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572B1 - 인덕터 소자 - Google Patents

인덕터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572B1
KR102006572B1 KR1020180050551A KR20180050551A KR102006572B1 KR 102006572 B1 KR102006572 B1 KR 102006572B1 KR 1020180050551 A KR1020180050551 A KR 1020180050551A KR 20180050551 A KR20180050551 A KR 20180050551A KR 102006572 B1 KR102006572 B1 KR 10200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ore
magnetic powder
winding
inducto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291A (ko
Inventor
야스히데 야마시타
카츠시 야스하라
치오미 사토
쇼타 고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 B29C2043/18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8Magnetic or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01F1/3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in the form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3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two, usually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parts enclosing completely the coil (pot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01F2017/04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helical coil made of flat wire, e.g. with smaller extension of wir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코일 형상으로 도체가 권취되어 있는 권선부; 및 권선부의 주위를 감싸고, 자성 분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가지는 인덕터 소자이다.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외측 방향에 권선부가 존재하고, 권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한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코어부의 영역을 코어 중심 중앙 영역으로 한다.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외측 방향에 권선부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코어부의 영역을 천판 중앙 영역으로 한다. 권축 중심을 통과하여 권축 중심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 코어 중심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α(%), 천판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β(%)로 하는 경우, Sα-Sβ≥-2%이다.

Description

인덕터 소자{INDUCTOR ELEMENT}
본 발명은 인덕터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 소자의 일례로서 금속 자성 분말에 수지를 가해 가압 성형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내부에 코일을 매설하고 있는 인덕터 소자가 알려져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자성 분말과 열강화성 수지를 혼합하고 가압 성형하여 2개의 압분체를 성형하고, 그러한 압분체로 권선부를 끼워넣듯이 재가압함과 함께 열경화를 행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압분체는 재가압 성형할 때에 압분체의 형상이 무너지지 않는 경도의 강경도부와 압분체의 형상이 무너지는 경도의 약경도부를 마련하여, 재압축에 의해 약경도부를 무너뜨리면서 성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압분체의 일부를 무너뜨려 재압축하여 성형할 필요가 있다. 최근, 코일 부품의 대전류화가 진행되어 코일의 직류 중첩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직류 중첩 특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밀도를 고밀도로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재가압 성형시에 약경도부의 형상이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충분한 압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특히 압분체끼리를 접합시키는 부분의 밀도가 낮아지기 쉽다. 즉,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인덕터 소자에서, 코어의 중심부의 밀도가 낮아지기기 쉽다. 또한, 밀도를 높게 하기 위해 재가압 성형시의 압력을 높게하려고 하면, 코일 피막이 찢어지거나 금형 내벽과 자성 분말 표면의 마찰이 발생하여, 내전압을 저하시키기 쉽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5212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한 것으로,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킨 인덕터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 소자는, 코일 형상으로 도체가 권취되어 있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주위를 감싸고, 자성 분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가지는 인덕터 소자로서,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인 외측 방향에 상기 권선부가 존재하고, 상기 권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인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코어 중심 중앙 영역으로 하고,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인 외측 방향에 상기 권선부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상기 권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인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천판(天板) 중앙 영역으로 하고, 상기 권축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권축 중심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 상기 코어 중심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α(%), 상기 천판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β(%)로 하는 경우, Sα-Sβ≥-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 소자는 상기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α-Sβ≥-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α-Sβ≥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α≥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인덕터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이용하는 예비 성형체 및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예비 성형체 및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하는 예비 성형체 및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이용하는 예비 성형체 및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 실시예 1의 인덕터 소자의 단면 사진이다.
도 8은 본원 비교예 3의 인덕터 소자의 단면 사진이다.
도 9는 본원 실시예 4의 인덕터 소자의 단면 사진이다.
도 10은 본원 비교예 5의 인덕터 소자의 단면 사진이다.
도 11은 본원 실시예 1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이다.
도 12는 본원 비교예 3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이다.
도 13은 본원 실시예 4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이다.
도 14는 본원 비교예 5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후술하는 권선부(4)의 권축 중심(4α)을 통과하여, 권축 중심(4α)과 평행한 단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인덕터 소자(2)는 권선부(4) 및 코어부(6)를 갖는다. 권선부(4)에서는 도체(5)가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다. 코어부(6)는 권선부(4)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내주부(코어 중심부라고도 함)(6a) 및 권선부(4)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부(6b)를 갖는다. 권선부(4)를 구성하는 도체(5) 및 코어부(6)의 틈새부(6c)에는, 코어부(6)를 구성하는 자성체 분말 및 수지가 들어가 있다.(본 명세서에서 '코어 중심'이라 함은 코어 가운데 부분을 의미하며, 중심(中芯)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 소자(2)는 코어부(6)의 상면 및 하면이 Z축에 대해 대략 수직이며, 코어부(6)의 측면은 X축 및 Y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권선부(4)의 권축은 Z축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단, 코어부(6)의 형상은 도 1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형, 타원기둥형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인덕터 소자(2)의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드부(5a, 5b)를 제외한 부분이 (2~17)mm×(2~17)mm×(1~7)mm의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에 포함되는 사이즈이다. 한편, 도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권선부(4)의 리드부(5a, 5b)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권선부(4)를 구성하는 도체(5)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리드부(5a, 5b)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어부(6)의 외부로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권선부(4)를 구성하는 도체(도선)(5)는, 필요에 따라 외주를 절연 피복층으로 피복하고 있다. 도체(5)로서는, 예를 들면, Cu, Al, Fe, Ag, Au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 피복층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텔-나일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체(5)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 평각(平角) 형상 등이 예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5)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하고 있다.
코어부(6)는 자성 분체 및 수지(바인더)를 갖는다. 자성 분체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Mn-Zn, Ni-Cu-Zn 등의 페라이트, Fe-Si(철-실리콘), 센더스트(Fe-Si-Al;철-실리콘-알루미늄), Fe-Si-Cr(철-실리콘-크롬), 퍼말로이(Fe-Ni) 등의 금속이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Fe-Si 또는 Fe-Si-Cr이다. 자성 분체의 결정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정질, 결정질 등이 예시된다. 수지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실리콘 수지, 이들을 조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6)가 그 내부에서 소정의 밀도차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축 중심(4α)로부터 수직한 외측 방향에 권선부(4)가 존재하고, 권축 중심(4α)으로부터 상기 수직한 외측 방향을 향해 280μm 이내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으로 하고, 권축 중심(4α)으로부터 수직한 외측 방향에 권선부(4)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상기 권축 중심(4α)으로부터 상기 수직한 외측 방향을 향해 280μm 이내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천판 중앙 영역(6β1, 6β2)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는,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 전체에서 차지하는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α(%), 천판 중앙 영역(6β1, 6β2) 전체에서 차지하는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β(%)로 하는 경우, Sα-Sβ≥-2%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Sα-Sβ≥-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Sα-Sβ≥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Sα-Sβ≥0.8%이다. 또한, Sα-Sβ에 상한은 없지만, 통상 30% 이하이다.
한편, 통상적으로는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과 천판 중앙 영역(6β) 사이 에서의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의 변화, 즉 자성 분체의 밀도의 변화는 연속적이다. 즉, 자성 분체의 밀도가 높은 영역과 자성 분체의 밀도가 낮은 영역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는 Sα-Sβ를 소정의 범위내로 함으로써,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는 Sα≥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에서의 자성 분체의 밀도가 소정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분체의 밀도를 고밀도로 함으로써 크랙의 발생이 용이하게 억제되며,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인덕터 소자(2)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인덕터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덕터 소자(2)는 2개의 예비 성형체(60a, 60b)와, 공심(空心) 코일 등으로 구성되는 권선부(4)를 가지는 인서트 부재를 일체화함으로써 제조된다. 권선부(4)를 구성하는 도체(5)의 양단은, 리드부(5a, 5b)로서 권선부(4)의 외측에 인출되어 있다.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리드부(5a, 5b)와 본압축 후에 접속될 수 있고, 본압축 전에 미리 접속해 둘 수도 있다.
각 예비 성형체(60a, 60b)에는, 각각 접합 예정면(70a, 7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이 서로 맞대어 접합된다. 각각의 접합 예정면(70a, 70b)에는 각각 권선부(4)의 상반부 및 하반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90a, 90b)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부(90a, 90b)의 크기는 인서트 부재로서의 권선부(4)가, 그 내외주 및 권축 방향 단부가 접촉하여 인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접합 예정면(70a, 70b)에는 리드부(5a, 5b)를 코어부(6)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8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는 한 쌍의 리드부(5a, 5b)를 기재하고 있으나, 도 3에서는 한 쌍의 리드부(5a, 5b)를 생략하였다.
도 3에 나타내는 코어 중심부(60aα)의 높이가 외주부(60bα)의 높이보다 z1만큼 높은 예비 성형체(60a)를 준비한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중심부(60aβ)의 높이가 외주부(60bβ)의 높이보다 z2만큼 높은 예비 성형체(60b)를 준비한다.
그리고, 예비 성형체(60a, 60b)를 이용하여 본압축 성형을 행함으로써, 코어 중심부(60aα, 60aβ)에서의 자성 분체의 양이 외주부(60bα, 60bβ)에서의 자성 분체의 양보다 많아져, 도 1의 인덕터 소자(2)의 코어 중심부(6a)(도 1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에서의 자성 분체의 밀도가 높아진다.
한편, z1과 z2의 대소 관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z1=z2일 수 있으며 z1>z2일 수도 있고, z1<z2일 수도 있다. 또한, z1 또는 z2가 0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부(60aα, 60aβ)에서는 Z축 방향의 길이가 외주부(60bα, 60bβ)보다 길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코어 중심부(6a)(도 1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에서는 외주부(6b)보다 압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밀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2)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예비 성형체(60a, 60b)의 원료가 되는 과립을 제조한다. 과립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성 분체에 수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자성 분체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0.5~50㎛의 자성 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실리콘 수지, 이들을 조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또한, 자성 분체와 수지를 혼합하기 전, 자성 분체 표면에 절연 피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졸겔법에 의해 SiO2막인 절연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성 분체에 수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에 메쉬를 통과시킴으로써 조대한 과립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지는 자성 분체에 첨가할 때 용매로 희석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케톤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자성 분체 100wt%에 대해 1.0~6.0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함유량을 적당량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본압축시에 접합 예정면(70a, 70b)을 접합하기 쉬워진다. 또한, 수지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자성 분체의 밀도가 작아져, Sα 및 Sβ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비 성형체(60a, 60b)는 상기 자성 분체 및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과립을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하고, 예비 압축 성형하여 제조된다.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5×102~1×103MPa(2.5~10t/c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비 성형체(60a, 60b)의 밀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4.0~6.5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을 2.5×102~1×103MPa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본압축 후에 생기는 권선부(4)의 위치의 변형 및/또는 권선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전압, 인턱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이 모두 우수한 인덕터 소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성형체(60a, 60b)의 밀도를 상기 범위내, 특히 4.0g/cm3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Sα 및 Sβ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6.5g/cm3 이하로 함으로써,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녹이나 성형 크랙의 발생을 용이하게 억제된다.
다음으로, 얻어진 예비 성형체(60a, 60b) 및 인서트 부재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양태로, 예비 성형체 제조시와는 다른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여 본압축(압착)을 행함으로써 인덕터 소자(2)를 얻을 수 있다. 본압축시의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102~8×102MPa(1~8t/c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압축시의 압력은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100%)과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40~80% 정도로 낮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0% 정도로 낮다. 본압축시의 압력을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본압축 후에 생기는 권선부(4)의 위치의 변형 및/또는 권선의 형상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이 본압축시의 압력과 비교하여 클수록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본압축 후에 금형으로부터 취출한 인덕터 소자(2)에 대해 가열을 행함으로써 수지를 완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으로부터 취출한 인덕터 소자(2)에 대해, 수지의 경화가 개시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수지를 완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인덕터 소자(2)는 권선부(4)의 위치의 변형 및/또는 권선 형상의 변형이 작고, 코어부(6), 특히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을 고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턱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내전압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인덕터 소자(2)의 코어부(6)에 대해, 코어 중심부를 고밀도로 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인덕터 소자보다 인턱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덕터 소자(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방법의 외에,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예비 성형체(60a1) 및 포트 형상의 예비 성형체(60b1)를 준비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포트 형상의 예비 성형체(60b1) 코어 중심부의 높이를 외주부의 높이보다 높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예비 성형체(60c, 60g), 링 형상의 예비 성형체(60d, 60f) 및 원기둥 형상의 예비 성형체(60e)를 준비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원기둥 형상의 예비 성형체(60e)의 높이를 코일(5)의 높이보다 높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예비 성형체(60e2, 60h, 60i)를 준비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원기둥 형상의 예비 성형체(60e2)의 높이를 코일(5)의 높이보다 높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예비 성형체의 형상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이 아니어도 되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인덕터 소자(2)가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이고, 코어 중심 중앙 영역(6α)의 밀도가 높아지면 무방하다. 또한, 예비 성형체의 갯수가 많을수록 직류 중첩 특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의 예비 성형체를 예비 압축 성형으로 제작하고, 그 후, 본압축을 행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의 인덕터 소자를 얻었다.
우선,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하는 과립을 준비하였다. 자성 분말로서 구 형상의 Fe-Si 합금(평균 입경 25㎛)을 준비하고, 자성 분말 표면에 졸겔법을 이용한 SiO2막인 절연 피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자성 분말에, 아세톤에 희석한 에폭시 수지를, 자성 분말 전체를 100중량%로 하여 3중량% 가하여 교반하였다. 교반한 후에 250미크론 체눈 크기의 메쉬를 통과시켜 실온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할 과립을 얻었다.
금형의 캐비티 내에 상기 과립을 충전하고 예비 압축 성형을 행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의 2개의 예비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예비 성형체는 동일 형상으로 하였다. 예비 압축 성형시의 압력은 6×102MPa로 하였다. 이때, 실시예 1~3에서는 각각 z1(=z2)의 값을 변화시켰다.
다음으로, 제작한 예비 성형체 및 인서트 부재를, 예비 압축 성형에 이용한 금형과는 다른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였다. 캐비티 내부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2개의 예비 성형체 및 내경 4mm, 높이 3mm의 권선부를 가지는 인서트 부재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양태로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도 3의 Z축 방향의 상하로부터 가압하여 본압축하였다. 본압축시의 성형 압력은 1×102MPa로 하였다.
그 후, 금형으로부터 성형체를 취출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 개시 온도(110℃)보다 높은 180℃로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켜,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인덕터 소자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코어부의 치수는 세로 7mm×가로 7mm×높이 5.4mm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대해 Sα 및 Sβ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측정 지점에 대해 480μm×560μm의 SEM 화상을 관찰하여 Sα및 Sβ를 산출하였다. 권축 중심(4α) 상에 있고 권축 중심(4α)이 통과하는 인덕터 소자의 일방의 면으로부터의 거리가 0.24mm, 0.74mm, 1.64mm, 2.14mm, 2.64mm, 3.14mm, 3.64mm, 4.54mm 및 4.84mm인 점을 측정 영역의 중심점으로서 각 측정 지점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산출하였다.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그리고, 인덕터 소자의 일방의 면으로부터의 거리가 0.24mm인 점, 0.74mm인 점, 4.54mm인 점 또는 4.84mm인 점을 포함하는 4개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의 평균을 Sβ로 하였다. 인덕터 소자의 일방의 면으로부터의 거리가 1.64mm인 점, 2.14mm인 점, 2.64mm인 점, 3.14mm인 점 또는 3.64mm인 점을 포함하는 5개의 각 측정 지점에서의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의 평균을 Sα로 하였다.
또한, 각 인덕터 소자의 인덕턴스(L0)를 측정하였다.
인덕턴스의 측정은, 측정 주파수 100KHz, 측정 전압 0.5mV로, LCR 미터(Hewlett Packard(주) 제품)를 이용하여 행하여다. 인덕턴스(L0)는 47.0~56.4μH인 경우를 양호라고 하였다.
직류 중첩 특성의 측정은, 각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직류 전류를 0에서부터 인가하여, 전류가 0일 때의 인덕턴스(μH)에 대해 80%로 저하할 때 흐르는 전류의 값(암페어)을 Isat로 하고, Isat의 수치로 평가하였다. Isat가 6.0A 이상인 경우에 직류 중첩 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대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을 도 11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비교예 1~3에서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과립을 제작한 후, 본압축용 금형의 캐비티에 인서트 부재를 배치하고 과립을 충전시켜, 예비 압축 성형없이 본압축을 행하였다. 예비 압축 성형없이 본압축을 행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인덕터 소자를 제작하였다. 즉, 비교예 1~3은 모두 동일 조건으로 실시한 결과이며 시험 결과에 편차가 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을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의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대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43323772-pat00001
표 1, 도 11 및 도 12로부터, 본원 실시예 1은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밀도가 천판 중앙 영역의 밀도보다 높다. 이에 대해, 본원 비교예 3은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밀도보다 천판 중앙 영역의 밀도가 높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비교하면, 본원 실시예 1의 인덕터 소자는 본원 비교예 3의 인덕터 소자와 비교하여 변형이 작다.
또한, 표 1로부터 Sα-Sβ가 -2.0% 이상인 본원 실시예 1~3은, Sα-Sβ가 -2.0% 미만인 본원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이 양호하다. 또한, Sα가 65% 이상인 본원 실시예 1~3은, Sα가 65% 미만인 본원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직류 중첩 특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
자성 분말로서 부정형의 Fe-Si-Cr 합금(평균 입경 25μm)을 준비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실시예 4~6을 작성하고, 비교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비교예 4~6을 각각 작성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43323772-pat00002
자성 분말의 재질의 변화에 의해 얻어지는 인덕터 소자의 특성이 변화된다. 그리고, 요구되는 인덕턴스 및 직류 중첩 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에서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과는 달리 인덕턴스 L0가 52.0~56.4μH인 경우를 양호로 하였다. 또한, Isat가 3.5A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4의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대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비교예 5의 인덕터 소자의 샘플에 대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4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을 도 13에 나타내고, 비교예 5의 코어 중심 중앙 영역의 SEM 화상을 도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으로부터, 자성 분말의 종류가 Fe-Si-Cr 합금인 경우에도 자성 분말의 종류가 Fe-Si 합금인 경우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2A…인덕터 소자 4…권선부
4α…권축 중심 5…도체
6…코어부 6a…내주부
6b…외주부 6α…코어 중심 중앙 영역
6β1…천판 중앙 영역 6β2…천판 중앙 영역
60a~60k…예비 성형체 70a~70n…접합 예정면
80, 80a, 80b…인출홈 90a, 90b…수용홈부

Claims (4)

  1. 코일 형상으로 도체가 권취되어 있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주위를 감싸고, 자성 분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가지는 인덕터 소자로서,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인 외측 방향에 상기 권선부가 존재하고, 상기 권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인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코어 중심 중앙 영역으로 하고,
    권축 중심으로부터 수직인 외측 방향에 상기 권선부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상기 권축 중심으로부터 상기 수직인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범위내의 거리인 상기 코어부의 영역을 천판 중앙 영역으로 하고,
    상기 권축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권축 중심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 상기 코어 중심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α(%), 상기 천판 중앙 영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자성 분체의 면적 비율을 Sβ(%)로 하는 경우,
    Sα-Sβ≥-2%인, 인덕터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Sα-Sβ≥-1%인, 인덕터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α-Sβ≥0%인, 인덕터 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α≥65%인, 인덕터 소자.
KR1020180050551A 2017-05-02 2018-05-02 인덕터 소자 KR102006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1663 2017-05-02
JP2017091663A JP7021459B2 (ja) 2017-05-02 2017-05-02 インダクタ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291A KR20180122291A (ko) 2018-11-12
KR102006572B1 true KR102006572B1 (ko) 2019-08-01

Family

ID=6401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51A KR102006572B1 (ko) 2017-05-02 2018-05-02 인덕터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4941B2 (ko)
JP (1) JP7021459B2 (ko)
KR (1) KR102006572B1 (ko)
CN (1) CN108806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9671A1 (ja) * 2018-06-15 2019-12-1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コイル封入圧粉成形コア、インダクタンス素子、および電子・電気機器
JP7078004B2 (ja) * 2019-03-28 2022-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とその製造方法
JP7338213B2 (ja) * 2019-04-10 2023-09-05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US20220052424A1 (en) * 2020-08-14 2022-02-17 Cyntec Co., Ltd. Electrode structure
CN112261553B (zh) * 2020-10-16 2022-02-25 歌尔股份有限公司 磁路组件的制作方法、磁路组件及扬声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2889A (ja) 2009-01-22 2010-09-02 Ngk Insulators Ltd 積層型インダクタ
WO2012173147A1 (ja) 2011-06-15 2012-12-20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及び該積層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3074062A (ja) 2011-09-27 2013-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
JP2014090158A (ja) 2012-10-03 2014-05-15 Tdk Corp 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277B2 (ja) 2000-12-28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EP1356479B1 (en) * 2001-02-27 2006-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12028B2 (ja) 2001-02-27 2005-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0010425A (ja) 2008-06-27 2010-01-14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N102349120B (zh) * 2009-09-03 2013-10-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JP2012234868A (ja) * 2011-04-28 2012-11-29 Taiyo Yuden Co Ltd コイル部品
KR101603827B1 (ko) * 2011-06-15 2016-03-1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코일 부품
CN103714961B (zh) * 2012-10-03 2017-01-11 Tdk株式会社 电感元件及其制造方法
JP2014082382A (ja) * 2012-10-17 2014-05-08 Tdk Corp 磁性粉体、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インダクタ素子の製造方法
KR101983136B1 (ko) * 2012-12-28 2019-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6374683B2 (ja) 2014-03-24 2018-08-15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JP6519989B2 (ja) 2014-05-30 2019-05-29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KR101580399B1 (ko) * 2014-06-24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76088A1 (en) * 2015-03-18 2016-09-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 wou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158245B (zh) * 2015-04-17 2019-07-26 墨尚电子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采用注塑封装的功率电感
KR102198528B1 (ko) * 2015-05-19 2021-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8430A (ko) * 2016-04-15 2017-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763295B2 (ja) * 2016-12-22 2020-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インダ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2889A (ja) 2009-01-22 2010-09-02 Ngk Insulators Ltd 積層型インダクタ
WO2012173147A1 (ja) 2011-06-15 2012-12-20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及び該積層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3074062A (ja) 2011-09-27 2013-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
JP2014090158A (ja) 2012-10-03 2014-05-15 Tdk Corp 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06920B (zh) 2020-11-03
US20180322998A1 (en) 2018-11-08
CN108806920A (zh) 2018-11-13
JP2018190820A (ja) 2018-11-29
JP7021459B2 (ja) 2022-02-17
KR20180122291A (ko) 2018-11-12
US10984941B2 (en)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572B1 (ko) 인덕터 소자
US1178398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f an inductor element
KR102054299B1 (ko) 복합 자성 코어 및 자성 소자
JP6405609B2 (ja) 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30785B2 (ja) メタルコンポジットコアの製造方法、及び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JP4768372B2 (ja) コイル封入型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8373B2 (ja) コイル封入型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052178A1 (en) I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06571B1 (ko) 인덕터 소자
JP2007214425A (ja) 圧粉磁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ダクタ
JP2007123376A (ja) 複合磁性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性素子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6210847A (ja) 圧粉磁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7027843B2 (ja) インダクタ素子の製造方法
JP7338213B2 (ja) インダクタ素子
JP2021158148A (ja) 圧粉磁心
JPH1197229A (ja) 圧粉磁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633891B2 (ja) 圧粉磁心
JP2018098261A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JPH1154314A (ja) 圧粉磁芯,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2018098259A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コアの製造方法、コア及びリアク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