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27B1 - 컴퓨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27B1
KR102007227B1 KR1020170116764A KR20170116764A KR102007227B1 KR 102007227 B1 KR102007227 B1 KR 102007227B1 KR 1020170116764 A KR1020170116764 A KR 1020170116764A KR 20170116764 A KR20170116764 A KR 20170116764A KR 102007227 B1 KR102007227 B1 KR 10200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p
passenger
rout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361A (ko
Inventor
황인영
김상아
이경하
전태영
김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27B1/ko
Priority to EP18193733.5A priority patent/EP3454265A3/en
Priority to US16/127,735 priority patent/US10990097B2/en
Priority to CN201811062901.8A priority patent/CN109491379A/zh
Publication of KR2019003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energy consumption, time reduction or distance reduction criter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수행되며, 승객 단말기들로 운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정규 노선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승차 요청 또는 하차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차 요청 또는 상기 하차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 지점을 상기 정규 노선에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이 추가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
본 발명은 운송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운송 시스템에 포함되어 운전자와 승객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개량에 힘입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공유 경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공유 경제는, 물품은 물론 생산설비나 서비스 등을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빌려주는 공유의 경제를 의미한다.
공유 경제가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운송 서비스이다. 상기 운송 서비스는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여 승객을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공유 경제로써의 운송 서비스는, 차량 제공자인 임의의 운전자와 차량 이용자인 임의의 승객을 중계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상기 운송 서비스는 운송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상기 운송 시스템은 승객 단말기, 운전자 단말기, 그리고 승객 단말기와 운전자 단말기를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승객은 승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으로 차량을 요청하고, 서버는 상기 승객에게 차량을 제공할 운전자를 선택하며,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기로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요청을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승객과 운전자 간의 중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운송 서비스가 공유 경제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승객과 차량을 단순히 연결시키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하나의 차량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또한, 운송 서비스와 함께, 승객과 운전자 각각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UI)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165호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방식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객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을 등록하는 단계;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상기 차량의 정규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정규 노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차량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제1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하차 요청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하차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하차 지점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수행되며, 승객 단말기들로 운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정규 노선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승차 요청 또는 하차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차 요청 또는 상기 하차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 지점을 상기 정규 노선에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이 추가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송 시스템에 따르면, 서버는 등록된 어느 차량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규 노선을 생성하고, 상기 정규 노선을 따라 운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상기 어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특성에 따라 경로, 정거장의 위치와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기 때문에, 운송 서비스의 효율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관리자는 자신이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아도,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유 경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자신이 소유한 운전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정규 노선을 언제 어디서든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운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840) 및/또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승객이 원하는 지점에서 하차할 수 있도록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이 아무 곳이나 정차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면서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지점, 다시 말해 승객의 정차가 가능한 지역 중의 일 지점이 하차 지점으로 설정되어 정차가 이루어진다. 상기 하차 지점은 상기 차량(840) 및/또는 승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대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1은 차량이 정규 노선을 따라 자율 주행을 시작하기 전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승객의 승차 요청에 따라 정거장을 추가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4는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하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a 및 도 15b는 승차 요청시 승객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6은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은 새로운 정거장이 신설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8a 내지 도 18c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9는 하차 지점에서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기 설정된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은 가속, 감속,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운전 조작 장치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운전 조작 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0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무선 통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차량 주행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정보,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주변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가속도, 각속도, 위치(GPS),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각 바퀴의 공기압,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물체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정보는,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정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 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충돌 가능성,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운송 시스템(800)은 서버(810),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이 설치된 승객 단말기(820), 운전자 애플리케이션(832)이 설치된 운전자 단말기(830), 그리고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이 설치된 차량(84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승객 단말기(820) 및/또는 운전자 단말기(830) 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말기라고 함은 승객 단말기(820) 및 운전 단말기(23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운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승객 단말기(820) 및 운전자 단말기(830) 각각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객 단말기(820)의 동작은 상기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을 통해 실행되며, 운전자 단말기(830)의 동작은 상기 운전자 애플리케이션(832)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810), 상기 승객 단말기(820) 및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양한 실시 예들(또는, 제어 방법들)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간략히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운송 시스템(800)은 임의의 승객에게 임의의 운전자를 통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운송 시스템(800)을 통해 예약, 중계, 접선, 운송 그리고 운전자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운송 서비스의 예약은 승객이 승객 단말기(820)를 이용하여 출발지점으로 차량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청을 ‘차량 요청’이라고 호칭하며, 상기 차량 요청은 서버(810)로 전송된다.
상기 차량 요청에는 상기 출발지점, 상기 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점, 상기 승객이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의 유형 그리고 서비스의 유형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차량 요청에는 차량 요청의 조건이 포함되며, 상기 서버(810)는 차량 요청의 조건에 부합하는 후보 차량을 탐색하고, 탐색된 후보 차량으로 예약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출발지점은 상기 승객이 설정한 지점이거나 차량에 설정된 복수의 정거장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상기 목적지점 역시 상기 승객이 설정한 지점이거나 차량에 설정된 복수의 정거장들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유형은 차량 자체에 관한 것과 차량에 포함된 물품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차량 자체에 관한 것은 2인승, 4인승, 그리고 컨버터블 등일 수 있고, 차량에 포함된 물품에 관한 것은 냉장고, 휠체어, 우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인승에 냉장고가 포함된 차량에 대한 차량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는 차량의 유형을 만족하는 차량을 탐색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의 유형은 차량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차량을 단독하는 이용하는 단독 서비스, 차량을 임의의 제3자와 공유하는 합승 서비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합승을 라이드셰어링(ride-sharing)이라고 호칭하나, 차량 셰어링(vehicle-sharing), 카셰어링(car-sharing), 카풀(carpool)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중계는 상기 서버(810)가 상기 차량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요청을 한 승객에게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서버(810)는 승객 단말기(8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운전자 단말기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운전자 단말기로 예약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을 ‘예약 요청’이라고 호칭한다. 이후, 어느 하나의 운전자 단말기(830)가 예약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그 운전자 단말기(830)와 승객 단말기(820)의 중계가 이루어진다. 중계를 통해 승객 단말기와 운전자 단말기는 연결되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각 단말기의 위치가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접선은 중계된 승객과 운전자의 만남을 의미한다. 중계가 이루어진 후부터 승차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접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승객 단말기(820)와 운전자 단말기(830)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기(830)에는 출발지점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출력되고, 승객 단말기(820)에는 차량이 출발지점에 도달하는데 남은 시간이 출력될 수 있다.
운송은 승차가 이루어진 후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승객은 이동하는 중에 자신의 승객 단말기(820)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목적지점 자체를 변경할 수 있으며, 경유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승객 단말기(820), 서버(810) 및 운전자 단말기(830)가 유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경로를 변경하고 변경된 경로로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평가는 운송 중 또는 하차 후 승객이 운전자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송 중 또는 하차 후 승객 단말기(820)에는 운전자를 평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승객이 승객 단말기(820)를 통해 운전자를 평가하면, 서버(810)는 운전자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고,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분류할 수 있다.
운송 시스템(800)의 각 구성 요소는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 단말기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고,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운송 시스템(800)의 각 구성요소(210-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운송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운송 서비스의 로직은 각 구성요소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이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할 승객 단말기(820)의 동작은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을 통해 실행되고, 운전자 단말기(830)의 동작은 운전자 애플리케이션(832)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와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를 중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810)에는 승객 데이터베이스, 운전자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지도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부터 차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위치에 근거하여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운전자 단말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운전자 단말기로 예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발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출발지점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인 운전자 단말기가 선택될 수 있다.
예약 요청을 수신한 어느 하나의 운전자 단말기(830)가 상기 예약 요청을 승인하면, 승객 단말기(820)와 운전자 단말기(830)는 승객과 운전자의 접선이 이루어지도록 기 설정된 기능을 각각 실행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830) 및 승객 단말기(820)는 각각의 위치 정보를 직접적으로 송수신하거나 서버(810)를 통해 간접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820)는 차량의 위치와 차량이 출발지점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운전자 단말기(830)는 차량을 출발지점까지 인도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 경로는 상기 서버(810) 또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에서 산출될 수 있다.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면, 운전자 단말기(830) 및/또는 승객 단말기(820)는 서버(810)로 승차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목적지점까지 운송이 이루어지며, 운송 거리 및 운송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비용이 산출된다. 상기 비용은 운송에 제공되는 차량의 종류 및/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비용은 사전에 등록된 신용카드나 전자화폐에 의하여 지불되게 된다.
상기 운송 시스템(800)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230)를 통해 등록된 차량(840)을 상기 차량(840)에 설치된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등록’은 운전자 단말기의 소유자가 자신의 차량이 상기 서버(810)의 제어에 따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신의 차량에 대한 권한을 상기 서버(810)에 오픈(open)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운전자 단말기를 통해 제1 차량이 등록되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차량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차량의 자율 주행을 원격 제어하고, 원격 제어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1 운전자 단말기로 공유할 수 있다.
하나의 운전자 단말기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량들이 등록될 수 있으며, 등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량들은 등록을 수행한 운전자 단말기를 통해 제어되거나, 상기 서버(8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애플리케이션(832)은 차량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운송 시스템(800)을 통해 제공되는 운송 서비스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는 도 8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대표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상
상기 서버(810)에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 9에 도시된 각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서버(810)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을 등록한다(S910).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에서 상기 서버(810)로 차량 정보가 전송되는데,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840)의 종류, 상기 차량(840)의 차량 번호,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센서 정보, 상기 차량(84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코드 및 상기 차량(840)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량 정보에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840)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된 독점 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차량(840)을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독점 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공유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840)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상기 차량(840)을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에는 상기 차량(840)이 운전자에 의하여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독점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독점 시간대 동안 상기 차량(84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고, 그 외 나머지 시간에 한하여 상기 차량(84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공유 시간대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공유 시간대로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상기 차량(84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스케줄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편집되거나, 상기 생성된 스케줄과 다른 새로운 스케줄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S930).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을 이용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규 노선은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기 설정된 경로를 의미하며, 상기 차량(840)은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율 주행을 수행한다.
상기 정규 노선은 제1 및 제2 정거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은 상기 차량(840)이 반복적으로 순환을 하기 위한 기준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에 대하여, 제1 경로(1010)에 대응하는 제1 정규 노선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규 노선은 제1 정거장(1012) 및 제2 정거장(10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정규 노선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규 노선의 운행 스케줄도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운행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 각각에는 서로 다른 도착 시각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은 제1 정거장(1012)에서 10시 정각부터 10시 30분까지 정차를 수행하고, 제2 정거장(1014)에서 17시 정각부터 17시 30분까지 정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 및/또는 상기 차량(840)은 상기 차량(840)이 n번째 정거장에서 n+1번째 정거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량(840)이 상기 n+1번째 정거장에 설정된 도착 시각에 도착하도록, 상기 차량(84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n은 자연수) .
상기 운행 스케줄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차량(840)은 상기 운행 스케줄에 맞춰 차량(840)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각 정거장에 정해진 시각에 도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규 노선의 운행 횟수는 기 설정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운행 스케줄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840)은 임의의 시각에 각 정거장에 도착하며, 상기 정규 노선의 운행 횟수는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서버(810)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를 통해 출발지 및 목적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발지를 이용하여 제1 정거장을 설정하고, 상기 목적지를 이용하여 제2 정거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을 왕복하기 위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된 경로 및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은 상기 정규 노선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차량(840)은 상기 경로를 따라 운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에서 승객을 탑승 또는 하차시키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정차 후 다시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서버(810)에 누적되는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임의의 지점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한 지점이 아니라도,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노선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지점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 단말기(830)를 통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지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820)는 상기 지역 내에서 운송 서비스 신청이 많은 복수의 지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지점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840)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에도 여러 종류가 있고, 상기 차량(840)의 종류에 따라 진입이 가능한 도로가 있고 진입이 불가능한 도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도로에도 법에 따라 다양한 금지 사항이 설정될 수 있으며, 소정 시간 동안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 도로, 자율 주행이 허용되지 않는 도로, 정거장으로 이용할 수 없는 도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특성과 상기 정규 노선을 이루는 도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순환하는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경로 상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810)는 상기 경로 및 상기 추출된 정거장을 이용하여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 .
상기 차량(840)에 따라 상기 경로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의 위치 및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이 45인승 버스인 경우와 2인승 전기 자동차인 경우에, 운행이 가능한 도로 및 정차가 가능한 도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요일에 따라 상기 정규 노선의 상기 경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히스토리를 빅데이터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일에 따라 이용률(또는, 수익률)이 최대화 되는 서로 다른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상기 차량(840)이 상기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요일에 따라 다르게 산출되며, 상기 경로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되는 정거장도 달라질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은 주중에 제1 경로(1010)에 대응하는 제1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고, 주말에는 제2 경로(1040)에 대응하는 제2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경로가 변경됨에 따라, 정차가 이루어지는 정거장의 위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정규 노선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정거장들이 포함될 수 있다. 경로가 산출되고 나면, 상기 경로 상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들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840)이 소정 시간 동안 정차할 수 있는 정차 가능 영역을 추출한다.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영역이거나,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영역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나라에 따라, 도시에 따라, 그리고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m개의 정거장을 추출한다.
일 예로, 상기 경로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정거장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거리가 10km인 상태에서, 상기 m이 10이면 1km 마다 하나의 정거장이 추출되고, 상기 m이 20이면 500m 마다 하나의 정거장이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되는 n+1번째 정거장이 n번째 정거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도록 m개의 정거장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m은 2보다 큰 자연수, 상기 n은 상기 m보다 작은 자연수일 수 있다 .
3개의 정거장들을 추출하는 경우, 상기 경로 상에서 두 번째 정거장은 첫 번째 정거장보다 1km 보다 밖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세 번째 정거장은 두 번째 정거장보다 1km 보다 밖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m 및/또는 상기 소정 범위는 상기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예를 들어,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거리가 10km 이내인 경우, 5개의 정거장들이 추출되고, 10km-20km 이내인 경우, 10개의 정거장들이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광지역에는 더 많은 정거장들이 생기도록 제1 소정 범위가 설정되고, 사막처럼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비거주지역에는 정거장들이 생기지 않도록 제2 소정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정거장을 추출하는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차량(84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810)는 기 설정된 조건들 중 상기 차량(840)의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의 조건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정거장을 추출한다.
적어도 둘 이상의 정거장들과 각 정거장으로 향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정규 노선을 상기 서버(8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940)이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S950).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으로 상기 정규 노선을 전송하고,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은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840)은 운전자가 없어도 주행이 이루어지는 자율 주행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8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정규 노선의 운행을 시작하거나, 상기 운행을 중지하고 차고로 복귀하거나, 상기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정규 노선을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면서, 상기 차량(840)은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상기 서버(8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을 이용한 운송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고, 문제 발생시 상기 차량(84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시스템(800)의 서버(810)는 등록된 어느 차량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규 노선을 생성하고, 상기 정규 노선을 따라 운송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상기 어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특성에 따라 경로, 정거장의 위치와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기 때문에, 운송 서비스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차량이 정규 노선을 따라 자율 주행을 시작하기 전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정규 노선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생성된 정규 노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로 전송한다(S1110).
상기 정규 노선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정규 노선에 따른 경로,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의 위치, 각 정거장에 대한 상기 차량(840)의 스케줄, 상기 정규 노선으로 상기 차량(840)을 운행할 경우 기대되는 수익과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서버(8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1120).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운전자 애플리케이션(832)에서 제공하는 실행화면을 통해 상기 정규 노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정규 노선은 상기 서버(810)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차량(840)을 상기 정규 노선으로 운행하기 위한 승인이 상기 차량(840)의 관리자로부터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정규 노선의 승인을 확인 또는 취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 또는 “아니오”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승인이 있는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서버(810)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1130).
이와 달리,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승인이 없거나 취소되거나, 편집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정규 노선을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정규 노선을 편집하거나, 새로운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이미지, 그리고 상기 정규 노선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는 정거장을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경로를 변경하거나, 기존 정거장을 삭제하거나, 기존 정거장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정거장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새로운 정규 노선은 상기 서버(8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는 상기 서버(810)로 상기 승인 메시지 또는 상기 새로운 정규 노선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정규 노선을 확정한다(S1150). 구체적으로, 상기 승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존의 정규 노선이 확정되고, 상기 새로운 정규 노선이 전송되는 경우, 기존의 정규 노선 대신 상기 새로운 정규 노선이 확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확정된 정규 노선에 따른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840)을 전송한다(S1160). 그리고, 상기 차량(840)은 상기 자율 주행 명령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한다(S1170).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80) 및/또는 상기 서버(810)는 새로운 제2 정규 노선을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제2 정규 노선에 따라 상기 차량(840)이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서버(810)는 자율 주행 수정 명령을 상기 차량(840)으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840)의 관리자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초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초기 값은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들을 의미하며,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할 지역, 상기 차량(840)에 관한 차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초기 값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정규 노선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80)에 의하여 편집될 수 있다. 상기 정규 노선이 확정되고 나면, 상기 차량(840)은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차량(840)의 관리자는 자신이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아도, 상기 차량(840)을 이용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유 경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소유한 상기 운전자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을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상기 차량(840)이 자율 주행을 수행 중이거나, 상기 자율 주행이 예약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을 이용한 운송 서비스가 승객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송 시스템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승객과 차량을 중계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승객의 승차 요청에 따라 정거장을 추가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서버(810)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설정된 정규 노선을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한다(S1210).
예를 들어,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서버(810)로 소정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거나 소정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정규 노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지역 및/또는 상기 소정 목적지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규 노선을 탐색하고, 탐색된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한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서버(8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규 노선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220).
예를 들어,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상기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의 실행화면에는 지도 이미지가 포함되며,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거장을 안내 하는 정거장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는 상기 지도 이미지를 스크롤 하거나, 출발지 및/또는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정규 노선을 상기 서버(8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어느 하나의 차량에 대한 승차 요청을 상기 서버(810)로 전송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어,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출발 정거장과 도착 정거장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로의 운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차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8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차량을 탐색하고, 탐색된 차량을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 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어느 하나의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차량으로 상기 차량(840)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에 대한 승차 요청을 상기 차량(840)으로 전송한다(S1240).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에는 제1 경로(1010)에 대응하는 제1 정규 노선이 설정되고, 상기 제1 정규 노선은 제1 정거장(1012) 및 제2 정거장(1014)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차 요청을 생성한 승객이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포함되어 있는 기존 정거장을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들(1012,1014) 중 어느 하나에서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위치에서 기존 정거장까지 소정 시간 이내에 도보로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기존 정거장 이용 가능의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승객이 가지고 있는 수화물의 양, 승객 나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기존 정거장 이용 가능의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다.
기존 정거장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기존 정거장에서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840)에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
이와 달리, 기존 정거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차 요청에 대응하는 제3 정거장을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추가할 수 있다(S1250).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차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 지점을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차 요청에 포함된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탐색된 후보 정거장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지점은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가 설정한 출발지이거나,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현재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기준 범위에 대하여 상기 차량(840)이 소정 시간 동안 정차가 가능한 정차 가능 영역과 정차가 불가능한 정차 불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차 가능 영역 및/또는 상기 정차 불가 영역은 상기 차량(840)의 종류 그리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의 일 지점을 후보 정거장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가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정차 가능 영역 상에서 상기 소정 지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지점을 상기 후보 정거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이 탐색되는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후보 정거장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후보 정거장들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8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이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추가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서버(810)는 후보 정거장의 텀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 범위 내에 후보 정거장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정거장 추가 불가 메시지가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되고, 후보 정거장이 탐색되는 경우 탐색된 후보 정거장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될 수 있다 .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는 상기 정거장 추가 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검색 조건을 달리하여 다른 차량을 탐색할 수 있고,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새로이 설정된 제3 정거장에서 상기 차량(840)을 탑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정거장을 추가함에 있어서,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경로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1 경로 상의 일 지점을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점(1300)에서 상기 승차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경로(1010) 상에서 상기 소정 지점으로부터 가장 빠르게(또는 가장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일 지점을 탐색하고, 탐색된 일 지점(1016)을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경로(1010)와 관계없이 상기 소정 지점(130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 범위 내에서 일 지점(1018)을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을 포함하는 제2 경로(1011)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경로(1010)가 아닌 상기 제2 경로(1011)로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거장이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추가되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도록, 자율 주행 수정 명령을 상기 차량(8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 상기 차량(840)은 상기 자율 주행 수정 명령에 응답하여 주행 경로를 수정하고, 수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S1260).
나아가,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이 추가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하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270).
상기 제3 정거장이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되면, 상기 차량(84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정규 노선에 새로운 정거장이 추가된다. 상기 서버(820)는 상기 제3 정거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송 시스템에 등록된 다른 승객 단말기에 제공하기 때문에, 제3 정거장을 이용한 새로운 운송 서비스가 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주행 차량과 승객이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정거장이 빠르게 신설되기 때문에, 운송 서비스가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되며, 새로운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810)는 상기 서버(81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대하여 각 정거장의 이용 인원을 모두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4는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하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의 이용률을 분석할 수 있다(S1410). 요일별, 시간별로 이용률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용률이 기준보다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에 대한 요일 및/또는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이용률이 기준보다 낮은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을 상기 정규 노선에서 삭제할 수 있다(S1430). 다시 말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3 정거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3 정거장은 상기 정규 노선에서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정거장의 이용률이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정규 노선에서 상기 제3 정거장을 완전히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840)은 제1 및 제2 정거장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자율 주행으로 왕래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정거장의 이용률이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대에만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특정 요일의 상기 특정 시간대에는 상기 제3 정거장에 상기 차량(840)이 정차하지 않도록 일정 기간에 한하여 상기 제3 정거장을 상기 정규 노선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각 정거장의 이용률뿐만 아니라 정규 노선 자체에 대한 이용률도 분석할 수 있다. 정규 노선에 대한 이용 인원이 최소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차량이 자율 주행을 수행하지 않고 소정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상기 서버(810)는 대기 명령을 상기 차량(8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 즉, 상기 차량(840)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이용이 있을 때에만 자율 주행을 수행하고, 이용이 없을 때에는 소정 지점에서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이용률 대신, 비용 대비 수익으로 정의되는 수익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이 정규 노선에서 삭제되거나 업데이트 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a 및 도 15b는 승차 요청시 승객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승객 애플리케이션(822)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실행화면에는 지도 이미지가 포함되며,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위치 아이콘(1510)이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행화면에는 목적지를 입력하거나, 승차 인원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을 상기 서버(81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810)는 조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탐색하고, 탐색된 차량의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한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서버(8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로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1520)을 안내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정거장(1520)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정거장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의 서비스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상기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차량 이미지, 상기 차량의 도착 예상 시간, 남은 좌석, 상기 목적지까지로의 이동 경로, 이용 요금, 예약 가능한 좌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거장이 없는 지점에 대한 정거장 추가 요청이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거장이 없는 지점에 롱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롱터치가 가해진 지점에 대한 정거장 추가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이경우,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정거장의 이용 가능 여부가 판단되며, 기존 정거장이 이용 가능하면 기존 정거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기존 정거장이 아닌 새로운 제3 정거장이 정규 노선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제3 정거장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 정거장이 기존 경로 상의 일 지점에 생성되는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제3 정거장의 신설됨에 따라 기존 경로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또는, 기존 경로 상의 일 지점이 아닌 지점에 상기 제3 정거장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추가 비용이 상기 안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 비용은 새롭게 추가되는 경로의 거리에 비례하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단말기인 상기 승객 단말기(820)를 통하여 쉽고 빠르게 차량을 요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거장의 추가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840)은 상기 서버(810)가 생성한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840)에 설치되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17은 새로운 정거장이 신설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에서 설명하는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8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행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도 8에서 상술한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840)에 설치되었다”고 함은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에 설치된 것을 의미하거나,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제1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제어한다(S1610).
상기 차량(840)은 자율 주행으로 상기 제1 노선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승객이 승차할 수 있도록 정차를 수행한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840)의 주행 차선 및/또는 주행 속도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주행 방향은 상기 제1 노선을 따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840)은 소정 시간 동안 정차를 수행한다. 상기 소정 시간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840)에 탑승하기로 예약된 승객이 탑승할 때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하차 요청이 생성되는 경우, 하차 지점을 탐색한다(S1630).
상기 하차 요청은 다양한 매체에 의하여 상기 차량(840)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여기 내려줘”와 같은 음성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또는 푸쉬 버튼(또는 bell)을 통해 하차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및/또는 푸쉬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차 요청 메시지가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승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840)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하차 요청 메시지는 승객이 구비한 승객 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
승객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차량(840)에 탑승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하차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메뉴나 하차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차 아이콘은 사용자가 상기 차량(840)에 탑승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승객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상기 하차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면, 승객 단말기는 하차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840) 또는 상기 서버(8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하차 요청에는 하차를 요청하는 소정 지점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푸쉬 버튼이 가압되어 하차 요청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소정 지점이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84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소정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저기 내려줘”라는 음성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승객이 손짓으로 가리키는 곳을 탐색하고, 탐색된 지점을 상기 소정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도와 경도가 입력되거나, 주소가 입력되거나, 주소를 특정할 수 있는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지도 상의 일 지점이 특정되는 경우에는 소정 지점이 포함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 범위 이내에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정거장을 상기 하차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이 없는 경우, 정거장이 아닌 지점을 상기 하차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 범위 이내에 상기 차량(840)이 정차할 수 정차 가능 영역을 탐색하고,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의 일 지점을 상기 하차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 이는,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고, 상기 차량(840)이 위법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상기 하차 요청에 하차를 요청하는 소정 지점이 포함된 경우,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탐색되고, 상기 소정 지점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탐색될 수 있다 .
상기 하차 지점은 상기 차량(840)의 종류 및 상기 승객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이 45인승 버스인 경우와 2인승 자동차인 경우 서로 다른 하차 지점이 탐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승객이 장애인인 경우 상기 장애인의 하차 조건을 만족하는 지점이 상기 하차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탐색된 또는 설정된 하차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
상기 하차 지점에 정차하기 전에 하차를 안내하는 하차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하차 지점까지 기준 시간이 남은 경우 또는 기준 거리가 남은 경우,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에는 상기 하차 지점, 상기 하차 지점까지 남은 거리, 상기 하차 지점까지 남은 시간, 하차시 청구될 요금, 상기 하차 지점의 정거장 이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는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거나, 하차가 예정된 승객의 승객 단말기(8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에 복수의 승객들이 탑승한 상태에서 어느 승객이 상기 하차 요청을 생성한 경우, 상기 어느 승객의 승객 단말기로 하차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차량(840)이 상기 하차 지점에 정차하기 전에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하차 안내 메시지의 출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하차 지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또는 남은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하차 지점에 정차하기 전에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은 상기 하차 지점에 정차하기 전에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의 출력 명령을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하차 지점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3 정거장을 신설할 수 있다(S1670).
승객이 하차를 요구한 하차 지점에서 승차와 하차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하차 지점을 새로운 정거장으로 추가하여 승객을 계속 유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스로 제3 정거장을 신설하거나, 제3 정거장의 신설을 서버(810)에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3 정거장이 신설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같은 방식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상기 서버(810)가 제3 정거장을 신설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후보 정거장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후보 정거장을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할 수 있다 .
복수 개의 후보 정거장들이 탐색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에 승차 및/또는 하차가 이루어진 이력들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이력들은 빅데이터로 관리되며, 상기 이력들의 통계에 따라 승객의 이용 확률이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3 정거장이 포함된 새로운 정규 노선을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들, 그리고 상기 하차 지점에 의해 정의되는 제3 정거장으로 이루어진 제2 노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노선 대신, 상기 제2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할 수 있다 . 상기 제2 노선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차량(840)의 주행 경로는 상기 제1 노선 대비 달라지게 되며, 상기 제2 노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버(81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정거장이 추가되거나, 새로운 정규 노선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정거장 및/또는 상기 새로운 정규 노선을 안내하는 노선 이미지를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에는 디스플레이(17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710)에는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제3 정거장의 위치를 안내하는 텍스트, 그래픽 객체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840)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720)에서 상기 제3 정거장 및/또는 상기 노선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관련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정 반경에 위치한 단말기들과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차량(840)이 이동하는 동안에도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탐색되는 경우, 상기 탐색된 단말기를 상기 차량(840)에 탑승한 승객의 단말기로 간주하고, 상기 탐색된 단말기에 상기 제3 정거장 및/또는 상기 노선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상기 차량(840)과 상기 승객 단말기(820)를 중계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840) 및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승객 단말기(820)가 상기 차량(840)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가 상기 차량(8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노선 이미지 및/또는 상기 제3 정거장이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서 표시되도록, 관련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840)은 승객이 원하는 위치에 정차하여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를 도울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새로운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새로운 정거장의 추가로, 승객은 자신이 승차 또는 하차한 지점을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 시스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소정 목적지로의 이동을 위하여 운송 서비스를 신청한 승객 단말기(820),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상기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840) 그리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와 상기 차량(840) 사이를 중계하는 서버(810)를 이용하여, 도 18a 내지 도 18c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기준 속도(예를 들어, 20km/h)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서버(810) 및/또는 상기 차량(840)으로 탑승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GPS와 같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차량(840)에 승차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탑승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810) 및/또는 상기 차량(840)은 상기 차량(840)의 이동 경로와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이동 경로를 비교하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사용자가 상기 차량(840)에 정확히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840)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잘못된 운송 수단에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승객이 탑승한 차량이 정차할 수 있도록 긴급 하차 아이콘을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긴급 하차 아이콘에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승객이 탑승한 차량으로 정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정차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 지점에서 정차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소정 지점으로부터 상기 소정 목적지로의 대체 경로를 지도 이미지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승객 단말기(820)가 상기 차량(840)에 정확히 탑승한 경우,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상기 차량(840)의 운행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이미지를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은 상기 차량(840)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승객이 좌석에 앉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에 의하여 좌석이 예정된 경우에는, 승객이 예약되니 좌석에 앉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차량(840)은 승객이 좌석에 착석 할 때까지 정차를 유지하며, 착석이 완료되면 다음 정거장으로의 자율 주행을 시작한다.
상기 차량(840)은 승객의 탑승에 응답하여, 자율 주행시 주의 사항을 안내하는 주의 영상을 상기 차량(84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840)은 승객의 탑승을 환영하는 환영 영상을 상기 차량(84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환영 영상에는 상기 서버(810)로부터 수신된 승객의 개인 정보로서, 이름, 프로필 사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의 영상 및/또는 상기 환영 영상의 재생이 완료되어야만 상기 자율 주행이 시작되며, 재생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차량(840)은 정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자율 주행이 시작되면, 상기 차량(840)은 승객의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하차 지점을 탐색한다.
상기 차량(8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하차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기 신호등 앞에서 내려주세요”와 같은 음성 명령이 상기 차량(84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은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차랑(84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영역을 정차가 가능한 지역과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정차가 가능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820)를 통해 수신하거나, 상기 차량(840)의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로부터 정차가 가능한 지역을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정차가 가능한 지역 또는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은 상기 차량(840)의 종류 및 승객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상기 차량(840)은 상기 정차가 가능한 지역에서 후보 지점을 탐색한다. 탐색된 후보 지점과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정거장이 기준 거리 이내이면, 상기 탐색된 후보 지점 대신 상기 어느 하나의 정거장을 하차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후보 지점이 상기 하차 지점으로 설정된다.
상기 하차 지점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차량(840)의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하차 지점을 안내하는 하차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디스플레이에도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영역 내에 정거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정차가 가능한 지역도 없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 상기 차량(840)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정거장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840) 및/또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정차가 가능한 지역 또는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을 안내하는 지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840)은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 중 승객의 정차 또는 하차가 예약된 정거장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정차하도록 제어되고,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가 예약되지 않은 정거장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가 예정되지 않은 정거장에서 차량이 정차함으로써 발생하는 연료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차량(840)은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을 안내하는 노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노선 이미지 상에서 정차가 예정된 정차 예정 정거장과 통과가 예정된 통과 예정 정거장은 구분되도록, 정차 예정 정거장 또는 통과 예정 정거장에는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 노선 이미지 상에서 어느 하나의 정거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정거장에 대한 하차 요청이 생성된다.
정거장이 아닌 임의의 지점이 선택되는 경우,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840)은 선택된 지점에 근거하여 하차 지점을 탐색하고, 탐색된 하차 지점을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승객 단말기(820)에도 지도 이미지 및/또는 노선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가해지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하차 지점이 선택되고, 선택된 하차 지점이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에 제3 정거장으로 추가될 수 있다 .
운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840) 및/또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승객이 원하는 지점에서 하차할 수 있도록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이 아무 곳이나 정차하는 것이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면서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지점, 다시 말해 승객의 정차가 가능한 지역 중의 일 지점이 하차 지점으로 설정되어 정차가 이루어진다. 상기 하차 지점은 상기 차량(840) 및/또는 승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도 19는 하차 지점에서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어느 승객이 하차 요청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차량(840)의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은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하차 지점에서 정차를 유지한다(S1910). 이때,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은 상기 어느 승객이 하차할 때까지 정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
상기 차량(840)은 상기 차량(840) 내부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어느 승객이 하차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차량(840)의 좌석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840)은 상기 승객 단말기(820)와 위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승객의 승객 단말기(82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840)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의 위치가 상기 소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어느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가 확인된 후, 상기 차량(840)이 다음 정거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
상기 하차 지점에서 소정 시간이 지나도록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는 상기 서버(810)로 하차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하차 확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승객 단말기(820)로 전화를 걸거나, 하차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가장 가까운 경찰서나 소방서로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은 상기 차량(840)이 자율 주행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차량(8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정거장까지 이동할 연료가 부족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고장난 경우, 상기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 애플리케이션(842)은 상기 차량(840)이 소정 시간 동안 정차가 가능한 일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840)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840)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로 대체 가능한 환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승객 단말기(820)는 수신된 환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환승 정보는 상기 차량(840)이 정차할 정차 지점으로부터 각 승객의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대체 운송 수단 및 대체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810)는 승객의 환승을 위하여 다른 자율 주행 차량을 상기 정차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0은 기 설정된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운송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승차 이력 및/또는 하차 이력이 누적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810)는 상기 승객 단말기(820) 및/또는 상기 차량(84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승차 이력 및/또는 하차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S2010).
다음으로, 상기 서버(810)는 저장된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840)의 정규 노선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S2030).
예를 들어,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정거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서버(810)는 상기 정규 노선에서 상기 특정 정거장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소정 기간 동안 특정 정거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기준보다 높은 경우, 새로운 차량이 상기 정규 노선을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새로운 차량을 할당할 수 있다.
이력들은 빅데이터로 관리되며, 상기 이력들의 통계에 의하여 승객의 이용 확률이 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810)는 상기 이용 확률에 근거하여 새로운 정거장을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하거나, 상기 정규 노선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된 기존의 정거장을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이 높은 운송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9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0)

  1.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차량을 등록하는 단계;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상기 차량의 정규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정규 노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하차 요청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하차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하차 지점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탐색된 하차 지점을 추가한 새로운 정규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새로운 정규 노선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차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하차 요청에 근거하여 소정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 지역을 상기 차량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 시간보다 긴 시간을 정차할 수 있는 정차 가능 영역과 정차할 수 없는 정차 불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 정차 가능 영역에서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상기 하차 요청을 생성한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 중 상기 승객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상기 하차 지점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 노선에 제3 정거장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도록, 자율 주행 수정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3 정거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정규 노선에서 상기 제3 정거장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거장을 추가하는 단계는,
    승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정거장 추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거장 추가 요청에 포함된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후보 정거장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후보 정거장을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정거장의 탐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기준 범위 내에 상기 후보 정거장이 탐색되지 않는 경우, 정거장 추가 불가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기 후보 정거장이 탐색되는 경우, 상기 탐색된 후보 정거장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정거장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해당하고,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목적지에 근거하여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상에 위치하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지, 상기 목적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거장을 포함하는 상기 정규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거장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정차할 수 있는 정차 가능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m개의 정거장을 추출하며, 상기 정규 노선에 포함되는 n+1번째 정거장은 n번째 정거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고, 상기 m은 2보다 큰 자연수, 상기 n은 상기 m보다 작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은 상기 경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요일에 따라 다르게 산출되며, 상기 경로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정규 노선에 추가되는 정거장도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이용 인원이 최소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차량이 소정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대기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로 대체 가능한 환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진 제1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하차 요청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하차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하차 지점에 상기 차량이 정차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선에 상기 탐색된 하차 지점을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한 제2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선 대신, 상기 제2 노선에 따라 이동 및 정차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차 지점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하차 요청에 근거하여 소정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 지역을 상기 차량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 시간보다 긴 시간을 정차할 수 있는 정차 가능 영역과 정차할 수 없는 정차 불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 정차 가능 영역에서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상기 하차 요청을 생성한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 중 상기 승객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상기 하차 지점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지점은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상기 승객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상기 하차 요청에 하차를 요청하는 소정 지점이 포함된 경우, 상기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탐색되고, 상기 소정 지점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선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3 정거장을 안내하는 지도 이미지를 상기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은, 상기 제2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 중 승객의 정차 또는 하차가 예약된 정거장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정차하도록 제어되고,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가 예약되지 않은 정거장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을 안내하는 노선 이미지를 상기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선 이미지 상에서 정차가 예정된 정차 예정 정거장과 통과가 예정된 통과 예정 정거장이 구분되도록 상기 정차 예정 정거장에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차 요청에 응답하여 후보 정거장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후보 정거장을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상기 제1 노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선에 포함된 정거장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도착 시각이 기 설정되며,
    상기 차량이 n번째 정거장에서 n+1번째 정거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n+1번째 정거장에 설정된 도착 시각에 도착하도록, 상기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복수의 승객들이 탑승한 상태에서 어느 승객이 상기 하차 요청을 생성한 경우, 상기 어느 승객의 승객 단말기로 하차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승객이 하차할 때까지 정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가 확인된 후, 상기 차량이 다음 정거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승객의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승객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요청은 상기 승객이 구비한 승객 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차량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7.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수행되며, 승객 단말기들로 운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거장들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정규 노선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승차 요청 또는 하차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차 요청 또는 상기 하차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 지점을 상기 정규 노선에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이 추가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정거장들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왕래하도록, 자율 주행 명령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지점을 상기 정규 노선에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승차 요청 또는 상기 하차 요청에 근거하여 소정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 지역을 상기 차량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소정 시간보다 긴 시간을 정차할 수 있는 정차 가능 영역과 정차할 수 없는 정차 불가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정차 가능 영역은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 정차 가능 영역에서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을 상기 승차 요청 또는 상기 하차 요청을 생성한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정거장들 중 상기 승객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후보 정거장을 상기 소정 지점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거장으로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객 단말기에 정차가 가능한 지역 또는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을 안내하는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객 단말기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정거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가 가능한 지역 또는 상기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은, 상기 차량의 종류 및 승객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3 정거장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정규 노선에서 상기 제3 정거장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0116764A 2017-09-12 2017-09-12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0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4A KR102007227B1 (ko) 2017-09-12 2017-09-12 컴퓨팅 디바이스
EP18193733.5A EP3454265A3 (en) 2017-09-12 2018-09-11 Computing device
US16/127,735 US10990097B2 (en) 2017-09-12 2018-09-11 Computing device
CN201811062901.8A CN109491379A (zh) 2017-09-12 2018-09-12 计算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4A KR102007227B1 (ko) 2017-09-12 2017-09-12 컴퓨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361A KR20190039361A (ko) 2019-04-11
KR102007227B1 true KR102007227B1 (ko) 2019-10-21

Family

ID=6355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64A KR102007227B1 (ko) 2017-09-12 2017-09-12 컴퓨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90097B2 (ko)
EP (1) EP3454265A3 (ko)
KR (1) KR102007227B1 (ko)
CN (1) CN1094913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0116A1 (de) * 2017-11-13 2019-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um einen schnellen Halt eines autonom fahrenden Fahrzeugs zu ermöglichen
JP7063172B2 (ja) * 2018-07-31 2022-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乗車車両調整方法及び乗車車両調整プログラム
JP7192380B2 (ja) * 2018-10-12 202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39896B2 (ja) * 2018-11-07 2022-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経路情報決定装置、経路情報システム、端末及び経路情報を決定する方法
CN109919593A (zh) * 2019-03-21 2019-06-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结算方法及系统、车载设备、计算机设备及介质
US20210103288A1 (en) * 2019-10-02 2021-04-08 William D. Nemedi System and method of organizing and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US20230004693A1 (en) * 2019-12-02 2023-01-05 Wsp Global Inc. Railway management system with cable management and related method
KR20210078008A (ko) * 2019-12-18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을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536170B1 (ko) * 2022-04-29 2023-05-26 포티투닷 주식회사 폴리곤 서비스 지역 내 노선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98B1 (ko) * 1998-03-14 2002-03-08 이해진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72B1 (ko) * 2013-05-10 2014-07-22 퍼스텍주식회사 셔틀로봇 플랫폼을 이용한 무인운송차량
CN103956041B (zh) * 2014-03-28 2016-05-04 东南大学 一种公交调度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5219128A (ja) * 2014-05-19 2015-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経路案内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36182B2 (en) 2014-05-23 2016-09-06 Google Inc. Autonomous vehicles
US9631933B1 (en) * 2014-05-23 2017-04-25 Google Inc. Specifying unavailable loc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KR101877553B1 (ko) * 2014-11-14 2018-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자율주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주행 방법
KR102174087B1 (ko) * 2015-01-28 2020-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15115A (ko) * 2015-07-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JP6342856B2 (ja) 2015-07-31 2018-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US10023231B2 (en) 2015-08-12 2018-07-17 Madhusoodhan Ramanujam Parking autonomous vehicles
US10220705B2 (en) * 2015-08-12 2019-03-05 Madhusoodhan Ramanujam Sharing autonomous vehicles
CN105448127B (zh) * 2015-11-30 2019-02-05 深圳市华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公交车到站提醒方法、装置及系统
US20170169366A1 (en) * 2015-12-14 2017-06-1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ide-Sharing Schedules and Routes
KR102113816B1 (ko) * 2016-01-05 202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자율주행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05719475B (zh) * 2016-03-21 2018-01-05 广州地理研究所 一种弹性公交线路设置及运营调度方法
CN106127357A (zh) * 2016-07-29 2016-11-16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预约数据的定制公交自动布线系统及方法
CN106408099A (zh) * 2016-08-31 2017-02-15 广州地理研究所 一种基于乘客预约的公交车的动态调度方法和装置
US10677602B2 (en) * 2017-01-25 2020-06-09 Via Transportation, Inc. Detecting the number of vehicle passengers
US11493348B2 (en) * 2017-06-23 2022-11-08 Direct Current Capital LLC Methods for executing autonomous rideshare requests
US10627815B2 (en) * 2017-08-22 2020-04-21 Waymo Llc Context aware stopping for autonomous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98B1 (ko) * 1998-03-14 2002-03-08 이해진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4265A3 (en) 2019-04-10
US10990097B2 (en) 2021-04-27
EP3454265A2 (en) 2019-03-13
CN109491379A (zh) 2019-03-19
KR20190039361A (ko) 2019-04-11
US20190079519A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27B1 (ko)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64220B1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2003940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49159B1 (ko)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KR10201426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2774B1 (ko) 자율 주행 차량
KR102064223B1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198952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58049B1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
KR10201359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7550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6697B1 (ko)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197969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6170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25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55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8660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26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79268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EP4280165A1 (en) Navigation device linked to vehicle, ar platform apparatus, ar platform system comprising same, and operation method
US11745761B2 (en) Path providing device and path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90098795A (ko) 차량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013138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99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795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