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01B1 -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01B1
KR102002701B1 KR1020170146680A KR20170146680A KR102002701B1 KR 102002701 B1 KR102002701 B1 KR 102002701B1 KR 1020170146680 A KR1020170146680 A KR 1020170146680A KR 20170146680 A KR20170146680 A KR 20170146680A KR 102002701 B1 KR102002701 B1 KR 10200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valuatio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traff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248A (ko
Inventor
장경찬
이상협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장착되어, 노면에 설치된 기지국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 수신부;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통신 단말기;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준장치; 및 평가통신구간 영역에서는 평가를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재국 통신하도록 하고, 기준장치 통신구간에서는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System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Traffic data acquisi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통상황은 날로 급증하는 교통수요와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도로상황으로 인해 매우 열악한 상태에 처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도로의 효율적인 운영관리 및 신설도로의 계획, 설계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인 교통자료(차량 통과대수, 속도, 중량, 차량점유시간 등)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고속도로 및 국도, 지방도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지능형 교통자료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장비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상기 ITS에서 측정된 교통파라미터를 통하여 다양한 교통정보가 생성되고 있다. 교통정보가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받기 위해서는 현장에 설치·운영되는 ITS 장비에 대한 지속적인 성능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ITS 장비에 의해 수집되는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교통정보가 생성되므로, 장비의 신뢰성 유지는 교통정보의 신뢰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ITS 장비 도입 전에는 시험(test)하고, 도입 후에는 주기적으로 검사(inspection)하고 교정(calibration)해야 한다. 이에 국내에서도 2006년 국토해양부에서 "ITS 성능평가요령 (2006)"을 제정·공표하였다. ITS 성능평가요령은 지능형교통체계(ITS) 성능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장비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이러한 ITS 성능평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현장에 설치된 차량검지시스템(Vehicle Detection System, VDS)과 자동차량인식장치(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AVI)에 대해 설치후 준공전 성능검증 및 매년 정기검사를 위한 이동식 교통정보 수집장치를 개발하여 현재 ITS 성능평가에 활용중에 있다.
한편, 종래의 교통정보 수집장치는 검지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차량검지기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저장장치 및 검지부의 데이터와 영상저장장치가 수신한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성능평가시 교통정보 수집장치의 설치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설치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하루에 평가할 수 있는 지점이 적다는 문제 또한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의 일환으로 전국의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에 설치된 노변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이를 위해 국가는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86조에 의거하여 일정 주기로 ITS장비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기능과 성능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DSRC교통정보 수집 장비는 주행하는 차량과 노변장치 간의 통신 상태와 정보수집상태 등을 파악하여 평가 후 관리해 오고 있다.
현재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단거리전용통신(DSRC) 기술은 교통상황 파악을 위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에도 적용되어 구축 및 운영되고 있으며 DSRC 기반 고속도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은 전국 고속도로 및 일반국도, 지방도 등 교통정보 수집이 필요한 구간 곳곳에 DSRC 기지국이 설치하고 차량단말기와 노변 기지국간 통신을 통해 교통 정보수집 할 수 있는 원리이다.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는 근거리 전용 통신으로, 5G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수백 Kbps의 속도로 양방향 통신하는 기술 방식을 말한다. 도로변에 설치된 소형 기지국(노변 기지국, RSE, Road Side Equipment)과 차량에 탑재된 단말기(OBU, On Board Unit)와 통신에 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노변에 설치된 DSRC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를 위한 장치로서 앞서 설명한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86조에 의거한 ITS 장비와 시스템, 서비스 기능 및 성능의 일정수준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노변 장비의 평가는 평가자가 임의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토교통부 장관의 고시에 의해 기준은 설정하고 이를 준수하여 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국가에서 제시한 기준은 여러 대의 차량과 OBU, 다양한 시험절차 등이 제시되어 있어 기존의 이동식 성능평가체계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준비해야하는 차량과 운전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개략적으로 비교해도 이미 현재 이동식 성능평가체계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고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성능평가 소요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ITS 사업시행자가 성능평가를 회피할 확률이 높아 ITS 이동식 성능평가체계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안된 성능평가 장치 기술은 ITS 성능평가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준장치 기술이며 이는 성능평가의 취지에 적합한 여러 다른 기종의 장비를 평가하는 기준장비기술이며 현장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검지기의 성능을 평가를 위한 기준데이터을 제공하고 평가하는 장비로서, DSRC 교통정보 수집장치의 성능평가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장비 기술이다.
현재 평가는 단말기를 장착한 차량이 평가 대상지점을 통과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신성공의 유무를 체크하여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과정에서 단말기와 평가대상장비의 오류 또는 오동작의 원인을 알 수 없어 평가의 의도가 훼손되거나 평가결과에 따른 민원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787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979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99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속도로 및 국도를 중심으로 확대 설치되고 있는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평가를 활성화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준장치 적용을 통해 전국에 설치된 다수의 평가지점에 대해 효율적으로 평가 수행이 가능해지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수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정확한 교통자료 수집을 통해 정보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제공받는 국민들의 여행정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차량 내에 장착되어, 노면에 설치된 기지국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 수신기;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통신 단말기; 및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가통신구간 영역에서는 평가를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하고, 기준장치 통신구간에서는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통해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평가대상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주변을 촬상하는 영상녹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영상녹화장치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단말기와, 기준장치, GPS수신부, 영상녹화장치, 제어부, 데이터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수집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수집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DSRC교통정보수집장비이고, 상기 기준장치는 기준 이동형 DSRC 수집장치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단말기는 DSRC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평가 대상장비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노면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장비; 차량내에 설치되는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성능평가장치; 및 성능평가장치의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분석하여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는 센터수집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와 상기 평가대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노면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의 GPS 수신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차량 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차량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다시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차량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 간의 통신을 통해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영상녹화장치가 상기 차량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영상녹화장치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와 상기 평가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에 따르면, 고속도로 및 국도를 중심으로 확대 설치되고 있는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평가를 활성화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준장치 적용을 통해 전국에 설치된 다수의 평가지점에 대해 효율적으로 평가 수행이 가능해지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수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정확한 교통자료 수집을 통해 정보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제공받는 국민들의 여행정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설치된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경로에서 기준장치 통신구간과 평가대상장비통신구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1) 내부에 설치된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2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노면에 설치된 평가대상장비와, 차량(1) 내에 설치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면에 설치되는 평가대상장비는 DSRC교통정보수집장비(10)에 해당한다. 차량(1) 내에 설치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DSRC 단말기(21)들과, 기준장치(22), GPS 수신부(23), 영상녹화장치(24), 제어부(25), 전원부(26), 데이터생성부(27), 데이터베이스(28), 분석부(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DSRC 단말기(21)는 근거리 전용 통신을 하는 예를들면 고속도로 요금지불단말기, 하이패스단말기 등에 해당한다. 또한, GPS 수신부(23)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차량(1)의 현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게 된다.
또한, 기준장치(22)는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DSRC 단말기(21)들과 통신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준장치(22)는 평가대상장비인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의 기준, 표준이 되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DSRC 신호수집장치, 즉 기준 이동형 DSRC 수집장치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25)는 차량(1)이 평가통신구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의 평가를 위해 DSRC 단말기(21)들이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와 통신하도록 제어하고, 평가통신구간 영역이 아닌 기준장치(22) 통신구간에서는 DSRC 단말기(21)들과 기준장치(22)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SRC 단말기(21)들이 기준장치(22)와 통신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1)의 주행경로에서 기준장치 통신구간과 평가대상장비통신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는 GPS수신부(23)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한 경우, DSRC 단말기(21)들이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와 통신하도록 하고, 차량(1)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범위가 아닌 기준장치 통신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DSRC 단말기(21)들이 기준장치(22)와 통신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생성부(27)는 DSRC단말기(21)들과 기준장치(22) 간의 통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DSRC단말기(21)들과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 간의 통신을 통해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생성부(27)에서 생성한 평가대상데이터와 기준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20)는, 차량(1) 주변을 촬상하는 영상녹화장치(24)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28)는 영상녹화장치(24)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부(26)는 DSRC 단말기(21)와, 기준장치(22), GPS수신부(23), 영상녹화장치(24), 제어부(25), 데이터생성부(27)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6)는 별도의 배터리 등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고, 차량(1) 내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20)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센터수집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터수집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분석부(30)는 데이터생성부(27)에서 생성한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비교하여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분석하여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앞서 언급한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100)을 이용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차량(1)이 주행되는 상황에서 차량(1) 내의 GPS 수신부(23)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게 된다(S1). 또한, 영상녹화장치(24)가 차량(1)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S2).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8)는 영상녹화장치(24)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운행상태에서, 제어부(25)는 현재 차량(1)의 위치가 평가대상장비 통신구간이 아닌 경우(S3), 기준장치통신구간으로 파악하여, 차량(1) 내에 구비된 복수의 DSRC 단말기(21)들과 차량(1)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22)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5).
그리고 데이터생성부(27)는 복수의 DSRC 단말기(21)들과 차량(1)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22)가 통신하게 되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기준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게 된다(S8).
반면, GPS수신부(23)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면(S3), 제어부(25)는 DSRC단말기(21)들이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와 통신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차량(1)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하면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와 통신을 준비하고(S5) 데이터생성부(27)는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10)와 DSRC단말기(21)들이 통신되는 상태에서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평가대상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게 된다(S7).
그리고, GPS수신부(23)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다시 DSRC 단말기(21)들과 차량(1)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22)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S5, S8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부를 통해 센터수집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S9), 센터수집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8)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분석부(30)는 데이터생성부(27)에서 생성한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비교하여(S10)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분석하여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ㄹ하게 된다(S11). 이러한 분석단계에서 분석부(30)는 센터수집데이터와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에 따르면, 고속도로 및 국도를 중심으로 확대 설치되고 있는 DSRC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평가를 활성화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준장치 적용을 통해 전국에 설치된 다수의 평가지점에 대해 효율적으로 평가 수행이 가능해지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수행 가능하고, 안정되고 정확한 교통자료 수집을 통해 정보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고 이를 제공받는 국민들의 여행정보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차량
10:DSRC 교통정보수집장비
20:성능평가장치
21:DSRC단말기
22:기준장치
23:GPS수신부
24:영상녹화장치
25:제어부
26:전원부
27:데이터생성부
28:데이터베이스
30:분석부
100: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

Claims (15)

  1. 차량 내에 장착되어, 노면에 설치된 기지국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 수신부;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통신 단말기;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준장치; 및
    평가통신구간 영역에서는 평가를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하고, 기준장치 통신구간에서는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한 경우,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범위가 아닌 경우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통해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평가대상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을 촬상하는 영상녹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영상녹화장치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단말기와, 기준장치, GPS수신부, 영상녹화장치, 제어부, 데이터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센터수집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수집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DSRC교통정보수집장비이고, 상기 기준장치는 기준 이동형 DSRC 수집장치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단말기는 DSRC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10. 평가 대상장비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노면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장비;
    차량내에 설치되는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능평가장치; 및
    상기 성능평가장치의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분석하여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센터수집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와 상기 평가대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
  12. 제 10항에 따른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노면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의 GPS 수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가 차량 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차량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GPS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 내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와 통신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GPS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설정된 평가통신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다시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차량 내에 구비된 기준장치가 통신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준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기와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 간의 통신을 통해 평가대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영상녹화장치가 상기 차량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영상녹화장치에서 촬상한 영상데이터와 상기 기준데이터와 상기 평가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분석부가 상기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기준데이터와 평가대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교통정보수집장비의 성능을 분석하여 평가결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방법.
KR1020170146680A 2017-11-06 2017-11-06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KR10200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80A KR102002701B1 (ko) 2017-11-06 2017-11-06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80A KR102002701B1 (ko) 2017-11-06 2017-11-06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48A KR20190051248A (ko) 2019-05-15
KR102002701B1 true KR102002701B1 (ko) 2019-10-01

Family

ID=6657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80A KR102002701B1 (ko) 2017-11-06 2017-11-06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649A (zh) * 2021-12-29 2022-04-22 信通院车联网创新中心(成都)有限公司 一种基于高精度定位的路侧感知系统测试方法
KR102602842B1 (ko) * 2023-06-20 2023-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ts 장비 성능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능검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3057A (ja) * 2011-03-31 2012-11-0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故障解析システム、故障解析装置、受信装置、故障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7212B1 (ko) * 2014-05-09 2015-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통신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14378B1 (ko) * 2015-08-03 2017-03-09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96B1 (ko) 2009-09-14 2011-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차로의 교통정보수집장치 및 방법
KR101539941B1 (ko) 2014-11-26 2015-07-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성능 비교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78744B1 (ko) 2014-11-28 2016-12-07 한국도로공사 영상식 차량검지기의 성능평가를 위한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3057A (ja) * 2011-03-31 2012-11-0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故障解析システム、故障解析装置、受信装置、故障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7212B1 (ko) * 2014-05-09 2015-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통신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14378B1 (ko) * 2015-08-03 2017-03-09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48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3969B (zh) 一种路况判定信息获取方法、装置及设备
EP1975884B1 (en)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and mobile object charging method by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EP2219166B1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US7324893B2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Turner Advanced techniques for travel time data collection
CN113706737B (zh) 基于自动驾驶车辆的路面巡检系统及方法
CN106104654B (zh) 车辆识别
CN107545757B (zh) 基于车牌识别的城市道路流速测量装置和方法
CN109637137A (zh) 基于车路协同的交通管理系统
CN103366560A (zh) 一种道路交通运行状态跟车探测方法、系统及应用
CN109102695A (zh) 智能交通服务站、智能交通服务方法及系统
KR102002701B1 (ko)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CN110310499A (zh) 一种匝道限速识别的方法及装置
KR102061264B1 (ko) C-its 기반 차량위치정보를 이용한 돌발 상황 감지시스템
KR101705888B1 (ko) 차량감지장치 및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과속 및 졸음 운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N109085177B (zh) 一种基于rfid定位的漏缆外观检测方法和装置
CN112907955A (zh) 一种基于信息融合的车路协同系统的评价方法
JP2007206785A (ja) 車両追跡システムとこれに使用する画像処理装置、中央装置及び車載装置、並びに、車両追跡方法
Gore et al. Exploring credentials of Wi‐Fi sensors as a complementary transport data: an Indian experience
KR102181032B1 (ko)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853360A (zh) 一种车辆定位系统和方法
KR101703967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
CN104269061B (zh) 基于网络的黄标车检管系统及检管方法
KR101441907B1 (ko) 휴대용 교통정보 수집 장치
CN109887309A (zh) 一种高速公路车辆速度监控系统及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