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296B1 -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296B1
KR102004296B1 KR1020180005178A KR20180005178A KR102004296B1 KR 102004296 B1 KR102004296 B1 KR 102004296B1 KR 1020180005178 A KR1020180005178 A KR 1020180005178A KR 20180005178 A KR20180005178 A KR 20180005178A KR 102004296 B1 KR102004296 B1 KR 10200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water pipe
clamp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980A (ko
Inventor
김윤태
Original Assignee
김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태 filed Critical 김윤태
Priority to KR102018000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을 위한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클램프를 이용한 수로관의 파지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수로관의 파지 및 분리과정이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를,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체와, 파지봉이 형성된 회전체와,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체로 구성한 다음, 고정체 상에 회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체 상에 연결체를 연결하여, 연결체를 당겨 올리면, 고정체에 회전가능케 연결된 회전체의 파지봉이 고정체의 걸림편쪽으로 이동하여 수로관의 측벽 상단부를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하며, 연결체 일측에는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고정체 일측에 구성된 걸림공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여 회전체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WATERWAY CARRYING CLAMP}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램프를 이용한 수로관의 견고한 파지와 함께, 수로관의 파지 및 분리과정이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관은 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성형하게 되며, 제품의 특성상 중량체로서 운반을 위하여 차량에 싣고 내리거나, 하차된 수로관을 시공장소까지 운반하기 위하여서는 여러 운반수단이 사용된다.
일예로서 수로관을 견인선으로 감아 운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수로관의 무게중심을 맞추어 걸어주어야 하며, 운반도중 흔들림 등에 의해 무게중심을 벗어나면, 견인선으로부터 수로관이 이탈하여 낙하할 경우 수로관이 파손되거나, 주변작업자들의 신체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뿐만아니라, 시공후 수로관을 운반하였던 견인선을 분리하기 위하여 잡아당기면, 수로관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시공위치를 다시 수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견인선을 사용하지 않고 수로관의 상단 외주면을 파지하는 클램프형태의 운반수단들이 제공되고 있다.
수로관 운반을 위한 클램프장치의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00933호 "수로관을 이송 및 시공할 수 있는 크레인장치"(특허문헌 1)와, 특허 제10-0531747호 "수로관 집게"(특허문헌 2)와, 특허공개번호 10-2013-0078450호 "수로관 운반장치"(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크레인 상단에는 굴삭기의 포크 끝단에 형성된 조우가 끼워지는 회전고리와, 상기 회전고리가 결합된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횡설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된 일측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공지의 수로관 일측 구멍에 끼워지는 힌지봉과, 상기 수직바와 대향되는 타측의 수직바의 하단에 경첩으로 결합된 힌지봉을 수직바와 일체로 움직이거나 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각각의 힌지봉을 수로관의 구멍에 끼운후 수로관을 받쳐주는 받침판과, 크레인에 거꾸로 매달린 수로관을 회전시켜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수직바의 힌지봉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수로관 양측 중앙의 무게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어야 하나, 수로관에 따라 양측 중앙부에 구멍이 없는 경우에는 운반 자체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크레인장치의 부피가 크고, 유압실린더 작동을 위한 유압장치가 별도로 필요한 등의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수로관집게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집게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상기 각각의 집게에 연결설치된 와이어는 상부 끝에서 함께 결합됨과 동시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굴삭기에 걸기 쉽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각각의 집게는 강도와 경도가 높은 금속으로 각각의 집게편을 절곡형성한뒤, 이들이 서로 결합유설되어 하나의 집게가 형성되게 하되, 각각의 집게편 바깥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수로관의 양측벽 상단에 걸어 굴삭기등을 이용하여 집어 옮길 때 좌우 집게편이 자중에 의해 수로관의 상단을 견고하게 물어주어 옮길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한쌍으로 구성된 집게편이 힌지편을 축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양측 집게편을 벌려 수로관 양측 상단부에 끼운 다음, 일측 집게편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올리면 양측 집게편이 수로관 양측에서 파지하여 들어올린 다음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나, 수로관집게를 수로관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과정이 불편하고, 특히 집게편에 의한 수로의 파지력이 취약하여 운반중 이탈하여 낙하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관체의 내,외측 또는 외측을 하부에 파지부와 상부에 작동부를 갖는 제1, 제2 클램프로 간편 용이하게 파지하되, 상기 관체는 파지부에 구비된 고리단으로 제1,제2 클램프로부터 이탈이나 분리되지 않도록 걸어 운반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운반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완료후에는 제1,제2 클램프의 파지부 중 어느 하나의 짧은 길이에 의해 용이하게 관체로부터 상기 제1, 제2 클램프를 분리할 수 있어, 상기 제1, 제2 클램프 분리시 발생할 수 있는 관체의 틀어짐이나 이탈을 발생하지 않게 시공하게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구성을 단순화한 장점은 있으나, 수로관을 파지하는 제1,2클램프의 접촉면, 즉 수로관 측벽과 접하는 면적이 좁아 수로관을 파지하는 안정성이 취약할 뿐 아니라, 수로관 측벽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00933호 "수로관을 이송 및 시공할 수 있는 크레인장치" 특허 제10-0531747호 "수로관 집게" 특허공개번호 10-2013-0078450호 "수로관 운반장치"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을 위한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클램프를 이용한 수로관의 파지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수로관의 파지 및 분리과정이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를,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체와, 파지봉이 형성된 회전체와,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체로 구성한 다음, 고정체 상에 회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체 상에 연결체를 연결하여, 연결체를 당겨 올리면, 고정체에 회전가능케 연결된 회전체의 파지봉이 고정체의 걸림편쪽으로 이동하여 수로관의 측벽 상단부를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하며, 연결체 일측에는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고정체 일측에 구성된 걸림공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여 회전체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를,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체와, 파지봉이 형성된 회전체와,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체로 구성한 다음, 고정체 상에 회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체 상에 연결체를 연결하여, 연결체를 당겨 올리면, 고정체에 회전가능케 연결된 회전체의 파지봉이 고정체의 걸림편쪽으로 이동하여 수로관의 측벽 상단부를 파지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하며, 연결체 일측에는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고정체 일측에 구성된 걸림공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여 회전체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함으로서, 클램프를 이용한 수로관의 파지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수로관의 파지 및 분리과정이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클램프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클램프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클램프를 구성하고 고정체의 사시도
도 4 : 도 3의 일부절단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클램프를 구성하는 회전체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클램프를 구성하는 연결체의 사시도
도 7 : 도 6의 연결체에 걸림고리가 조립된 상태도
도 8 : 본 발명의 고정체와 회전체의 조립상태도
도 9 : 도 8에서 연결체가 조립된 상태도
도 10 : 본 발명 클램프에서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로관에 끼워진 상태도
도 11 : 도 10의 상태에서 잠금을 해지하여 수로관을 파지한 상태도
도 12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수로관 운반을 위한 클램프(10)는, 고정체(20)와, 회전체(40)와, 연결체(60)가 조립구성된다.
고정체(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수직판(21) 상에 수평판(22)이 직각으로 절곡구성되며, 수직판(21) 하단에는 걸림편(29)이 수평판(22)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구성된다.
상기 수평판(22)과 수직판(21) 중앙부에는 약1~2㎝간격으로 분리된 한쌍의 지지편(23)을 돌출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부(24)가 형성되게 한다.
수평판(22)에 위치하는 지지편(23) 사이의 공간부(24)에 절개부(25)를 구성하여, 수평판(22)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되게 하여, 회전체(4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게 한다.
또한 양측 지지편(23)에는 등간격으로 관통공(26)을 뚫어 구성하고, 일측 지지편(23) 외측 단부에는 걸림봉(27)을 용접구성한다.
회전체(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절곡구성된 회전판(41)의 일측 하단부(47)에 요철부(42)가 형성된 파지봉(43)을 용접구성하고, 상기 회전판(41)의 중앙 및 상단부(48)에는 제1연결공(44) 및 제2연결공(45)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회전체(40) 하단부(47)에 구성된 파지봉(43)은 대체로 길게 구성하되, 고정체(20)의 수직판(21) 하단에 절곡구성된 걸림편(29)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계에 따라 길게 하거나 짧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체(6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체결공(61)이 등간격으로 뚫린 한쌍의 연결판(62)을 구성하되, 일측 단부에 연결편(63)을 위치시켜 연결판(63) 사이에 결합부(64)가 형성되게 한다.
연결판(62) 선단부, 즉 연결편(63) 반대편 아랫쪽에 곡면부(65)를 구성하고, 연결편(63)에는 연결고리(66)를 연결하여 크레인(도시안됨)과 같은 운송장비에 설치된 와이어로프(67)와 연결되게 한다.
또한 연결판(62) 일측 단부에 걸림홈(71)이 형성된 걸림고리(70)를 회전가능토록 설치하되, 상기 걸림고리(70)가 연결판(62)을 관통하는 축볼트(72)에 끼워지게 한 다음, 너트(74)로 조립되게 하되, 연결판(62)을 관통하는 축볼트(72)에는 와샤(73)를 끼워 걸림고리(70)가 연결판(62)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지게 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고정체(20)와 회전체(40) 및 연결체(60)를 조립하여 수로관 운송을 위한 클램프(10)가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1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고정체(20)의 수평판(22) 및 지지편(23) 사이에 구성된 절개부(25) 및 공간부(24) 사이에, 회전체(40)의 회전판(41)을 끼워 회전판(41)에 구성된 제1연결공(44)이 지지편(23)에 구성된 다수개의 관통공(26)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26)과 일치되게 한 다음, 연결볼트(30)와 너트(31)로 고정체(20) 상에 회전체(40)가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편(23)에 구성된 2번째 관통공(26)과 회전판(41)의 제1연결공(44)이 일치되게 하였으며, 이때 회전판(41) 하단부(47)에 구성된 파지봉(43)은, 고정체(20)의 걸림편(29)과 나란히 마주보게 조립하여, 회전판(41)의 상단부(48)를 윗쪽으로 당겨올리면 회전체(40)는 연결볼트(3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파지봉(43)이 고정체(20)의 걸림편(29) 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회전체(40)가 고정체(2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판(41) 상단부(48)에, 연결체(60)를 구성하는 연결판(62)의 결합부(64)가 끼워지게 한 다음, 회전판(41)의 제2연결공(45)과, 연결판(62)의 체결공(61)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한 다음, 연결볼트(50)와 너트(51)로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함으로서, 클램프(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판(62)의 선단부, 즉 곡면부(65)쪽에 위치하는 체결공(61)과 연결되게 하여 연결체(60)의 무게중심이 연결고리(66)쪽으로 편심되게 함으로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연결체(60)의 자중에 의해,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체(60) 일측에 구성된 걸림고리(70)의 걸림홈(71)이, 고정체(20) 일측에 구성된 걸림봉(27)에 끼워지게 하면, 고정체(20)의 지지편(23)과, 연결체(60)의 연결판(62)이 거의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고정체(20)의 걸림편(29)과, 회전체(40)의 파지봉(43) 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회전체(60)의 연결편(63)에 구성된 연결고리(66)를 잡아당겨 올려도, 고정체(20)와 회전체(40)는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고정체(20)의 걸림봉(27)으로부터 걸림고리(70)를 분리시킨 다음 연결체(60)의 연결고리(66)를 당겨 올리면, 고정체(20)에 연결볼트(30)로 조립된 회전체(40)의 파지봉(43)은 고정체(20)의 걸림편(29)쪽으로 이동하고, 연결체(60)의 연결판(62)은 연결볼트(50)를 축으로 상향회전하고, 이때 연결판(62)의 곡면부(65)는, 지지편(23)의 상면(23')을 따라 접촉하면서 안정되게 회전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10)를 이용한 수로관(80)의 운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연결체(60)에 구성된 걸림고리(70)의 걸림홈(71)이, 고정체(20)의 걸림봉(27)에 걸려 잠금이 이루어지게 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67)를 당겨올리게 되면, 클램프(10)는 잠금이 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67)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클램프(10)를 이동시켜 수로관(80)의 측벽(81)에 위치시키되, 도 9에서와 같이 고정체(20)에 구성된 수직판(21)의 걸림편(29)은, 수로관(80)의 측벽(81)의 외측(83)에 위치한 걸림턱(82) 직하방에 위치되게 하고, 회전체(40)의 파지봉(43)은 측벽(81)의 내측(84)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걸림봉(27)으로부터 걸림고리(70)를 분리시킨 다음, 와이어로프(67)를 당겨올리면 클램프(10) 자체의 중량에 의해, 초기에는 연결체(60)가 연결볼트(50)를 축으로 상향이동하게 된다.
연결체(60)가 연결볼트(50)를 축으로 상향이동하면, 회전체(40)는 연결볼트(3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판(41) 하단부(47)에 구성된 파지봉(43)이 수로관(80)의 측벽(81) 내측(84)과 접하게 되고, 동시에 연결판(62)의 곡면부(65)는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67)로 연결고리(66)를 계속 당겨 올리면, 고정체(20)와 연결볼트(30)로 연결된 회전체(40)의 지지봉(43)은, 더욱 측벽(81)의 내측(84)과 강하게 접촉하게 되면서 수로관(80)의 하중을 클램프(10)에 전가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67)와 연결된 연결체(60)는 연결볼트(50)를 축으로 상향회전하려는 힘이 연결판(62)에 전가되고, 연결판(62)에 전가된 하중은 다시 회전체(40)를 회전시켜 파지봉(43)이 더욱 강한 힘으로 측벽(81)의 내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고정체(20)의 걸림편(29)은 수로관(80)의 측벽(81) 외측에 구성된 걸림턱(82) 직하방에 위치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클램프(10)를 이용한 수로관(80)의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수로관(80) 운반시 클램프(10)는 도 12에서와 같이 수로관(80)의 무게중심이 되는 부분의 양측 측벽에 나란히 설치하여 운반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클램프(10)를 이용한 수로관(80)의 견고한 파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로관(8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수로관(80)과 클램프(10)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수로관(80)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67)를 느슨하게 내리게 되면, 연결볼트(50)를 축으로 무게중심이 편심되게 연결된 연결체(60)는 자중에 의해 다시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나란히 접하게 되므로, 회전체(40)는 연결볼트(30)를 축으로 회전하여 수로관(80)의 측벽(81)과 접촉하고 있는 파지봉(43)이 측벽(81)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체(60) 일측에 구성된 걸림고리(70)를 회전시켜 고정체(20)의 걸림봉(27)과 잠금이 되게 한 다음, 클램프(10)를 들어올리면 수로관(80)으로부터 클램프(10)의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수로관(80)으로부터 클램프(10)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또다른 수로관(10)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관 운반을 위한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체(20) 상에 회전체(40)를 편심된 위치에 조립하고, 상기 회전체(40)의 조립위치 반대편에 연결체(60)를 편심된 위치에 조립함으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체(40)에 조립된 연결체(60)가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나란히 접하게 되므로, 회전체(40)의 파지봉(43)은 확장되어 고정체(20)의 걸림편(29)과 간격을 넓게 확보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체(60)에 구성된 걸림고리(70)로 고정체의 걸림봉(27)과 잠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와이어로프(67)를 이용하여 클램프(10)를 당겨올리더라도 잠금이 된 상태로 클램프(10)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0)를 이용하여 수로관(80)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체(20)의 걸림편(29)과 회전체(40)의 파지봉(43) 사이에 수로관(80)의 측벽(81)이 끼워지게 한 다음, 걸림봉(27)으로부터 걸림고리(70)을 풀어 잠금을 해지시키고, 클램프(10)를 당겨올리면 고정체(20)의 걸림편(29)과, 회전체(40)의 파지봉(43)에 의해 수로관(80)의 측벽(81)이 견고하게 파지되어 원하는 장소까지 안전하게 운반된다.
수로관(80)의 운반이 완료된 다음 당겨올렸던 와이어로프(67)를 느슨하게 하면 편심되게 설치된 연결체(60)가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수로관(80)의 측벽(810)을 파지하고 있던 회전체(40)의 파지봉(43)이 분리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걸림고리(70)와 걸림봉(27)을 이용하여 잠금한 다음 수로관(80)으로부터 클램프(10)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10)--클램프 (20)--고정체
(21)--수직판 (22)--수평판
(23)--지지편 (23')--상면
(24)--공간부 (25)--절개구
(26)--관통공 (27)--걸림봉
(29)--걸림편 (30)--연결볼트
(31)--너트 (40)--회전체
(41)--회전판 (42)--요철부
(43)--파지봉 (44)--제1연결공
(45)--제2연결공 (47)--하단부
(48)--상단부 (50)--연결볼트
(51)--너트 (60)--연결체
(61)--체결공 (62)--연결판
(63)--연결편 (64)--결합부
(65)--곡면부 (66)--연결고리
(67)--와이어로프 (70)--걸림고리
(71)--걸림홈 (72)--축볼트
(73)--와샤 (74)--너트

Claims (3)

  1. 고정체(20)와, 회전체(40)와, 연결체(60)를 조립하여 클램프(10)를 구성하되, 고정체(20)의 구성은, 걸림편(29)이 형성된 수직판(21) 상에 수평판(22)을 절곡구성하고, 상기 수평판(22) 상에 관통공(26)이 뚫리고, 걸림봉(27)이 돌출구성된 지지편(23)을 구성하고, 회전체(40)의 구성은, 회전판(41)의 하단부(47)에 파지봉(43)을 구성하고, 중앙부 및 상단부(48)에, 제1연결공(44)과 제2연결공(45)을 구성하고, 연결체(60)의 구성은, 체결공(61)이 뚫린 한쌍의 연결판(62)과 연결고리(66)가 형성된 연결편(63)으로 구성하고, 일측 연결판(62) 측부에 걸림홈(71)이 형성된 걸림고리(70)를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고정체(20)와 회전체(40)의 조립은, 고정체(20)의 지지편(23)에 회전체(40)의 회전판을 끼워, 회전판(41)의 제1연결공(44)과, 지지편(23)의 관통공(26)이 일치되게 한 다음, 연결볼트(30)와 너트(31)로 조립하여 연결볼트(30)를 축으로 회전체(40)가 회전되게 하되, 회전판(41) 하단부(47)에 구성된 파지봉(43)이, 수직판(21)의 걸림편(29)과 마주보게 조립하고, 회전체(40)와 연결체(60)의 조립은, 회전판(41)의 상단부(48)를, 연결체(60)의 결합부(64)에 끼워 회전판(41)의 제2연결공(45)과, 연결공(62)의 체결공(61)이 일치되게 한 다음, 연결볼트(50)와 너트(51)로 조립구성함으로서, 연결체(60)의 연결고리(66)를 당겨올리면 회전체(40)의 파지봉(43)이 수직판(21)의 걸림편(29)쪽으로 이동하고, 연결고리(66)를 내리면, 파지봉(43)이 걸림편(20)으로부터 멀어져 확장되게 하고, 연결체(60)의 연결판(62)이 고정체(20)의 지지편(23) 상면(23')과 나란히 접한 상태에서, 연결판(62) 일측에 구성된 걸림고리(70)의 걸림홈(71)이, 지지편(23) 일측에 구성된 걸림봉(27)에 끼워져 잠금이 이루어지게 한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평판(22) 상면에 구성된 양측 지지편(23) 사이에 절개부(25)를 구성하여 지지편(23) 사이에 연결된 회전체(40)가 수평판(22)의 절개부(25)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연결체(60)를 구성하는 연결판(62) 일측에 곡면부(65)를 구성하여, 연결고리(66)를 이용하여 연결체(60)를 당겨올리면, 곡면부(65)가 지지편(23)의 상면(23')과 접촉하면서 연결체(60)가 연결볼트(30)를 축으로 상향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5178A 2018-01-15 2018-01-15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KR10200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178A KR102004296B1 (ko) 2018-01-15 2018-01-15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178A KR102004296B1 (ko) 2018-01-15 2018-01-15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980A KR20190086980A (ko) 2019-07-24
KR102004296B1 true KR102004296B1 (ko) 2019-10-01

Family

ID=6748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178A KR102004296B1 (ko) 2018-01-15 2018-01-15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49567A (ja) * 2020-11-16 2023-11-27 ウィリアム エフ ビアンコ 計器を把持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562908B1 (ko) * 2022-08-04 2023-08-03 서대운 사각 합성보 리프팅용 클램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9695A (ja) * 1990-11-12 1992-06-26 Masahiko Okabe 丸太運搬具
JP2541834Y2 (ja) * 1991-03-14 1997-07-23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パネル吊支工具
KR20000000933U (ko) 1998-06-18 2000-01-15 이명환 수로관을이송및시공할수있는크레인장치
KR100531747B1 (ko) 2002-12-12 2005-11-28 배영진 수로관 집게
KR20120118544A (ko) * 2011-04-19 2012-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앵글 운반용 클램프
KR20130078450A (ko) 2011-12-30 2013-07-10 김용태 수로관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980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96B1 (ko)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US8899645B2 (en) Universal flange lifter device
JP2009286610A (ja) 管体吊込み用把持装置
KR101221846B1 (ko) 회전식 견인집게장치
KR20130078450A (ko) 수로관 운반장치
EP1953111B1 (en) Hoisting clamp and hoisting mechanism provided therewith
US3582126A (en) Concrete pipe-lifting device
JPH08133661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り上げ具
JP5527750B1 (ja) 吊り枠体連結金具兼用連結吊り金具
JP6801692B2 (ja) 揺動接続構造及びクレーン
JP2016216114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紐倒立具
JP2001302172A (ja) ブロックの吊り方法および吊り込み用治具
US6220641B1 (en) Cradle and pressure grippers
CN106516970B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快速吊运装置
JPH08208176A (ja) 吊り具
JP2018002396A (ja) 玉掛け手鉤棒
US1343057A (en) Tongs
CN105000466A (zh) 一种圆管吊装夹具
US3779594A (en) Pipe construction
CN215711044U (zh) 一种通用新型钢筋吊装装置
KR100531747B1 (ko) 수로관 집게
JP2006021898A (ja) クレーン吊持具
CN210001416U (zh) 一种双链油桶吊装装置
JPH094037A (ja) コンクリート製側溝蓋の挾持装置の構造
KR20230159196A (ko) 수로관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