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181Y1 -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181Y1
KR200318181Y1 KR20-2003-0008629U KR20030008629U KR200318181Y1 KR 200318181 Y1 KR200318181 Y1 KR 200318181Y1 KR 20030008629 U KR20030008629 U KR 20030008629U KR 200318181 Y1 KR200318181 Y1 KR 200318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ewer
sewage
pip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재림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림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림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8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 적어도 둘 이상 연통되고, 하폐수가 유입되는 상단 개구부에는 이물질을 걸르는 철재망이 덮여진 하수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에는, 둘레면으로 상기 하수관이 인입되어 연통되는 호퍼가 내입ㆍ설치되되, 하수관들 중 호퍼에 저수된 하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은 둘레면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역류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역류구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이물질역류관을 매개로 호퍼의 하단부에 연통되며; 호퍼의 내측 상단부에는, 하기 걸름틀을 지지하면서 호퍼 안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2차배출구가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대와, 2차배출구에 상응하는 1차배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높이의 펜스가 형성되고 이 펜스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며 안착대 상면에 조적되는 걸름틀로 이루어진 유입물차단기구가 탑재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Block structure for a deposit to flow in drain pipe}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은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어져 하폐수를 일괄처리하는데, 이러한 하폐수에는 수많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하수관 내에도 쉽게 퇴적될 수 있어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로인해, 대부분의 하수구에는 하폐수를 걸를 수 있도록 하수트랩을 형성시키거나, 여과망으로 이물질만을 걸름으로서 하수관에 퇴적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이고 있지만, 종래 여과망 또는 하수트랩으로는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없었고,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은 하수관 안에 지속적으로 흘러들어가면서 하수관 내부에 쌓이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수구로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하수관으로의 유입을 저지하고, 아울러 하수관으로 유입된 이물질들도 재여과시킴으로서, 퇴적물에 의한 배수량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한 하수구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라 설치된 하수구의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제1유입물차단기구
110 ; 걸름틀 111 ; 저수홈
112 ; 1차배출구 113 ; 펜스
113a ; 여과망 114 ; 손잡이
120 ; 안착대 121 ; 2차배출구
122 ; 지지부 200 ; 제2유입물차단기구
210 ; 호퍼 211 ; 지지턱
212 ; 하수홈 213 ; 하수관연결구멍
220 ; 배수관지지틀 221 ; 이물질역류구
222 ; 이물질역류관 223 ; 배수관안착대
C ; 철재망 H ; 하수구
I.D ; 유입관 O.D ; 배수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 적어도 둘 이상 연통되고, 하폐수가 유입되는 상단 개구부에는 이물질을 걸르는 철재망이 덮여진 하수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에는, 둘레면으로 상기 하수관이 인입되어 연통되는 호퍼가 내입ㆍ설치되되, 하수관들 중 호퍼에 저수된 하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은 둘레면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역류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역류구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이물질역류관을 매개로 호퍼의 하단부에 연통되며; 호퍼의 내측 상단부에는, 하기 걸름틀을 지지하면서 호퍼 안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2차배출구가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대와, 2차배출구에 상응하는 1차배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높이의 펜스가 형성되고 이 펜스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며 안착대 상면에 조적되는 걸름틀로 이루어진 유입물차단기구가 탑재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한 하수구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라 설치된 하수구의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수관(유입관, 배수관)이 연통되고 상단에는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르는 철재망(C)이 씌워진 하수구(H)에, 하수구(H)의 내부 모습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된 호퍼(210)가 내입되며, 상기 하수관(I.D, O.D)과의 연통을 위해, 하수관(I.D, O.D)이 인입되는 하수관연결구멍(213)이 하수관(I.D, O.D)에 상응하는 갯수만큼 둘레면에 형성된다.
한편, 호퍼(210)와 연통되는 하수관(I.D, O.D)은 다른 곳으로부터 흘러오는 하폐수의 이동통로인 유입관(I.D)과, 호퍼(210)에 저수된 하폐수가 다른 곳으로 흘려가는 이동통로인 배수관(O.D)이 있는데, 하수관(I.D, O.D)으로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배수관(O.D)이 연결되는 호퍼(210)의 일면에는 배수관지지틀(220)이 구비된다. 이때, 배수관지지틀(220)은 호퍼(210)로 유입된 하폐수가 배수관(O.D)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제1유입물차단기구(100)에 의해 미쳐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들을 재 수집하여 호퍼(210)로 역류시키는 기구로서, 배수관(O.D)이 연결된 하수관연결구멍(213)의 둘레부에 고정되어 배수관(O.D)을 안착시키는 배수관안착대(223)와, 소정크기로 절개된 배수관(O.D) 둘레면의 일부분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이물질역류구(221)와, 이물질역류구(221)와 호퍼(210)의 하단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이물질역류관(222)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인해 일정한 비중을 갖는 이물질들 중 호퍼(210)의 바닥면에 퇴적되지 못한 이물질들은 상기 배수관(O.D)을 통해 하폐수와 함께 배출되고, 이들은 유속이 작은 하수의 흐름에 안정화 되면서 그 비중에 의해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역류구(221)로 침전되면서 재수집되고, 이들은 다시 이물질역류관(222)을 통해 호퍼(210)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호퍼(210)의 상단부, 또는 유입관(I.D)을 통해 호퍼(210) 안으로 들어온 하폐수가 배수관(O.D)을 거쳐 배출되면, 상기 배수관지지틀(220)에 의한 배수구조에 의해 더이상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하수관(I.D, O.D)은 호퍼(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상, 호펴(210)와 배수관지지틀(220)로 이루어진 제2유입물차단기구(200)라는 단품으로서 하수구(H)에 내입ㆍ설치할 수 있으며, 하기 제1유입물차단기구(100)와 더불어 하수관(I.D, O.D)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계속해서, 호퍼(210)의 상단 내측에는 상방에서 유입되는 하폐수의 이물질을 걸르는 제1유입물차단기구(100)가 탑재된다.
제1유입물차단기구(100)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걸름틀(110)과, 걸름틀(110)을 안착지지하는 안착대(120)로 구성된다.
걸름틀(110)은, 중심부에 1차배출구(112)가 형성되고, 1차배출구(112)의 둘레부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펜스(113)가 구비되는 한편, 펜스(113)에는 여과망(113a)이 장착된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가 여과망(113a)을 거쳐 1차배출구(112)로 배수되기 전 잠시 저수되는 저수홈(111)이 1차배출구(112)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안착대(120)는 1차배출구(112)에 상응하는 2차배출구(121)가 바닥면에 형성되어 측방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기 걸름틀(110)을 거쳐 호펴(210)의 하수홈(212)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걸름틀(110)이 하수홈(212)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1유입물차단기구(100)는 호퍼(210)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211) 상에 걸쳐져서 하수홈(212)으로 낙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 따른 하수구에서 하폐수의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는 철재망(C)을 거치면서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걸러진 하폐수는 걸름틀(110)의 저수홈(111)으로 포집되면서 조금씩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여과망(113)이 장착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여과망(113)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배출되어 1차배출구(112) 및 2차배출구(121)를 거쳐 호퍼(210)의 하수홈(212)으로 유입된다.
호펴(210)의 바닥면에 저수된 하폐수는 조금씩 안정화 되면서 이물질들의 침전이 일어나지만, 배수관(O.D)으로 배출되는 하폐수에는 아직도 얼마간의 이물질이 잔재한다.
배수관(O.D)을 따라 배출되는 하폐수는 저속으로 흘러가면서 이물질들을 배수관(O.D)의 내측바닥면에 침전시키고, 이렇게 조금씩 앞으로 전진하는 침전물은 배수관(O.D)의 일부가 개구되어 연통되는 이물질역류구(221)로 침전되면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이렇게 침전된 이물질을 호퍼(210)의 하단부와 연통된 이물질역류관(222)을 통해 호퍼(210)로 재유입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거친 하폐수는 이중의 걸름기구를 거치면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114'는 걸름틀(110)을 상방으로 빼내어 저수홈(111)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장착된 손잡이로, 철재망(C)을 제거한 후 걸름틀(110)을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호퍼(210)의 바닥면에 퇴적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걸름틀(110)과 안착대(120)는 호퍼(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제1유입물차단기구와 제2유입물차단기구를 통해 하수구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이물질을 이중으로 걸러낼 수 있어,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고, 아울러 이러한 이물질로 인해 하수관의 막힘이 크게 줄어 배수량의 저하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 적어도 둘 이상 연통되고, 하폐수가 유입되는 상단 개구부에는 이물질을 걸르는 철재망이 덮여진 하수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에는, 둘레면으로 상기 하수관이 인입되어 연통되는 호퍼가 내입ㆍ설치되되, 하수관들 중 호퍼에 저수된 하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의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면서 배수관의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역류구와 연통되고, 이물질역류구는 소정각도로 경사진 이물질역류관을 매개로 호퍼의 하단부에 연통되며; 호퍼의 내측 상단부에는, 하기 걸름틀을 지지하면서 호퍼 안으로 하폐수가 유입되는 2차배출구가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대와, 2차배출구에 상응하는 1차배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높이의 펜스가 형성되고 이 펜스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며 안착대 상면에 조적되는 걸름틀로 이루어진 유입물차단기구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KR20-2003-0008629U 2003-03-22 2003-03-22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KR200318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29U KR200318181Y1 (ko) 2003-03-22 2003-03-22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29U KR200318181Y1 (ko) 2003-03-22 2003-03-22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181Y1 true KR200318181Y1 (ko) 2003-06-28

Family

ID=4933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629U KR200318181Y1 (ko) 2003-03-22 2003-03-22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78B1 (ko) 2016-08-23 2017-03-1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78B1 (ko) 2016-08-23 2017-03-1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이물질 걸름망 구조를 갖춘 하수도 관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JP2001507091A (ja) 総汚染物質濾過装置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90083884A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US7138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EP1260641B1 (en)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KR20190092108A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18181Y1 (ko) 하수관으로의 이물질 유입 차단구조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343859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CN214994548U (zh) 一种市政道路雨水过滤收集装置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CN209585244U (zh) 一种土木工程道路排水装置
KR200167095Y1 (ko) 우수 및 오수받이 겸용 맨홀
KR101293048B1 (ko)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KR200357071Y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200322627Y1 (ko) 개량용 우수받이
JP3702329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における用水供給装置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