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701A -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701A
KR20200041701A KR1020180122123A KR20180122123A KR20200041701A KR 20200041701 A KR20200041701 A KR 20200041701A KR 1020180122123 A KR1020180122123 A KR 1020180122123A KR 20180122123 A KR20180122123 A KR 20180122123A KR 20200041701 A KR20200041701 A KR 2020004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terminal
boarding
button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8012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701A/ko
Publication of KR2020004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은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모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단말기에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메모의 대상이 되는 관원생, 메모를 전달할 수업 시간,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
메모를 입력받은 단말기에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메모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수신된 메모를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더불어 지정된 수업시간에 맞추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작성하여 운행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Method for management of memo of academy and system for the same }
본 발명은 학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업 관리 및 승하차에 관한 메모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제 적합한 학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학원 시장은 전국적으로 학원이 319,831개, 교습소가 73,363개 합계 393,194개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2018년 3월 기준) 이에 따라 효율적인 학원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학원의 주 업무는 대체적으로 차량운행이 40%, 운행 변경 사항 전달 20%, 학부모 요구사항 전달 10%, 수업 관리 30%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중에서 운행 변경 사항 전달, 학부모 요구 사항 전달 등은 전화 통화, SMS 메모 등에 의해 수행된다.
현재의 학원 차량 운행 방법은 GPS를 탑재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차량 운행 방법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차량 운행 계획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에 있어서, 운행 변경은 실시간으로 발생하지만 운행표는 이를 반영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승하차 인원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으로, 운행 변경 사항 전달, 학부모 요구 사항 전달 등은 전화 통화나 메모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운행 변경 사항 전달, 학부모 요구 사항 전달을 완벽하게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전담자가 <전화상담-운행자에게 전달(전화받을 때까지)>, <전화상담 - 담당 강사에게 전달>를 반복하여야 한다. 특히 운행은 시간이 관건이기 때문에 운행자와 전화통화가 되지 않으면 불안해서 통화가 될 때까지 다른 업무를 볼 수가 없다.
이와 같은 운행 변경 사항 전달, 학부모 요구 사항 전달을 완벽하게 충족시키기 위해서 전담자를 따로 두어야하며, 이에 따라 관리 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는 형편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10-2013-0091565 (2013.08.19.)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10-2014-0085617 (2014.07.08.)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10-2015-077739(2015.07.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수업 관리 및 승하차 관리에 대한 메모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적합한 학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업 관리 및 승하차 관리에 관한 메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원의 수업 관리 및 승하차 `관리에 관한 메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모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단말기에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메모의 대상이 되는 관원생, 메모를 전달할 수업 시간,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
메모를 입력받은 단말기에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메모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수신된 메모를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더불어 지정된 수업시간에 맞추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작성하여 운행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여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성 키보드를 제공하여 전달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메시지는 푸시 기능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수업 시간 선택 버튼을 표시하고, 수업 시간 선택 버튼은 메모를 제공한 수업 시간은 일일 전체 수업시간에 공지될 내용임을 지정하기 위한 일일 전체 수업 시간 버튼, 일일의 개별 수업시간들 중의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일일 개별 수업 시간 버튼, 이틀 이상에 걸친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 버튼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벤트 버튼이 선택되면, 이벤트 설정 화면을 통하여 캘린더를 표시하고, 캘린더 상에서 이벤트 기간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메시지와 더불어 처리 완료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단말기의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완료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관제 서버가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한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진 단말기 소지자와 더불어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메모가 처리완료 되었음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승하차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승하차 알림 버튼의 선택을 입력받고, 승하차 알림 버튼의 선택 내용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승하차 관련 메모에 포함된 승하차 알림 버튼에 의해 파악되는 승하차 여부를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는 과정; 및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승차버스를 운행하는 운행자가 휴대한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운행 관리 메뉴의 운행 관리 화면을 통하여 상기 승차 운행표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승차 운행표에 기재된 관원생마다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관원생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을 입력받고,
순환차량의 운행 재개시 탑승할 관원생들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 중의 어느 하나가 체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승차 운행표에 운행개시를 알리는 운행 개시 버튼이 표시되고,
운행 개시 버튼이 선택되면, 탑승할 관원생들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 중의 어느 하나가 체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순환 차량의 운행 재개시 상기 운행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의 선택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전송된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의 내용을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출석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출석부를 작성하고, 작성된 출석부를 상기 강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하차 안탐 버튼을 더 표시하고, 하차 안탐 버튼의 선택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하차 안탐 버튼의 선택에 의해 파악되는 하차 안탐 내용을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는 과정; 및
작성된 하차 운행표를 상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은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관제서버가 인터넷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제 서버가 각각의 단말기에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들은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모 입력 메뉴를 이용하여 관원생 이름, 메모를 전달할 수업시간,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수업 관련 메모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수업 관련 메모를 수신하는 메모 수신 모듈;
상기 메모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수업 관련 메모를 알람 시간과 더불어 저장하는 메모 데이터베이스;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수업 관련 메모에 포함된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작성하여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람 메시지 발생 모듈;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메시지는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로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메시지와 더불어 처리 완료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단말기의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완료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서버가 해당 알람 메시지에 대한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진 단말기 소지자와 더불어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메모가 처리완료 되었음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들은 메모 입력 메뉴를 이용하여 관원생 이름, 승하차 알림 내용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의 입력받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메모 수신 모듈을 통하여 승하차 관련 메모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참조하여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고, 작성된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상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운행표 작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차 운행표에 관원생의 탑승/비탑승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순환버스의 운행재개시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이 체크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버스의 운행 재개시 상기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을 상태를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서버는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출석부를 작성하고 작성된 출석부를 상기 강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출석부 작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은 학원의 수업관리 및 운행 관리에 관련된 메모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은 수업관리 및 운행 관리에 관련된 메모를 알람 메시지로 전달함과 더불어 처리 완료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를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누락되지 않고 완전하게 처리될 수 잇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이 적용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보인다.
도 3은 동기화 화면을 보인다.
도 4는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을 보인다.
도 5는 메모 입력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6은 캘린더를 통하여 이벤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다.
도 7은 관제 서버에서 수업 관련 메모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다.
도 8은 수업시간에 제공되는 알람 메시지의 예를 보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메모 입력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다.
도 11은 관제서버에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승하차 관련 메뉴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운행 관리 화면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승차의 경우를 보인다.
도 14는 운행 관리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다.
도 15는 관제서버에서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6은 탑승 알림 버튼과 출석부와의 관계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17은 운행표 수정의 예를 보인다.
도 18은 하차 운행표의 예를 보인다.
도 19는 통계 메뉴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20은 도 19의 화면에서 이벤트 통계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인다.
도 21은 도 20의 화면에서 메모란을 클릭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 22는 도 20의 화면에서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란을 더블클릭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이 적용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이 적용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은
관원생(102)이 휴대하는 관원생 단말기(112);
관원생(102)의 보호자(104)가 휴대하는 보호자 단말기(114);
일정 영역을 순환하는 순환차량(101)에 장착되거나 또는 순환차량(101)을 운전하는 운행자(106)에 의해 휴대되는 운행자 단말기(116)와,
강사(108)에 의해 휴대되는 강사 단말기(118),
학원의 원장, 원장의 업무를 보조하는 업무보조자와 같은 관리자(110)에 의해 휴대되는 관리자단말기(120)와,
관원생 정보를 유지하거나; 관원생(102), 보호자(104), 운행자(106), 강사(108), 관리자(120)로부터의 메모를 입력, 저장, 알람 메시지 전송, 수정, 통계, 삭제 등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관원 등록부, 운행표, 출석부 등을 작성, 갱신,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122)로 구성된다.
관원생 단말기(112), 보호자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에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관제 서버(122)는 인터넷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관원생 단말기(112), 보호자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에게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원생 단말기(112), 보호자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는 관제 서버(122)에 접속하여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패스워드 및 ID을 등록하여 사용하게 된다.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관원생, 학부모, 승차버스 운행자, 강사, 관리자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관원생 관리, 출석 관리, 운행 관리, 메모 관리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메모를 통해 입력된 내용이 완전하게 처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함과 더불어 메모 내용이 운행표, 출석부 등과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화면, 관원생 정보 입력하기 위한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 출석 관리를 출석 관리 화면, 수업관리/운행관리에 관한 메모를 입력하는 메모 입력 화면(500), 운행표를 출력하는 운행 관리 화면(1200), 통계 정보 출력을 위한 통계 정보 출력 화면, 환경 설정을 위한 환경 설정 화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 메시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한다.
관원생 단말기(112) 및 보호자 단말기(114)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대상 관원생, 고지할 수업시간, 순환버스의 이용여부, 전달 내용 등을 포함하는 메모를 입력한다. 메모는 관제서버(122)에 저장되며, 지정된 수업시간에 알람메시지로 운행자 단말기(116)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 등에 통지된다. 관제서버(122)는 입력된 메모에 대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메모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운행자 단말기(116)는 순환버스(101)의 운행자(106)가 순환버스 운행 도중에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운행자 단말기(106)에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운행자 단말기(116)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행자에게 운행표(승차 운행표, 하차 운행표)를 제공함과 더불어 관원생마다의 탑승/비탑승 여부를 파악하여 관제 서버(122)에 제공함으로써 관원생이 순환버스에 탑승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출석부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
운행표는 순환버스의 정거장, 정거장별 탑승 관원생 목록, 정거장별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자 단말기(116)에는 차량 운행을 돕기 위한 내비게이션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보인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200)의 상단에는 메뉴바(210)가 위치한다. 메뉴바(210)에는 동기화 메뉴 아이콘(212), 관원생 정보 관리 메뉴 아이콘(214), 출석 관리 메뉴 아이콘(216), 메모 입력 메뉴 아이콘(218), 운행 관리 메뉴 아이콘(220), 통계 메뉴 아이콘(222), 환경설정 메뉴 아이콘(224)가 표시된다.
도 3은 동기화 화면을 보인다.
동기화는 단말기(112, 114, 116, 118, 120)와 관제 서버(122)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마우스(302)를 동기화 메뉴 아이콘(212) 위에 놓으면 말풍선(304)에 의해 동기화 조작이 안내된다.
동기화 메뉴 아이콘(212)이 선택되면, 동기화 화면(300)을 통하여 동기화 다이얼로그 박스(306) 및 말풍선(308)가 보이면서 동기화 진행 상태를 표시한다.
도 4는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을 보인다.
마우스(302)를 이용하여 관원생 정보 입력 메뉴 아이콘(214)를 선택하면,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400)이 표시된다.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400)은 개인 신상정보 입력창(402)을 포함하며, 개인 신상정보 입력창(402)의 안쪽 하단에는 휴관 버튼(404a) 퇴관 버튼(404b), 수정 버튼(404c)이 표시된다.
개인 신상정보 입력창(402)의 아래쪽에는 수련비 체크 내역 버튼(412), 출결현황 버튼(414), 이벤트 내역 버튼(416)가 표시된다. 한편, 메모 직접 입력 아이콘(420)도 함께 표시되어, 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400)에서 바로 메모 입력이 가능하다.
개인 신상 정보 입력창(400)을 통해 관원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원생 정보는 순번, 학교, 학년, 반, 이름, 급수, 형제, 수업요일, 연락처(휴대폰), 입관일, 생년월일, 승단일, 주민번호, 영문이름, 보호자 이름, 보호자 연락처(휴대폰), 주소, 상담내용정리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메모 입력 화면의 예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은 메모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예약 알림 기능이 있다.
저장할 때는 관원생 이름을 클릭한 후 저장하면, 보호자와의 통화 횟수, 상담 저장한 사람 등이 저장되어 통계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번 달 보호자와의 통화 횟수가 "5회-가가가, 4회-나나나,,,"라는 식으로 정리되어 통계가 가능하다.
모든 메모는 알람 설정 시간, 업무 시작 시간, 업무 마무리 시간에 알람 메시지로 통지된다. (3번 기본 설정)
각 수업시간별 알림 메시지는 수업시작후 5분 마무리 10분전에 제공된다. 그후 업무 마무리 시간에 저장 출력이 가능하다.
음성 메모는 텍스트로 바뀌어 저장된다. 저장된 내용은 자동으로 다음 수업시작 5분후 마무리 10분전 그리고 업무 끝날 때, 다음날 업무 시작때 어제의 이벤트로 글이 뜬다.
도 5는 수업 관리에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마우스(302)를 이용하여 메모 입력 메뉴 아이콘(218)을 선택하면, 메모 입력 화면(500)이 표시된다.
메모 입력 화면(500)은 관원생 리스트창(502), 수업 시간 설정 버튼(504; 504a~504g), 음성 메모 입력 버튼(508), 전달 내용 입력창(510)을 포함한다.
관원생 리스트창(502)는 관원생의 이름이 리스트되고 리스트는 업/다운 터치 제스쳐에 따라 업/다운될 수 있다.
수업 시간 설정 버튼(504; 504a~504g)을 이용하여 수업 관련 메모를 공지할 수업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수업 시간 설정 버튼(504)에는 일일 전체 수업시간에 공지될 내용임을 지정하기 위한 일일 전체 수업 시간 버튼(All; 504a), 일일의 개별 수업시간들 중의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일일 개별 수업 시간 버튼(1부;504b, 2부;504c, 3부;504d, 4부;504e, 5부;504e), 이틀 이상에 걸친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 버튼(이벤트;504g)를 포함한다.
관원생 리스트창(502)에서 관원생을 선택하고, 수업 시간 설정 버튼(504)을 이용하여 수업시간을 선택하고, 전달 내용 입력창(510)에 전달할 메모를 입력한다. 메모를 입력하기 위하여 가상 키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전달 내용 입력창(510)에 메모를 입력하는 대신 음성 메모 입력 버튼(508)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메모를 남길 수도 있다. 음성으로 메모를 입력하는 것은 음성 키보드 기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수업 시간 설정 버튼(504)중에서 "ALL"버튼(504a)는 모든 일일 수업시간에 공지될 메모를 위한 것이고, 이벤트 버튼(504g)는 이틀 이상 공지될 메모를 위한 것이다.
이벤트 버튼(504g)이 눌려지면, 캘린더가 표시되고, 캘린더 상에서 이벤트 적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일 수업시간에 공지될 메모는 해당 수업 시간의 시작후 5분 그리고 종료전 10분에 알람 메시지로 강사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관리자 단말기(120)로 푸시(push)된다.
이벤트 메모 즉, 이틀 이상 공지될 메모는 이벤트 발생 전날 업무 마무리 시간, 이벤트 발생 당일 업무 시작 시간에 알람 메시지로서 강사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관리자 단말기(120)로 푸시된다.
확인 버튼(512f)를 누르면, 작성된 메모가 관제서버(122)로 전송된다.
도 6은 캘린더를 통하여 이벤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벤트 설정 화면(600)의 캘린더(602) 상에서 시작 날짜부터 종료 날짜까지 제스쳐에 의해 선을 죽 그으면 해당 이벤트 기간이 설정된다.
도 7은 관제 서버에서 수업 관련 메모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다.
도 7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22)는 메모 수신 모듈(702), 메모 데이터베이스(DB)(704), 알람 메시지 처리 모듈(706)을 포함한다.
메모 수신 모듈(702)는 관원생 단말기(112), 보호자 단말기(114),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로부터의 학원 관리 어프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모를 수신한다.
메모 수신 모듈(702)에 의해 수신된 메모는 메모 DB(704)에 등록된다.
이때, 수업 시간에 따른 알람 시각이 설정된다. 알람 시각은 수업 시작후 5분 및 수업 종료전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벤트 메모의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전날 업무 마무리 시간, 이벤트 발생 당일 업무 시작 시간이 알람 시각으로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람 메시지 처리 모듈(704)는 설정된 알람 시각에 맞추어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발생하고, 이를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알람 메시지는 푸시 기능을 통하여 전달된다.
도 8은 수업시간에 제공되는 알람 메시지의 예를 보인다.
도 8을 참조하면, 알람 메시지 화면(800)은 알람 메시지 알림창(802)와 처리 완료 버튼(804)을 포함한다. 알람 메시지 알림창(802)을 통하여 알람 메시지가 표시되며, 알람 메시지는 흐르는 문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일 수업시간에 적용되는 수업 관련 메모는 해당 수업 시간의 시작후 5분 그리고 종료전 10분에 알람 메시지로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로 통지된다.
이벤트에 적용되는 메모는 이벤트 발생 전날 업무 마무리 시간, 이벤트 발생 당일 업무 시작 시간에 알람 메시지로서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로 통지된다.
운행자(106), 강사(108), 관리자(120)가 해당 알람 전달 내용에 따른 조치를 완료한 경우 처리 완료 버튼(804)을 누르게 되고, 처리 완료 버튼(804)의 내용이 확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제 서버(122)로 전송된다.
관제 서버(122)의 메모 수신 모듈(702)은 수신된 처리 완료 내용에 포함된 처리 완료 여부, 처리자를 메모 DB(704)에 등록한다. 처리자는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진 단말기가 누구의 단말기인지를 파악함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혹은 처리자의 단말기에서 소유자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식별기호를 처리 완료 내용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처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수업 관련 메모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학원 메모 처리 방법을 보인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메모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902)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관원생, 수업시간,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다. (S904)
입력된 수업 관련 메모는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제 서버(122)로 전송된다.
관제 서버(122)는 입력된 수업 관련 메모를 메모 DB(704)에 등록한다.(S906)
이때, 알람 시간이 함께 설정된다. 알람 시간은 메모를 공지할 수업시간의 시작후 5분 종료전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벤트일 경우 이벤트 알람 시간은 이벤트 발생 전날의 업무 마무리 시간, 이벤트 발생 당일의 업무 시작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발생하여 운행자 단말기(116), 강사 단말기(118), 관리자 단말기(120)로 푸시한다. (S908)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졌는 지를 확인하고, 처리 완료 여부 및 처리자를 메모 DB(704)에 등록한다. (S910)
도 10은 메모 입력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다.
도 10은 승하차 관리에 관련된 메모(승하차 관련 메모)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마우스(302)를 이용하여 메모 입력 메뉴 아이콘(218)을 선택하면, 메모 입력 화면(500)이 표시된다.
메모 입력 화면(500)은 관원생 리스트창(502), 승차 알림 버튼(1002; 1002a ~1002d), 음성 메모 입력 버튼(508), 전달 내용 입력창(510)을 포함한다. 승차 알림 버튼(1002)은 오늘쉼 버튼(1002a), 승차 안함 버튼(1002b), 운행표 수정 버튼(1002c), 하차 안탐 버튼(1002d)을 포함한다.
운행표 수정 버튼(1002c)는 전체 운행표 수정을 위해 사용된다. 오늘 운행표 수정은 후술하는 운행 관리 화면(1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관원생 리스트창(502)에서 관원생을 선택하고, 승차 알림 버튼(1002; 1002a ~1002d)을 이용하여 승하차 여부를 선택하고 전달 내용 입력창(510)을 통하여 전달 내용을 입력한다.
승차 알림 버튼(1002; 1002a ~1002d)의 선택 내용 및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는 운행표 작성시 참조된다.
도 11은 관제서버에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 수신 모듈(702)는 승하차 관련 메모를 수신하여 메모 DB(704)에 등록한다.
운행표 작성 모듈(708)은 승하차 스케쥴 DB(710)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운행표를 작성하고, 메모 DB(704)에 저장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참조하여 운행표를 갱신하고, 이를 운행자 단말기(116)로 전송한다.
승하차 스케쥴 DB(710)는 일일 승하차 스케쥴을 저장하며, 이 일일 승차 스케쥴은 특별한 변동이 없을 경우 적용되는 것이다. 승하차 관련 메모는 일일 승차 스케쥴에 특별한 변동을 주는 것에 해당한다. 운행표 작성 모듈(708)는 메모 DB(704)에 저장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참조함으로써 변경 내용이 실시간으로 적용된 운행표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승하차 관련 메뉴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메모 입력 메뉴 아이콘(218)가 선택되면, 메모 입력 화면(500)을 표시한다.(S1202)
메모 입력 화면(500)을 통하여 관원생, 승하차 알림 버튼 선택 내용,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다.(S1204)
승하차 관련 메모가 관제 서버(122)로 전송된다.(S1206)
관제 서버(122)는 입력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메모 DB(704)에 등록한다.(S1208)
운행표 작성 모듈(708)은 승하차 스케쥴 DB(710)을 참조하여 운행표를 작성하고, 메모 DB(704)에 저장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참조하여 운행표를 갱신하고(S1210), 이를 운행자 단말기(116)로 전송한다(S1212).
도 13은 운행 관리 화면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승차의 경우를 보인다.
마우스(302)를 이용하여 운행 관리 메뉴 아이콘(220)를 선택하면, 운행 관리 화면(1200)이 표시된다.
운행 관리 화면(1200)의 상단에는 검색란(1202), 차량 선택 버튼(1204; 1204a~1204c), 운행일지 버튼(1206), 운행 시작 버튼(1208), 승차 운행표(1210)가 표시된다. 검색란(1202)에 관원명을 입력하면 해당 관원생의 탑승/하차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차 운행표(1210)에는 도착 장소(정류장)별 도착 예정 시간, 도착 장소(정류장), 관원생 이름, 특이사항 항목이 표시된다.
특이사항 항목에는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1212a~1212b), 메모 직접 입력 아이콘(420), 전화걸기 아이콘(1214)가 표시된다.
여기서,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1212a~1212b), 메모 직접 입력 아이콘(420), 전화걸기 아이콘(1214)은 관원생 각각에 대하여 표시된다.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1212a~1212b)은 승차 알림 아이콘(1212a) 및 비승차 알림 버튼(1212b)을 포함한다.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에 의해 해당 관원생의 해당 운행 차량에 대한 탑승/비탑승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1212a~1212b)은 운행자 단말기(116) 상에 표시되며, 운행자(106)가 직접 선택 입력한다. 즉, 운행자(106)가 관원생들의 승차/비승차 여부를 파악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승차 알림 아이콘(1212a)가 눌려지면, 자동 푸시 기능에 의해 출석부에 반영되고, 보호자 단말기(114)에게 문자가 발송된다. 문자 발송 기능은 on, off 가능하다.
전화걸기 아이콘(1212)을 누르면, 보호자(104)와 통화가 가능하고, 통화 기록을 저장하거나 통계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
운행자(106)가 운행을 재개할 때, 운행 시작 버튼(1208)를 누르게 된다. 이때, 해당 정류장에서 탑승 예정인 관원생들 각각에 대해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1212a, 1212b)이 선택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고 신호에 의해 해당 정류장에서 탑승 예정인 관원생들 각각에 대해 탑승 여부가 완전하게 파악되었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작 버튼(1208)이 선택되면,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의 내용이 관제서버(122)로 전송된다. 관제서버(122)는 전송된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의 내용을 참조하여 출석부를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도 14는 운행 관리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다.
도 14를 참조하면, 운행자 단말기(116)가 가로로 뉘여져 있고, 이때 운행 관리 화면의 한쪽에 내비게이션창(1402)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관제서버에서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승차알림 수신 모듈(1502)는 운행자 단말기(116)에서 전송되는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의 내용을 수신하여 운행표 작성 모듈(708)에 제공한다.
운행표 작성 모듈(708)은 승차알림 수신 모듈(1502)로부터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의 내용을 참조하여 운행표를 갱신함과 더불어 이를 출석부 작성 모듈(1504)로 제공한다.
한편, 운행표 작성 모듈(708)은 메모 DB(704)로부터 하차 안탐 버튼(1002d) 상태를 추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운행표 및 승하차 스케쥴 DB(710)를 갱신한다.
출석부 작성 모듈(1504)은 출석부 DB(1506)를 참조하여 출석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1212) 상태를 참조하여 출석부를 갱신하고, 갱신된 출력부를 강사 단말기(118), 괸리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도 16은 탑승 알림 버튼과 출석부와의 관계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승차 알림 아이콘(1212a)이 눌려지면, 출석부에 자동으로 검은 색 동그라미로 체크되어 정상적으로 출석하는 것임을 표시하게 된다.
비승차 알림 아이콘(1212b)이 눌려지면, 출석부에 빨간색 동그라미로 체크되어 자가 출석하는 것임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오늘 쉼 버튼(1002a)이 눌려지면, 출석부에 검은 색 엑스로 체크되어 출석 않암을 표시하게 된다.
통화도 안되고 탑승도 안한 경우 출석부에 빨간색 엑스로 체크되어 강사(108)가 별도로 체크할 필요가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원 메모 처리 방법에 따르면, 관원생의 탑승 여부를 출석부에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써 강사(118)가 용이하게 출석 관련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7은 운행표 수정의 예를 보인다.
도 13의 운행 관리 화면(500)에서 검색란(1202)에 관원생명을 입력하면 해당 관원생란이 붉은 박스로 둘러싸여 표시된다. 붉은 색 박스를 길게 클릭(long click) 하면 오른쪽에 보여지는 운행표 수정테이블(1710)이 표시된다.
운행표 수정 테이블(1710)에서 1,2,3호차, 수업시간을 선택하면 선택된 호차 및 수업시간에 해당하는 운행표로 화면이 넘어간다. 이때, 빨간 색 박스는 상단에 떠있다. 원하는 위치에 내려놓으면 코스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장소명, 시간은 설정하여야 한다. 이것 또한 이벤트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운행표 수정은 오늘 날짜만 위치 이동 가능하다. 날짜 이동 등 전체 수정은 "메모-운행표 수정창"으로 가서 해야 한다.
원하는 위치에원하는 위치ㅇ운행표 수정 화면(1700)에는 선택된 관원생이 리스트된 행이 빨간색 박스로 둘러싸여 플로팅(floating) 상태임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빨간 색 박스를 드랙앤드롭(drah & drop)하여 다른 행들 사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운행표를 재설정하게 되면, 해당 관원생의 수정된 승하차 스케쥴이 승하차 스케쥴 DB(710)에 반영된다.
도 18은 하차 운행표의 예를 보인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차 운행표(1810)는 차량 호수 및 승차 관원생 리스트를 갖는다.
하차 운행표(1810)에도 내비게이션 기능이 있다.
관원생 명부의 하차 코스에 따라 요일별 사항까지도 자동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므로 하차코스대로 운행하면 된다.
즉흥적으로 하차 인원을 추가할 때는 순서번호를 클릭하면 그 순서에 추가할 수 있으며, 원래 그 순서에 있던 사람은 자동으로 한 칸 아래로 이동된다.
동기화하고 나면 내비게이션 기능이 된다.
도 19는 통계 메뉴 화면의 예를 보인다.
마우스(302)를 이용하여 통계 메뉴 아이콘(222)를 선택하면, 통계 메뉴 화면(1900)이 표시된다.
통계 메뉴 화면(1900)을 통하여 관원생 통계, 수련비 통계, 이벤트 통계, 출석 통계, 지출입 내역 통계 등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9의 화면에서 이벤트 통계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인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벤트 통계 화면(2000)은 이벤트 리스트란(2002) 및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란(2004)을 포함한다. 이벤트 리스트란(2002)에는 관원생 리스트와 더불어 해당 관원생에 대한 메모 및 운행표를 볼 수 있다.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란(2004)에는 예약된 이벤트들이 실시간으로 리스트된다.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란(2004)을 더블클릭시 오늘 및 다음날 날짜로 설정된 이벤트들을 확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오늘 및 다음날 날짜로 설정된 이벤트들을 확인힐 수 있어서 미리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도 20의 화면에서 메모란을 클릭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메모 확인 화면(2100)은 메모 확인창(2102)을 포함한다. 메모 확인창(2102)에는 입력된 메모가 표시된다.
도 22는 도 20의 화면에서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란을 더블클릭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간 이벤트 리스트 화면(2200)는 칼렌더 표시란(2202) 및 메모 알림창(2204)을 포함한다. 칼렌더 표시란(2202)에는 해당 관원생에 대한 메모 및 이벤트가 표시된다. 이벤트는 색깔을 가지는 줄로 표현된다.
날짜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해당 날짜에 메모된 내용을 알수 있고 출력도 가능하다.
메모 알림창(2204)에는 예약된 알람 설정 시간에 예약된 메모가 표시된다.
메모 직접 입력 아이콘(420)을 클릭하면 직접 문자를 입력함에 의해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보드가 제시된다.
음성 메모 입력 아이콘(422)를 클릭하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종지의 음성 키보드 기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3은 운행표 설정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10의 메모 입력 화면(500)에서 운행표 설정 버튼(1002c)를 누르면 운행표 설정화면(2300)이 표시된다.
직접 설정시 아래쪽 화면이 표시된다.
도 24는 관원생 검색 화면의 예를 보인다.
관원생들은 가나다 순으로 정리되어 리스트되고 스크롤 가능하다.
메모란을 클릭하면 메모창으로 넘어간다.
관원생 이름을 길게 클릭하면 관원생 정보로 들어갈 수 있다.
도 25는 메모창의 예를 보인다.
도 24의 관원생 검색 화면에서 메모란을 클락하면 도 25의 메모창이 표시된다.
도 26은 관원생 통계 화면의 예를 보인다.
도 27은 수련비 통계 화면을 보인다.
수련비 저장시 날짜를 클릭하면 결재 수단(현금, 카드, 이체) 체크후 저장한다.
도 28은 이벤트 통계 화면을 보인다.
도 28을 참조하면, 관원생별로 이벤트 내용 및 여부가 일자별로 표시되고 일자별 표시를 클릭하면 상담 내용, 상담자, 저장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도 29는 출석 통계 화면의 예를 보인다.
캘린더 모드 및 순위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0은 학원 관리 프로그램의 기능을 요약하여 보인다.
100...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12...관원생 단말기 114...보호자 단말기
116...운행자 단말기 118...강사 단말기
120...관리자 단말기 122...관제 서버
210...메뉴바 212...동기화 메뉴 아이콘
214...관원생 정보 관리 메뉴 아이콘
216...출석 관리 메뉴 아이콘
218...메모 입력 메뉴 아이콘
220..운행 관리 메뉴 아이콘
222...통계 메뉴 아이콘
224...환경설정 메뉴 아이콘
300...동기화 화면
302...마우스 304, 308...말풍선
306...동기화 다이얼로그 박스
400...관원생 정보 입력 화면
402...개인 신상 정보 입력창 404a...휴관 버튼
404b...퇴관 버튼 404c...수정 버튼
420...메모 직접 입력 아이콘 422...음성 메모 입력 아이콘
500...메모 입력 화면 502...관원생 리스트창
504...수업 시간 설정 버튼 508...음성 메모 입력 버튼
510...전달 내용 입력창 504g...이벤트 버튼
1002...승하차 알림 버튼
600...이벤트 설정 화면 602...캘린더
702...메모 수신 모듈 704...메모 데이터베이스
706...알람 메시지 처리 모듈 708...운행표 작성 모듈
710...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
800..알람 메시지 화면
802...알람 메시지 알림창 804...처리 완료 버튼
1200...운행 관리 화면 1202...검색란
1204...차량 선택 버튼 1206...운행일지 버튼
1208...운행 시작 버튼 1210...승차 운행표
1212...승차 여부 알림 아이콘
1212a...승차 알림 아이콘 1212b...비승차 알림 아이콘
1214...전화걸기 버튼
1402...내비게이션창 1502...승차알림 수신 모듈
1504...출석부 작성 모듈
1810...하차 운행표 1900...통계 메뉴 화면

Claims (20)

  1.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원의 수업 관리 및 승하차 `관리에 관한 메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모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단말기에 메모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메모의 대상이 되는 관원생, 메모를 전달할 수업 시간,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 과정;
    메모를 입력받은 단말기에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메모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수신된 메모를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더불어 지정된 수업시간에 맞추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작성하여 운행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여 전달 내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음성 키보드를 제공하여 전달 내용을 음성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시지는 푸시 기능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수업 시간 선택 버튼을 표시하고, 수업 시간 선택 버튼은 메모를 제공한 수업 시간은 일일 전체 수업시간에 공지될 내용임을 지정하기 위한 일일 전체 수업 시간 버튼, 일일의 개별 수업시간들 중의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일일 개별 수업 시간 버튼, 이틀 이상에 걸친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 버튼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이벤트 버튼이 선택되면, 이벤트 설정 화면을 통하여 캘린더를 표시하고, 캘린더 상에서 이벤트 기간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메시지와 더불어 처리 완료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단말기의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완료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관제 서버가 해당 알람 메시지에 대한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진 단말기 소지자와 더불어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메모가 처리완료 되었음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승하차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승하차 알림 버튼의 선택을 입력받고, 승하차 알림 버튼의 선택 내용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승하차 관련 메모에 포함된 승하차 알림 버튼에 의해 파악되는 승하차 여부를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는 과정; 및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승차버스를 운행하는 운행자가 휴대한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운행 관리 메뉴의 운행 관리 화면을 통하여 상기 승차 운행표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승차 운행표에 기재된 관원생마다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관원생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을 입력받고,
    순환차량의 운행 재개시 탑승할 관원생들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 중의 어느 하나가 체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승차 운행표에 운행개시를 알리는 운행 개시 버튼이 표시되고,
    운행 개시 버튼이 선택되면, 탑승할 관원생들마다의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 중의 어느 하나가 체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순환 차량의 운행 재개시 상기 운행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승 알림 버튼 및 비탑승 알림 버튼의 선택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전송된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의 내용을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출석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출석부를 작성하고, 작성된 출석부를 상기 강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하여 하차 안탐 버튼을 더 표시하고, 하차 안탐 버튼의 선택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하차 안탐 버튼의 선택에 의해 파악되는 하차 안탐 내용을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
    상기 관제 서버가 승하차 스케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는 과정; 및
    작성된 하차 운행표를 상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방법.
  14.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관제서버가 인터넷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제 서버가 각각의 단말기에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들은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모 입력 메뉴를 이용하여 관원생 이름, 메모를 전달할 수업시간,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수업 관련 메모를 입력받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수업 관련 메모를 수신하는 메모 수신 모듈;
    상기 메모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수업 관련 메모를 알람 시간과 더불어 저장하는 메모 데이터베이스;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수업 관련 메모에 포함된 전달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작성하여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람 메시지 발생 모듈;
    을 포함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시지는 강사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로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알람 메시지와 더불어 처리 완료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단말기의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완료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제 서버가 해당 알람 메시지에 대한 처리 완료 버튼이 눌려진 단말기 소지자와 더불어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메모가 처리완료 되었음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관원생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강사 단말기, 운행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들은 메모 입력 메뉴를 이용하여 관원생 이름, 승하차 알림 내용을 포함하는 승하차 관련 메모의 입력받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메모 수신 모듈을 통하여 승하차 관련 메모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승하차 관련 메모를 참조하여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작성하고, 작성된 승차 운행표 및 하차 운행표를 상기 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운행표 작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 운행표에 관원생의 탑승/비탑승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을 표시하고,
    순환버스의 운행재개시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이 체크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버스의 운행 재개시 상기 학원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의 내용을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탑승/비탑승 알림 버튼을 상태를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출석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출석부를 작성하고 작성된 출석부를 상기 강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출석부 작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KR1020180122123A 2018-10-12 2018-10-12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KR20200041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123A KR20200041701A (ko) 2018-10-12 2018-10-12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123A KR20200041701A (ko) 2018-10-12 2018-10-12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01A true KR20200041701A (ko) 2020-04-22

Family

ID=7047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123A KR20200041701A (ko) 2018-10-12 2018-10-12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8973A (zh) * 2020-07-09 2020-11-06 齐瑞群 一种改进的月视图日历提醒事件概览显示及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565A (ko) 2012-02-08 2013-08-19 대진기술정보 (주) 순환차량 관리 시스템
KR20140085617A (ko) 2012-12-21 2014-07-08 주식회사 구슬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20150077739A (ko) 2013-12-30 2015-07-08 김형준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565A (ko) 2012-02-08 2013-08-19 대진기술정보 (주) 순환차량 관리 시스템
KR20140085617A (ko) 2012-12-21 2014-07-08 주식회사 구슬 통학버스를 이용한 원생 승차 및 하차 관리장치
KR20150077739A (ko) 2013-12-30 2015-07-08 김형준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8973A (zh) * 2020-07-09 2020-11-06 齐瑞群 一种改进的月视图日历提醒事件概览显示及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8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job assignment information to a user
US6732080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alendar services
CN100397384C (zh) 车载终端装置
US9342976B2 (en) Incident response system
US7376662B2 (en) Travel update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1200894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opulating job assignment submissions
CN105468580A (zh) 基于关注点信息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CN101799989A (zh) 交通工具定时提醒系统和方法
JP5486873B2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MXPA06001086A (es) Aparato y metodo para grabar datos de inspeccion.
KR20100111564A (ko) 개인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출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112426A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CN107665372A (zh) 预约数据处理方法、第一终端及服务器
KR20200041701A (ko) 학원 메모 관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학원 메모 관리 시스템
Ferris OneBusAway: Improving the usability of public transit
JP489174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30071822A1 (en) Interactive System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e Identification and/or Management of Psychological Issues
JP2020109403A (ja) エリア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2021379A1 (en) Integrated on-line course registration scheduling participant transcript and administrative monitoring system
JPH0696085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3700083B2 (ja) 行先ルート案内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2833673A (zh) 基于元数位计算的信息实时主动关联与推送方法
KR102591038B1 (ko) 인공지능 캘린더를 활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KR101824959B1 (ko) 일일 업무 관리 시스템
JP4662472B2 (ja) 携帯電話端末状態監視システム、携帯電話端末状態監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