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575B1 - 브릿지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브릿지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8575B1 KR102008575B1 KR1020170132499A KR20170132499A KR102008575B1 KR 102008575 B1 KR102008575 B1 KR 102008575B1 KR 1020170132499 A KR1020170132499 A KR 1020170132499A KR 20170132499 A KR20170132499 A KR 20170132499A KR 102008575 B1 KR102008575 B1 KR 102008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frame
- coupled
- link member
- bridge convey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브릿지 컨베이어가 개시된다. 브릿지 컨베이어는, 프레임;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릿지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를 자동적ㆍ연속적으로 재료나 물품을 운반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공장 내에서 부품이나 재료의 운반, 반제품의 이동, 항만ㆍ광산 등에서 석탄ㆍ광석 화물의 운반, 건설 현장에서 모래 등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공장에서는 운반 장치로서뿐만 아니라 이동 작업대로 사용하며 대량 생산 방식의 기반이 되어 있다.
종래의 컨베이어는 컨테이너 방향으로 프레임을 회전시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와이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컨테이너 상부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비로서 설치되어 컨베이어 이동에 오히려 제약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브릿지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물품 로딩 및 언로딩 할 수 있는 브릿지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없이 프레임 회전이 가능한 브릿지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릿지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 컨베이어에 있어서, 프레임;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는 브릿지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링크 구동부가 회전된다.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은 각각 상기 링크 구동부의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을 통해 결합된 상기 링크 구동부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 링크부의 회전 샤프트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일단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폴딩 상태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가 물품을 로딩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수평을 형성하도록 회전 이동된 상태이다.
상기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상부면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회전 이동된 상태이다.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각 측면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링크 구동부의 회전 사프트에 체결되는 구동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레버의 일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의 타단은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직각 삼각형 형상이되,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브라켓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링크부와 상기 구동 레버가 결합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과 타면은 직각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물품 로딩 및 언로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없이 프레임 회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이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여 브릿지 컨베이어 자체의 적재 공간이 작아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의 프레임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의 프레임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컨베이어와 브릿지 가능한 브릿지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는 와이 없이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 컨베이어는 도어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물품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의 상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의 브릿지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의 프레임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지지 부재(110), 프레임(120), 제1 링크 부재(130), 제2 링크 부재(140), 링크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10)는 브릿지 컨베이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프레임의 회전시 프레임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프레임을 회전시켜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는 프레임 자체가 접히거나 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이 회전됨에 따라 지지 부재(110)를 대면하도록 접히거나 세워진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20)의 폴딩(folding)은 도 1과 같이 지지 부재(110)를 대면하며 프레임(120)이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120)의 언폴딩(unfolding)이란 브릿지 컨베이어(100)가 물품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120)의 디폴트 상태로서 프레임(120)이 지지 부재(110)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다(도 3 참조).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프레임(120)을 소정의 각도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프레임(120)의 폴딩을 위한 각도는 브릿지 컨베이어(100)의 이용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물품을 로딩/언로딩시 물품의 이송 경로를 바꾸는 가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다른 컨베이어(미도시)의 일측면에 신장되도록 프레임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로딩된 물품을 이송시켜 다른 컨베이어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다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물품을 전달받아 이송 방향을 바꾸어 적재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브릿지 컨베이어(100)가 다른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경우, 브릿지 컨베이어(100)와 다른 컨베이어의 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지지 부재(110)는 신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물품이 로딩/언로딩시 물품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수단으로 프레임(120)의 종단측면에는 스프로킷(체인 기어)가 결합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양단측면에 결합된 스프로킷(체인 기어)를 프레임 스프로킷이라 칭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20)의 내부 측면 양단부에 프레임 스프로킷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20)의 내부 일측면 단부에 결합된 프레임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는 대면하는 내부 타측면 단부에 결합된 프레임 스프로킷과 사프트가 체결되어 있으며, 사프트의 일단은 컨베이어 구동 모터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구동 모터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사프트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사프트에 체결된 프레임 스프로킷이 회전함에 따라 체인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120)의 구조 및 동작 방법 자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120)의 외측면에는 각각 제1 링크 부재(130)와 제2 링크 부재(140)가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30)와 제2 링크 부재(140)는 프레임(120)의 무게 중심 위치에 인접(무게 중심보다 약간 낮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20)의 길이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이 결합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링크 부재(130)의 일단은 프레임(120)의 외부 일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단은 프레임(120)의 외부 타측면에 결합된다.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는 프레임의 외부 일측면에 각각 별도의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단은 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 부재를 통해 각각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는 각각 링크부(210)와 구동 레버(220)를 포함한다.
링크부(210)의 일단은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링크부(210)의 타단은 구동 레버(220)와 결합된다. 구동 레버(220)의 길이는 프레임(120)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부(21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기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링크부(210)의 일단은 너트 형상을 가지는 결합 부재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너트 형상을 볼트가 관통하며 프레임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10)의 타단은 구동 레버(2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부(210)의 타단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부(210)의 타단은 브라켓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링크부(210)에 형성된 브라켓에 구동 레버(2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링크부(210)에 형성된 브라켓은 구동 레버(220)가 90도 회전이 가능한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링크부(210)에 형성된 브라켓의 일면에 링크부(210)의 일면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브라켓의 타면에 구동 레버(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구동 레버(220)와 링크부(210)가 결합되는 브라켓의 각 면은 서로 직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레버(220)가 링크 구동부(150)의 회전 사프트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레버(220)가 회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브라켓이 회전하게 되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된 링크부(210)가 회전 이동하게 되며 프레임(120)이 회전된다.
구동 레버(220)의 타단은 링크 구동부(150)의 회전 사프트와 결합된다.
링크 구동부(150)는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으로 결합되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링크 구동부(150)는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으로 결합됨에 따라 구동 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링크 구동부(150) 또한 구동 모터의 구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링크 구동부(150)는 회전 샤프트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30)와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링크 구동부(150)의 구동 방향으로 링크 구동부(150)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사프트 양단에 각각 일면이 결합된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와 타단이 고정 결합된 프레임(120)이 폴딩 또는 언폴딩 동작하게 된다.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른 링크 구동부(150)의 회전에 따라 제1 링크 부재(130)와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단의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프레임(120)은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에 의해 90도 회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프레임(120)의 회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브릿지 컨베이어(100)가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상태가 아닌 경우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브릿지 컨베이어(100)의 적재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이 브릿지 컨베이어에서 언폴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제1 구동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경우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을 통해 결합된 링크 구동부(15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링크 구동부(150)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 샤프트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의 일단이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링크 부재(130) 및 제2 링크 부재(14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프레임(120)이 제1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브릿지 컨베이어(100)에서 프레임이 제2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단위로 회전 이동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브릿지 컨베이어(100)에서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의 프레임(100)의 회전 각도는 0일 수 있다.
도 5는 프레임(100)을 15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프레임(100)을 3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프레임(100)을 45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8은 프레임(100)을 60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9는 프레임(100)을 75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프레임(100)을 90도 회전시켜 언폴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브릿지 컨베이어(100)는 제2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회전하며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브릿지 컨베이어
110: 지지 부재
120: 프레임
130, 140: 제1 링크 부재, 제2 링크 부재
150: 링크 구동부
210: 링크부
220: 구동 레버
110: 지지 부재
120: 프레임
130, 140: 제1 링크 부재, 제2 링크 부재
150: 링크 구동부
210: 링크부
220: 구동 레버
Claims (9)
- 브릿지 컨베이어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를 지지하며, 다른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다른 컨베이어와 높이를 맞추도록 신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링크 부재;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부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 구동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링크 구동부가 회전되며,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의 이용 용도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폴딩을 위한 회전 각도를 다르게 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무게 중심보다 소정의 낮은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각 측면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링크 구동부의 회전 사프트에 체결되는 구동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의 타단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 레버가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브라켓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링크부와 상기 구동 레버가 결합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과 타면은 직각을 형성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타단은 각각 상기 링크 구동부의 회전 샤프트의 일단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와 스프로킷을 통해 결합된 상기 링크 구동부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 구동부의 회전 샤프트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일단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폴딩 상태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가 물품을 로딩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수평을 형성하도록 회전 이동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언폴딩 상태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브릿지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상부면과 직각을 형성하도록 회전 이동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의 일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컨베이어.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2499A KR102008575B1 (ko) | 2017-10-12 | 2017-10-12 | 브릿지 컨베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2499A KR102008575B1 (ko) | 2017-10-12 | 2017-10-12 | 브릿지 컨베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1206A KR20190041206A (ko) | 2019-04-22 |
KR102008575B1 true KR102008575B1 (ko) | 2019-10-21 |
Family
ID=6628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2499A KR102008575B1 (ko) | 2017-10-12 | 2017-10-12 | 브릿지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857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0885Y1 (ko) * | 2005-12-05 | 2006-03-10 | 박종식 | 높이 조절되는 이동형 콘베이어 |
JP5626579B2 (ja) * | 2010-12-08 | 2014-11-19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搬送用の移動体 |
KR101708857B1 (ko) * | 2016-02-25 | 2017-02-21 | 칼텍주식회사 | 벨트컨베이어 연동형 티퍼 |
-
2017
- 2017-10-12 KR KR1020170132499A patent/KR1020085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0885Y1 (ko) * | 2005-12-05 | 2006-03-10 | 박종식 | 높이 조절되는 이동형 콘베이어 |
JP5626579B2 (ja) * | 2010-12-08 | 2014-11-19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搬送用の移動体 |
KR101708857B1 (ko) * | 2016-02-25 | 2017-02-21 | 칼텍주식회사 | 벨트컨베이어 연동형 티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1206A (ko) | 2019-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128337A1 (zh) | 驱动装置、货斗及自动售货机 | |
KR20150131739A (ko) |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 |
WO2018018841A1 (zh) | 无人机货舱 | |
CN113734757B (zh) | 用于童鞋装配的双层传送带托盘运输的可升降式传送装置 | |
KR102008575B1 (ko) | 브릿지 컨베이어 | |
JPH07330143A (ja) | 搬送台車および搬送台車を備えた水平搬送設備 | |
KR101309833B1 (ko) | 운반물 배출 분산부를 가진 컨베이어 | |
JP5657285B2 (ja) | 搬送装置 | |
KR200453283Y1 (ko) |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 |
JP2018052663A (ja) | 搬送装置 | |
JP2009107802A (ja) | 搬送計量装置 | |
JP2012020810A (ja) | ベルトコンベヤ | |
US1034641A (en) | Conveyer. | |
KR102167459B1 (ko) | 대량 물건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 |
KR100916599B1 (ko) | 스파이럴 컨베이어 | |
JP7211094B2 (ja) | 運搬装置 | |
JPH03205205A (ja) | 直角移動デッキ | |
KR101606997B1 (ko) | 더블 게이트 슈트장치 | |
CN219078374U (zh) | 一种物流包装用具有纸箱翻转功能的输送机 | |
KR102432989B1 (ko) | 기계식 수평 유지 장치 및 이러한 수평 유지 장치를 구비한 무인 반송 차량 | |
JP7400061B1 (ja) | 反転装置 | |
CN218464748U (zh) | 一种粮袋装卸货输送平台 | |
CN214651153U (zh) | 一种可伸缩电动滚筒输送机 | |
KR101643813B1 (ko) | 자동 피킹 시스템 | |
WO2019207998A1 (ja) | 搬送仕分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