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226B1 -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226B1
KR102003226B1 KR1020170179525A KR20170179525A KR102003226B1 KR 102003226 B1 KR102003226 B1 KR 102003226B1 KR 1020170179525 A KR1020170179525 A KR 1020170179525A KR 20170179525 A KR20170179525 A KR 20170179525A KR 102003226 B1 KR102003226 B1 KR 10200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spring
spring
mounting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940A (ko
Inventor
신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2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7Springs
    • B60N2/705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로서, 리어 크로스 파이프에 고정되는 시트 스프링을 제공하기 위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는 차량에 고정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시트 스프링, 상기 시트 프레임 후단에 위치하는 리어 크로스 파이프,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구성되는 거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Locking Structure for the Seat-spr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시트 프레임에 위치하여 시트에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력을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시트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바, 시트의 지지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좌석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시트 스프링은 시트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시트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시트 스프링은 이동 방향으로 구불구불한 방식(meandering manner)으로 서로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가능한 스프링들을 포함한다. 탑승자의 중량에 의해 하중을 받을 때, 시트 스프링들은 하향으로 편향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부품의 탄성을 야기한다.
시트 스프링은 다수의 시트 스프링간의 결합을 수행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복수의 연결부재들에 의해서 함께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들은 부가의 요소들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구멍들을 가진다.
이처럼,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시트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바, 하중에 따라 시트 스프링은 지지반력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종래 사용하고 있는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의 경우, 시트 프레임 후단에 위치하는 리어 크로스 파이프에 상기 시트 스프링 일단이 걸려서 제조되는바, 시트에 하중에 인가될 경우, 리어 크로스 파이프를 기준으로 시트 스프링이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에서는 종래 기술로서,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에 따른 문제점으로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시트 스프링이 리어 크로스 파이프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쿠션패드와 시트 스프링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도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 10-2005-00534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통해서 하중이 인가된 경우에도 시트 스프링의 완만한 지지감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시트 스프링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트 스프링과 쿠션패드간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착좌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차량에 고정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시트 스프링; 상기 시트 프레임 후단에 위치하는 리어 크로스 파이프;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구성되는 거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 스프링에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시트 스프링은 상기 돌출부 끝단과 결합하도록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 브라켓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시트 스프링이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 스프링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의 굴곡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 스프링은 시트에 하중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쿠션패드와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에 하중이 인가될 시 시트 스프링과 쿠션패드간의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시트의 일정한 지지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하중 인가에 따라 시트 스프링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바, 시트 스프링과 리어 크로스 파이프 사이에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리어 크로스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시트 스프링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의 거치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의 돌출부와 시트 스프링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전단(전방, 전면)과 후단(후방, 후면)은 차량의 정면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100)에 관한 것으로, 시트 프레임(110)과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 사이에 고정되는 다수의 시트 스프링(12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스프링(120)의 후단이 거치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스프링(120)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위치하고, 시트 프레임(110)과 평행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진 다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다수의 시트 스프링(120)은 시트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바, 하중이 인가될 경우 하중에 대한 반력이 시트의 전면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트 스프링(120)의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일단은 시트 프레임(11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시트 스프링(120)의 타단은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시트 스프링(120)의 전단은 시트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트 스프링(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 브라켓(140)을 제공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140)은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50)는 시트 스프링(12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시트 스프링(120)이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와 마주하는 공간으로 상기 돌출부(150)가 삽입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시트 스프링(120)에 삽입된 이후, 일정한 장력에 의해 상기 시트 스프링(1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시트 스프링(120)의 타단은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굴곡진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150)는 시트 스프링(120)의 굴곡진 형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바,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에 위치하는 거치 브라켓(140)과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시트 스프링(120)의 타단의 형상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거치 브라켓(140)은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구성되는바, 상기 거치 브라켓(140)을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부(170)를 포함한다.
커버부(170)는 상기 거치 브라켓(140)과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 사이의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게 하기 위한 물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100)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시트 프레임(110)상에 위치하는 두 개로 구성되는 시트 스프링(120), 시트 스프링(120)의 중간을 연결하여 다수의 시트 스프링(120)이 서로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구성되는 시트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는바, 연결부재(160)가 제 1시트 스프링(120)과 제 2시트 스프링(120)의 중간에 위치하고, 제 1시트 스프링(120)과 제 2시트 스프링(120)이 서로 대응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의 시트 스프링(1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160)의 경우, 제 1시트 스프링(120)과 제 2시트 스프링(120)을 고정할 수 있는 형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바, 와이어 연결을 통한 구성, 강체로 형성되는 보강재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60)는 스프링 형식의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을 띄고 있으며, 시트 스프링(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거치 브라켓(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50)를 포함하여 후크부(151)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어, 시트 스프링(120)의 후단이 삽입된 돌출부(15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거치 브라켓(140)은 차량의 길이 방향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돌출부(150)를 포함하는바, 상기 돌출된 방향과 수직으로 구부러져 전방 및 후방 돌출부(15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시트 스프링(120)과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돌출부(15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전단에 위치하는 제 1돌출부(150a) 및 후단에 위치하는 제 2돌출부(150b)로 구성된다.
제 1돌출부(150a)와 제 2돌출부(150b)는 하나의 시트 스프링(120)의 서로 다른 부분과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돌출부(150a)에 체결된 시트 스프링(120)은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를 따라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제 2돌출부(150b)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돌출부(150a)와 제 2돌출부(150b)는 시트 스프링(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바, 시트 스프링(120)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삽입된 제 1돌출부(150a)와 제 2돌출부(150b)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시트 스프링(120)이 제 1 및 제 2돌출부(150b)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돌출부(150)를 포함하는 거치 브라켓(14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거치 브라켓(140)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출부(150)와 각각의 시트 스프링(120)이 결합되는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브라켓(140)은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위치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140) 상면을 덥도록 구성하는 커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브라켓(140)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시트 스프링(12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제 1돌출부(150a) 및 제 2돌출부(15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전면과 후면에 수평 하도록 구성되는 두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의 길이가 긴 방향과 수평으로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두면 중 후단에 위치하는 제 2돌출부(150b)와 대응되는 시트 스프링(120) 면은 상기 제 2돌출부(150b)의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제 4돌출부(150d)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하나의 시트 스프링(12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150)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시트 스프링(120)에 4개의 돌출부(150)가 고정하는 형태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트 프레임(110)과 마주하는 시트 스프링(120)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일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대응되는 제 1돌출부(150a) 및 제 2돌출부(150b), 제 3돌출부(150c)와 제 4돌출부(150d)는 시트 스프링(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시트 스프링(1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다수의 돌출부(150)는 시트 스프링(120)이 고정되도록 후크부(15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시트 스프링(1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시트 스프링(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다수의 돌출부(150)를 포함하여, 거치 브라켓(140)에 의해 시트 스프링(120)의 후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시트 스프링(120)의 후단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돌출부(150)는 시트 스프링(120)에 삽입되어 상기 후단 형상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시트 스프링(120)이 리어 크로스 파이프(130)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시트 프레임(110) 상부에 고정되는 쿠션패드(180)와 일체로 상기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바, 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급격한 지지감의 변화를 제거할 수 있다.
정리하면, 시트에 하중에 발생하는 경우, 시트 프레임(110) 상에 위치하는 쿠션패드(180)와 시트 스프링(120)이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시트 스프링(120)과 거치 브라켓(140) 간의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지지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110: 시트 프레임
120: 시트 스프링
130: 리어 크로스 파이프
140: 거치 브라켓
150: 돌출부
150a: 제 1돌출부
150b: 제 2돌출부
150c: 제 3돌출부
150d: 제 4돌출부
151: 후크부
160: 연결부재
170: 커버부
180: 쿠션패드

Claims (8)

  1. 차량에 고정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시트 스프링;
    상기 시트 프레임 후단에 위치하는 리어 크로스 파이프;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리어 크로스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듯이 구성되는 거치 브라켓; 및
    상기 다수의 시트 스프링이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브라켓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상기 시트 스프링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 스프링은 시트에 하중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쿠션패드와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스프링에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시트 스프링은 상기 돌출부 끝단과 결합하도록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스프링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의 굴곡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8. 삭제
KR1020170179525A 2017-12-26 2017-12-26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KR10200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25A KR102003226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25A KR102003226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40A KR20190077940A (ko) 2019-07-04
KR102003226B1 true KR102003226B1 (ko) 2019-07-24

Family

ID=6725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525A KR102003226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2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932A (ja) 2002-09-27 2004-04-15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JP2008183107A (ja) * 2007-01-29 2008-08-14 T S Tec Kk スプリングのバネ端係着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979B1 (ko) 2003-12-02 2010-11-11 주식회사 실트론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932A (ja) 2002-09-27 2004-04-15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
JP2008183107A (ja) * 2007-01-29 2008-08-14 T S Tec Kk スプリングのバネ端係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40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4891B2 (en) Lumbar support assembly
CN104802681B (zh) 具有内悬挂板的悬挂座椅靠背和垫子系统
JP4087854B2 (ja) シート・バック
AU2015248250A1 (en) Vehicle seat
CN111387742A (zh) 舒适感提高的椅子
JP5440223B2 (ja) シートカバーの吊り込み保持構造
KR200405353Y1 (ko) 스태킹 의자에 있어서의 등판의 탄성 설치구조
KR102003226B1 (ko)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JP5953738B2 (ja) 椅子
US10857919B2 (en) Lumbar mat for a backrest structure
JPWO2016024543A1 (ja) シート
JP6410886B2 (ja) 椅子の背支持構成要素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
US5692727A (en) Seat device
JP704755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074889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2014079521A (ja) 面材取付構造、身体支持部材及び椅子
JP201311937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取付構造
JP2006167251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7417929B2 (ja) クッション構造
KR20180083056A (ko) 차량용 시트의 서스펜션 장치
JP6854316B2 (ja) 車両用シートの電装部品配置構造
JP2012254719A (ja) 車両用シート
JP2021193002A (ja) 乗り物用シートの緩衝体及びシートバック構造
JP2024025079A (ja) シート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KR200381864Y1 (ko) 스프링 와이어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