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528B1 -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528B1
KR102198528B1 KR1020150069722A KR20150069722A KR102198528B1 KR 102198528 B1 KR102198528 B1 KR 102198528B1 KR 1020150069722 A KR1020150069722 A KR 1020150069722A KR 20150069722 A KR20150069722 A KR 20150069722A KR 102198528 B1 KR102198528 B1 KR 10219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nic component
metal
manufacturing
coi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049A (ko
Inventor
김유나
박문수
이동환
차혜연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28B1/ko
Priority to US14/995,986 priority patent/US20160343486A1/en
Priority to JP2016054265A priority patent/JP2016219781A/ja
Publication of KR2016013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01F1/2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2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5Other insulating structures; Insulating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자성체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코일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 전자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
인덕터는 코일를 형성한 후, 자성 분말 및 수지를 혼합시킨 자성 분말-수지 복합체를 경화하여 코일을 둘러싸는 자성체를 제조하고, 자성체의 외측에 외부전극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종래 인덕터를 제작하는 방법은 금형을 이용하여 코일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코일과 외부전극을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인덕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코일을 둘러싸는 자성체 및 코일 내부 코어부에 충진되는 자성체의 충진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78479호
본 발명은 자성체 충진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고 투자율 구현이 가능한 코일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자성체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코일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에 코일을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로딩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일이 삽입된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덕터의 자성체 충진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속 방향과 형상 이방성 재료의 투자율 방향을 일치시켜 고 투자율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코일가 나타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 전자부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을 설명하되, 특히 파워 인덕터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코일이 나타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 전자부품의 일 예로써 전원 공급 회로의 전원 라인에 사용되는 파워 인덕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100)은 코어부(20)와 상기 코어부(20)에 권선된 코일(40)을 포함하는 자성체 바디(50), 상기 자성체(5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40)과 접속하는 제 1 및 제 2 외부전극(31, 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100)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T'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코일(40)은 권선 형태로 감은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20)에 끼워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40)은 평각선 열융착으로 권선 및 형상 포밍(Forming) 공정으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40)은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40)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40)은 절연막(미도시)으로 피복되어 자성체 바디(50)를 이루는 자성 재료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코일(40)을 둘러싸는 자성체 바디(50)는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자성 재료라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바디(50)에 포함된 자성 재료의 투자율이 높을수록, 자속이 통과하는 자성체 바디(50)의 면적이 클수록 인덕턴스(L)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코일(40)의 일 단부는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길이 방향의 일 단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코일(40)의 타 단부는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길이 방향의 타 단면으로 노출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코일(40)은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적어도 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길이 방향 단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코일(40)과 각각 접속하도록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외측에 제 1 및 제 2 외부전극(31, 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전극(31, 32)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Cu), 은(Ag), 니켈(Ni) 또는 주석(Sn)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부(20)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20)는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코어부(20)는 자성 재료로 충진됨에 따라 자속이 통과하는 자성체의 면적이 증가하여 인덕턴스(L)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전자부품에 있어서 코어부에 충진되는 자성 재료의 충진율이 인덕턴스(L)와 상관 관계를 갖게 된다.
종래 인덕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코일 내부의 코어부와 코일을 둘러싸는 자성체의 충진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코일 전자부품의 인덕턴스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코어부(20)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코어부(20)의 자성 재료 충진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즉, 고투자율 재료인 금속 플레이크 재료와 결정성 에폭시를 사출 성형기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에 의해 원통형 구조체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코일 전자부품의 코어부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함으로써, 자성 재료의 충진율이 극대화된 코어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인덕터 제작방법과 같이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슬러리가 투입된 금형 내에 코일을 매설하고 상온 압착 및 고온 압착 등을 할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 코어부(20) 내의 자성 재료 충진율은 매우 높기 때문에 코일 전자부품의 고 인덕턴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부(20)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결정성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고투자율 재료로서,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철(Fe), 규소(Si), 붕소(B),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 니오븀(Nb)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정질 또는 비정질 금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Fe-Si-Cr계 비정질 금속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된 형태로 포함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epoxy)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일 수 있으며, 특히 결정성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와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 형태의 특징에 대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은 구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모두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형상 등방성이라고 할 수 있다.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모두 동일한 투자율을 나타낸다.
반면,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 특성이 달라진다.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은 예를 들어, 판상형 금속 분말 즉 금속 플레이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은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에 비하여 높은 투자율을 나타낸다. 이에, 인덕턴스(L)의 향상을 위하여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에 비해 투자율이 높은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시트를 사용하여 코일 전자부품을 제조했었다.
그러나,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은 방향별로 투자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전체 투자율은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에 비하여 높다 할지라도 특정 방향으로의 투자율은 매우 낮아 코일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판상면 상의 x축, y축 방향으로의 투자율은 높으나, 판상면과 수직하는 z축 방향으로의 투자율은 매우 낮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z축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의 흐름을 저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덕턴스(L)가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에 있어서,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한다.
즉, 상기와 같이 금속 플레이크에 있어서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할 경우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의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투자율 방향은 자속 방향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금속 플레이크는 판상면의 일축 방향으로 높은 투자율을 나타내므로 상기 금속 플레이크를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자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높은 투자율을 통해 인덕턴스(L)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의 높은 포화 자화 값(Ms)에 의해 우수한 Q특성 및 DC-Bias 특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 플레이크에 있어서,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하는 방법은 상기 코어부(20)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100)은 코어부(20)와 상기 코어부에 권선된 코일을 둘러싸는 자성 재료 충진 영역은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71)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속의 흐름에 맞추어 형상 이방성 분말 형태로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어부가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사출 성형하여 형성됨으로써, 인덕터의 자성체 충진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속 방향과 형상 이방성 재료의 투자율 방향을 일치시켜 고 투자율 구현이 가능하다.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에 코일을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로딩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고투자율 재료인 금속 플레이크 재료와 결정성 에폭시 수지를 사출 성형기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에 의해 원통형 구조체(21)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형 구조체(21)를 코일 전자부품의 코어부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함으로써, 자성 재료의 충진율이 극대화된 코어부(20)를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구조체(21)를 절단한 코어부(20)를 기판(10)에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기판(10)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 페라이트 기판 또는 금속계 연자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기판(10)에 로딩된 상태로 코어부(20)에 코일(40)을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일(40)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40)의 로딩 방법은 코일(40)을 평각선 열융착으로 권선 및 솔레노이드 (solenoid) 형상으로 포밍(forming)하는 공정을 수행한 후 기판에 로딩된 코어부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d를 참조하면, 기판에 로딩된 코어부(20)와 이를 권선하는 코일(40) 주위에 자성 재료를 충진하기 위해 코어부(2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71)을 포함하는 시트(70)를 배치하고, 이를 적층, 압착 및 경화하여 코어부(20)와 코일(40)을 둘러싸는 자성체 바디(5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코어부(20)의 일면에 시트(70)를 적용한 후 기판이 코어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코어부(20)의 타면에 시트(7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70)는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71)과,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 및 용제 등의 유기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 법으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시트(sheet)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시트(70)는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71)이 에폭시(epoxy)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된 형태로 제조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성체 바디(50)의 외측에 상기 코일(40)과 접속하도록 제 1 및 제 2 외부전극(31, 32)을 형성한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금속 플레이크와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일이 삽입된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고투자율 재료인 금속 플레이크 재료와 결정성 에폭시 수지를 사출 성형기에 투입한 후 사출 성형에 의해 원통형 구조체(21)를 마련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원통형 구조체(21)에 코일 전자부품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형성한 코일(40)을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일(40)이 로딩된 원통형 구조체(21)를 코일 전자부품의 코어부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함으로써, 자성 재료의 충진율이 극대화된 코어부(20)를 형성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40)이 로딩된 코어부(20)를 기판(10)에 로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기판에 로딩된 코어부(20)와 이를 권선하는 코일(40) 주위에 자성 재료를 충진하기 위해 코어부(2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71)을 포함하는 시트(70)를 배치하고, 이를 적층, 압착 및 경화하여 코어부(20)와 코일(40)을 둘러싸는 자성체 바디(5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코어부(20)의 일면에 시트(70)를 적용한 후 기판이 코어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코어부(20)의 타면에 시트(7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코일 전자부품
10: 기판
20 : 코어부
21: 원통형 구조체
31, 32 : 제 1 및 제 2 외부전극
40 : 코일
50 : 자성체 바디
70 : 시트
71 : 형상 등방성 금속 분말

Claims (19)

  1. 코어부, 상기 코어부에 권선된 코일 및 상기 코어부와 상기 코일을 둘러싸는 자성 재료 충진 영역을 포함하는 자성체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는 금속 플레이크와 제1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 재료 충진 영역은 금속 분말과 제2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에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충진율은 상기 자성 재료 충진 영역에서 상기 금속 분말의 충진율보다 높은 코일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코일 전자부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의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투자율 방향은 자속 방향과 일치하는 코일 전자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결정성 에폭시 수지인 코일 전자부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철(Fe), 규소(Si), 붕소(B), 크롬(Cr), 알루미늄(Al), 구리(Cu), 니오븀(Nb)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코일 전자부품.
  8. 금속 플레이크와 제1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코어부에 코일을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로딩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과 제2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에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충진율은 상기 자성체에서 상기 금속 분말의 충진율보다 높은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솔레노이드 타입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의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투자율 방향은 자속 방향과 일치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4. 금속 플레이크와 제1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 구조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구조체에 코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일이 삽입된 원통형 구조체를 절단한 코어부를 기판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어부를 금속 분말과 제2 수지를 포함하는 자성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에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충진율은 상기 자성체에서 상기 금속 분말의 충진율보다 높은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솔레노이드 타입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 형태인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는 형상 이방성 금속 분말의 판상면의 일축이 자속 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된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투자율 방향은 자속 방향과 일치하는 코일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50069722A 2015-05-19 2015-05-19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9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22A KR102198528B1 (ko) 2015-05-19 2015-05-19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4/995,986 US20160343486A1 (en) 2015-05-19 2016-01-14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54265A JP2016219781A (ja) 2015-05-19 2016-03-17 コイル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22A KR102198528B1 (ko) 2015-05-19 2015-05-19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49A KR20160136049A (ko) 2016-11-29
KR102198528B1 true KR102198528B1 (ko) 2021-01-06

Family

ID=5732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22A KR102198528B1 (ko) 2015-05-19 2015-05-19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43486A1 (ko)
JP (1) JP2016219781A (ko)
KR (1) KR102198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7475B2 (en) * 2017-01-02 2021-03-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JP6652098B2 (ja) * 2017-03-31 2020-02-19 Tdk株式会社 磁気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7021459B2 (ja) * 2017-05-02 2022-02-17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JP6891623B2 (ja) * 2017-05-02 2021-06-18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JP2021503718A (ja) * 2017-11-16 2021-02-12 ジョージア テック リサーチ コーポレイション 磁性層を有する基板対応インダクタ
JP6856059B2 (ja) * 2018-09-25 2021-04-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JP2020053486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JP7169140B2 (ja) * 2018-09-27 2022-11-10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108A (ja) * 2000-04-28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磁性体、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92460A1 (en) * 2013-03-29 2014-10-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239189A (ja) * 2013-06-10 2014-12-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1835B1 (en) * 1989-06-09 1997-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agnetic material
JPH05182855A (ja) * 1991-12-27 1993-07-2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3373328B2 (ja) * 1995-04-28 2003-02-04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インダクタ
KR100459839B1 (ko) * 1995-08-22 2005-02-07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스폰더용안테나및트랜스폰더
JP3752848B2 (ja) * 1998-05-12 2006-03-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US6392525B1 (en) * 1998-12-28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802649B1 (fr) * 1999-12-17 2002-02-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icromagnetometre a porte de flux a detection perpendiculaire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US6649256B1 (en) * 2000-01-24 2003-11-18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including particles oriented generally along an article surface and method for making
JP2002324714A (ja) * 2001-02-21 2002-11-08 Tdk Corp コイル封入圧粉磁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35786A (ja) * 2001-07-25 2003-02-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タグ内蔵腕時計
US20050142353A1 (en) * 2003-09-16 2005-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rticle including particles oriented generally along an article surface
US7405769B2 (en) * 2004-02-09 2008-07-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3D comb synchronization and alignment of standard and non-standard video signals
TWM278046U (en) * 2005-02-22 2005-10-11 Traben Co Ltd Inductor component
JP2006278479A (ja) 2005-03-28 2006-10-12 Tdk Corp コイル部品
US8941457B2 (en) * 2006-09-12 2015-01-2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iniature power inducto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466764B2 (en) * 2006-09-12 2013-06-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w profile layered coil and cores for magnetic components
US7791445B2 (en) * 2006-09-12 2010-09-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w profile layered coil and cores for magnetic components
US20100277267A1 (en) * 2009-05-04 2010-11-04 Robert James Bogert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51864A4 (en) * 2010-03-20 2014-11-05 Daido Stee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N ENCAPSULATED COIL BODY AND CAPSULE COIL BODY
US20120107552A1 (en) * 2010-11-03 2012-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ip Attachment Layer Having Traverse-Aligned Conductive Filler Particles
JP5929401B2 (ja) * 2012-03-26 2016-06-08 Tdk株式会社 平面コイル素子
KR101792281B1 (ko) * 2012-12-14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9564264B2 (en) * 2013-08-30 2017-02-07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High frequency integrated point-of-load power converter with embedded inductor substr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108A (ja) * 2000-04-28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磁性体、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92460A1 (en) * 2013-03-29 2014-10-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239189A (ja) * 2013-06-10 2014-12-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49A (ko) 2016-11-29
US20160343486A1 (en) 2016-11-24
JP2016219781A (ja)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528B1 (ko)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9892833B2 (en) Magnetic powder and coil electronic component containing the same
US11225720B2 (en) Magnetic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546680B2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with anisotropic par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05349B2 (en) Chip electronic component
JP6195256B2 (ja) コイル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81406B1 (ko)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766B1 (ko) 칩 전자부품
US9773604B2 (en) Power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020475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343498A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99882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CN105321653B (zh) 线圈部件
CN107665760B (zh) 电感器
US20160225512A1 (en) Power inductor
US20160293319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369220B2 (ja) コイル部品
JP6456729B2 (ja) インダク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4633A (ko) 권선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062116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98237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KR101719970B1 (ko)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10477B1 (ko) 인덕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90746A (ko) 코일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