(40)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받이부(200)보다 상류측에 설치된 이물질차단부(300)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후 우수받이부(200)로 유입되고, 이물질차단부(300)로 유입된 우수는 이물질이 걸러진 후 우수받이부(200)로 유입되도록 유도되므로 우수받이부(200)가 이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의 수직부(212)와 보강통체(220)의 수직부(222)와 상기 지지틀(310) 및 이물질차단덮개(320)에는 이물질차단부(300) 측으로 유입된 우수가 우수받이부(2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통공(214, 224, 311, 321)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차단부(300)에 이물질과 함께 우수가 유입되면, 이물질은 이물질차단부(300)의 이물질차단덮개(320)에 걸리게 되고, 우수는 밑으로 흘러내려 연통공(214, 224, 311, 321)을 통해 우수받이부(200)로 유입되므로 이물질차단부(300)에 걸린 이물질이 우수에 의하여 부상하여 우수받이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수받이부(200)로 유입된 우수 중에 혼입되어 있는 미세이물질은 걸름망(230)에 걸리게 되어 하수관거부(100)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에 의하면,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이물질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고 우수받이부에는 우수만 유입되므로 이물질이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걸러낸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하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물질의 부패에 따른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인도 20: 차도
30, 30A: 경계석 40: 배수측구
100: 하수관거부 200: 우수받이부
210: 우수받이본체 211: 플랜지부
212: 수직부 214: 연통공
220: 보강통체 221: 하단 플랜지부
222: 수직부 223: 상단 플랜지부
224: 연통공 230: 걸름망
231: 망틀 232: 망체
240: 우수받이덮개 250: 걸름망 결합수단
251: 지지턱 252: 볼트관통공
253: 너트 254: 볼트관통공
255: 볼트머리삽입홈 256: 환봉
257: 결합볼트 258: 머리부
260: 연결관 300: 이물질차단부
310: 지지틀 311: 연통공
320: 이물질차단덮개 321: 연통공
400: 우수유도경계석 410: 완전차단용 경계석
420: 이물질차단용 경계석 421: 통공
30, 30A: 경계석 40: 배수측구
100: 하수관거부 200: 우수받이부
210: 우수받이본체 211: 플랜지부
212: 수직부 214: 연통공
220: 보강통체 221: 하단 플랜지부
222: 수직부 223: 상단 플랜지부
224: 연통공 230: 걸름망
231: 망틀 232: 망체
240: 우수받이덮개 250: 걸름망 결합수단
251: 지지턱 252: 볼트관통공
253: 너트 254: 볼트관통공
255: 볼트머리삽입홈 256: 환봉
257: 결합볼트 258: 머리부
260: 연결관 300: 이물질차단부
310: 지지틀 311: 연통공
320: 이물질차단덮개 321: 연통공
400: 우수유도경계석 410: 완전차단용 경계석
420: 이물질차단용 경계석 421: 통공
Claims (1)
-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거부(100)와; 인도(10)와 차도(20) 사이의 경계석과 차도(20)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측구(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수관거부(100)에 연결되는 우수받이부(200)와; 상기 우수받이부(20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노면을 흐르는 우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200)로 떠내려가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부(300); 및 상기 차도(20)와 배수측구(40) 사이에 설치되어 차도(20) 측 우수와 이물질이 상기 우수받이부(20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차단부(300)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우수유도경계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수받이부(200)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211)와 상기 플랜지부(2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212)가 구비된 우수받이본체(210)와; 상기 우수받이본체(210) 내에 삽입되며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플랜지부(211)에 안착되는 하단 플랜지부(221)와, 상기 하단 플랜지부(2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형성된 수직부(222)와, 상기 수직부(222)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의 수직부(212) 상단에 걸쳐지는 상단 플랜지부(223)를 가지는 보강통체(220)와; 상기 보강통체(220)의 하단개방부에 결합되는 걸름망(230)과; 상기 보강통체(220)의 상단개방부에 복개되는 격자형 우수받이덮개(240)와; 상기 걸름망(230)을 우수받이덮개(240)에 결합하는 걸름망 결합수단(250); 및 상기 우수받이본체(210)와 하수관(110)을 연결하는 연결관(2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수받이본체(210)는 배수측구(40)에 천공된 우수받이설치공(41)에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부(211)와 수직부(212)는 우수받이설치공(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42)에 걸쳐지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230)은 격자형 망틀(231)과, 상기 격자형 망틀(231)에 설치되는 망체(232)로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 결합수단(250)은 상기 보강통체(220)의 하단 개방부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틀(231)을 지지하는 지지턱(251)과, 상기 망틀(231)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52)과, 상기 망틀(231) 중앙부 하면에 용접고정되며 볼트관통공(252)과 동축을 이루는 너트(253)와, 상기 우수받이덮개(24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54)과, 상기 볼트관통공(254)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머리삽입홈(255)과, 상기 망틀(231)의 중앙부 상면에 하단부가 밀착되고 상기 우수받이덮개(240)의 중앙부 하면에 상단부가 밀착되는 환봉(256)과, 상기 볼트관통공(254)과 환봉(256) 및 볼트관통공(252)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253)에 체결되며 머리부(258)가 상기 볼트머리삽입홈(255)에 삽입되는 결합볼트(25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차단부(300)는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상자모양의 지지틀(310)과; 상기 지지틀(310)에 삽입되어 이물질이 걸리도록 격자형으로 형성된 이물질차단덮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차단부(300)의 지지틀(310)은 배수측구(40)에 형성된 이물질차단부설치홈(43)에 삽입안착되며,
상기 우수유도경계석(400)은 상기 우수받이부(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완전차단용 경계석(410)과, 상기 우수받이부(200)가 없는 위치에 설치되어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리도록 하는 복수개의 통공(421)이 형성된 이물질차단용 경계석(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계석은 상기 우수받이부(20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경계석(30A)을 다른 경계석(30)들보다 높게 형성하여 인도(10)를 따라 이물질과 함께 흐르는 우수가 우수받이부(200)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057A KR101715378B1 (ko) | 2016-08-23 | 2016-08-23 |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057A KR101715378B1 (ko) | 2016-08-23 | 2016-08-23 |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5378B1 true KR101715378B1 (ko) | 2017-03-14 |
Family
ID=5846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7057A KR101715378B1 (ko) | 2016-08-23 | 2016-08-23 |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537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49419A (zh) * | 2018-01-24 | 2018-05-18 |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沉井隔墙刃脚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181Y1 (ko) | 2003-03-22 | 2003-06-28 | 재림건설 주식회사 |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
KR20150047908A (ko) * | 2013-10-25 | 2015-05-06 | 한영해 | 비점오염 저감 장치 |
KR101636033B1 (ko) | 2016-03-10 | 2016-07-06 | 주식회사 보람 |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
KR101639379B1 (ko) * | 2016-03-24 | 2016-07-13 |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
-
2016
- 2016-08-23 KR KR1020160107057A patent/KR1017153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181Y1 (ko) | 2003-03-22 | 2003-06-28 | 재림건설 주식회사 |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
KR20150047908A (ko) * | 2013-10-25 | 2015-05-06 | 한영해 | 비점오염 저감 장치 |
KR101636033B1 (ko) | 2016-03-10 | 2016-07-06 | 주식회사 보람 | 이물질제거가 용이한 친환경 상하수도 관거 |
KR101639379B1 (ko) * | 2016-03-24 | 2016-07-13 |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49419A (zh) * | 2018-01-24 | 2018-05-18 |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沉井隔墙刃脚结构 |
CN108049419B (zh) * | 2018-01-24 | 2024-02-02 |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 一种装配式沉井隔墙刃脚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35533B2 (en) | Bioretention system with high internal high flow bypass | |
US7455766B1 (en) | System for filtering stormwater-carried debris flowing through a gutter inlet into a catch basin | |
US6093314A (en) | Drain insert for storm water sewer systems,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20090279954A1 (en) |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 |
US20080237100A1 (en) | Storm water filter for positioning within a storm water inlet | |
KR100684923B1 (ko) | 하수용 우수토실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JP4268922B2 (ja) |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 |
KR100941705B1 (ko) | 집수정 | |
US6595721B2 (en) | Mitred grate and drain cover | |
KR100918431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 |
KR20120100455A (ko) | 도로의 우수받이 | |
US9903105B2 (en) | Flow shield | |
KR101301042B1 (ko) |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 |
KR101320456B1 (ko) |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 |
AU2008217536A1 (en) |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 |
KR101715378B1 (ko) |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 |
KR101626502B1 (ko) |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 |
RU2634952C1 (ru) |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очистки ливневой сточной воды | |
US10704246B2 (en) | In-ground stormwater collection and pretreatment filtration systems | |
US10060117B1 (en) |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 |
KR20090017869A (ko) |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 |
KR101437956B1 (ko) | 수질 개선을 위한 조립식 맨홀 | |
KR200468245Y1 (ko) |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 |
KR100715445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