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226B1 -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226B1
KR102002226B1 KR1020170157199A KR20170157199A KR102002226B1 KR 102002226 B1 KR102002226 B1 KR 102002226B1 KR 1020170157199 A KR1020170157199 A KR 1020170157199A KR 20170157199 A KR20170157199 A KR 20170157199A KR 102002226 B1 KR102002226 B1 KR 10200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information
block
unit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522A (ko
Inventor
이원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5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2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하고, 구성된 멜로디의 재생이 가능한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은 서로 다른 임의의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할 수 있고, 구성된 멜로디와, 이를 이용한 멜로디의 재생을 통해 영/유아의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여 영/유아의 정서적 발달, 뇌 발달 등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MUSIC BLOCK AND 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하고, 구성된 멜로디의 재생이 가능한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블록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를 목적으로 흥미와 더불어 창의력과 응용력, 그리고 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완구에 접목시킨 것이다.
이러한, 조립블록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기와 미취학 어린이 등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조립블록은 동일 또는 호환가능한 형상의 단위블록들을 상호 적층시키거나, 나열시켜 조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통상의 조립블록은 조립 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즉, 단위블록의 하단 내측에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반대편인 상단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각각의 단위블록에 구비된 끼움부와 돌출부의 결합에 따라 상호 적층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블록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오락적인 기능과 함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의 효과를 발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블록은 일정 형상을 블록으로 만드는 조립부분에만 특화되어 있어서, 영/유아들에게 다양한 감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391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조립블록)에는 단위 블록에 발광소자를 채용하여 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완구용 조립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은 단순히 빛을 발광하는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을 뿐, 블록으로 특정 형상을 조립하는 것은 다른 종래기술과 동일하여 영/유아의 감성이나, 정서적 발달, 창의적인 사고력 등을 발달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391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조립블록)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하고, 구성된 멜로디의 재생이 가능한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은 서로 다른 임의의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에 이웃한 블록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111)를 구비한 블록 하우징; 상기 블록 하우징에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저장되며, 결합된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단자부를 구비한 회로부; 및 상기 블록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부를 보호하고, 이웃한 블록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 하우징은 상부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와 치합하는 돌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로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임의의 데이터 통신 포맷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블록 제어부; 및 상기 단자부의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로부는 임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은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저장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블록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결합된 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은 재생부(200)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생부는 복수의 블록과 결합하는 돌기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블록과 전원,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모듈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합된 블록의 온/오프신호, 재생신호 및 동작 설정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블록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재생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결합된 블록 및 재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재생하는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향신호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에 따라 음향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연주 정보와 연관된 블록으로 점등 표시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한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된 멜로디와, 이를 이용한 멜로디의 재생을 통해 영/유아의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여 영/유아의 정서적 발달, 뇌 발달 등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음악 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음악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재생장치의 단자 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음악 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음악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재생장치의 단자 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 블록은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은 서로 다른 임의의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저장하며, 블록 하우징(110)과, 회로부(120)와,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 하우징(110)은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에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111)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블록 하우징(110)의 형상이 정육면체인 블록(100), 직육면체인 블록(100a, 100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하우징(110)은 블록(100, 100a, 100b)에 내재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 하우징(110)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하우징(110)은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111)는 상부 관통공(111a)을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다른 블록(100a, 100b)의 접촉 단자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록 하우징(110)은 상부면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부(112)는 블록(100)이 다른 블록(100a, 100b)과 결합할 때 미리 설정된 방향과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회로부(120)의 전기적인 접속 위치가 바뀌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블록(100)에 내재된 회로부(120)의 전원이 연결되는 방향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연결선이 바뀌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회로부(120)는 블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미리 설정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저장되며, 결합된 블록(100a, 100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서, 인쇄회로기판(12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단자(122a, 122b, 122c, 122d)를 구비한 단자부(122)와, 블록 제어부(123)와, 접촉 단자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부(122)는 블록(100)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록 제어부(123)에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재생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재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단자(122a)와, 제2 단자(122b)와, 제3 단자(122c)와, 제4 단자(12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및 제2 단자(122a, 122b)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3 및 제4 단자(122c, 122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원 공급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단자부(122)를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RF 신호에 유도 전력이 활성화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전원 공급수단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제어부(123)는 단자부(12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활성화되어 미리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임의의 데이터 통신 포맷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계 정보는 미리 저장된 음의 높이 정보이고, 음표 정보는 음의 길이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 제어부(123)가 상기 단자부(122)를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RF 통신을 이용한 무선 태그 또는, NFC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 단자부(124)는 단자부(122)의 제1 내지 제4 단자(122a, 122b, 122c, 122d)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부(124)는 접촉 단자부(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접촉 단자부(124)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125)은 상기 접촉 단자부(124)가 이웃한 블록(100a)의 단자부(122)와 접촉할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26)는 재생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신호가 블록 제어부(123)에 수신되면, 상기 블록 제어부(123)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블록(100)의 동작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30)은 블록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부(120)를 보호하고,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131a)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접촉 단자부(124)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공(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30)은 이웃한 블록(100a, 100b)에 설치된 돌기부(112)와 치합하는 돌기 삽입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돌기 삽입부(132)에 돌기부(112)가 삽입되지 않으면,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블록들(100, 100a, 100b) 간의 잘못된 결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를 설명한다.
우선, 블록(100, 100a, 100b)과 관련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재생장치는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저장하며, 전원이 공급되면 활성화되어 상기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출력하는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과, 상기 블록(100, 100a, 100b)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100, 100a, 100b)은 재생부(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활성되고, 상기 재생부(200)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며, 상기 블록(100, 100a, 100b)에 내재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100, 100a, 100b)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200)는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이 결합되는 단자 모듈(210)과, 입력부(220)와, 제어부(230)와, 음향 출력부(240)와, 표시부(250)와, 전원 공급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 모듈부(210)는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과 결합하는 다수의 돌기가 M×N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과 전원,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의 온/오프신호, 재생신호 및 동작 설정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버튼형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단자 모듈부(210)에 결합된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230)는 결합된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으로부터 각각의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은 단자 모듈부(210)의 행렬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연주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특정 위치에서 검출한 블록의 정보가 예를 들면, 동일한 음계와 음표 정보를 갖는 블록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계의 음 길이를 증가시켜 연주 정보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단자 모듈부(21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된 블록의 음계를 재생하면, 상기 블록의 음계가 재생중인 것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해당 블록의 표시부가 온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230)는 생성된 연주 정보에 따라 음향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연주 정보와 연관된 블록(100, 100a, 100b)으로 점등 표시용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청각 및 시각 효과가 함께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가 재생중인 음향의 녹음 요청과 같은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재생중인 음향이 임의의 저장수단(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연주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재생할 경우 미리 설정된 악기(예를 들면, 피아노) 소리를 통해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다른 악기 소리를 이용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악기소리를 재생하여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되는 악기소리를 통해 상기 연주 정보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240)는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50)는 재생부(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LED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60)는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 및 재생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100, 100a, 100b)에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전력공급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경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블록에 음계, 음표 등을 포함한 음악 정보를 저장한 블록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멜로디를 구성할 수 있고, 영/유아가 직접 다양하게 구성한 멜로디와, 이를 이용한 멜로디의 재생을 통해 영/유아의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가능하여 영/유아의 정서적 발달, 뇌 발달 등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블록 110 : 블록 하우징
111 : 상부 결합부 111a : 상부 관통공
112 : 돌기부 120 : 회로부
121 : 인쇄회로기판 122 : 단자부
122a : 제1 단자 122b : 제2 단자
122c : 제3 단자 122d : 제3 단자
123 : 블록 제어부 124 : 접촉 단자부
125 : 스프링 126 : 표시부
130 : 하부 하우징 131 : 하부 관통공
131a : 하부 결합부 132 : 돌기 삽입부
200 : 재생부 210 : 단자 모듈부
2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음향 출력부 250 : 표시부
260 :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에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111)를 구비한 블록 하우징(110)과, 상기 블록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12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설치되어 결합된 블록(100a, 100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단자(122a, 122b, 122c, 122d)를 구비한 단자부(122)와, 상기 단자부(12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임의의 데이터 통신 포맷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블록 제어부(123)와, 상기 단자부(122)의 단자(122a, 122b, 122c, 122d)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접촉 단자부(124)를 구비한 회로부(120)와, 상기 블록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부(120)를 보호하고,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131a)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하며, 서로 결합 가능하게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된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크기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하우징(110)은 상부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30)은 상기 돌기부(112)와 치합하는 돌기 삽입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120)는 임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표시부(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
  7. 삭제
  8.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에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결합부(111)를 구비한 블록 하우징(110)과, 상기 블록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12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설치되어 결합된 블록(100a, 100b)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단자(122a, 122b, 122c, 122d)를 구비한 단자부(122)와, 상기 단자부(12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저장된 음계 정보와 음표 정보가 임의의 데이터 통신 포맷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블록 제어부(123)와, 상기 단자부(122)의 단자(122a, 122b, 122c, 122d)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접촉 단자부(124)를 구비한 회로부(120)와, 상기 블록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부(120)를 보호하고, 이웃한 블록(100a, 100b)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결합부(131a)를 구비한 하부 하우징(130)을 포함하며, 서로 결합 가능하게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된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크기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 및
    상기 블록(100, 100a, 100b)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이 결합된 행렬 순서에 따라 상기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특정 위치에서 검출한 블록의 정보가 동일한 음계와 음표 정보를 갖는 블록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계의 길이를 증가시켜 반영한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200)를 포함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 100a, 100b)은 재생부(200)에서 전송되는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200)는 복수의 블록(100, 100a, 100b)과 결합하는 돌기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과 전원,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모듈부(210);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의 온/오프신호, 재생신호 및 동작 설정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20);
    상기 블록(100, 100a, 100b)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으로부터 전송되는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블록(100, 100a, 100b)이 결합된 행렬 순서에 따라 상기 음계 정보 및 음표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특정 위치에서 검출한 블록의 정보가 동일한 음계와 음표 정보를 갖는 블록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계의 길이를 증가시켜 반영한 연주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30);
    상기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40);
    상기 재생부(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0); 및
    상기 결합된 블록(100, 100a, 100b) 및 재생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재생하는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향신호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생성된 연주 정보에 따라 음향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연주 정보와 연관된 블록(100, 100a, 100b)으로 점등 표시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블록을 이용한 재생장치.
KR1020170157199A 2017-11-23 2017-11-23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10200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99A KR102002226B1 (ko) 2017-11-23 2017-11-23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99A KR102002226B1 (ko) 2017-11-23 2017-11-23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22A KR20190059522A (ko) 2019-05-31
KR102002226B1 true KR102002226B1 (ko) 2019-07-23

Family

ID=6665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99A KR102002226B1 (ko) 2017-11-23 2017-11-23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6514A1 (it) * 2019-09-17 2021-03-17 Istituto Naz Di Documentazione Innovazione E Ricerca Educativa Indire Apparecchio musicale elettronico con interfaccia compositiva semplificata
KR102452597B1 (ko) * 2020-03-11 2022-10-07 이원익 저장기능을 갖는 소리블록
KR102391401B1 (ko) * 2020-07-07 2022-04-27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ja)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KR101202391B1 (ko)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101605017B1 (ko) * 2015-07-10 2016-03-21 (주)우드브릭스 조립식 블록완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44B1 (ko) * 2011-03-21 2013-09-03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ja)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KR101202391B1 (ko)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101605017B1 (ko) * 2015-07-10 2016-03-21 (주)우드브릭스 조립식 블록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22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226B1 (ko)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101513690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US4820233A (en) Sound-producing amusement devices
JP2017086852A (ja) 音声を同期発生及び誘発再生するための音声発生インタラクティブプラットフォームと音声の同期発生方法
WO2000045357A9 (en) Toy telephone having phone number teaching system
CN112309292A (zh) 交互装置
US20130130589A1 (en) "Electronic Musical Puzzle"
KR101405535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N112584281A (zh) 触敏视听输入/输出设备和方法
KR20130111492A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2452597B1 (ko) 저장기능을 갖는 소리블록
KR20030066839A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JP2014096657A (ja) 音響装置
KR200305686Y1 (ko) 음성출력 퍼즐기구
KR100203473B1 (ko) 어린이들의 유희용 밟음식전자피아노
KR102172676B1 (ko) 활용성이 향상된 소리블록
JP3936624B2 (ja) 嵌め込み式音発生玩具
JP4870739B2 (ja) 電子ゲーム装置
CN217690481U (zh) 一种智能积木钢琴
KR102416461B1 (ko) 학습 및 놀이용 스마트 센서 퍼즐
KR200274498Y1 (ko) 디지털 교육용 완구
CN213339186U (zh) 一种插卡发声书
KR102135816B1 (ko)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KR101927758B1 (ko)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JP2006167167A (ja) サウンド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