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411B1 -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411B1
KR102004411B1 KR1020130031575A KR20130031575A KR102004411B1 KR 102004411 B1 KR102004411 B1 KR 102004411B1 KR 1020130031575 A KR1020130031575 A KR 1020130031575A KR 20130031575 A KR20130031575 A KR 20130031575A KR 102004411 B1 KR102004411 B1 KR 10200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fragrance
salt
dextr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376A (ko
Inventor
조민석
차경온
김현창
오정환
김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4006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11D3/502Protected perfumes
    • C11D3/505Protected perfumes encapsulated or adsorbed on a carrier, e.g. zeolite or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시 세탁세제와 동시 투입하여 의류에 잔향성을 부여하는 향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 시드입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1차 도포층, 및 전분을 포함하는 2차 도포층이 상기 소금 시드입자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향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를 이용하면, 수분산 특성을 가진 덱스트린의 향 담지 효과 및 양이온성 고분자의 옷감 부착 특성에 의해서 세탁과정 중 향의 손실을 효율적으로 줄여줌과 동시에 옷감에 효과적으로 향을 부여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를 이용해 세탁 후 소비자가 의류 착용 시 효과적으로 향을 발산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용해성이 우수하여 세탁 후 의류에 불용성 흰가루가 없어 위생적이고 옷감 손상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cent Booster Formul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 시 세탁세제와 동시 투입하여 옷감에 잔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우수한 용해성을 가진 향기 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감에 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세탁 중간 과정인 마지막 헹굼 시에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의류의 미끌거리는 감촉을 싫어하는 소비자는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탁세제를 투입하는 세탁 초기에 세탁세제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세탁 후 잔향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향상된 잔향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해성이 우수하여 세탁 후 옷감에 가루가 잔존하는 문제를 해결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이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향기 부스터의 제조에 있어서 향을 효율적으로 담지하여, 세탁 과정 중 의류에의 부착성이 증가되는 동시에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이러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해 소금 시드입자에 향을 효율적으로 도포하고, 향함침제로 향을 효율적으로 담지할 수 있고 특히 수분산성이 우수한 다공성 덱스트린을 이용해 향을 담지하며, 옷감에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이온성 고분자를 소금 시드입자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도포한 향기 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소금 시드입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1차 도포층, 및 전분을 포함하는 2차 도포층이 상기 소금 시드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향기 부스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도포층과 2차 도포층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a)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혼합물을 가열된 소금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상기 액상혼합물을 상기 소금에 1차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1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에 전분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2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 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금 표면에 향이 도포되면 향기 입자라고 할 수 있지만, 향 단독으로는 소금표면에 도포되지 않는다. 또한, 향기 부스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세탁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의류에 부착되고, 세탁 후에도 의류에 향이 잔존하는 잔향성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점성을 이용하면 향료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만 도포할 경우 많은 양의 향료를 효과적으로 도포하기 어려우므로 향료를 효율적으로 담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수분산성이 우수한 다공성 덱스트린을 이용하여 향료를 담지시키며, 향 캐리어(carrier)로 양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옷감에 부착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부스터'는 세탁세제를 투입하는 세탁 초기에 세탁세제와 동시에 투입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잔향성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며, 향을 포함한 섬유유연제와는 구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금 시드입자'는 입자 크기가 6-10 메쉬인 고체를 사용하며, 수용성을 나타내는 통상의 정제염 또는 건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정제염은 이온교환막을 통하여 염화나트륨만 추출한 순도가 99% 이상의 소금이고, 건조염은 천일염에 열을 가하여 조해성 물질을 제거한 소금일 수 있다. 건조염은 천일염을 1단계로 400-500℃에서 1-4 시간 가열하여 유기물과 비소를 제거하고, 2단계로 550-600℃에서 30분-4시간 가열하여 산화물, 카드뮴을 제거하고, 700-800℃에서 30분-4시간 가열하여 납, 내화성 유기물,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금 시드입자는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60 - 9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70 - 8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조립제로 이용되고, 고체 또는 액체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분자량 3,000 이상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상온에서 플레이크(flake) 또는 분말상의 고체로 존재하고, 융점은 분자량과 비례해 증가하며,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4,000 내지 6,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 4,000 내지 6,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은 55 - 65℃ 정도의 융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융점까지 가열해 액상상태로 만들고, 액상상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료 및 향기캡슐을 넣어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여 액상혼합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55 - 65℃의 융점을 갖는 통상의 수용성 다가알코올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 -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5 -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천연 또는 합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다양한 양이온성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쿼터늄 4, 폴리쿼터늄 10, 폴리쿼터늄 24, P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킬디암모늄 클로라이드,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주쇄 4차 암모늄 고분자 폴리쿼터늄 2, 폴리쿼터늄 6, 폴리쿼터늄 7, 폴리쿼터늄 11, 폴리쿼터늄 16, 폴리쿼터늄 17, 폴리쿼터늄 18, 폴리쿼터늄 28, 폴리쿼터늄 32, 폴리쿼터늄 37, 폴리쿼터늄 43, 폴리쿼터늄 44, 폴리쿼터늄 46, 폴리메타실아미도프로필 트리모늄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마이드공중합체,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주쇄 4차 암모늄 고분자 키토산, 4급화된 프로테인, 가수분해된 프로테인 및 그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천연주쇄 양쪽성 고분자 폴리쿼터늄 22, 폴리쿼터늄 39, 폴리쿼터늄 47, 아디프산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삼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VP)-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아민과 같은 양이온성 고분자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 - 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1 -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는 향함침제로 포함되는 것으로, 특히 수분산성이 우수하다.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 -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1 -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향함침제로 실리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 및 '향기캡슐'은 당업계에 통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및 탄화수소 타입의 화합물, 혹은 식물 유래 천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은 캡슐화되지 않은 향을 의미하며,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향은 바람직하게 1 - 5 중량%, 및 향기캡슐은 1 -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향은 2 - 5 중량%, 및 향기캡슐은 1 -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입자간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개질제로 포함된다.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 - 11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8 - 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는 추가로 염료, 충전제, 펄광택제, 스킨케어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염료로 착색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적절한 염료를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저장 중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향기 부스터의 타성분들 및 빛에 대해 민감성을 가지지 않으며, 섬유를 훼손하지 않도록 현저한 친화성은 갖지 않는 염료를 선택할 수 있다.
펄광택제는 광택 향상을 위한 것으로,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모노, 디스테아레이트(distearate), 또는 PEG-3 디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킨케어화합물은, 향기 부스터가 섬유와 접촉 시에 섬유에 흡수되고, 섬유가 피부와 접촉 시에, 스킨케어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피부에 바람직한 영향(예컨대, 섬유로부터 피부로의 스킨케어화합물의 이동, 피부로부터 섬유에 보다 적은 수분의 이동, 또는 피부 표면에 대한 섬유의 보다 적은 마찰)을 미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소수성이며,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고, 예컨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와 같은 성분들일 수 있다: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경랍(supermolceti wax)(또는 고래 왁스(whale wax), 비즈 왁스(beads wax), 라놀린(lanolin)과 같은 왁스(wax), 그러한 유도체 및 그러한 혼합물;
식물 추출물, 예를 들면,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유, 팜유, 유채기름, 아마인유, 콩기름, 땅콩기름, 고수기름(coriander oil), 피마자 기름, 양귀비기름, 코코아(cocoa) 기름, 코코넛 기름, 호박씨유(pumpkin seed oil), 소맥배아유, 참기름, 해바라기유, 아몬드(almond) 기름, 마카다미아 기름, 살구씨 기름, 헤이즐넛 기름, 호호바유 또는 카놀라유, 카모마일(camomile), 알로에베라와 같은 식물성 기름, 및 이들의 혼합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behen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렌산, 이소 스테아르산 또는 폴리(poly) 불포화 지방산과 같은 고급 지방산;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또는 2-헥사 데카놀과 같은 고급 지방 알코올(alcohol);
세틸 옥타노 에이트, 라우릴 락테이트(lauryl Lactat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isopropyl adipate), 부틸스테아레이트, 데실올레이트, 콜레스테롤 이소 스테아레이트(cholesterol isostearate),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glycerol distearate),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알킬 락테이트, 알킬시트레이트(alkyl citrate), 또는 알킬 타트레이트(alkyl tartrate)와 같은 에스테르(ester);
파라핀(paraffin), 광유(mineral oil), 스쿠알란(squalane), 또는 스쿠알렌(squalene)과 같은 탄화 수소;
지질;
비타민(Vitamin) A, C 또는 E과 같은 비타민(Vitamin), 또는 비타민 알킬 에스테르(Vitamin alkyl ester);
인지질;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및 부틸 메톡시 벤조일메탄과 같은 자외선 차단제;
직쇄 또는 환상 폴리 디메틸 실록산(poly dimethyl siloxane), 아미노 치환, 알킬(alkyl) 치환, 알킬아릴 치환 또는 아릴(aryl) 치환 실리콘유와 같은 실리콘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는 추가로 섬유유연화 화합물, 표백제, 표백활성제, 효소, 실리콘유, 재부착방지제, 형광증백제, 그레잉(graying)저해제, 변색저해제, 항균제, 살진균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방수제, 함침제, 팽창제, 미끄럼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과 세탁 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유연화 화합물은 예컨대 폴리실록산, 옷감 유연화 클레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백제는 예컨대 과탄산나트륨, 퍼옥시 피로포스포릭(peroxy pyrophosphoric)산염, 구연산 염 과수화물, 및 과안식향산염, 퍼옥소프탈산(peroxophthalate) 염, 디퍼아젤라산(diperazelaic acid), 또는 디퍼도데칸이산(diperdodecanedioic acid)과 같은 H2O2 를 발생하는 과산염 또는 과산을 이용할 수 있다.
60℃ 이하의 온도에서 세탁하는 경우 표백 효과 개선을 위해, 표백 활성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표백 활성제는, 과가수분해 조건하에서, 바람직하게 1∼10개의 탄소 원자, 특별히 2∼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퍼옥소카복실산, 및/또는 경우에 따라서 치환되어 있고 우수한 과안식향산을 만들어 내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수의 탄소 원자의 O- 및/또는 N-아실(acyl)기, 및/또는 경우에 따라 치환되어 있고 우수한 벤조일(benzoyl)기를 함유하는 물질이 적당하다. 폴리 아실(poly acyl)화 알킬렌 디아민(alkylene diamine), 테트라 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etra acetyl ethylene diamine)(TAED), 아실(acyl)화 트리아진(triazin) 유도체, 특히 1,5-디아세틸-2,4-디옥소헥사하이드로(hydro)-1,3,5-트리아진(triazin)(DADHT), 아실(acyl)화 글리콜우릴, 특히 테트라아세틸글리콜우릴(TAGU), N-아실 이미드(acyl imide), 특히 N-노나노일석신이미드(nonanoyl succinimide: NOSI), 아실(acyl)화 페놀 설포네이트(phenol sulfonate),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diacetate) 또는 2,5-디아세톡시(diacetoxy)-2,5-디하이드로퓨란(dihydrofuran)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표백 활성제를 대체하여 또는 이에 추가하여, 소위 표백 촉매를 배합할 수도 있다.
효소는, 예컨대 프로테아제(protease), 에스테라제(esterase), 리파아제(Lipase) 및/또는 지방분해 효소,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큐티나아제(cutinase), β-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옥시다아제(oxidase),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만나나아제(mannanase), 퍼하이드로라아제(perhydrolase) 및/또는 라카아제(laccase), 및 상기 효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는 세탁 중 오염(예를 들면, 단백질, 지방 또는 전분(starch)을 함유하는 오염)의 제거 및 그레잉(graying)을 개선한다.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그 밖의 글리코실하이드로라아제(glycosyl hydrolase)는, 또한, 필링(pilling) 및 미소 섬유의 제거에 기여하고 변색을 막고, 섬유의 유연화에 기여한다. 다만, 알레르기 및/또는 민감성 피부의 소비자용을 위해서는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재부착 방지제는, 예컨대,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및 메틸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methyl hydroxy propyl cellulose)와 같은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및 종래 기술으로부터 공지된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의 폴리머(polymer)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특히,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ethylene terephthalate) 및/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terephthalate)의 폴리머(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섬유의 그레잉(graying) 및 누래짐을 개선하기 위해, 형광증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섬유상에 흡수되고, 예컨대, 4,4’-디아미노(diamino)-2,2’-스틸벤 디설폰산(플라본(flavone)산), 4,4’-디스티릴비페닐렌(distyryl biphenylene), 메틸움벨리페론(methylumbelliferone), 디하이드로 퀴놀리논, 1,3-디아릴 피라졸린, 나프탈산 이미드(naphthalic imide), 벤조 옥사졸계, 벤조이소옥사졸계 및 벤즈 이미다졸(benz imidazole)계, 및 복소환 치환기 함유 피렌 유도체의 물질류로부터 얻어진다.
변색저해제로는 비닐 피롤리돈(vinyl pyrrolidone) 및/또는 비닐 이미다졸(vinyl imidazole)과 같은 환상 아민(amin)의 폴리머(polymer) 또는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머(polymer)는,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PVP), 폴리비닐 이미다졸(polyvinyl imidazole)(PVI), 비닐 피롤리돈(vinyl pyrrolidone) 및 비닐 이미다졸(vinyl imidazole)의 코폴리머(copolymer)(PVP/PVI), 폴리비닐 피리딘(polyvinyl pyridine) N-옥시드(oxid), 폴리(poly)-N-카복시메틸(carboxymethyl)-4-비닐피리듐클로라이드, 및 그러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PVP), 폴리비닐 이미다졸(polyvinyl imidazole)(PVI), 또는 비닐 피롤리돈(vinyl pyrrolidone) 및 비닐 이미다졸(vinyl imidazole)의 코폴리머(copolymer)(PVP/PVI)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부스터는 (a)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혼합물을 가열된 소금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상기 액상혼합물을 상기 소금에 1차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1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에 전분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2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 상기에서 이미 기술한 바는 생략하고 기재한다.
(a)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혼합물을 가열된 소금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상기 액상혼합물을 상기 소금에 1차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a) 단계에서의 상기 액상혼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및 덱스트린을 가열 혼합하고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물에 향료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융점까지 열을 가해 액상상태로 만들고, 그 액상상태에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료 및 향기캡슐을 넣어 균일하게 혼합되게 하여 액상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액상상태로 만들기 위한 가열 온도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에 따라 결정되나, 분자량 6,000 - 10,000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약 55 - 65℃까지 가열한다. 가열 후 향기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는 온도는 약 45 - 55℃로 약 10℃ 정도 냉각된 온도일 수 있으나, 냉각하지 않고 혼합할 수도 있다.
(b) (a)단계에서 얻어진 1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에 전분을 2차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분이 1차 도포층을 형성한 소금에 충분히 도포될 수 있도록 약 7 - 20분 동안 소금과 혼합한다.
(c) (b)단계에서 얻어진 2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통용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냉각할 수 있으나, 예컨대 공기를 투입하여 냉각시킬 수 있고, 냉각 온도는 액상화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고체화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이면 족하고, 바람직하게 약 30 - 50℃ 이다.
상기 (b) 단계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는바, 즉 (a) 단계에서 얻어진 1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을 냉각시키면서 전분을 2차 도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향기 부스터는 균일한 형태를 가지며 평균입경이 4 내지 16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세제를 투입하는 세탁 초기에 세탁세제와 동시에 투입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세탁 후 잔향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잔향성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용해성이 탁월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소금 75 중량%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고 열을 가하여 6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소금이 가열되는 동안 별도의 용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 4 중량%, 양이온성 고분자 2 중량% 및 덱스트린 2 중량%를 첨가한 후, 65℃의 온도로 열을 가하고 혼합하여 냉각하여 50℃에서 선정된 향료 4 중량% 및 향기캡슐 2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온도로 가열된 소금에 액상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10분간 혼합하여 소금 표면에 액상혼합물이 1차 도포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전분 11 중량%를 믹서에 투입하고 5분간 혼합하여, 상기 액상혼합물이 1차 도포된 소금 표면에 전분이 2차 도포되도록 하였다.
이후, 얻어진 소금에 공기를 통과시켜 10분간 냉각시켜 4 메쉬에서 16 메쉬 사이의 향기 부스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제조 과정 중 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실리카를 추가로 2 중량%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제조 과정 중 덱스트린을 제외하고 제올라이트를 추가로 2 중량%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세탁 후 잔향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판 100%의 면타올을 일반 세탁세제를 표준 사용량 사용하고, 여기에 실시예 및 비교예 제품을 0.84g/ℓ 사용하여 세탁기 표준코스로 세탁한 후 탈수하여 20℃, 65% RH 조건에서 24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숙련된 패널리스트(panellist)의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하여 잔향 정도를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잔향효과를 측정하였다.
잔향성 평가 기준은 하기 표 1과 같이 판정하였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o) 보통(△) 미흡(×)
잔향효과 점수 4.5 이상 3.5 - 4.5 2.5 - 3.5 2.5 미만
상기 잔향 효과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2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용해성을 확인하였다.
3ℓ 비이커에 20℃의 물 3ℓ를 넣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을 각각 넣어 5분간 교반을 한 후 검은천에 필터링하여 처음 제품의 무게와 처리 후 건조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얼마나 용해되었는지 용해성을 측정하고, 3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2와 같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o) 보통(△) 미흡(×)
용해량 90% 이상 80 - 90% 70 - 80% 70% 미만
상기 잔향 효과 및 용해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측정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잔향 효과 매우우수 우수 우수
용해량 매우우수 미흡 보통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잔향효과 및 용해성이 뚜렷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수분산 특성이 있는 덱스트린을 이용한 실시예 1이 비교예 대비 잔향성 및 용해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상기 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성분과 함량을 가진 조성물의 경우에는 세탁과정을 거치고도 우수한 용해성을 가짐과 동시에 잔향 특성 부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소금 시드입자;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1차 도포층, 및 전분을 포함하는 2차 도포층이 상기 소금 시드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향기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부스터의 평균입경이 4 메쉬 내지 16 메쉬인 무정형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부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은 향함침제로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향기 부스터 총 중량 기준으로 소금 시드입자 60 - 9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1 - 10 중량%, 양이온성 고분자 중량 1 - 5 %, 덱스트린 1- 10 중량%, 향 1 - 5 중량%, 향기캡슐 1 - 10 중량%, 및 전분 1 - 11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부스터.
  5. (a)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덱스트린, 향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혼합물을 가열된 소금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상기 액상혼합물을 상기 소금에 1차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1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에 전분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2차 도포층이 형성된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 부스터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혼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양이온성 고분자, 및 덱스트린을 가열 혼합하고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물에 향료 및 향기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130031575A 2012-11-16 2013-03-25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4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0091 2012-11-16
KR1020120130091 2012-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76A KR20140063376A (ko) 2014-05-27
KR102004411B1 true KR102004411B1 (ko) 2019-07-26

Family

ID=5089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575A KR102004411B1 (ko) 2012-11-16 2013-03-25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03A (ko) 2022-09-15 2024-03-22 기웅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세탁 향수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755B1 (ko) * 2018-07-20 2019-12-03 백성건 향기 지속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57B1 (ko) * 2001-11-27 2004-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 소취제 조성물
ES2431836T3 (es) * 2003-04-23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a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 polímero catiónico potenciador de la deposición superficial
KR101145940B1 (ko) * 2005-12-29 2012-05-15 애경산업(주) 세탁 및 세정용 첨가제 조성물
KR100889499B1 (ko) * 2007-05-31 2009-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말세제용 첨가제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03A (ko) 2022-09-15 2024-03-22 기웅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세탁 향수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76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749555C2 (ko)
CA1100259A (en) Fabric conditioning articles and processes
JP5334837B2 (ja) 水溶性ポリマーを含んでなる固体状布地ケア組成物
CA1102967A (en) Fabric conditioning product
JP4824028B2 (ja) イオン性液体を含む有益剤のデリバリーシステム
EP0397245B1 (en) Perfume particles for use in cleaning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EP1743017B1 (de) Textilpflegemittel mit amingruppenhaltigem celluloseether
KR20190091553A (ko) 친양쪽성 다당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IL178379A (en) Fabric treatment product containing a latent polymer component that benefits fabrics or leather
BR112016001974B1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partícula, partícula obtida a partir do processo, composição líquida, composição para cuidado doméstico ou cuidados pessoais e método de tratamento de um substrato
CA1080407A (en) Capsules and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020513068A (ja) 布地柔軟剤組成物
CN105209003A (zh) 包含硅烷改性的油的消费产品
WO2010000636A1 (de) Feste, textil-pflegende zusammensetzung mit einem polysaccharid
KR20170036737A (ko) 투명한 텍스타일 관리제
KR20120021449A (ko) 수용성 세탁용 시트
KR102004411B1 (ko) 용해성이 우수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A3006853A1 (en) Water soluble unit dose article
JPS6342966A (ja) 繊維のコンデイシヨニング方法
BR112015010475B1 (pt) partícula, composição líquida e composição de cuidado doméstico ou de cuidado pessoal
KR101277892B1 (ko) 저온 활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섬유유연용 시트
CA1112004A (en) Fabric treating articles and process
KR102030755B1 (ko) 향 지속성이 강화된 향기 부스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A2596886C (en) Extended delivery of ingredients from a fabric softener composition
KR20080086328A (ko) 저온 활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섬유유연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