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22B1 -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 Google Patents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22B1
KR102007822B1 KR1020170184545A KR20170184545A KR102007822B1 KR 102007822 B1 KR102007822 B1 KR 102007822B1 KR 1020170184545 A KR1020170184545 A KR 1020170184545A KR 20170184545 A KR20170184545 A KR 20170184545A KR 102007822 B1 KR102007822 B1 KR 102007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upled
drive shaft
control bod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775A (ko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최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호 filed Critical 최현호
Priority to KR102017018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있어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축, 인장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와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구동축(DS1)이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대칭하여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피동축(DS2)이 결합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와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1피스톤(P1)이 형성된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400);과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2피스톤(P2)이 형성된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500);과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3피스톤(P3)이 형성된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600); 및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4피스톤(P4)이 형성된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700);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도 벨트 컨베이어(BC)로부터 벨트(B)가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함으로서, 벨트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Apparatus for replacing a belt of a conveyor}
본 발명은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벨트의 장력이 제거되어,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벨트의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벨트의 교체 작업의 효율성이 제고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는 벨트를 활차에 의해 순환시켜 벨트에 얹은 물품을 주로 수평으로 운반하는 연속 운반장치이다.
이는, 공장, 상점, 백화점에서의 재료, 물품의 상품 운반, 또는 시공 현장에서의 토사, 골재, 콘크리트의 운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 객체를 이송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는,
앞쪽 끝의 구동용 풀리와 뒤쪽 끝의 풀리 및 아이들러(지지 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 벨트로, 특정 객체를 수평 혹은 경사 방향으로 수송하는 장치이며, 스크루 컨베이어나 판으로 눌러서 운반하는 플라이트 컨베이어에 비해서 많은 설비비가 필요하지만, 마찰에 의한 동력 손실이 매우 적기 때문에 다량의 특정 객체를 장거리 수송하는 경우에 적합하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컨베이어이다.
그러나, 벨터 컨베이어의 벨트가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파손으로, 벨트를 교체할 시에 벨트의 교체 작업시간으로 공정의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시간 내에 누구나 쉽게 벨트를 교체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된 벨트 컨베이어가 필요하다.
이에,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2566호의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구멍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베어링이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로울러와 동력전달을 위하여 상기 구동로울러의 일측 축봉과 모터의 축봉에 결합된 체인기어에 체인을 연결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프레임의 구멍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장력조절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구멍과 장력조절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브라켓 사이에 나사구멍을 갖는 축봉이 결합된 피동로울러로 구성된 피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로울러와 피동부의 피동로울러 사이에 연결된 벨트로 구성된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피동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브라켓에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홈을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축봉을 갖는 피동로울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피동로울러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양끝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피동로울러 착탈홈과 장력조절 가이드 홈을 "ㄱ"자 형태로 일체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마모 및 파손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구동부는 구성하는 구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고, 피동부를 구성하는 피동로울러 지지브라켓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피동로울러를 분리함으로써 벨트를 교체할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가 있는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126호의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얹힌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동작하는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 구조를 구현하며, 또 동작하는 벨트의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여 작업 환경의 개선 및 벨트의 표면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장치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기술분야가 동일하다.
따라서, 각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있어 일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지만,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장치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한 채,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가 교체되도록 하는 기술이긴 하나,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벨트를 교체함에 있어 벨트의 교체 작업시간이 기본적으로 오래 걸리며, 관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벨트를 교체할 때, 특정 구성요소를 분해하거나, 각각 위치를 조정하여 벨트의 장력을 제거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벨트 교체 후의 벨트 컨베이어의 정도(精度)를 복구시키기 위해 별도의 정밀도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벨트를 탈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요소 및 방법, 그리고 벨트에 장력을 제거하고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와 그로 인한 작동원리 등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2566호 (2006.06.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126호 (2011.09.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을 제거하여 벨트가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관리가 수월하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용이한 관리로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며, 벨트를 무한 반복 회전시키는 구동축 및 피동축이 별도가 아닌,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동시에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벨트 컨베이어의 정도(精度)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있어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축, 인장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벨트탈거제어몸체부;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축이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와 대칭하여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피동축이 결합된 피동축수평이동부;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1피스톤이 형성된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2피스톤이 형성된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3피스톤이 형성된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4피스톤이 형성된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벨트탈거제어몸체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에 위치하여 양측에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 및 피동축수평이동부의 좌, 우 수평방향 이동 시, 기준이 되는 벨트몸체프레임;
상기 벨트몸체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에 위치한 구동축수평이동부 및 피동축수평이동부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이 발생되는 인장압축조절부;로 구성되되,
인장압축조절부는,
관리자의 실질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벨트몸체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여 일부가 벨트 컨베이어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손잡이와 래크기어로 형성된 인장압축조절손잡이;
상기 인장압축조절손잡이에 형성된 래크기어의 일측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하단에 위치되고, 동력전달부재의 일측과 맞물리는 평기어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조절편이 형성된 인장압축조절부재;
상기 인장압축조절부재의 위치조절편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암과 대칭하여 인장압축조절부재의 위치조절편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탈거 및 고정 시, 관리자에 의해 인장압축조절손잡이가 조작되면, 동력전달부재와 인장압축조절부재가 회전하면서 구동축수평이동암 및 피동축수평이동암이 각각 위치 변경되어 구동축수평이동부와 피동축수평이동부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축수평이동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구동축고정브라켓;
상기 구동축고정브라켓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
상기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의 중앙에 위치하여 구동축수평이동암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고,
피동축수평이동부는,
벨트 컨베이어의 피동축이 결합되는 피동축고정브라켓;
상기 피동축고정브라켓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
상기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의 중앙에 위치하여 피동축수평이동암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를 기준으로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에 걸린 장력을 제거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쉽게 탈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벨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교체하는 작업이 간단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관리가 용이하므로, 벨트 컨베이어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벨트 교체 작업 시, 벨트 컨베이어의 특정 구성을 별도로 해체하거나 분리시키지 않고, 벨트를 무한 반복 회전시키는 구동축 및 피동축이 포함된 집합체가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므로 벨트 컨베이어의 복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벨트 컨베이어의 정도(精度)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교체 작업의 효율성 및 장치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관리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벨트 교체 작업이 일정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더하여서,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나, 벨트의 장력 또한 조절할 수 있어, 벨트의 교체뿐만 아니라,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벨트 컨베이어와 관련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작동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가 적용된 벨트 컨베이어에 대한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개략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있어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축, 인장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구동축(DS1)이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대칭하여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피동축(DS2)이 결합된 피동축수평이동부(3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1피스톤(P1)이 형성된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4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2피스톤(P2)이 형성된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5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3피스톤(P3)이 형성된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6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4피스톤(P4)이 형성된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700);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중앙에 위치하여 양측에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 이동 시, 기준이 되는 벨트몸체프레임(110);
상기 벨트몸체프레임(110)의 중앙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에 위치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이 발생되는 인장압축조절부(120);로 구성되되,
인장압축조절부(120)는,
관리자의 실질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벨트몸체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일부가 벨트 컨베이어(BC)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손잡이(H)와 래크기어(RG)로 형성된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
상기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에 형성된 래크기어(RG)의 일측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PG)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재(122);
상기 동력전달부재(122)의 하단에 위치되고, 동력전달부재(122)의 일측과 맞물리는 평기어(G)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조절편(123a)이 형성된 인장압축조절부재(123);
상기 인장압축조절부재(123)의 위치조절편(123a)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124);
상기 구동축수평이동암(124)과 대칭하여 인장압축조절부재(123)의 위치조절편(123a)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125);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 탈거 및 고정 시, 관리자에 의해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가 조작되면, 동력전달부재(122)와 인장압축조절부재(123)가 회전하면서 구동축수평이동암(124) 및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이 각각 위치 변경되어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구동축수평이동부(2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구동축(DS1)이 결합되는 구동축고정브라켓(210);
상기 구동축고정브라켓(210)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220);
상기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220)의 중앙에 위치하여 구동축수평이동암(124)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230);으로 구성되고,
피동축수평이동부(3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피동축(DS2)이 결합되는 피동축고정브라켓(310);
상기 피동축고정브라켓(310)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320);
상기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320)의 중앙에 위치하여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330);으로 구성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각각 좌, 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벨트(B)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의 작동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 교체 시에는,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를 이용한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인해,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각각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동시에 내측(안쪽,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와 이격이 없는 상태가 됨.)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는 좌(左)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는 우(右)로 수평이동되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와 접하게 되고, 이때,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와 벨트(B) 사이에 이격공간(S)의 생성으로 벨트(B)에 장력이 제거되면, 관리자가 벨트(B)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탈거 한 후에는, 교체될 벨트(B')를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삽입하여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를 이용한 관리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를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교체된 벨트(B')에 장력을 걸어 벨트(B)가 교체된 벨트 컨베이어(BC)로 완성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는 관리자에 의한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의 조작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동시 다발적으로 작동하는데, 이들의 작동을 메커니즘의 관점으로 세분하여 설명하면,
벨트(B) 탈거 시,
① 관리자에 의해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의 위치가 변경되면,
②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에 형성된 래크기어(RG)가 동력전달부재(122)를 회전시키고,
③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재(122)에 의해 위치조절편(123a)이 형성된 인장압축조절부재(123)가 회전되게 된다.
④ 인장압축조절부재(123)가 회전됨과 동시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편(123a)이 회전되고,
⑤ 위치조절편(123a)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암(124) 및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이 위치조절편(123a)의 회전으로 위치가 이동되면서,
⑥ 구동축수평이동암(124)의 위치 이동으로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400)과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500)이,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의 위치 이동으로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600)과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700)이 함께 동작되어,
⑦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벨트(B)의 장력이 제거되어 이격공간(S)이 생성된다.
이와 반대로, 벨트(B)를 교체한 후에는,
상기 ①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를 정 위치로 복구시키면, 상기 ② 내지 ⑥과 동일하게 각 구성요소들이 작동하게 되고, 상기 ⑦과는 반대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이격공간(S)이 사라져 교체된 벨트(B')에 장력이 발생되므로, 벨트(B)의 교체가 완료된 벨트 컨베이어(BC) 상태가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관한 것이다.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벨트 컨베이어(BC)'라 함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벨트(B)가 결합된 상태로 정의되며,
'인장'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축수평이동부(200)가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우(右)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좌(左)로 수평이동하여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에 장력이 발생된 상태를 말하며,
'압축'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축수평이동부(200)가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左)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우(右)로 수평이동하여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벨트(B)에 장력이 제거된 상태를 말한다.
더하여서, 도 4의 (a)는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의 평면도를, (b)는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벨트(B)가 고정되어 현장에 적용될 벨트 컨베이어(BC)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벨트 컨베이어 및 벨트 컨베이어가 설치, 취급되는 공장(작업현장) 등 다양한 벨트 컨베이어 관련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100: 벨트탈거제어몸체부 110: 벨트몸체프레임
120: 인장압축조절부 121: 인장압축조절손잡이
122: 동력전달부재 123: 인장압축조절부재
123a: 위치조절편 124: 구동축수평이동암
125: 피동축수평이동암
200: 구동축수평이동부 210: 구동축고정브라켓
220: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 230: 구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
300: 피동축수평이동부 310: 피동축고정브라켓
320: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 330: 피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
400: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500: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600: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700: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
B: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B': 교체될 벨트, 교체된 벨트
G: 평기어 H: 조작손잡이
S: 이격공간 BC: 벨트 컨베이어
PG: 피니언기어 RG: 래크기어
P1: 제 1피스톤 P2: 제 2피스톤
P3: 제 3피스톤 P4: 제 4피스톤
DS1: 구동축 DS2: 피동축

Claims (4)

  1.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축, 인장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구동축(DS1)이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대칭하여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BC)의 피동축(DS2)이 결합된 피동축수평이동부(3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1피스톤(P1)이 형성된 제 1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4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구동축수평이동부(2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2피스톤(P2)이 형성된 제 2구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5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상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3피스톤(P3)이 형성된 제 1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600), 단부는 상기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하측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하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진 제 4피스톤(P4)이 형성된 제 2피동축수평이동부가이드수단(700)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1)에 있어서,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중앙에 위치하여 양측에 결합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의 좌, 우 수평방향 이동 시, 기준이 되는 벨트몸체프레임(110);
    상기 벨트몸체프레임(110)의 중앙에 결합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에 위치한 구동축수평이동부(200) 및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이 발생되는 인장압축조절부(120);로 구성되되,
    인장압축조절부(120)는,
    관리자의 실질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벨트몸체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일부가 벨트 컨베이어(BC)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손잡이(H)와 래크기어(RG)로 형성된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
    상기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에 형성된 래크기어(RG)의 일측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PG)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재(122);
    상기 동력전달부재(122)의 하단에 위치되고, 동력전달부재(122)의 일측과 맞물리는 평기어(G)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조절편(123a)이 형성된 인장압축조절부재(123);
    상기 인장압축조절부재(123)의 위치조절편(123a)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124);
    상기 구동축수평이동암(124)과 대칭하여 인장압축조절부재(123)의 위치조절편(123a)의 일측에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125);으로 구성되어,
    벨트 컨베이어(BC)의 벨트(B) 탈거 및 고정 시, 관리자에 의해 인장압축조절손잡이(121)가 조작되면, 동력전달부재(122)와 인장압축조절부재(123)가 회전하면서 구동축수평이동암(124) 및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이 각각 위치 변경되어 구동축수평이동부(200)와 피동축수평이동부(300)가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축수평이동부(2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구동축(DS1)이 결합되는 구동축고정브라켓(210);
    상기 구동축고정브라켓(210)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220);
    상기 구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220)의 중앙에 위치하여 구동축수평이동암(124)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230);으로 구성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피동축수평이동부(300)는,
    벨트 컨베이어(BC)의 피동축(DS2)이 결합되는 피동축고정브라켓(310);
    상기 피동축고정브라켓(310)이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320);
    상기 피동축수평이동가이드블럭(320)의 중앙에 위치하여 피동축수평이동암(125)의 단부가 결합되는 피동축수평이동암고정브라켓(330);으로 구성되어,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벨트탈거제어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좌, 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4. 삭제
KR1020170184545A 2017-12-29 2017-12-29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102007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5A KR102007822B1 (ko) 2017-12-29 2017-12-29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5A KR102007822B1 (ko) 2017-12-29 2017-12-29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5A KR20190081775A (ko) 2019-07-09
KR102007822B1 true KR102007822B1 (ko) 2019-08-06

Family

ID=6726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45A KR102007822B1 (ko) 2017-12-29 2017-12-29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895Y1 (ko) 2020-08-13 2022-09-14 김정웅 콘크리트 블록 제조 시스템의 무동력 체인 파레트 피드장치
NL2027658B1 (nl) 2021-02-26 2022-09-20 Vanderlande Ind Bv Transportsysteem omvattende meerdere transporteenheden voor het transporteren van produc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951A (ja) 1998-11-06 2000-05-23 Temusu:Kk ネットコンベア
JP2003341819A (ja) 2002-05-29 2003-12-03 Sanki Eng Co Ltd ベルトコンベヤ
JP2005179017A (ja) 2003-12-22 2005-07-07 Sanki Eng Co Ltd ベルトゆるめ装置
JP2006044892A (ja) 2004-08-05 2006-02-16 Maruyasu Kikai Kk ベルト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641Y2 (ja) * 1993-12-22 1998-04-02 株式会社テムス ベルトコンベヤ
KR100592566B1 (ko) 2003-10-21 2006-06-26 지성한 벨트의 교체가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KR101066126B1 (ko) 2011-07-01 2011-09-20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951A (ja) 1998-11-06 2000-05-23 Temusu:Kk ネットコンベア
JP2003341819A (ja) 2002-05-29 2003-12-03 Sanki Eng Co Ltd ベルトコンベヤ
JP2005179017A (ja) 2003-12-22 2005-07-07 Sanki Eng Co Ltd ベルトゆるめ装置
JP2006044892A (ja) 2004-08-05 2006-02-16 Maruyasu Kikai Kk ベルト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5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822B1 (ko)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101961200B1 (ko) 드럼교체가 용이한 벨트 컨베어장치
CN204507947U (zh) 伸缩输送机
CN104609101A (zh) 伸缩输送机
CN105437735A (zh) 单边驻留滑动切断装置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CN218520403U (zh) 一种pcb板送料机构以及pcb板存放机
KR20070096597A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CN108820837B (zh) 一种塑料复合钢板生产加工智能输送机械
ATE469069T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teilen zu einer maschine
CN205837783U (zh) 一种双工位传送机构
CN105065591A (zh) 齿轮齿条式皮带张紧装置
CN213921046U (zh) 一种园林用石料搬运装置
CN210557550U (zh) 可移动式输送线
CN203624633U (zh) 废纸输送装置
CN209814978U (zh) 一种新型拼装式传送装置
CN205527018U (zh) 一种用于室外光缆的收线机
CN103521657A (zh) 一种棒材钢筋无损伤输送定位装置
CN217837098U (zh) 一种带式输送机皮带纠偏装置
CN215325073U (zh) 可伸缩带式输送机
CN214494744U (zh) 一种水利工程用物料输送装置
CN212945085U (zh) 一种剪板机进料装置
CN214555464U (zh) 棱形转筒分拣机构
CN211418673U (zh) 一种输送带清灰装置
CN217497463U (zh) 横向导轨滑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