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27U -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 Google Patents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127U
KR20150004127U KR2020140003554U KR20140003554U KR20150004127U KR 20150004127 U KR20150004127 U KR 20150004127U KR 2020140003554 U KR2020140003554 U KR 2020140003554U KR 20140003554 U KR20140003554 U KR 20140003554U KR 20150004127 U KR20150004127 U KR 201500041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bar
curtain
fram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찬
Original Assignee
임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찬 filed Critical 임동찬
Priority to KR2020140003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127U/ko
Publication of KR20150004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지붕의 루프랙에 장착되어 그늘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차량용 어닝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루프랙에 설치되는 프레임바와, 상기 프레임바에 연결되되 접거나 펼쳐짐 가능하게 되는 천막과, 상기 천막을 수평으로 펼쳐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대와, 상기 프레임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면서, 가림막의 상변과 하변에 각각 고정요소와 자석을 장착하여 가림막을 프레임바에 고정한 후 자석에 의하여 자동차 지붕에 간편하게 부착함으로써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레저 공간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빗물 차단을 위한 가림막에 저전력으로 발광되는 LED 조명수단을 장착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이나 날씨가 흐린 경우에 조명수단을 주광원 또는 보조광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Car Awning}
본 고안은 자동차 지붕의 루프랙에 장착되어 그늘막으로 사용하기 위한 차량용 어닝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지붕과 어닝이 설치된 프레임 사이로 우천시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어닝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여 그늘막으로 사용함으로써 레저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승합차나 RV차량의 루프랙에 주로 설치된다.
차량용 어닝의 설치구조는 자동차 지붕에 장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랙(100)에 별도의 브라켓(120)을 장착하고, 그 브라켓(12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로 길게 어닝(1)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접어서 보관하다가 야외에서 레저공간이 필요할 경우에만 어닝을 펼쳐서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루프랙에 설치되는 어닝의 문제가, 어닝 자체가 루프랙에 의하여 자동차의 지붕으로부터 상부로 띄워지게 설치되므로 그 사이를 통하여 우천시에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맑은 날씨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도 어닝의 테두리를 따라서 보조막을 친 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어닝 자체를 텐트로 활용하거나 또는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에 이너텐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천시에 자동차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이 레저 공간 내부로 유입되며, 정작 이렇게 어닝이 장착된 부분에는 별도로 가릴만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이렇게 어닝을 텐트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야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어닝에 의하여 확보된 공간이 어두워지게 되고, 따라서 반드시 별도의 레저용 야외램프를 준비하여야 한다.
그런데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야외램프의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없고 전기소모가 많기 때문에 밝기가 매우 약한 램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충전기를 대용량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밝기가 약할 경우 활용도가 떨어지고 충전기가 대용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를 원료로 한 램프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가스 방식의 램프도 매우 고가이며, 예비 원료로써 가스를 항상 준비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KR 1020060107609 A KR 200435913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루프랙에 설치되는 어닝의 설치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자동차의 지붕과 어닝이 장착된 부분의 사이를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에 조명수단을 제공하여 레저 공간의 밝기를 확보하고, 조명수단이 저전력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별도의 전원수단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자동차 루프랙에 설치되는 프레임바와, 상기 프레임바에 연결되되 접거나 펼쳐짐 가능하게 되는 천막과, 상기 천막을 수평으로 펼쳐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대와, 상기 프레임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림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림막은 시트의 상부에 고정요소를 형성하여 프레임바에 고정하고, 시트의 하부변을 따라서 복수의 자석을 장착하여 자동차의 지붕에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의 시트에 복수의 LED가 장설된 LED바를 장착하여 저전력의 조명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레저 공간에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수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소켓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에 의하면,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으로 우천시에 빗물이 전혀 유입되지 않으므로 안락한 레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어닝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림막을 프레임과 자동차 지붕에 간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가림막을 항상 설치할 필요가 없이 우천시 또는 흐린날이나 조명이 필요한 야간에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가림막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별도의 램프가 필요없이 레저 공간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의 발광전력이 저전력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자동차의 전원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에 대한 걱정이 없이 주광원 및 예비광원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어닝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어닝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림막과 프레임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어닝이 펼쳐져 전개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림막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구조도
도 6은 도 5의 가림막의 상부변의 구조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루프랙에 설치되는 프레임바(10)와, 상기 프레임바에 연결되되 접거나 펼쳐짐 가능하게 되는 천막(20)과, 상기 천막을 수평으로 펼쳐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대(30)와, 상기 프레임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림막(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40)은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시트(41)와 시트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요소(42)와 자석(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10)는 차량용 어닝을 루프랙(100)에 장착하기 위한 골격으로,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되어 있는 루프랙(100)에 브라켓(120)으로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루프랙(100)에 가로대(110)를 장착하고 그 가로대(110)에 브라켓(120)을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바(10)에는 자동차의 전장(全長)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길게 장착되며, 프레임바(10)에는 천막(20)이 장착된다.
천막(20)은 일측변이 프레임바(10)에 고정되어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전개할 수 있게 되며, 타측변에는 다리대(30)가 장착되어 천막(20)을 펼친 상태에서 세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천막(20)은 보조프레임(21)에 의하여 타측변이 지지되도록 하면서 그 보조프레임(21)에 다리대(30)를 장착하여 지면에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가림막(40)은 프레임바(10)와 자동차 지붕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막아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림막(40)의 상부변이 프레임바(10)의 하단에 고정되고, 가림막(40)의 하부변은 자동차의 지붕에 고정되어 프레임바(10)와 자동차 지붕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막게 된다. 이를 위하여 시트의 상부에 고정요소(42)를 형성하여 프레임바(10)에 고정하고, 시트(41)의 하부변을 따라서 복수의 자석(43)을 장착함으로써 시트(41)를 자동차의 지붕에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다.
가림막(40)을 프레임바(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42)는 복수의 걸이구(미도시)를 형성하여 프레임바(10)의 하단에 고정할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41)의 상단변을 따라서 대략적인 원형의 형태로 끼움부(42a)를 형성하고, 프레임바(10)의 하단에는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끼임홈(12a)을 형성함으로써 끼움부(42a)를 끼움홈(12a)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서 가림막(40)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끼임홈(12a)의 형상도 끼움부(42a)의 형상과 대응되게 대략적인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림막(40)을 프레임바(10)의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가림막(40)을 장착한 상태에서 프레임바(10)의 하부측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가림막(40)의 상부변 전체가 프레임바(10)에 결합됨으로써 빗물이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림막(4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석(43)은 시트(41)의 하부변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지붕에 간단하게 탈착가능하면서도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자석(43)은 시트(41)의 하부변에 자석을 내장한 상태로 봉재함으로써 자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자석(43)을 삽입하여 봉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마다 양측을 봉재하여 자석(43)이 유동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40)에 조명수단(50)을 형성하면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에 빛을 공급하여 밝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조명수단(50)은 시트(41)에 복수의 LED(51)가 장설된 LED바(52)를 장착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LED바(52)에 투명커버(53)를 덧씌우면 야외에서 방수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투명커버(53)는 시트(41)에 투명비닐을 덧씌워 형성하거나 또는 LED바(52)에 실리콘층을 코팅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바(52)가 장착되는 위치는 가림막(40)의 시트(41) 상단변을 따라서 끼움부(42a)에 근접하게 장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40)이 어닝에 장착된 상태에서 레저 공간 측으로 만곡되게 늘어지는 부분에 LED바(52)가 위치되어 LED의 조사각이 레저 공간 측으로 하향되게 빛이 비춰지게 된다.
따라서 어닝에 의하여 확보되는 레저 공간 전체에 고르게 빛이 조사되면서 빛손실을 줄이고 조명효율을 높일 수 높일 수 있다.
그리고 LED바(5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전원연결을 위한 소켓(54)을 장착하여 외부 전원을 소켓에 연결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자동차의 배터리를 전력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발전기나 보조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소켓(54)은 양측으로 형성하면서 일측은 암결합부가 형성된 소켓으로 타측은 수결합부가 형성된 소켓으로 형성하면 소켓의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바(52)는 플렉시블 PCB기판에 복수의 LED(51)를 장착하면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면서 가림막(40)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가림막(4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이 용이하다.
이때, 가림막(40)을 프레임바(10)에 조립하기 위한 끼움부(42a)를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림막(40)을 접어 보관할 수 있다.
10: 프레임바 12a: 끼임홈
20: 천막 21: 보조프레임
30: 다리대
40: 가림막 41: 시트
42: 고정요소 42a: 끼움부
43: 자석
50: 조명수단 51: LED
52: LED바 53: 투명커버
54: 소켓
100: 루프랙 110: 가로대
120: 브라켓

Claims (6)

  1. 자동차 루프랙에 설치되는 프레임바(10);
    상기 프레임바에 연결되되 접거나 펼쳐짐 가능하게 되는 천막(20);
    상기 천막을 수평으로 펼쳐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대(30);
    상기 프레임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림막(4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40)은 시트(41)의 상부에 고정요소(42)가 형성되어 프레임바(10)에 고정되고, 시트(41)의 하부변을 따라서 복수의 자석(43)이 장착되어 자동차의 지붕에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게 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40)에 형성되는 고정요소(42)는 시트(41)의 상단변을 따라서 대략적인 원형의 형태로 끼움부(42a)가 형성되고, 프레임바(10)의 하단에는 프레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끼임홈(12a)이 형성되어 가림막(4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40)은 시트(41)에 조명수단(50)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수단(50)은 복수의 LED(51)가 장설된 LED바(52)에 투명커버(52)가 덧씌워져 방수기능을 갖도록 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50)은 LED바(52)가 가림막(40)의 시트(41) 상단변을 따라서 끼움부(42a)에 근접하게 장착되고, LED바(5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전원연결을 위한 소켓(54)이 장착되어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ED바(52)는 플렉시블 PCB기판에 복수의 LED(51)가 장착되어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40)은 끼움부(42a)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가림막을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KR2020140003554U 2014-05-07 2014-05-07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KR201500041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54U KR20150004127U (ko) 2014-05-07 2014-05-07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554U KR20150004127U (ko) 2014-05-07 2014-05-07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27U true KR20150004127U (ko) 2015-11-17

Family

ID=5486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554U KR20150004127U (ko) 2014-05-07 2014-05-07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1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52B1 (ko) 2019-09-27 2020-02-03 차재호 차량용 어닝
KR20200025919A (ko) 2018-08-31 2020-03-10 마진형 차량 어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19A (ko) 2018-08-31 2020-03-10 마진형 차량 어닝장치
KR102072952B1 (ko) 2019-09-27 2020-02-03 차재호 차량용 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3281A (zh) 照明杆
US20130049609A1 (en) Solar powered light having 3d enhanced lens
GB2464288A (en) Photovoltaic cells integrated with vertical post
KR200469518Y1 (ko) Led조명등이 구비된 텐트, 타프용 지주
KR20150004127U (ko)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차량용 어닝
KR20140068402A (ko) 엘이디 조명이 설치된 차양
CN209594935U (zh) 伞骨和灯光伞
KR101242241B1 (ko) 태양광 가로등
CN204404060U (zh) 太阳光集光通风一体装置
KR101224491B1 (ko) 어닝 시스템의 프론트바
KR101126339B1 (ko) 태양전지 오염 방지구조
KR101510802B1 (ko) 수상용 태양광발전설비에 장착되는 엘이디 전광판
CN103850450A (zh) 一种太阳能供电的公交候车亭
CN214303151U (zh) 一种野外多功能带led灯折叠蓬
CN105089297B (zh) 道路交通多功能遮阳遮雨棚
KR101273368B1 (ko) 난간대 지주 장착용 태양전지 경관등
CN21552310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水面景观灯
CN208564150U (zh) 太阳能led感应汽车篷
ITRM20060200U1 (it) Lampione fotovoltaico multifunzionale a basso impatto visivo
KR10130685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WO2010000274A1 (en) Collapsible car sun shade assembly
CN104964218A (zh) 一种吊灯的照明装置
KR20200066905A (ko) 어닝 프레임에 조명등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장치
CN103174305A (zh) 一种太阳能公交车亭结构及其设计方法
CN207063681U (zh) 一种带led灯的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