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298B1 -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298B1
KR100312298B1 KR1019980008687A KR19980008687A KR100312298B1 KR 100312298 B1 KR100312298 B1 KR 100312298B1 KR 1019980008687 A KR1019980008687 A KR 1019980008687A KR 19980008687 A KR19980008687 A KR 19980008687A KR 100312298 B1 KR100312298 B1 KR 10031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vehicle
route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454A (ko
Inventor
이해진
이택익
Original Assignee
이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진 filed Critical 이해진
Priority to KR101998000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2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시내버스 및 정기 정규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이 항상 선행차량과 일정 지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차량간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지 않게 함으로 일정거리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 관제소에서 모니터를 통해 배차간격을 증/감 조정배차하여 차량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 초과 유무에 따라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보다 좁은 경우 후미 차량의 감속을 지시하고,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보다 넓은 경우 후미 차량의 가속을 지시한다.
이는 차량내에 설치된 시그널 램프에 의해 운전자 스스로 자차의 차량간격을 알고 자발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이동하는 현재의 위치들을 관제소에 알려주어 차량운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운행하는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행하는 차량이 운행 노선 상의 일정 위치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차량의 과속 및 불법운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내버스 및 정기 정규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이 항상 선행차량과 일정 지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차내에 설치된 계기 및 램프에 의해 운전자 스스로 자신이 차량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도로 정체 및 기타 상황으로 도저히 일정 차량간격을 유지하기 불가능할 때 관제소에서 차량의 흐름을 예상하여 배차간격을 조정 증감배치함으로써 차량의 공백에 생기지 않게 조절할 수 있어 차량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는 시내버스와 같은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을 '차량' 또는 '정규 차량'이라는 용어로 혼용하여 기술하였으나 모두 같은 의미임을 밝힌다.
최근 들어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광역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을 차량에 적용하여 교통 흐름을 안내하는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와 ATIS(Advanced Traveller Information System) 그리고 지능망 교통 안내 시스템(Intelligent Traffic System : ITS)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는 교통 정체의 발생시각과 지점을 예측, 사전에 정체 및 사고를 예방해 도로를 최대한 이용토록 하는 것이며 ATIS(Advanced Traveller Information System)는 현 위치, 정체사고, 기후, 속도, 차선제한 등 실시간 교통자료를 기초로 중앙상황실에서 각 차량에 내장된 AV기기를 이용해 내비게이션 정보와 경로유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GIS/GPS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안내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차량은 차량의 단말기에 GPS 신호 수신기와, 이 차량의 단말기와 메인 스테이션 컴퓨터간에 각종정보에 대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전기를 내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은 GPS신호를 차량의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및 차량고유번호를 무전기를 통해 메인 시스템에 전송하여 현재의 교통 상황을 알 수 있게 하고, 메인 시스템은 현재까지 취합된 교통 상황정보를 각각의 차량들에게 전달하여 교통 안내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통 안내 시스템은 전체 교통 흐름과 각각의 차량이 이동하는 현재의 위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시내버스 및 정기 정규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이 항상 선행차량과 일정 지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효과적인 교통 관리를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처럼 선행차량과 일정 지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운행하는 차량이 운행 노선 상의 일정 위치에 몰리며, 이에 따라 차량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며, 배차시간을 맞추기 위해 운전자가 차량의 과속 및 불법운행을 시행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이동하는 현재의 위치들을 관제소에 알려주어 차량운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 자신도 자차의 운행 상태를 숙지하여 자발적으로 일정간격을 맞추어 운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행하는 차량이 운행 노선 상의 일정 위치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행하는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과속 및 불법운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부분으로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과 관제소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항법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가/감속 표시부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소의 관제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의 표시부에 출력된 노선도 상의 차량운행 상태 표시를 예시하고,
도 6(a)∼(d)는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의 표시부에 출력된 노선도의 여러 형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를 위한 주 제어창을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간 거리설정 및 이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환경 설정창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노선도 상의 임의의 차량을 선정하여 차량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개별차량제어창을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배차 조정을 위한 배차조정창을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든 차량들에 대한 차량 정보를 등록하는 차량등록창을 나타내며,
도 12(a)∼(k)는 본 발명에 따라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외부와 통신하고 현재 차량 주행 에 대한 외부의 지시를 표시하는 항법시스템을 장착한 다수의 차량; 상기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현재 운행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 초과 유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차량들의 후미차량들의 가/감속을 지시하는 관제 시스템; 상기 차량으로부터 현재 운행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부로 구성하는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 초과 유무에 따라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보다 좁은 경우 후미 차량의 감속을 지시하고,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보다 넓은 경우 후미 차량의 가속을 지시하는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살펴보면, 차량(110)은 GPS 안테나(150)를 통해 GPS 위성(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무선통신안테나(160)와 무선음성통신안테나('TRS 안테나'라고 칭하기도 함 : 190)를 통하여 관제소(140)의 관제시스템과 통신하고 현재 주행 차량에 대한 관제시스템의 지시를 표시하는 항법시스템(300)을 장착한다.
또한, 관제소(140)의 관제시스템은 다수의 차량(110)으로부터 현재 운행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차량(110)들간의 차량간격이 기설정된 차량간격의 범위 초과 유무에 따라 다수의 차량(110)들의 후미차량들의 가/감속을 지시한다.
이처럼, 차량(110)으로부터 현재 운행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관제소(140)의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명령을 차량(110)에 전송하는 제어 및 데이터 통신은 무선 데이터 기지국(130)과 무선 데이터중계실(170)을 거쳐 전화국망(180)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게 차량(110)에서 관제 시스템에 전송되는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이며, 위치정보 중 차량 이동으로 변하지 않는 위치정보를 제거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의 동부지역은 위도 37도 ××분 ××초이고 경도 127도 ××분 ××초이므로 위치정보 전송시 통신 데이터량을 줄이기 위해 위도 37도와 경도 127도 정보를 제거하고 나머지 분, 초 정보만 전송한다.
한편, 차량(110) 운전사와 관제 시스템을 구비한 관제소(140)의 관제사 간의 무선 음성 데이터 통신은 무선 음성 데이터 통신망인 주파수 공용 무선 통신 시스템(TRS:Trunked Radio System)망(200)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부분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차량과 관제소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항법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항법시스템(300)은 다수의 GPS 위성(120)으로부터 GPS안테나(150)를 통해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계산하는 GPS 수신부(310)와, GPS 수신부(310)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유무선통신부(130, 170, 180)를 통해 관제시스템에 전송하고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지시를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320)와,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가/감속 지시를 표시하는 가/감속 표시부(330)와,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340)와, 항법시스템(300)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 키입력을 받는 키입력부(350)와, 차량으로부터 외부로 R/F 신호를 발생하는 R/F 태그 발생부(360)와, 각각의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부(370)로부터 판독하여 수행하는 처리부(380)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가/감속 표시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가속 및 감속 지시를 구별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차량의 가속 지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컬러 램프(바람직하게, 청색 램프)와, 차량의 감속 지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컬러 램프(바람직하게, 적색 램프)로 구성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제소(140)의 관제시스템(140a)과 무선음성통신시스템(140b)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141a)는 모뎀부와 프로토콜변환부로 구성되어 유무선통신망(130, 170, 180)을 통해 다수의 차량(1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다수의 차량(11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부(142a)는 다수의 차량(110)이 운행하는 노선 지도 데이터, 배차정보, 차량정보 및 정거장 위치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부(142a)에서 관리하는 노선 지도 데이터는 일반적인 GIS의 디지털 지도를 사용하며 각각의 배차정보, 차량정보 및 정거장 위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관제시스템(140a)은 다수의 차량(110)의 도 5와 같은 노선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운행 상태를 표시하고, 차량 운행 환경을 설정하는 도 7 내지 도 11의 설정창을 표시하는 표시부(143a)와, 표시부(143a)에 표시된 내용을 선택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44a)와, 각각의 요소들을 제어하며 수신된 다수의 차량의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42a)에 저장관리되는 노선지도데이터 및 정거장 정보를 통해 오차보정방법에 따라 오차를 보정하여 표시부(143a)에 표시하는 처리부(144a)를 포함한다.
오차보정방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처리부(144a)가 전송된 차량 위치를 가지고 노선지도데이터 및 정거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42a)에 소정 간격 크기의 질의(query)를 통해 조건에 만족하는 자료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가까운 근사치의 정거장 및 도로상의 표시점을 찾는다.
이때, 질의 처리 및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기초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관제시스템(140a)은 자동 배차를 지원하기 위해 현재 시각을 카운트하는 타이머(145a)와, 배차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시각에 출고할 차량 및 운전자를 안내하는 배차안내부(146a)와, 출고할 차량의 출발을 알리는 출발지시부(147a)와, 차량의 출고 및 입고시 발생하는 R/F 태그 신호를 입력받는 R/F 태그 입력부(148a)를 더 포함하고, 처리부(144a)는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차량의 입/출고 시각을 데이터베이스부(142a)에 저장한다.
한편, 무선음성통신시스템(140b)은 무선음성통신장치(141b)와 안테나(142b)로 구성되어 관제사가 차량(110)의 운전자와 무선음성통신을 하여 운전자부터 현재의 교통상황을 보고 받고, 차량 운행에 대한 지시를 구두로 할 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143a)에 표시되는 노선도 상에는 차량 표시 모형에 차량 번호 및 현재 운행상태를 표시하며, 차량 표시 모형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별 모양 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노선도는 실제거리를 일정비율로 축소하여 사거리, 신호등, 교차로 등 주요 구조물과 함께 버스노선의 모양에 따라 도 6과 같이 실제 지도상이나, 상/하행선을 서로 분리하여 표시하거나 대칭으로 표시한다.
한편, 노선도 상에서 차량 모형이 이동할 때 처리부(144a)는 데이터베이스부(142a)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회차점 및 종점의 위치정보에 따라 회차점 및 종점에서 상행/하행이 자동 전환시키며, 차량의 현재 운행상태는 차량과 차량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 표시 모형에 컬러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차량과 차량간의 거리가 규정거리보다 가까우면 적색을 표시하고, 규정거리보다 멀리 떨어졌으면 청색을 표시하고, 규정거리를 유지하면 녹색을 표시한다
한편, 관제시스템(140a)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관제시스템(140a)은 전원을 켜 놓아 정상적인 데이터가 입력되게 해 놓은 상태에서 관제운영을 안 했을 경우 수신 데이터가 자동으로 월일 파일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142a)의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시 관제사에 의해 관제시스템을 운영했을 때 저장 데이터를 표시부(143a)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저장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멈추고 현재의 운행중인 관제로 작업을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관제시스템(140a)은 관제사의 환경설정에 의해 차량의 데이터 송/수신 주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의 차량이 노선을 운행 중 도로사정 및 기타 사유로 차량들 간의 거리를 강제 지정하고 정상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복귀할 수 있고, 다수의 차량이 노선을 운행 중 각 차량별 송/수신 금지 및 재송신을 전술한 콤맨드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제시스템(140a)은 노선을 운행 중인 차량이 선행차량에 근접하거나 멀어진 경우 상기 차량에 선행차량과의 거리 및 정거장 이름을 전송하여 문자표시부(340)에 출력한다.
한편, 관제시스템(140a)은 지정된 시간마다 각 송신 차량의 송신여부를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통신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차량에 대해 지정 색상으로 통신 두절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고 식별이 용이하도록 점멸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표시부(143a)에 출력된 차량 운행 환경 설정을 위한 설정창들을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를 위한 주 제어창으로,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상태와 위치 및 차량번호정보를 출력하는 노선도와,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을 나타내는 차량정보표시창과, 상/하행선 운행 현황 정보 등을 표시하는 상/하행선 운행현황 표시창과, 사용환경, 통신시작, 차량 등록, 배차 설정, 메시지중지, 다시 시작 등의 명령을 수행하는 콤맨드바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간 거리설정 및 이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환경 설정창을 나타내는데, 차간거리기준값을 입력하는 콘트롤바와, 차간거리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 앞차와의 거리 설정 콘트롤바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노선도 상의 임의의 차량을 선정하여 차량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개별차량제어창을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관제사가 노선도상의 차량 모형 95를 입력부(144a)인 마우스를 통해 클릭하면 관제시스템(140a)의 처리부(144a)는 차량번호 7595의 차량 모형의 키(key)를 가지고 차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2a)에서 획득하여 선택된 차량의 상태와 차량정보를 표시부(143a)의 지정 위치에 팝업 메뉴 상태로 표시한다.
이들 내용을 살펴보면, 차량번호, 차량에 설치된 모뎀번호, 그리고 배차순서이고, 송신 안함 콤맨드 버튼, 개별전송콤맨드 버튼, 선행차와의 차간거리 설정창, 기준 차간거리 값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콤맨드 버튼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배차 조정을 위한 배차조정창을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관제사에 의해 배차순서를 조정받기 위해 각각의 차량에 해당하는 차량번호가 나열되고 각각의 차량에 해당하는 차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에디터 박스로 구성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42a)에서 저장관리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든 차량들에 대한 차량 정보를 등록하는 차량등록창을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각각의 필드는 모뎀번호, 차량번호, 차량모형에 표시되는 차량표시번호, TRS번호, 운전기사번호, 운전기사명 등으로 구성되어 관리된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2(k)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제시스템(140a)는 차량(110)에 장착된 항법시스템(300)으로부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 S1201).
바람직하게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위치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도 및 경도의 '도' 값을 제거한 값이므로 단계 S1202에서 이와 같은 위치정보를 원래의 위치정보로 복원하기 위해 기준값을 가산한다.
이어, 가산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정거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42a)에서 첫 번째 지정간격을 질의 문장에 대입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자료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가까운 근사치의 정거장 및 도로상의 표시점을 찾는다.
이때,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지정간격을 배수로 증가시키고 다시 질의문에 대입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자료를 계속해서 찾아 나간다. 지정된 검색회수 이상이면 수신된 자료는 오류 처리한다(단계 : S1203).
가장 가까운 근사치의 정거장 및 도로상의 표시점을 찾은 후 좌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좌표값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한다(단계 : S1204).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한 결과, 지정차간 거리보다 먼 경우 단계 100으로 분기하여 차량(110)에 장착된 과속을 지시하는 해당색(바람직하게 청색)의 램프를 점등하고, 선행차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의 차량모형에 해당색상(바람직하게 청색)을 표시 및 점멸한다.
한편,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한 결과, 지정차간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단계 200으로 분기하여 차량(110)에 장착된 과속을 지시하는 해당색(바람직하게 적색)의 램프를 점등하고, 선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의 차량모형에 해당색상(바람직하게 적색)을 표시 및 점멸한다.
한편, 다른 처리가 요청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소정시각 이상 송신 안된 차량이 있는 경우 단계 400으로 분기하여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의 차량모형에 해당색(바람직하게 회색)을 점등하고 계속적으로 점멸한다. 이어, 해당차량 후미차량에게 개별송신 금지 명령을 송신한다.
만일 하행선 차량이 종점으로 들어온 경우 단계 500으로 분기하여 입고된 차량의 개별송신을 금지시키고,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의 차량모형을 차고지로 이관한 후 차량상태를 상행으로 전환한다. 한편 현재 차량이 종점밖에 존재하는 경우 개별 송신을 개시하고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에 차량모형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R/F 태그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계 600으로 분기하여 수신된 R/F 태그 신호가 지정된 차량의 고유 ID이고 하행인 경우 데이터베이스부(142a)에 입고시간을 기록하고, 개별송신을 금지하며 표시부(143a)의 노선도상의 차량모형을 차고지로 차량모형을 이관한 후, 차량상태를 상행으로 전환한다.
만일, 환경설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 단계 700으로 분기하여 도 8에 예시한 환경조정창을 통해 전체 차간거리를 조정하고, 차간거리 허용오차를 조정하며, 메시지송신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위치정보 전송 주기를 조정하고 이것을 전체 개별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배차설정기능이 선택된 경우 단계 800으로 분기하여 도 10에 예시한 배차조정창을 통해 해당 차량의 번호를 원하는 순번에 이동시킨 후 순번을 정렬한다.
만일, 차량관리기능이 선택된 경우 단계 900으로 분기하여 도 11에 예시한 차량등록을 통해 노선별 차량 수를 추가 및 삭제한다. 바람직하게, 차량 추가시 모뎀번호, 차량번호, 차량모형에 표시되는 차량표시번호, TRS번호, 운전기사번호, 운전기사명 등의 정보를 부가한다.
끝으로, 차량정보기능이 선택된 경우 단계 1000으로 분기하여 도 9에 예시한 개별차량제어창을 통해 노선도 상의 임의의 차량을 선정하여 차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개별차간 거리를 설정하고, 개별전송을 처리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지원하는 기능을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차량간 거리 지정 기능
고정 노선의 경우 해당 노선상에 차량이 운행할 때 앞 차량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관제소 관리자는 임의의 차량과 그 선행차량간의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를 도 8과 같이 지정하면 차량거리가 지정된 차량들은 지정된 차량 거리를 유지하며 운행할 수 있게 관제소에서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관제소 관리자는 도 5에 도시된 차량 번호 6340인 차량과 이것의 다음 차량 차량번호 6343인 차량간의 거리를 도 8과 같은 차량지정화면에서 1킬로미터(㎞)로 조정하고 도 8과 같은 하용오차 조정화면을 통해 200 미터(m)로 지정하면, 차량 번호 6340인 차량과 이것의 다음 차량 차량번호 6343인 차량간의 거리가 1.2 킬로미터(㎞)이상을 벗어났을 때 차량번호 6343인 차량 운전자에게 가속하라는 명령을 관제소에서 내린다.
반면, 두 차량간의 거리가 800 미터 미만으로 좁아졌을 때는 다음 차량 즉 차량번호 6343인 차량 운전자에게 감속하라는 명령을 관제소에서 내린다.
바람직하게, 차량 거리조정은 현재 운행 중인 모든 차량에 대해 동일하게 차량간 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차량 거리 전체 조절기능은 지정거리를 도 8와 같은 차량거리 지정화면에서 한 번 지정하면 노선을 운행하는 전 차량이 모두 같은 차량 거리로 운행하게 하는 기능이다.
한편, 차량거리 개별 조정기능은 전체 조정기능을 지정하였는데 이때 도로의 상황에 따라 각 차량들이 정체 및 교통상황에 따라 지정거리를 유지할 수 없을 때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선행차량과의 거리를 차량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이다.
바람직하게, 각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차량 간격은 도 7에 도시된 차량 노선도 상의 해당 차량을 마우스를 사용하여 선택하여 더블 클릭하면 도 9와 같이 창이 팝업되어 표시되고 이 창에 차량 간격을 수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2) 배차시간의 완급 조절 기능
노선 버스에서 고정 노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발하여 회차 할 때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여 출발전에서 차량에 출발간격을 지정하여 출발시킨다.
그러나, 운행 노선의 도로 상황이 수시로 변하여 정시에 들어올 차가 들어오지 않으면 차량을 내보낼 수가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관제소의 관제사는 도 5와 도 6과 같이 관제시스템의 화면에 차량의 흐름이 보이므로 들어올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으므로 이때 내보낼 차량의 배차시간을 가감하여 배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고지에서 차량 번호 100인 차량을 내보낼 때 도로상황이 양호할 때는 5분 간격 배차를 하고 있는데, 실제로 들어오는 차량이 종점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남아 있다든지 하면 배차간격을 5분에서 7분으로 또는 그 이상, 이하로 배차간격을 조절하여 배차하는 기능이다.
3) 차량들 간의 거리 유지 램프 기능
차량간 거리 지정 기능을 통해 관제사가 차량간 거리와 허용오차를 지정한 후 앞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멀어졌을 때는 가속할 수 있게 해당 차량에게 명령을 내려주는데, 이때, 차량에 장착된 램프들 중 과속을 의미하는 램프를 계속 점멸시켜 일정거리에 도달되었을 때 점멸되던 램프를 끄게 한다.
바람직하게, 과속을 의미하는 램프는 청색 램프이다.
한편, 주행차량이 앞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로 근접했을 때는 감속할 수 있게 해당 차량에게 명령을 내려주는데, 이때, 차량에 장착된 램프들 중 감속을 의미하는 램프를 계속 점멸시켜 일정거리에 도달되었을 때 점명되던 램프를 끄게 한다.
바람직하게, 감속을 의미하는 램프는 적색 램프이다.
이때 점멸 방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점멸하는 방법과 지정시간 점멸하고 지정시간 대기 후 다시 지정시간 점멸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일정거리를 유지했을 때 램프를 끄게 하는 방법과 끄지 않고 정상 운행을 나타내는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하는 방법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차량 번호 110 차량과 차량 번호 109 차량의 설정 거리가 1.2 킬로미터(㎞)이고, 허용오차가 100 미터(m)로 지정하였다면 차량 번호 110 차량과 차량 번호 109 차량의 거리가 1.1 킬로미터(㎞) 이내이면 차량번호 109의 차량에 적색 램프를 점멸하여 감속을 명하고, 차량 거리가 1.1 ∼ 1.2 킬로미터(㎞)로 범위 안에 들어오면 적색램프를 끄게 하며, 이 차량을 나타내는 관제소의 관제시스템의 화면에는 운행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는데, 바람직하게 녹색으로 표현한다.
4) 주중 및 공휴일 배차 간격 선택 기능
일반적으로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경우 도로상황에 민감하며 도로상황은 주중과 공휴일에 현저하게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날짜별 특성을 고려하여 차량 운행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주중과 공휴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차량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주중에는 정상적인 배차시간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공휴일에는 도로의 교통상황이 원활함으로 차량간 거리를 늘려서 운행 및 배차시간을 늘려 운행해도 승객들은 짜증나지 않고도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중과 공휴일의 차량 사용량이 서로 다른 관계로 화면의 배차 순서에서 사용 차량 대수를 정의하여 차량을 배차할 때 사용함으로써 주중 또는 공휴일에 발생하는 차량 운행 대수 증감 현상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5) 주차장내 및 일정지역에 도달했을 때 송/수신 단절 및 복귀 기능
차량이 차고지 주차장에 입고가 됐을 때나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지역에 들어왔을 때 이때 단말기에 송/수신 단절을 지시하여 필요 이상의 통신망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게 하는 기능이고, 필요시에는 송/수신을 재개시키는 기능을 단말기에 보내어 정상적인 송/수신을 재개시키는 기능이다.
6) 운행중 차량의 운행 순서가 바뀔 경우 배차 순서를 정렬하는 기능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하다 차량 수리 등에 따라 운행 순서가 바뀔 경우 이를 곧 바로 관제 시스템에 적용시켜 배차 순서를 정렬시키는데 이때 관제사는 도 10의 배차조정 창에서 바로 해당 차량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필요 위치로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운행 순서가 정렬된다.
7) 송수신 시간별 조정 기능 및 송수신 때마다 화면상에 이동상황 재표시 기능
송/수신 주기를 일정하게 고정시키지 않고 필요할 때 송/수신 주기를 조절할 수 있게 설정하면 필요시에 차량의 이동상황을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 정류장 미정차 등을 알아낼 수 있을 뿐더러 효율적으로 차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제시스템은 매 수신 때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도 6와 같은 화면의 노선도에 바로 위치이동상황을 디스플레이 한다.
8) 관제시스템 화면의 노선도 상에 차량 표시 모형에 차량 번호 및 현재 운행상태를 표시하는 기능
관제시스템의 노선도에 차량의 표시 모형은 상황에 따라 여러 종류로 만들 수 있다.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삼각형, 별 모양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차량을 표시하고 그 안에 해당 차량 번호를 표시하여 관제시스템의 노선도에 차량의 변화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이때, 차량과 차량간의 거리에 따라 모형의 색깔이 변한다.
바람직하게, 모형의 색깔은 청색, 적색, 녹색, 보라색 등으로 차량의 그때 그때 상태에 따라서 정의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정상적인 간격을 유지하고 차량이 주행할 때는 관제시스템 화면에 녹색으로 표시하고 차량이 일정거리 이상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청색으로 표시하고, 차량이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에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각각 이동차량은 관제 시스템에 차량번호 정보를 갖는 원형으로 표시되며 현재 운행 상태 정보를 컬러로 표시한다.
9) 운행 중 도로사정 및 기타 사유로 차량들 간의 거리를 강제 지정하고 정상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복귀하는 경우
운행 중 도로 사정 및 기타 사유로 차량들 간의 거리를 유지할 수 없을 때 이를 강제적으로 차량들 간의 거리를 가/감하여 운영한다.
한편, 도로사정이 원상 복귀되었을 때 이를 정상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131과 115, 132, 116과 같이 차량 4대가 지정거리 이내로 어쩔 수 없는 교통정체로 몰려다닐 경우 관제소에서 132번에 지정차량거리를 1.2 킬로미터(㎞)에서 0.6 킬로미터(㎞)로 지정하고, 114번 차량에 1.2 킬로미터(㎞)에서 2.0 킬로미터(㎞)로 지정하여 운행한다.
교통상황이 원상복귀 될 때 이들 차량들을 다시 개별 차량 거리에서 전체차량 거리로 환원시킨다.
10) 운행중 개별 송/수신 금지 및 재송신 기능
고정노선을 일정거리 유지하면서 운행하는 노선 차량의 경우 선행차량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항상 선행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만약에 선행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에 문제가 생겼거나 교통사고가 났을 경우 후미차량은 선행차량과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는 관제소에서 TRS로 이를 확인하고 문제 이상 유무를 통화한 다음 관제시스템의 화면에서 선행차량에 개별 송/수신 금지를 명한다. 그러면 후미차량은 선행차량의 선행차량에 일정거리를 계산하고 이때 이에 맞는 차량 거리 조정 기능을 관제소에서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110, 109, 108 차량이 운행 중 109 차량이 송신 두절이 되었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후미차량인 108 차량이 110 차량과의 차량 거리를 맞추게 되므로 108 차량에게 선두차량이 됨을 알리고 관제소에서 108 차량의 개별 송신금지 명령을 내린다.
이때, 만일 109 차량이 송신이 회복되면 다시 108 차량에게 109 차량과의 간격 유지를 하도록 개별 송신 개시 명령을 내린다.
11) 운행중 차량에 장착된 LCD 게시판에 정보 표시 기능
운행중인 차량이 근접하거나 멀어진 차량에게 관제사는 해당 차량에게 색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에게 선행차량과의 거리 및 정거장 명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명령은 관제시스템에서 임의로 표시를 켜고 끌(on/off)수 있다. 이는 송신시 부과되는 요금을 절약하는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다.
12) 자동배차기능
자동배차기능의 운용방법은 운전기사 대기실에는 배차 안내표시부(146a)가 있고 관제소에는 출발지시부(147a)와 R/F 태그 입력부(148a)수신기가 있어서 차량의 출발과 입고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선행차량이 준비되고 있는 사이 관제시스템은 그 다음 차량의 준비를 운전기사 대기실의 배차 안내표시부(146-1a)에 차량 번호와 배차 안내음발생부(146-2a)를 통해 멜로디로 경보를 발생하여 차량 준비를 알린다.
관제시스템은 선행차량이 지정 표시 위치에 가면 다음 차량에게 출발을 지시하기 위해 출발지시부(147a)인 경광등을 경광시킨다.
이렇게 하여 선행차량의 위치에 후미차량의 움직임 등을 일일이 제어하여 차량의 원활한 배차를 유도하고 차량의 차고지에 출고 및 입고 시간을 R/F 태그 신호를 통해 정확한 입/출고 시간 관리가 가능하다. 이때 R/F 태그 신호는 육안으로 조작하는 것과 문선 R/F 모뎀, R/F 태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이동하는 현재의 위치들을 관제소에 알려주어 차량운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운행하는 차량들간의 차량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행하는 차량이 운행 노선 상의 일정 위치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이용자들이 정류장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차량의 과속 및 불법운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나아가서는 운전자 스스로가 차내에 설치된 계기 및 램프에 의해 자발적으로 차량간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23)

  1. 복수의 노선버스들의 운행을 관리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외부와 통신하고 현재 버스의 주행에 대한 외부의 지시를 표시하는 항법시스템을 장착한 복수의 버스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들에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버스가 운행하는 노선 지도 데이터와 상기 버스가 정차할 정거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노선 지도 데이터에 따른 노선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들의 위치를 상기 노선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복수의 버스들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관리되는 노선지도 데이터와 상기 정거장정보에 의하여 상기 버스의 위치정보에 대하여 오차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오차보정된 버스들의 위치 데이터에 의하여 버스들의 버스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노선상에 상기 버스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버스간격이 기설정된 간격의 초과여부를 검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버스의 운전자에게 버스간격의 초과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제시스템의 운영자와 상기 버스들의 운전자와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데이터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시스템은 배차정보, 버스정보 및 정거장 위치 정보, 버스의 입/출고시각정보가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내의 저장수단; 상기 배차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시각에 출고할 버스 및 운전자를 안내하는 배차안내부; 상기 출고할 버스의 출발을 알리는 출발지시부; 상기 버스의 출고 및 입고시 발생하는 R/F 태그 신호를 입력받는 R/F 태그 입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입/출고 시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보정은 상기 전송된 버스 위치를 가지고 노선지도데이터 및 정거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소정 간격을 질의 문장에 대입하여 조건에 만족하는 자료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가장 가까운 근사치의 정거장 및 도로상의 표시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노선상에 버스 표시 모형에 버스 번호 및 현재 운행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노선도상에 표시되는 버스 모형은 상기 버스가 이동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회차점 및 종점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회차점 및 종점에서 상행/하행이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현재 운행상태 표시는, 버스와 버스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버스 표시 모형에 컬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설정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설정창은 임의의 버스와 선행버스간의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를 설정받기 위한 버스간거리 지정창;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버스의 흐름과 주중 및 공휴일의 특성에 따라 내보낼 버스의 배차시간을 가감하여 설정받기 위한 배차시간 완급 조절창; 상기 버스가 주차장 및 일정지역에 도달했을 때 상기 버스의 송/수신 단절 또는 복귀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버스통신 제어창; 상기 복수의 버스 운행 중 버스의 운행 순서가 바뀔 경우 배차 순서를 정렬하기 위한 배차조정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노선도는, 실제거리를 일정비율로 축소하여 사거리, 신호등, 교차로 등 주요 구조물과 함께 버스노선의 모양에 따라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도는, 상행선과 하행선이 동일 선상에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상/하행선을 서로 분리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도는, 상행선과 하행선이 대칭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노선도는, 실제 지도상에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전원을 켜 놓아 정상적인 데이터가 입력되게 해 놓은 상태에서 운영을 안 했을 경우 수신 데이터가 자동으로 월일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영을 재개했을 때 저장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와 상기 항법 시스템간의 데이터 송/수신 주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버스가 노선을 운행 중 도로사정 및 기타 사유로 버스들 간의 거리를 강제 지정하고 정상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복귀하도록 노선버스 관제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버스가 노선을 운행 중 각 버스별 송/수신 금지 및 재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노선을 운행 중인 버스가 선행버스에 근접하거나 멀어진 경우 상기 버스에 선행버스와 거리 및 정거장 이름을 전송하여 상기 항법시스템에 출력에서 문자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각각의 버스로부터 송신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통신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된 해당버스에 대해 통신 두절을 나타내는 표식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관제시스템.
  19.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외부와 통신하고 현재 버스 주행에 대한 외부의 지시를 표시하는 항법시스템을 장착한 복수의 버스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로부터 현재 운행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버스 위치정보수신단계; 상기 버스위치정보수신단계로부터 수신되는 버스의 현재 운행위치정보를 노선지도데이터와 상기 버스들이 정차할 정거장에 대한 위치정보에 의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보정단계; 상기 오차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버스들의 위치에 의하여 버스들의 간격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버스간격이 기설정된 범위의 버스간격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버스간격 판단단계; 상기 판단결과 버스간격이 기설정된 범위의 버스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버스들에 가/감속을 지시하는 지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운행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버스 운행제어방법은 배차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시각에 출고할 버스 및 운전자를 안내하는 단계; 상기 출고할 버스의 출발을 알리는 단계; 상기 버스의 출고 및 입고시 발생하는 R/F 태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입/출고 시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운행제어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버스 운행제어방법은 임의의 버스와 선행버스간의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 설정 단계; 버스의 운행상황에 따라 상기 거리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는 완급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선버스 운행제어방법.
  22. 노선버스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되는 가감속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항법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안테나를 통해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버스의 위치를 계산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에 의해 계산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위치정보중 변하지 않는 위치정보를 제거하고, 변화된 위치정보만을 추출하기 위한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노선버스의 가감속 지시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버스 가/감속 지시를 구별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감속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버스 탑재 항법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 표시부는, 상기 버스의 가속 및 감속 지시를 구별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서로 다른 두가지 컬러 램프들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탑재 항법시스템.
KR1019980008687A 1998-03-14 1998-03-14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1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87A KR100312298B1 (ko) 1998-03-14 1998-03-14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687A KR100312298B1 (ko) 1998-03-14 1998-03-14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54A KR19990036454A (ko) 1999-05-25
KR100312298B1 true KR100312298B1 (ko) 2002-03-08

Family

ID=3753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87A KR100312298B1 (ko) 1998-03-14 1998-03-14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61A (ko) * 2017-09-12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587B1 (ko) * 2000-12-30 2004-05-03 주식회사 마이크로애드 운행감시 시스템 및 운행감시 방법
KR20030000733A (ko) * 2001-06-26 2003-01-06 김종림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KR102375710B1 (ko) * 2020-01-28 2022-03-18 (주)서울소프트 인공지능 기반의 최적배차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72536B1 (ko) * 2020-05-02 2020-10-30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 주행차량의 충돌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및 통신 시스템
CN112255658B (zh) * 2020-10-28 2024-03-26 湖南聚沙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gps定位点统计车辆行驶圈数的方法、装置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387A (ja) * 1990-11-06 1992-06-22 Komatsu Ltd 移動体の監視装置
JPH0567296A (ja) * 1991-09-09 1993-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スの運行管理方法
KR970076408A (ko) * 1996-05-14 1997-12-12 박태형 운행 정보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387A (ja) * 1990-11-06 1992-06-22 Komatsu Ltd 移動体の監視装置
JPH0567296A (ja) * 1991-09-09 1993-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スの運行管理方法
KR970076408A (ko) * 1996-05-14 1997-12-12 박태형 운행 정보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61A (ko) * 2017-09-12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07227B1 (ko) * 2017-09-12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디바이스
US10990097B2 (en) 2017-09-12 2021-04-27 Lg Electronics Inc.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54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012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ynamic traffic information
US66090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vehicles to negotiate roles and permission sets in a hierarchical traffic control system
US6253150B1 (en) Mobile navigation system
US6178378B1 (en) Method for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130162449A1 (en) Traffic Routing Using Intelligent Traffic Signals, GPS and Mobile Data Devices
CN106575480B (zh) 信息处理系统、终端装置、程序、移动终端装置、计算机可读取的非易失性的有形记录介质
EP2051223B1 (en) Vehicle dynamic navigation system
JP2000194994A (ja) 駐車スペ―ス把握
US20010014849A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route updating feature
WO2001022035A1 (en) System for guiding vehicles
CN108615384A (zh) 基于云平台的车道分配方法及用于车道分配的云平台
WO1993011443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movements
WO1993011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movements
CN111862633A (zh) 一种基于v2x的交通信号灯控制方法、路侧单元及系统
JP2004118848A (ja) 短距離無線通信網を利用したバス内の乗客のための停留所到着所用時間の案内方法
JP2020166489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運転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運転情報配信方法
JP2000163699A (ja) 緊急車両の優先走行支援システム
US20070038368A1 (en) Cent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driving support system using the same
JP2009009282A (ja) 需要情報送信装置
KR100312298B1 (ko) 정기 정규 고정 노선을 운행하는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1771224A (zh) 使用移动设备的紧急交通控制系统
JP5464035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20166675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02298296A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307242B1 (ko) 순서표의 항목 순서를 식별자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