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78B1 -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78B1
KR101714378B1 KR1020150109545A KR20150109545A KR101714378B1 KR 101714378 B1 KR101714378 B1 KR 101714378B1 KR 1020150109545 A KR1020150109545 A KR 1020150109545A KR 20150109545 A KR20150109545 A KR 20150109545A KR 101714378 B1 KR101714378 B1 KR 101714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oadside base
communication performance
communication
road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140A (ko
Inventor
김희중
나형석
최재순
안광진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5010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노변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을 제어함으로써,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ANAGEMENT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ROADSIDE EQUIPMENT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노변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능형 교통시스템 분야 중 하나로서 교통정보의 수집과 제공이 이루어지는 교통정보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여기서, 교통정보는 예컨대, 특정 도로 구간의 지정체 현황, 사고현황, 통행량, 통행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 시스템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OBU: On Board Unit)와 도로상에 설치된 노변기지국(RSE: Roadside Equipment)간의 통신 처리 방식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처리 방식을 따르는 교통정보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선, 시스템의 주축이 되는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헌데, 노변기지국의 경우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예: 고속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로 자신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차량의 단말기들과의 정상적인 통신 처리를 위해선 안테나 지향각도가 노면을 정확하게 지향하고, 신호세기가 인접 노변기지국과 중첩되지 않는 적정 세기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처럼 도보 상의 접근이 어려운 도로변에 설치되어야 하는 노변기지국의 특성은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유지 및 관리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된다.
결국, 교통정보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선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는,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와 노변기지국 간의 통신 처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통신처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에 전달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노변기지국 간의 거리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 인접한 타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된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상기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는,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수신되는 수신 방향 별로 측정된 2 이상의 기지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단말기는, 2 이상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2 이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 상기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와 노변기지국 간의 통신 처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통신처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에 전달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노변기지국 간의 거리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 인접한 타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된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상기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는,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 방향 별로 측정된 2 이상의 기지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단말기는, 2 이상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2 이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 상기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노변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을 제어함으로써,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화면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은, 측정단말기(100), 노변기지국(200), 및 통신성능관리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은, 측정단말기(100), 노변기지국(200), 및 통신성능관리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측정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측정하고, 해당 통신성능측정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이 설치된 도로를 이동하는 이동체(예: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이동체의 루프에 장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동체를 이용한 위치 이동 과정에서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는, 근거리 전용 통신 대역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예컨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주파수 등 기타 다양한 차세대 주파수 대역 또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는, 예컨대, 자신의 식별정보를 노변기지국(200)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일련의 절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에는,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의 식별정보는 물론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신호 세기(예: 전계강도 세기), 및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 횟수 등이 포함될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통신 처리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측정단말기(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체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이동체의 루프에 장착된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노변기지국(100)으로부터 기지국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에 따라 수신된 기지국신호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측정단말기(100)에서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를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 별로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노변기지국(200)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OBU: On Board Unit, 도시안됨)와의 통신 처리를 통해 예컨대, 특정 도로 구간의 지정체 현황, 사고현황, 통행량, 통행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노변기지국(200)은 안테나를 통한 기지국신호의 전송을 통해 자신의 커버리지를 형성하고, 해당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와의 통신 처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노변기지국(200)은 자신의 커버리지로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가 진입하는 경우,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통신처리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처리결과에는, 예컨대, 측정단말기(1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은 물론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 처리 횟수, 및 측정단말기(100)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단말기(100)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통신성능관리장치(300)는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처리결과를 기초로 특정 도로 구간의 지정체 현황, 사고현황, 통행량, 통행속도 등의 교통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성능관리장치(300)는 위 교통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이외에,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유지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이어질 도 2를 참조한 구체적인 설명에서 다루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변기지국(200)은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예: 고속도로)변에 설치된 상태로 자신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차량의 단말기들과의 통신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도보 상의 접근이 어려운 도로변에 설치되어야 하는 노변기지국(200)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교통정보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선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접근을 통한 통신성능의 유지 및 관리가 불가피한 것이 현실이다.
결국, 교통정보 시스템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선 노변기지국(200)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확인하여 이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성능관리장치(3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30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를 수신하며,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310),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판별부(320), 및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하여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3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10)는 예컨대, DSRC 통신 대역을 지원하는 하드웨어통신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머지 판별부(320), 제어부(330), 및 표시부(340)의 경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타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3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통신성능관리장치(200)의 위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이동하는 도로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노변기지국(RSE#1, RSE#2, RSE#3,...,및 RSE#N)을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성능관리장치(300)가 통신성능을 관리하는 노변기지국(200)이 다수의 노변기지국(RSE#1, RSE#2, RSE#3,..., 및 RSE#N) 중 'RSE#2'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수신부(310)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310)는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와 노변기지국(200) 간의 통신 처리가 이루어지면, 측정단말기(100)로부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를 수신하며,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는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수신되는 범위인 커버리지로의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측정하고, 통신성능측정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확인하기 위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자신의 현재 위치가 노변기지국(200)에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측정단말기(100)에서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확인기능(예: GPS)을 지원하게 된다.
한편, 측정단말기(100)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변경하여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의 변경은, 측정단말기(100) 1대로 마치 다수의 측정단말기가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측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노변기지국(200)에서 각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측정단말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지 여부(인식률)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노변기지국(200) 역시 자신의 커버리지로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가 진입하는 경우,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게 되며, 해당 통신처리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판별부(320)는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32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판별부(320)에서는 예컨대,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통신처리결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 및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통신 처리 횟수를 이용하여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이처럼,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측정단말기(100)에서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반대로 노변기지국(200)의 신호 수신 감도가 낮아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판별부(320)는 통신 처리 횟수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측정단말기(100)에서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반대로 노변기지국(200)의 신호 수신 감도가 낮아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이처럼,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정상적인 통신 처리가 불가한 상태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지국신호 세기의 임계치는 측정단말기(100)와 노변기지국(200)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결국, 판별부(32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정상적인 통신 처리가 불가한 상황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 통신의 특성 상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와 노변기지국(20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에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뿐만 아니라, 커버리지가 중첩된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기지국신호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만약,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와 인접한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가 중첩된 상태에서 측정단말기(100)로부터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면, 위와 마찬가지로 해당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기지국신호와 함께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판별부(320)는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해당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이 역시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된다는 것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그 전달 범위가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를 침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결국, 판별부(32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그 전달 범위가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를 침범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를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 별로 각각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 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 별로 측정된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는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의 편향, 노변기지국(200)과의 거리, 중앙분리대 및 방음벽 등 전파 방해물의 존재, 및 도로 폭에 따른 거리로 인한 전파세기의 미도달 등으로 인해 이동체의 특정 수신 방향으로 기지국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수신방향 별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가 편향된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결국, 판별부(320)는 수신방향 별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의 편향된 상태인 것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커버리지 간 중첩이 도로변에 설치된 노변기지국 간에 이루어짐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톨게이트 등에 설치된 하이패스 장치와 노변기지국 간에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판별부(32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하이패스 장치와의 통신 처리와 관련된 프로토콜 정보(예: AID, Application Service ID)가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와, 하이패스 장치의 커버리지가 중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는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제어와 마찬가지로 하이패스 장치의 신호 세기, 혹은 안테나 지향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에서는 하이패스 장치와의 통신 처리 절차(a)와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 절차(b)를 비교하여 도시하며, 각 통신 처리 절차와 관련된 통신 처리 절차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 밖에, 측정단말기(100)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변경하여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판별부(32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식별정보의 개수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된 식별정보의 개수가 상이한 경우, 이 역시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200)에 전달하여, 노변기지국(200)이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하거나,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와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혹은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를 소정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해서 노변기지국(200)에서 기지국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주기를 짧게 변경하거나, 반대로 전송주기를 길게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송주기의 변경 여부는,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이 설치된 도로의 혼잡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혼잡도가 낮은 경우, 도로를 이동하는 이동체의 초당 이동거리가 커짐에 따라, 기지국신호의 전송주기를 짧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이동체의 초당 이동거리가 크다는 것은, 이동체가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노변기지국들을 지나치는 속도 또한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에, 초당 이동거리가 큰 이동체의 커버리지 진입 확인 및 통신 처리를 위해선 기지국신호의 전송주기를 짧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반대로, 도로의 혼잡도가 높은 경우, 도로를 이동하는 이동체의 초당 이동거리가 커짐에 따라, 기지국신호의 전송주기를 길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이동체의 초당 이동거리가 짧다는 것은, 이동체가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노변기지국들을 지나치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데, 이때, 기지국신호의 전송주기가 필요 이상으로 짧은 경우, 해당 이동체와의 통신 처리가 중복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초당 이동거리가 짧은 이동체의 커버리지 진입 확인 및 통신 처리를 위해선 기지국신호의 전송주기를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표시부(340)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4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처리결과를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340)는 다양한 표시 방식을 통해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하거나, 내지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의 경우, 예컨대, 그래프, 도표, 텍스트, 문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가 가시화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의 경우 예컨대, 도로 별, 관리점 별, 지역 별, 기간(예: 요일, 날짜, 날씨, 계절, 연도) 별 및 기타 다양한 분류 카테고리에 의해 분류된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 변경은 앞서 설명한 수신부(310), 판별부(320), 및 제어부(330)의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확인한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표시화면을 일례들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통신성능측정결과 또는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200)의 온(On)/오프(Off)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측정단말기(100)에서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별로 수신되는 기지국신호의 세기를 일정 거리 간격(예: 20m~50m)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측정단말기(100)와 노변기지국(200) 간의 거리 별 기 신호 세기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표시화면은 도 4 내지 도 6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측정단말기(100)과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단말기(100)에서 차로 별로 이루어진 통신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통신처리결과로부터 도로 중앙분리대, 갓길, 방음벽 등의 전파 여건과 관련된 통신 환경(예: 전계강도 맵)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화면을 예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 따르면,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가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함으로써,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서의 도면 부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가 이동하는 도로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노변기지국(RSE#1, RSE#2, RSE#3,...,및 RSE#N)을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성능관리장치(300)가 통신성능을 관리하는 노변기지국(200)이 다수의 노변기지국(RSE#1, RSE#2, RSE#3,..., 및 RSE#N) 중 'RSE#2'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수신부(310)는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와 노변기지국(200) 간의 통신 처리가 이루어지면, 측정단말기(100)로부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를 수신하며,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는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한다(S110).
이와 관련하여,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수신되는 범위인 커버리지로의 진입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통신성능을 측정하고, 통신성능측정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로의 진입을 확인하기 위해, 노변기지국(200)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자신의 현재 위치가 노변기지국(200)에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과의 통신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노변기지국(200) 역시 자신의 커버리지로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가 진입하는 경우, 측정단말기(100)와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게 되며, 해당 통신처리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판별부(320)는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한다(S120).
이때,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예컨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측정단말기(100)에서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반대로 노변기지국(200)의 신호 수신 감도가 낮아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판별부(320)는 통신 처리 횟수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측정단말기(100)에서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반대로 노변기지국(200)의 신호 수신 감도가 낮아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이라는 것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정상적인 통신 처리가 불가한 상태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판별부(32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약해 정상적인 통신 처리가 불가한 상황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 통신의 특성 상 노변기지국(200)의 커버리지와 노변기지국(200)과 인접하여 설치된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판별부(320)는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해당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이 역시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에 대해 측정된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된다는 것은,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그 전달 범위가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를 침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결국, 판별부(32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의 세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그 전달 범위가 타 노변기지국(RSE#1 or RSE#3)의 커버리지를 침범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단말기(100)는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를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 별로 각각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 결과를 통신성능관리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수신 방향(예: 운전석 쪽(좌), 중앙, 조수석 쪽(우)) 별로 측정된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는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의 편향으로 인해 이동체의 특정 수신 방향으로 기지국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판별부(320)는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수신방향 별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가 편향된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결국, 판별부(320)는 수신방향 별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의 편향된 상태인 것이 확인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330)는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200)에 전달하여, 노변기지국(200)이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한다(S130-S140).
이때, 제어부(300)는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노변기지국(200)의 기지국신호 세기와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혹은 노변기지국(200)의 안테나 지향각도를 소정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340)는 단계 'S110'을 통해 측정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처리결과를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150).
이때, 표시부(340)는 다양한 표시 방식을 통해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하거나, 내지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방식의 경우, 예컨대, 그래프, 도표, 텍스트, 문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가 가시화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되는 통신성능측정결과와 통신처리결과의 경우 예컨대, 도로 별, 관리점 별, 지역 별, 기간 별 및 기타 다양한 분류 카테고리에 의해 분류된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신성능관리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100)가 노변기지국(200)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노변기지국(200)을 제어함으로써,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성능을 원격에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S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노변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와, 노변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의 통신처리결과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측정단말기
200: 노변기지국
300: 통신성능관리장치
310: 수신부  320: 판별부
330: 제어부 340: 표시부

Claims (20)

  1.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2 이상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 시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통신 처리를 수행한 결과인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통신처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에 전달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2 이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노변기지국 간의 거리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 인접한 타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된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상기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는,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수신되는 수신 방향 별로 측정된 2 이상의 기지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온(On)/오프(상태),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 상기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
  11. 이동체에 위치한 측정단말기가 2 이상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 시 측정한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통신 처리를 수행한 결과인 통신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 및 상기 통신처리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노변기지국에 전달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성능을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2 이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와, 상기 통신처리결과로부터 확인되는 통신 처리 횟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측정단말기와 상기 노변기지국 간의 거리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측정단말기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과 인접한 타 노변기지국과의 통신 처리를 통해 측정된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가 수신되며, 상기 별도의 통신성능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성능측정결과는,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 방향 별로 측정된 2 이상의 기지국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신호 간의 신호 세기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성능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온(On)/오프(상태), 상기 노변기지국의 기지국신호 세기, 상기 노변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감도, 및 상기 노변기지국의 안테나 지향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성능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50109545A 2015-08-03 2015-08-03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714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45A KR101714378B1 (ko) 2015-08-03 2015-08-03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45A KR101714378B1 (ko) 2015-08-03 2015-08-03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40A KR20170016140A (ko) 2017-02-13
KR101714378B1 true KR101714378B1 (ko) 2017-03-09

Family

ID=5815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545A KR101714378B1 (ko) 2015-08-03 2015-08-03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48A (ko) * 2017-11-06 2019-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488B1 (ko) * 2018-03-12 2020-05-04 (주)이씨스 Fcms를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의 수신 감도 측정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539096B1 (ko) * 2018-06-19 2023-05-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통신 시스템과, 이에 포함되는 중계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26615B1 (ko) * 2019-01-31 2021-11-16 주식회사 웨이티즈 불량 노변 기지국 탐지 장치 및 불량 노변 기지국 탐지 방법
KR102521733B1 (ko) * 2022-07-12 2023-04-17 에스트래픽 (주)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800B1 (ko) * 2003-08-27 2005-12-26 (주)에어포인트 단거리전용통신방식의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무선링크 성능데이터 수집/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81724B1 (ko) * 2003-06-24 201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티에스용 노변기지국의 원격리셋장치의 제어방법
KR101023256B1 (ko) * 2008-08-13 2011-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회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21B1 (ko) * 2008-08-19 2010-05-28 전자부품연구원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24B1 (ko) * 2003-06-24 201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티에스용 노변기지국의 원격리셋장치의 제어방법
KR100538800B1 (ko) * 2003-08-27 2005-12-26 (주)에어포인트 단거리전용통신방식의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무선링크 성능데이터 수집/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23256B1 (ko) * 2008-08-13 2011-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회피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48A (ko) * 2017-11-06 2019-05-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KR102002701B1 (ko) * 2017-11-06 2019-10-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장치, 성능평가시스템 및 성능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40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378B1 (ko)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8769949B (zh) 一种v2x设备的道路测试方法
KR101354049B1 (ko)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55575B2 (en) Real time estimation of vehicle traffic
JP4713359B2 (ja) 移動端末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の交通情報抽出方法および交通情報処理方法
Zhang et al. Virtual traffic lights: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JP2018101384A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路側通信装置、車載通信装置及び車車間通信方法
CN106575480B (zh) 信息处理系统、终端装置、程序、移动终端装置、计算机可读取的非易失性的有形记录介质
US8299940B2 (en)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mounted device
US10269247B2 (en) Drive support apparatus
US9888358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terminal
EP2416301A1 (en)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vehicle detection
WO2018116827A1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路側通信装置、車載通信装置及び車車間通信方法
KR20160144666A (ko) 전용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사각 지대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32324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3478A (ja) 運転支援装置
CA2803480A1 (e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between a radio beacon and an onboard unit, and radio beacon and onboard unit therefor
JP4321143B2 (ja) 車両検知方法、車両検知システム、車両検知装置、車両検知用プログラム
CN108140304B (zh) 用于确定道路交通中的堵塞端部的方法和与此有关的装置
WO2017169265A1 (ja) 逆走防止システム
JP2012002782A (ja) 地図更新システム
KR20180034970A (ko)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차량간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44746B1 (ko) 다 차로에서의 자동 요금 지불 시스템
KR101951525B1 (ko) V2i 통신 기반 고속도로 합류구간에서의 충돌 방지 시스템
JP2010134718A (ja) 車両用の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