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11B1 -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11B1
KR102008611B1 KR1020180017918A KR20180017918A KR102008611B1 KR 102008611 B1 KR102008611 B1 KR 102008611B1 KR 1020180017918 A KR1020180017918 A KR 1020180017918A KR 20180017918 A KR20180017918 A KR 20180017918A KR 102008611 B1 KR102008611 B1 KR 102008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communication device
bus
mobile communication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환
Original Assignee
(주)웰티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티즌 filed Critical (주)웰티즌
Priority to KR102018001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요청이 있으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 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탑승 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에 데려다 주기 위해 택시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chool bus driving informations}
본 발명은 차량운행정보 제공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요청이 있으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 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탑승 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에 데려다 주기 위해 택시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치원, 학원, 체육관 등과 같은 교육시설에서 운영하는 학원버스는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학생들의 거주지 혹은 거주지 근처의 정류장에서 학생들을 태워 해당 교육시설로 데려오거나, 해당 교육시설에서 학생들을 태워 학생들의 거주지 혹은 거주지 근처의 정류장으로 학생들을 데려다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학원버스는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류장에 정해진 시간에 도착하도록 운행되기 때문에 학생의 보호자(예컨대, 부모)가 학원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에 맞추어 학생을 정류장으로 데려가거나, 학원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에 정류장에서 귀가하는 학생을 기다린다.
이처럼, 학생의 보호자(예컨대, 부모)가 학원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에 맞추어 학생을 정류장으로 데려가거나, 학원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에 정류장에서 귀가하는 학생을 기다리는 경우, 해당 학원버스의 도착이 지연되면 정류장에서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정류장에 해당 학원버스가 도착하였더라도 해당 정류장에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늦게 도착하면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이 늦어지고 다른 정류장에서 다른 학생이나 다른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4062호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서버가 선생님 단말로부터 셔틀버스 운행 노선 중 선생님이 탑승한 운행 노선을 선택받은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받은 운행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에 탑승자 또는 귀가자로 등록된 어린이 정보를 상기 선생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등록된 어린이의 탑승 또는 귀가 정보를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특허문헌 1은 서버가 선생님 단말에 정류장에 탑승자 또는 귀가자로 등록된 어린이 정보를 제공하고, 선생님 단말로부터 등록된 어린이의 탑승 또는 귀가 정보를 전송받도록 되어 있으나, 정류장에 등록된 어린이가 탑승하지 못한다는 연락을 선생님 단말로 일일이 전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선생님 단말은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전화가 아니므로 정류장별로 지정된 단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셔틀버스 운행에 탑승하는 선생님 단말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선생님이 근무하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연락을 하면 정류장에 탑승하는 어린이의 정보를 전달받지 못하는 문제점과, 어린이의 탑승시간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요청을 선생님 단말로 받게 되면 선생님 단말에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으므로 전화통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단점과, 어린이의 탑승시간 및 탑승 위치변경을 처리하지 못하므로 부모가 직접 어린이를 데려다 줘야 하는 불편함과, 서버는 단순히 어린이의 탑승과 귀가만을 위한 정보만을 전달받게 되는 단순한 정보만을 취급하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선생님 단말과 학부모 단말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을 찾아볼 수 없고, 셔틀버스의 경우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미리 정해진 정류장을 이동하는 것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정류장의 변경이나 새로운 정류장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 선생님 단말에 변경하는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으므로 당황하게 되는 문제점과, 정류장의 변경 및 추가와 관련하여 운전기사와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셔틀버스의 경우 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미리 숙지한 정류장을 항상 동일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운전자와 선생님 단말이 항상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문제점과, 운전자는 수시로 선생님 단말의 운행 노선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2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0620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으로 셔틀버스의 도착 예상시간을 학부모에게 안내하는 것에는 편리한 부분이 있으나, 원생이 셔틀버스를 탑승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여 원생을 탑승시키지 못하는 문제점과, 학부모로부터 원생의 탑승시간 변경을 요청받을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과, 원생이 친구 집에서 함께 출발하거나, 전혀 다른 위치에서 출발하게 되어 탑승 위치변경을 요청하면 이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학부모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원생을 데려다 주기 위해 택시나, 자동차를 운전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원생의 탑승 위치변경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학부모가 주변 지리를 잘 모르게 되면 셔틀버스가 위치한 곳까지 찾아가기 어려운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택시를 타기 위해서 도로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406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06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원버스의 도착메시지를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미리 전송하여 정류장에서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요청이 있으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생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어린이집, 유치원, 태권도, 영어학원 등)에 데려다 줘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류장에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늦게 도착하였을 때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이 늦어지고 다른 정류장에서 다른 학생이나 다른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 설치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서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 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고,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한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학부모의 편의를 향상시킨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학생의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위치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다른 차량을 탐색하고,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탑승위치변경버튼을 변경하여 탑승위치를 변경하며, 변경된 내용의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변경한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 및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에 데려다 주기 위해 택시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과 관련하여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로 통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건너뛰기 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드라이버가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여 학생의 스케줄 변경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과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을 드라이버가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고,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앱에서 이미 설정한 정류장 근처에 도달하면 정류장형 운행화면에서 목록형 운행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정류장에 탑승하는 학생들의 목록을 드라이버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는 드라이버가 사용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예컨대, 휴대전화, 스마트폰, 테블릿 등)에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용 모바일 통신기기를 구입하고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 자율 운행모드를 추가하여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노선과 학생을 등록하여 학생들이 편안하게 학원으로 올 수 있도록 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모바일 통신기기가 다운로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혹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프로그램)과 학생의 정보 및 학원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탑재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구분된 상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학생의 학원버스승하차 정보를 공유하되,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학원버스 출발 및 도착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승하차 및 미 탑승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실시간 위치 및 정류장 도착 정보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는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로 구성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스케줄관리에서 일별 학원버스 운행경로와 해당 운행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정류장 및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성명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형성한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과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운행화면을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운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운행시작이 요청되면 선택된 목록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거나 선택된 정류장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학원버스의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범위에 학원버스가 도착하면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정류장 목록과 정류장별로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그룹발송버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정류장별로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을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를 통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로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탑승위치변경버튼, 서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메시지확인버튼, 상기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학생 목록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 상기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되면 상기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가 전송된 학생 명단을 학생 목록의 최하위로 이동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학원버스의 도착메시지를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미리 전송하여 정류장에서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한 효과와,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요청이 있으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생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어린이집, 유치원, 태권도, 영어학원 등)에 데려다 줘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류장에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늦게 도착하였을 때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이 늦어지고 다른 정류장에서 다른 학생이나 다른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 설치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서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고,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한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학부모의 편의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학생의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위치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다른 차량을 탐색하고,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탑승위치변경버튼을 변경하여 탑승위치를 변경하며, 변경된 내용의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변경한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 및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여 학부모가 학생을 학원에 데려다 주기 위해 택시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과 관련하여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로 통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건너뛰기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드라이버가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여 학생의 스케줄 변경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앱은 운행화면 설정에서 지도 설정, 도착 알림 방식 설정, 도착 알림 발송순서 설정, 도착 알림 발송 설정, 정류장 반경 설정, 승하차 설정을 선택하여 드라이버가 운전중에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를 설정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승하차 설정에서 RFID/NFC 사용 여부를 설정하여 카드를 등록하면 학생들이 간편하게 카드를 터치하여 승하차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과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을 드라이버가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고, 학원버스승하차 운행 정보 앱에서 이미 설정한 정류장 근처에 도달하면 정류장형 운행화면에서 목록형 운행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정류장에 탑승하는 학생들의 목록을 드라이버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는 드라이버가 사용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예컨대, 휴대전화, 스마트폰, 테블릿 등)에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용 모바일 통신기기를 구입하고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효과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 자율 운행모드를 추가하여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노선과 학생을 등록하여 학생들이 편안하게 학원으로 올 수 있도록 하여 학생과 학부모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과 학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택시를 타거나, 자동차를 운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의 운행시작 화면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 화면에서 정류장등록 화면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스케줄관리 화면의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 설정화면의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 설정에서 승하차 설정 및 카드등록 화면의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목록형 운행화면의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의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운행일지를 일별로 선택하는 달력화면의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달력화면에서 선택된 일별로 운행일지를 표시하는 화면의 실시 예.
도 11은 도 10의 운행일지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운행경로보기버튼이 선택되면 맵화면 상에 운행경로를 표시하는 화면의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정류장 등록화면의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정류장 등록화면의 다른 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의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의 다른 실시 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의 실시 예.
도 17은 도 15 내지 도 16의 운행시작화면에서 맵화면 변경 요청이 있을 때 표시되는 맵화면의 실시 예.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6의 운행시작화면에서 맵화면 변경 요청이 있을 때표시되는 맵화면의 다른 실시 예.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메시지보기화면의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은 관리 서버와 모바일 통신기기(예컨대,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S100)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에서 관리 서버(S110)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로 이루어진 모바일 통신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혹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프로그램)을 모바일 통신기기에 제공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리 서버(S110)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학생의 정보 및 학원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회원관리의 회원정보 메뉴에서 신규추가 버튼을 선택하여 회원정보를 입력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차량관리를 선택하여 차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차량 명과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차량추가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추가가 완료되면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저장하며, 도 3과 같이 상기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 화면의 정류장 등록을 선택하여 학원에서 운영하는 학원버스가 이동하는 정류장 이름이나 정류장 주소를 검색하여 원하는 정류장을 선택하여 정류장을 등록하고,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 화면에서 노선관리를 선택하여 노선 명을 입력한 다음 노선 명에 정류장을 분류하여 노선 등록을 하며, 상기 노선 등록 이후 도 4의 스케줄관리에서 상기 노선 명에 따라서 운행차량에 탑승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운행차량, 운행 요일, 운행시간 등의 운행 스케줄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예컨대, 학생 휴대전화 전화번호 혹은 학생의 부모 휴대전화전화번호 등)를 등록하고, 상기 학원버스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도 3 및 도 4의 학생별 스케줄변경에서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의 건너뛰기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고, 변경한 내용의 메시지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서버(S110)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으로 연결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예컨대,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는 학원버스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소지한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학생의 학부모가 소지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로 구분된 상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학생의 학원버스승하차 정보를 공유하되,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는 학생의 휴대전화전화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S110)와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통해 학원버스 출발 및 도착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승하차 및 미 탑승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실시간 위치 및 정류장 도착 정보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에 제공하며,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는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에서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한 다음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한 메시지를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에 전송한다.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에 설치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은, 도 2의 운행시작화면에서 앱 설정을 클릭하면, 도 5와 같이 앱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앱 설정에서 운행화면 설정에 표시된 지도/승하차 중 지도를 선택하며, 도착 알림 방식에서 진입/정차 중 진입을 선택하고, 도착 알림 발송순서에서 진입순/정류장순 중 진입순으로 선택하며, 도착 알림 발송에서 자동/수동 중 자동으로 선택한 다음 정류장 반경에서 10M ~ 200M 중 20M를 선택하면 학원버스가 정류장 도착 20M 이내에서 도착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고, 운행화면 절전모드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사용안함을 선택하며, 자동종료설정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사용으로 선택하면서 1분후 자동종료를 선택하고, 소리설정에서 켬/끔 중 끔으로 선택하며, 발송권한 고정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사용안함을 선택하며, 승하차 설정을 선택하여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설정하여 학원버스의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앱 설정의 승하차 설정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RFID/NFC 사용 여부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RFID/NFC 사용을 선택하면 학생들의 승하차를 더욱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고, 승하차 방식에서 직접입력/NFC/RFI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자동연결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사용으로 선택하고, 하차체크 거리에서 1M/2M/3M 중 2M로 선택하며, 카드등록에서 등록하기/등록확인에서 등록하기를 선택하고 등록을 원하는 인원 체크 후 등록을 클릭하여 등록을 하고, NFC나 RFID 기기 연결 후 해당 연결된 기기에 카드를 터치하면 해당 학생이 등록되며, 상기 카드등록에서 등록확인을 클릭하고, NFC 블루투스 슬립설정과 NFC 블루투스 자동연결 초기화를 선택하면 앱 설정을 모두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일별 학원버스 운행경로와 해당 운행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정류장 및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성명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예컨대, 학생 휴대전화전화번호 혹은 학생의 부모 휴대전화전화번호 등)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형성한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과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운행화면을 표시한다(S140).
예컨대, 상기 S14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학생 목록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도 7의 전화모양 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 명단을 삭제하는 삭제버튼(도 7의 가위모양 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을 다른 운행스케줄로 변경하는 스케줄변경버튼(도 7의 X 버튼)을 포함하는 운행스케줄을 일주일 단위 일별로 표시하고, 당일에 배정된 학원버스의 운행스케줄에 따른 운행시작을 요청하는 운행시작버튼과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확인하는 운행일지버튼을 포함하는 목록형 운행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S14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정류장 목록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도 8의 전화모양 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 명단을 삭제하는 삭제버튼(도 8의 가위모양 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을 다른 운행스케줄로 변경하는 스케줄변경버튼(도 8의 X 버튼)을 포함하는 운행스케줄을 일주일 단위 일별로 표시하고, 당일에 배정된 학원버스의 운행스케줄에 따른 운행시작을 요청하는 운행시작버튼과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확인하는 운행일지버튼을 포함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화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학생 또는 학생의 학부모와 직접 통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에 상기 목록형 운행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는 상기 운행일지버튼을 눌러서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 확인 요청이 있으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일별로 선택하는 달력화면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달력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일자가 선택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선택된 일별로 운행일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원버스의 운행시간과 학생에 대한 정류장에 도착한 리스트와 정류장에 도착하지 않은 리스트 및 운행경로보기버튼을 표시하는 운행일지화면을 표시한다.
참고로, 도 10의 (a)는 정류장형 운행일지화면의 실시 예이고, 도 10의 (b)는 목록형 운행일지화면의 실시 예이다.
상기와 같이 운행일지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운행경로보기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맵화면 상에 해당 학원버스의 운행경로를 시작점(s)과 끝점(e)을 잇는 라인으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S140 과정에서는, 상기 목록형 운행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에 의한 정류장등록 요청이 있으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가 기등록된 정류장과 함께 새롭게 추가할 정류장 위치를 중앙에 나타내는 맵화면을 표시하고 새롭게 추가할 정류장 위치가 선택되면 정류장 이름을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맵화면에서 기등록된 정류장을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위치를 이동하게 한다.
예컨대,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도 12에 나타낸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의 정류장 등록화면 중, 도 12의 (a)와 같이 표시되는 환경설정화면에서 정류장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기등록된 정류장과 함께 새롭게 추가할 하얀색 정류장 위치를 중앙에 나타내는 맵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하얀색 정류장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류장 등록화면에서 새롭게 추가할 정류장 이름을 입력하고 등록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새롭게 정류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새롭게 추가된 정류장은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기등록된 정류장을 삭제하려면 도 12의 (b) 혹은 도 13의 (b)에 표시되는 파란색 정류장을 손가락으로 길게 터치한 후, 도 13의 (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삭제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류장이 삭제된다.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기등록된 정류장의 위치를 이동하려면 도 12의 (b) 혹은 도 13의 (b)에 표시되는 파란색 정류장을 손가락으로 길게 터치한 후 맵화면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손가락을 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도 7 혹은 도 8에 나타낸 목록형 혹은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운행시작버튼을 누름에 따라서 운행시작이 요청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선택된 목록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거나 선택된 정류장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한다(S150).
예컨대, 상기 S15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학생 목록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도 14의 전화모양 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도 14의 편지봉투모양 버튼), 상기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도 14의 BUS 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도 14의 MAP 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화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학생 또는 학생의 학부모와 직접 통화할 수 있다.
특히,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학원버스의 운행 중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착메시지가 전송된 학생 명단을 학생 목록의 최하위로 이동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S15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정류장 목록과 정류장별로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그룹발송버튼, 정류장별로 못 온다는 학생의 연락을 서버로 메시지를 받거나 혹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로 전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 상기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도 14의 BUS 버튼이 눌려지면 변경되는 도 16의 목록모양 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도 16의 MAP 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S15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에 상기 목록형 운행시작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맵화면 변경버튼을 누름에 따라서 맵화면으로 변경 요청이 있으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S를 통해 확인되는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운행경로 상에 표시하고 운행경로 상에 정류장을 순차적으로 정해진 번호로 표시하고 이전화면으로 돌아가는 이전화면버튼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맵화면을 표시한다.
참고로, 도 17에 나타낸 맵화면에서는 GPS를 통해 확인되는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운행경로 상에 버스모양으로 표시하고 운행경로 상에 정류장을 1번, 2번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S150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가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운행경로 상에 버스모양으로 표시할 때, 특히 상기 맵화면에 표시하는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확도에 따라 정확도가 높을수록 직경이 작은 원을 표시함으로써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S150 과정에서는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상기 맵화면에서 손가락으로 정류장을 터치함에 따라서 해당 정류장이 선택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가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 정류장별로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전체발송버튼, 정류장별로 못 온다는 학생의 연락을 서버로 메시지를 받거나 혹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로 전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을 표시한다.
참고로, 도 18의 (a)에서는 선택된 정류장의 학생 목록과 해당 정류장에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전체발송버튼, 해당 정류장에 못 온다는 학생의 연락을 서버로 메시지를 받거나 혹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로 전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을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18의 (b)에서는 도 18의 (a)에 표시된 학생 목록이 선택되었을 때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예컨대, 전화모양 버튼),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예컨대, 편지봉투모양 버튼)을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학원버스의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예컨대, 10M, 20M, 30M, …, 150M, 200M 등) 범위에 학원버스가 도착하면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예컨대, '학생 부모님 운행차량이 정류장에 도착하였습니다'라는 도착메시지)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한다(S160).
상기 S160 과정에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되는 도착메시지는 메시지함에 자동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 혹은 도 8에 나타낸 목록형 혹은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학원버스 운전자 혹은 다른 사용자가 편지봉투모양의 메시지보기버튼을 누름에 따라서 메시지보기가 요청되면,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는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지보기용 달력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메시지보기용 달력화면에서 특정 일자가 선택되면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일자의 메시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보기화면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학원버스의 도착메시지를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미리 전송하고 화면에 표시되는 전화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학생 또는 학생의 학부모와 직접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학원버스의 도착이 지연되었을 때 정류장에서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과 정류장에 해당 학원버스가 도착하였더라도 해당 정류장에 학생이나 학생의 보호자가 늦게 도착하였을 때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이 늦어지고 다른 정류장에서 다른 학생이나 다른 학생의 보호자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를 통해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과 관련하여 관리 서버(S110)로 메시지를 전송받거나, 또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로 통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의 건너뛰기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변경된 내용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학부모가 학원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를 통해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메시지를 서버(S110)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위치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다른 차량을 탐색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의 탑승 위치변경버튼을 변경하여 탑승위치를 변경하며, 변경된 내용의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와 변경한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S120) 및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S130)로 전송하여 학생과 학부모가 학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택시를 타거나, 자동차를 운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학원버스의 운행시간의 변경이 용이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 자율 운행모드 기능을 추가하여 운행을 원하는 차량과 노선을 선택하여 등록하고, 노선에 탑승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운행 스케줄을 설정하면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노선과 학생을 등록하여 학생들이 편안하게 학원으로 올 수 있도록 하여 학생과 학부모가 시간을 낭비하면서 기다리게 되는 불편함과, 학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택시를 타거나, 자동차를 운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S100: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S110: 관리 서버
S120: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
S130: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

Claims (15)

  1. 복수의 모바일 통신기기가 다운로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혹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프로그램)과 학생의 정보 및 학원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탑재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구분된 상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학생의 학원버스승하차 정보를 공유하되,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학원버스 출발 및 도착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승하차 및 미 탑승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실시간 위치 및 정류장 도착 정보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는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모바일 통신기기;로 구성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스케줄관리에서 일별 학원버스 운행경로와 해당 운행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정류장 및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성명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형성한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과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운행화면을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운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운행시작이 요청되면 선택된 목록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거나 선택된 정류장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학원버스의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범위에 학원버스가 도착하면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정류장 목록과 정류장별로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그룹발송버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정류장별로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을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를 통해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로 메시지를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탑승시간변경버튼,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탑승위치변경버튼,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메시지확인버튼, 상기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며,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학생 목록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 상기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으로 변경하는 운행시작화면 변경버튼, 맵화면으로 변경하는 맵화면 변경버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되면 상기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가 전송된 학생 명단을 학생 목록의 최하위로 이동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서는
    차량관리를 선택하여 차량 명과 차량번호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상기 차량추가 이후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와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저장하며, 정류장 등록을 선택하여 학원에서 운영하는 학원버스가 이동하는 정류장 이름을 검색하여 정류장을 등록하며, 노선관리를 선택하여 노선 명을 입력한 다음 노선 명에 정류장을 분류하여 노선 등록을 하고, 상기 노선 등록 이후 스케줄관리에서 상기 노선 명에 따라서 운행차량에 탑승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운행차량, 운행 요일, 운행시간 등의 운행 스케줄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등록하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학생별 스케줄변경에서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건너뛰기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고, 변경한 내용의 메시지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과 관련하여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로 통화나 메시지를 받은 경우 건너뛰기버튼, 탑승시간변경버튼, 탑승위치변경버튼 중 어느 한 가지를 드라이버가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학생이 탑승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학생이 위치한 가장 근접한 위치의 다른 차량을 탐색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탑승 위치변경버튼을 변경하여 탑승위치를 변경하며, 변경된 내용의 메시지를 원래 학생이 탑승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변경한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 및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에 설치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은
    운행화면의 앱 설정에서 지도/승하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도착 알림 방식에서 진입/정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도착 알림 발송순서에서 진입순/정류장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도착 알림 발송에서 자동/수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정류장 반경에서 10M ~ 200M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운행화면 절전모드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동종료설정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하면서 분단위로 시간을 설정하고, 소리설정에서 켬/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발송권한 고정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승하차 설정을 선택하여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차 설정은 RFID/NFC 사용 여부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승하차 방식에서 직접입력/NFC/RFID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자동연결에서 사용/사용안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하차체크 거리에서 1M/2M/3M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카드등록에서 등록하기/등록확인을 각각 선택하며, NFC 블루투스 슬립설정과 NFC 블루투스 자동연결 초기화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승하차 설정의 카드등록에서 등록하기를 선택하고 등록을 원하는 인원 체크 후 등록을 클릭하여 등록을 하고, NFC나 RFID 기기 연결 후 해당 연결된 기기에 카드를 터치하면 해당 학생이 등록되며, 상기 카드등록에서 등록확인을 클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학생 목록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 명단을 삭제하는 삭제버튼,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을 다른 운행스케줄로 변경하는 스케줄변경버튼을 포함하는 운행스케줄을 일주일 단위 일별로 표시하고, 당일에 배정된 학원버스의 운행스케줄에 따른 운행시작을 요청하는 운행시작버튼과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확인하는 운행일지버튼을 포함하는 목록형 운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정류장 목록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 명단을 삭제하는 삭제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을 다른 운행스케줄로 변경하는 스케줄변경버튼을 포함하는 운행스케줄을 일주일 단위 일별로 표시하고, 당일에 배정된 학원버스의 운행스케줄에 따른 운행시작을 요청하는 운행시작버튼과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확인하는 운행일지버튼을 포함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목록형 운행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 확인 요청이 있으면 이전 동안의 학원버스의 운행일지를 일별로 선택하는 달력화면을 표시하고, 달력화면에서 선택된 일별로 학원버스의 운행시간과 학생에 대한 정류장에 도착한 리스트와 정류장에 도착하지 않은 리스트 및 운행경로보기버튼을 표시하고, 운행경로보기버튼이 선택되면 맵화면 상에 해당 학원버스의 운행경로를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라인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상기 목록형 운행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정류장등록 요청이 있으면 기등록된 정류장과 함께 새롭게 추가할 정류장 위치를 중앙에 나타내는 맵화면을 표시하고 새롭게 추가할 정류장 위치가 선택되면 정류장 이름을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맵화면에서 기등록된 정류장을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위치를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에 자율 운행모드를 더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운행모드는 운행을 원하는 차량과 노선을 선택하여 등록하고, 노선에 탑승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운행 스케줄을 설정하면 학생이 학원버스에 탑승을 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에 해당하는 학생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4. 복수의 모바일 통신기기가 다운로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혹은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프로그램)과 학생의 정보 및 학원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앱을 탑재하는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와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구분된 상태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 통신하면서 학생의 학원버스승하차 정보를 공유하되,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학원버스 출발 및 도착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승하차 및 미 탑승 알림 메시지, 학원버스 실시간 위치 및 정류장 도착 정보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는 학생이 학원버스를 탑승하지 못하거나, 탑승시간의 변경 및 탑승 위치변경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면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학원버스 운행 스케줄에서 학생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모바일 통신기기;로 구성하고,
    상기 드라이버 모바일 통신기기의 스케줄관리에서 일별 학원버스 운행경로와 해당 운행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정류장 및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성명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형성한 학생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목록형 운행화면과 정류장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정류장형 운행화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운행화면을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운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운행시작이 요청되면 선택된 목록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목록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거나 선택된 정류장형 운행화면에 대응하는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을 표시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학원버스의 운행경로 상에 위치하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범위에 학원버스가 도착하면 해당 정류장을 이용하는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학원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도착메시지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목록형 운행시작화면 혹은 상기 정류장형 운행시작화면이 표시되는 도중에 맵화면으로 변경 요청이 있으면 GPS를 통해 확인되는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운행경로 상에 표시하고 운행경로 상에 정류장을 순차적으로 정해진 번호로 표시하고 이전화면으로 돌아가는 이전화면버튼과 운행종료를 요청하는 운행종료버튼을 포함하는 맵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맵화면에서 정류장이 선택되면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전화하는 전화버튼, 정류장별로 표시된 학생 목록에 표시된 학생의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전화번호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메시지버튼, 정류장별로 포함된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로 도착메시지를 보내는 전체발송버튼, 정류장별로 못 온다는 메시지를 학부모 모바일 통신기기를 통해 받은 경우 해당 정류장을 들르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가는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건너뛰기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는
    상기 맵화면에 표시하는 학원버스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확도에 따라 정확도가 높을수록 직경이 작은 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17918A 2018-02-13 2018-02-13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KR10200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18A KR102008611B1 (ko) 2018-02-13 2018-02-13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18A KR102008611B1 (ko) 2018-02-13 2018-02-13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611B1 true KR102008611B1 (ko) 2019-08-07

Family

ID=6762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18A KR102008611B1 (ko) 2018-02-13 2018-02-13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3209A (zh) * 2019-12-23 2020-04-24 北京航空航天大学 配合区间车的自动驾驶公交组合调度优化方法
KR102237945B1 (ko) * 2020-01-15 2021-04-08 오우석 승하차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학차량 관리 시스템
KR20220080860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더컴퍼니 버스 노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94U (ko) * 2012-02-13 2012-03-28 윤덕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셔틀버스 위치정보 차량위치를 제공기술
KR20120090620A (ko) 2011-02-08 2012-08-17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89812A (ko) * 2012-01-04 2013-08-13 김영곤 앱과 웹서버를 이용한 유치원 및 학원관리 서비스시스템
KR20140100635A (ko) * 2013-02-06 2014-08-18 주식회사 커뮤니티포유 차량 도착 알림 방법 및 서버
KR20150044062A (ko) 2013-10-15 2015-04-24 안흥섭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38121B1 (ko) * 2015-01-09 2015-07-21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사설 버스의 통합 운행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620A (ko) 2011-02-08 2012-08-17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89812A (ko) * 2012-01-04 2013-08-13 김영곤 앱과 웹서버를 이용한 유치원 및 학원관리 서비스시스템
KR20120002294U (ko) * 2012-02-13 2012-03-28 윤덕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셔틀버스 위치정보 차량위치를 제공기술
KR20140100635A (ko) * 2013-02-06 2014-08-18 주식회사 커뮤니티포유 차량 도착 알림 방법 및 서버
KR20150044062A (ko) 2013-10-15 2015-04-24 안흥섭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38121B1 (ko) * 2015-01-09 2015-07-21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사설 버스의 통합 운행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3209A (zh) * 2019-12-23 2020-04-24 北京航空航天大学 配合区间车的自动驾驶公交组合调度优化方法
KR102237945B1 (ko) * 2020-01-15 2021-04-08 오우석 승하차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학차량 관리 시스템
KR20220080860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더컴퍼니 버스 노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5888B1 (ko) * 2020-12-08 2023-05-23 주식회사 더컴퍼니 버스 노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611B1 (ko)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TWI476727B (zh) Automatic dispatching method and system of taxi using community network and geography instant exchange technology
CN102868968B (zh) 在移动网络中识别并定位用户的方法和系统
KR20150077739A (ko)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02592439A (zh) 智能移动设备就近互动招车方法及其系统
KR101565304B1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JP2013156735A (ja) 運転代行業者検索システムおよび運転代行業者検索プログラム
CN103491177A (zh) 一种数据传输系统及方法
JP381306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6189776B2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83437B2 (en) System for actively notifying instant messages and locations in a certain area and method therefor
JP2018063466A (ja) 動態管理システム、動態管理装置及び動態管理方法
KR20160038542A (ko)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협업 시스템
JP2002310718A (ja) 乗降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乗降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30005151A (ko) 위치기반 매칭 방식의 대리운전 중계 시스템
KR20150044062A (ko) 셔틀버스 운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I715860B (zh) 行車服務系統及其提供端行動裝置與伺服器
JP6666510B1 (ja) 配車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車両提示方法
JP20081347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10097444A (ko)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KR102237945B1 (ko) 승하차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학차량 관리 시스템
KR20180045742A (ko) 운행차량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12350A (ko) 차량 운행예약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220068A (ja) 配車システム及び配車方法
KR20200041701A (ko)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