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391B1 - 완구용 조립블록 - Google Patents

완구용 조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391B1
KR101202391B1 KR1020110124962A KR20110124962A KR101202391B1 KR 101202391 B1 KR101202391 B1 KR 101202391B1 KR 1020110124962 A KR1020110124962 A KR 1020110124962A KR 20110124962 A KR20110124962 A KR 20110124962A KR 101202391 B1 KR101202391 B1 KR 10120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base
emitting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성
Original Assignee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391B1/ko
Priority to PCT/KR2012/010157 priority patent/WO20130813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단위 블록에 발광소자를 채용하여 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을 제시한다. 제시된 완구용 조립블록은 패드가 상부에 형성되고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형성된 몸체, 패드와 연결되는 전원 인가 단자가 저면에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끼움부에 끼워지게 형성되되 전원 인가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베이스에 결합됨에 따라 접촉부를 통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다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단위블록의 제 2발광소자는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한다. 완구용 조립블록이 빛을 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완구용 조립블록의 색상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Description

완구용 조립블록{Assembly block for toy}
본 발명은 완구용 조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완구용 조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블록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를 목적으로 흥미와 더불어 창의력과 응용력, 그리고 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완구에 접목시킨 것이다.
이러한, 조립블록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기와 미취학 어린이 등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조립블록은 동일 또는 호환가능한 형상의 단위블록들을 상호 적층시키거나, 나열시켜 조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통상의 조립블록은 조립 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단위블록의 하단 내측에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반대편인 상단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각각의 단위블록에 구비된 끼움부와 돌출부의 결합에 따라 상호 적층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블록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오락적인 기능과 함께, 논리 사고력, 공간 사고력, 수 개념 등의 효과를 발달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1949호(2002.09.30)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3604호(2008.08.27)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40408호(2007.07.10)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116720호(2011.10.26)
이와 같은 통상의 조립블록은 단지 재미나 흥미 위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서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내어 지능개발의 효과도 미미하다.
또한, 종래의 조립블록은 단위블록들의 색상이 고정되어 있어서 흥미를 지속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위 블록에 발광소자를 채용하여 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은, 패드가 상부에 형성되고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형성된 몸체, 패드와 연결되는 전원 인가 단자가 저면에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끼움부에 끼워지게 형성되되 전원 인가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베이스에 결합됨에 따라 접촉부를 통해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다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단위블록의 제 2발광소자는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한다.
바람직하게, 발광소자는 단색 LED로 구성된다. 이 경우, 다수의 단위블록은 개별적으로 고정 색상을 지닌다.
한편, 베이스는 외부로부터 색변환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 및 다수의 단위블록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그리고,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베이스의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및 통신 연결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LED로 구성되고, 다수의 단위블록은 흰색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는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접촉부에는 탄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접촉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은, 다수의 단위블록들을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하거나 나열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완구용 조립블록에 있어서,
베이스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단위블록의 발광소자는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한다.
상술한 다른 실시양태에서, 발광소자는 단색 LED로 구성되고, 다수의 단위블록은 개별적으로 고정 색상을 지닌다.
한편, 베이스는 외부로부터 색변환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 및 다수의 단위블록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그리고,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베이스의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및 통신 연결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LED로 구성되고, 다수의 단위블록은 흰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되고, 이 경우 베이스는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완구용 조립블록이 빛을 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완구용 조립블록의 색상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보급률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의 완성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개의 단위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의 완성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립블록은 단위블록(20)들이 베이스(10)의 몸체(1)상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부(2)에 적층 또는 나열됨으로써 임의의 조형물을 형성한다. 즉, 단위블록(20)은 임의의 조형물을 완성시키는데 채용되는 단위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끼움부(2)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행렬 형태로 몸체(1)상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끼움부(2)의 형상을 원형 링 형상으로 하였는데,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바뀌어도 무방하다. 물론, 단위블록(20)의 몸체(21)의 상면에도 하나 이상의 끼움부(22)가 형성된다. 끼움부(22)의 형상은 끼움부(2)의 형상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특히, 베이스(10) 및 단위블록(20)은 내부에 발광소자(도시 생략)를 갖추고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케이블(30)을 통한 전원에 의해 발광소자들이 발광함으로써 마치 베이스(10) 및 단위블록(20)들이 제각기의 색으로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물론, 베이스(10)에는 발광소자가 없고 단위블록(20)에만 발광소자가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이스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10)는 몸체(1), 끼움부(2), 발광소자(4), 전원 공급부(6), USB 단자(7), 및 제어부(8)를 포함한다.
몸체(1)의 상부에는 패드(9)가 설치된다. 몸체(1)의 하부에는 전기 연결 및 통신 연결을 위한 4개의 연결선(5)을 통해 패드(9)와 연결된 인쇄회로기판(3)이 설치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4개의 연결선(5)중에서 2개는 전기 연결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2개는 통신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끼움부(2)는 몸체(1)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끼움부(2)는 후술할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된다. 즉, 끼움부(2)는 후술할 단위블록(20)의 끼움부(22)에서와 같은 중공부(22a)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끼움부(2)와 대면하고 있는 패드(9)의 해당 부위에는 전원 인가 단자(도시 생략) 및 통신 연결 단자(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단위블록(20)이 베이스(10)의 끼움부(2)에 끼워지게 되면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의 끝단이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에 접촉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에 대해서는 후술할 단위블록(20)의 전원 인가 단자(31a, 31b) 및 통신 연결 단자(31c, 31d)에 대한 설명으로 충분히 쉽게 유추해 낼 수 있다.
발광소자(4)는 인쇄회로기판(3)의 상면에 하나 이상 실장된다. 발광소자(4)는 인쇄회로기판(3)의 회로패턴의 전원 라인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발광소자(4)는 엘이디(LED)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10)에는 발광소자(4)가 없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4)는 백색, 적색, 녹색, 청색 등과 같이 단색의 빛을 발하는 단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도 있고, 풀 컬러(full color)를 표현할 수 있는 풀 컬러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4)가 단색 엘이디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10)는 다양한 색상중에서 어느 한 색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광소자(4)가 풀 컬러 엘이디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10)는 백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4)가 베이스(10)에 갖추어지게 되면 베이스(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6)는 인쇄회로기판(3)에 설치된다. 전원 공급부(6)는 발광소자(4)가 발광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3)의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USB 단자(7)는 인쇄회로기판(3)에 설치되되 몸체(1)의 외측부로 노출된다. USB 단자(7)는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색변환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가 된다. 여기서, 외부의 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USB케이블을 통해 색변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어부(8)는 USB 단자(7)를 통해 입력되는 색변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부(8)는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소자(4)의 발광색을 가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8)는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단위블록(20)내의 발광소자의 발광색도 가변시킨다.
물론, 베이스(10)는 제어부(8)를 갖추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어부(8)를 갖추지 않을 경우에는 발광소자(4) 및 단위블록(20)들의 발광소자는 발광 동작은 하지만 발광색 가변 동작은 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제어부(8)가 갖추어진 경우에는 베이스(10)의 발광소자(4) 및 단위블록(20)들의 발광소자는 발광 동작 뿐만 아니라 가변적인 색 발광을 하게 된다.
상술한 제어부(8)를 MCU 또는 컨트롤러로 명칭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색변환 프로그램은 베이스(10)상에 완성되는 조형물에 대해 각각의 발광소자(4) 및 단위블록(20)들의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변환시키는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조사에서 정한 갯수의 단위블록(20)을 사용하여 정해진 규격대로의 조형물을 완성한 후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완성시킨 조형물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8)는 색변환 프로그램을 근거로 미리 정해진 대로 각각의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킨다. 그에 따라,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마치 베이스(10) 및/또는 단위블록(20)들이 빛나는 것처럼 보여진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임의의 조형물을 완성하고서 단말기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단위블록 및 베이스에 대한 색상지정을 하면, 제어부(8)는 지정된 색상대로 단위블록 및 베이스가 빛날 수 있도록 해당하는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8)는 USB 단자(7)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각각의 단위블록(20)에 제어부(8)와 같은 MCU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단위블록(20)의 색변환을 위해서는 제어부(8)와 같은 MCU가 단위블록(20)에 설치된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베이스(10)의 제어부(8)와 각각의 단위블록(20)의 MCU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단위블록(20)에 갖추어지는 MCU에 대해 별도로 도시하지 않아도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앞서의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단위블록(20)에 MCU가 없는 경우에는 발광소자의 발광만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단위블록(20)에 MCU가 있는 경우에는 발광 뿐만 아니라 색변환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단위블록(20)은 상면에 다수의 끼움부(22)가 형성된 몸체(21)를 포함한다. 각각의 끼움부(22)는 다른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된다. 그에 따라, 각각의 끼움부(22)는 중공부(22a)를 갖는다.
몸체(21)의 상부에는 단자부(31)가 설치된다. 단자부(31)는 패드(29)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단자부(31)는 각각의 끼움부(22)의 중공부(22a)를 향하게 설치된다. 단자부(31)는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각기 이격된 4개의 단자(31a, 31b, 31c, 31d)를 갖는다. 여기서, 예를 들어 단자(31a, 31b)는 전원 인가용으로 사용되고, 단자(31c, 31d)는 통신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단자부(31)의 단자의 수를 4개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는 가감되어도 무방하다.
몸체(21)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28)이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28)에는 스프링(27)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접촉핀(26)이 4개씩 1조로 하여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28)은 몸체(21)의 하부의 수평 격벽(23)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수평 격벽(23)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24)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부(24)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4개의 구멍(2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물론, 그 구멍(25)은 수평 격벽(23)에도 그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접촉부(24)는 끼움부(22)의 설치 위치에 대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4개씩 1조로 설치되는 접촉핀(26)은 끼움부(22), 단자부(31), 접촉부(24)의 설치 위치와 동일선에 설치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27)은 구멍(25)의 내부에 끼워지고 그 일단은 인쇄회로기판(28)에 접촉된다. 스프링(27)의 타단은 접촉핀(26)에 밀착된다. 접촉핀(26)의 말단부는 구멍(25)의 외부로 소정치 돌출된다. 즉, 접촉부(24)가 베이스(10)의 끼움부(2)에 끼워지거나 다른 단위블록(20)의 끼움부(22)에 끼워지면 접촉핀(26)의 말단부가 단자(31a, 31b, 31c, 31d)에 밀착하게 된다. 구멍(25)의 끝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핀(26)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구멍(25) 내에서 이동하게 한다.
미설명 부호 21a는 수평 격벽(23)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이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광소자가 인쇄회로기판(28)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8)의 상면에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단자부(31)의 단자(31a, 31b)는 전기 연결선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8)상의 회로 패턴의 전원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31c, 31d)는 통신 연결선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8)상의 회로 패턴의 통신 연결 라인과 연결된다.
단위블록(20)의 발광소자는 백색, 적색, 녹색, 청색 등과 같이 단색의 빛을 발하는 단색 엘이디로 구성될 수도 있고, 풀 컬러(full color)를 표현할 수 있는 풀 컬러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위블록(20)의 발광소자가 단색 엘이디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단위블록(20)은 개별적으로 어느 한 고정 색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위블록(20)의 발광소자가 풀 컬러 엘이디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단위블록(20)은 백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가 단위블록(20)에 갖추어짐에 따라 단위블록(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개의 단위블록을 서로 결합시키는 도면이다.
2개의 단위블록(2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하부의 단위블록(20)의 끼움부(22)와 상부의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를 마주보게 한 후에, 하부의 단위블록(20)의 끼움부(22)의 중공부(22a)에 상부의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를 끼운다.
그에 따라, 상부의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에 설치된 접촉핀(26)들이 하부의 단위블록(20)의 단자(31a, 31b, 31c, 31d)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부의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가 하부의 단위블록(20)의 끼움부(22)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접촉핀(26)의 말단부는 단자(31a, 31b, 31c, 31d)에 밀착하게 되고, 접촉핀(26)은 스프링(27)에 의해 구멍(25)내에서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의 단위블록(20)의 접촉핀(26)은 하부의 단위블록(20)의 단자(31a, 31b, 31c, 31d)에 밀착하므로, 상부의 단위블록(20)과 하부의 단위블록(20)간의 전원 연결 통로 및 통신 연결 통로가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0)의 끼움부(2)에 단위블록(20)의 접촉부(24)를 끼우는 것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그에 따라, 단위블록(20)의 접촉핀(26)은 베이스의 전원 인가 단자에 밀착하므로, 상부의 단위블록(20)과 베이스(10)간의 전원 연결 통로 및 통신 연결 통로가 형성된다.
만약,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단위블록(20)을 베이스(10)에 적층시킨 후에 전원 공급부(6)로부터의 전원을 발광소자에게로 인가되게 하면, 베이스(10)의 발광소자(4) 및 2개의 단위블록(20)의 발광소자는 발광하게 되고, 베이스(10)의 제어부(8)와 2개의 단위블록(20)의 MCU(도시 생략)는 색변환을 위한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블록(20)의 색변환을 위해서는 제어부(8)와 같은 MCU가 단위블록(20)에 설치된 것으로 한다. 그에 따라, 베이스(10)의 제어부(8)와 각각의 단위블록(20)의 MCU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한 개의 끼움부(22)가 단위블록(20)의 몸체(21) 상면에 형성되고 한 개의 접촉부(24)가 수평 격벽(23)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10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2)가 인쇄회로기판(28)상에 실장된다. 도 10의 인쇄회로기판(28)에는 전기 연결 및 통신 연결을 위한 4개의 연결선(33)을 통해 단자부(31)의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와 인쇄회로기판(28)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이 연결되도록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도 11은 세 개의 끼움부(22)가 단위블록(20)의 몸체(21)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세 개의 접촉부(24)가 수평 격벽(23)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몸체(21)의 상부에는 개별화된 단자부(31)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부(31)의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는 해당하는 끼움부(22)의 중공부에 대향된다. 도 11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2)가 인쇄회로기판(28)상에 실장된다. 각각의 단자부(31)는 각각의 연결선(3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8)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에 연결된다. 도 11의 인쇄회로기판(28)에는 각각의 연결선(33)을 통해 각각의 단자부(31)의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와 인쇄회로기판(28)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이 연결되도록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도 12는 세 개의 끼움부(22)가 단위블록(20)의 몸체(21)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세 개의 접촉부(24)가 수평 격벽(23)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특히, 도 12는 도 11과 비교하여 하나의 단자부(31)가 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됨이 차이난다. 그리고, 그 하나의 단자부(31)에는 끼움부(22)에 대향되는 위치에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가 형성된다. 도 12에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32)가 인쇄회로기판(28)상에 실장된다. 단자부(31)는 1그룹의 연결선(3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8)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에 연결된다. 도 12의 인쇄회로기판(28)에는 연결선(33)을 통해 단자부(31)의 전원 인가 단자 및 통신 연결 단자와 인쇄회로기판(28)의 전원 라인 및 통신 라인이 연결되도록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한편, 단위 블록(20)의 몸체(21)의 상면에 2개 또는 4개 이상의 끼움부(22)를 형성하고 수평 격벽(23)의 하면에 2개 또는 4개 이상의 접촉부(24)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21 : 몸체 2, 22 : 끼움부
3, 28 : 인쇄회로기판 4 : 발광소자
5 : 연결선 6 : 전원 공급부
7 : USB 단자 8 : 제어부
9, 29 : 패드 10 : 베이스
20 : 단위블록 23 : 수평 격벽
24 : 접촉부 25 : 구멍
26 : 접촉핀 27 : 스프링
30 : 전원 케이블 31 : 단자부
31a, 31b, 31c, 31d : 단자

Claims (15)

  1. 패드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하부에 형성된 몸체, 상기 패드와 연결되는 전원 인가 단자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부, 전원 공급부, 외부로부터 색변환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 및 단위블록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끼움부에 끼워지게 형성되되 상기 전원 인가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 상기 베이스의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및 통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다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된 단위블록의 발광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은 흰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8. 청구항 1 및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탄성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접촉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9. 다수의 단위블록들을 베이스의 상면에 적층하거나 나열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완구용 조립블록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원 공급부, 외부로부터 색변환 프로그램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들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발광소자, 상기 베이스의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어부 및 통신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의 각각은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된 단위블록의 발광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색변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발광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위블록은 흰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광투과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조립블록.
KR1020110124962A 2011-11-28 2011-11-28 완구용 조립블록 KR10120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62A KR101202391B1 (ko) 2011-11-28 2011-11-28 완구용 조립블록
PCT/KR2012/010157 WO2013081367A1 (ko) 2011-11-28 2012-11-28 완구용 조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62A KR101202391B1 (ko) 2011-11-28 2011-11-28 완구용 조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391B1 true KR101202391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962A KR101202391B1 (ko) 2011-11-28 2011-11-28 완구용 조립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2391B1 (ko)
WO (1) WO2013081367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06B1 (ko) 2014-10-02 2015-03-30 임재진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1551100B1 (ko) 2014-06-25 2015-09-07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거리 정보를 이용한 색상 학습 도구
KR101605059B1 (ko) * 2015-10-23 2016-03-21 골드래빗(주) 큐브형 모듈 조립체
KR20160125088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20160125087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20160141208A (ko) * 2015-05-29 2016-12-08 이문호 정낭 블럭 이동 로봇 및 정낭 블럭 드론
KR101752225B1 (ko) * 2015-09-16 2017-06-29 김영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록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180049554A (ko) * 2016-11-03 2018-05-11 김태호 Diy형식의 레고 램프
KR20180064125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필룩스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KR101898227B1 (ko) * 2016-09-21 2018-09-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59522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102054074B1 (ko) 2018-06-27 2019-12-09 이재희 Iot 통합형 입체 퍼즐 블록
KR20220001410U (ko) * 2020-12-10 2022-06-17 이윤재 조립형 광원을 구비한 디폼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7417A1 (zh) * 2013-08-29 2015-03-05 龙门县佳茂聚氨酯橡胶有限公司 转接型电性连接积木
CN104587683B (zh) * 2014-07-22 2017-03-01 龙门县佳茂聚氨酯橡胶有限公司 高透光的发光积木
CN104162280B (zh) * 2014-08-25 2016-08-24 广东邦宝益智玩具股份有限公司 积木机器人游戏系统及方法
TW201526970A (zh) * 2014-09-10 2015-07-16 Longmen Getmore Polyurethane Co Ltd 高透光之發光積木
EP3363514B1 (en) * 2017-02-16 2020-07-15 Hung-Peng Fu Electric circuit simulation intellectual toy
CN109432801B (zh) * 2018-09-30 2020-12-29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积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823B1 (ko) * 1987-05-16 1990-03-24 서전기업 주식회사 조립식 블록완구
KR20050035986A (ko) * 2003-10-14 2005-04-20 최창구 로직 퍼즐블럭
ES2620449T3 (es) * 2007-10-11 2017-06-28 Lego A/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un jugue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100B1 (ko) 2014-06-25 2015-09-07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거리 정보를 이용한 색상 학습 도구
KR101506906B1 (ko) 2014-10-02 2015-03-30 임재진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1708407B1 (ko) * 2015-04-21 2017-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20160125088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20160125087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101684992B1 (ko) 2015-04-21 2016-1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립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20160141208A (ko) * 2015-05-29 2016-12-08 이문호 정낭 블럭 이동 로봇 및 정낭 블럭 드론
KR101696296B1 (ko) 2015-05-29 2017-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정낭 블럭 이동 로봇 및 정낭 블럭 드론
KR101752225B1 (ko) * 2015-09-16 2017-06-29 김영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록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1605059B1 (ko) * 2015-10-23 2016-03-21 골드래빗(주) 큐브형 모듈 조립체
KR101898227B1 (ko) * 2016-09-21 2018-09-12 주식회사 디에이치이비즈 블록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80049554A (ko) * 2016-11-03 2018-05-11 김태호 Diy형식의 레고 램프
KR20180064125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필룩스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KR20190059522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102002226B1 (ko) * 2017-11-23 2019-07-23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KR102054074B1 (ko) 2018-06-27 2019-12-09 이재희 Iot 통합형 입체 퍼즐 블록
KR20220001410U (ko) * 2020-12-10 2022-06-17 이윤재 조립형 광원을 구비한 디폼블럭
KR200496860Y1 (ko) 2020-12-10 2023-05-15 이윤재 조립형 광원을 구비한 디폼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367A1 (ko)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391B1 (ko) 완구용 조립블록
US10653973B2 (en) Electronic building-block module
CN104096366B (zh) 一种智能积木系统及智能积木的控制方法
CN204593249U (zh) 模块化灯光系统
US20090215357A1 (en) Building block toy set
US20150104992A1 (en) Plaything
CN104107554B (zh) 一种智能积木系统及智能积木的控制方法
TW201226032A (en) Illuminating building block with electricity connection structure and power supply socket
JP2012243764A (ja) 組合せ式発光体組合せ体及び照明器具
EP3743182B1 (en) Toy construction system with robotics control unit
US20170263155A1 (en) Simplified circuit building block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7206647A1 (zh) 透明体积木块件
JP3173981U (ja) 発光積木の電気接続構造
CA2823253C (en) Illuminant building block kit with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power supply seat
US20150246293A1 (en) Electrical construction toy system
JP2012200301A (ja) 電気接続構造を備えた発光積木
JP2006311923A (ja) ブロック玩具
KR102229422B1 (ko) Led 블록을 통한 코딩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N112791430A (zh) 积木板组件和基于积木的环境创意多媒体互动教学系统
KR101624790B1 (ko) 다기능 조립블럭 받침대
KR101260572B1 (ko) 조명 연결장치
CN103566603A (zh) 一种led沙滩玩具桶
US10119690B2 (en) Kind of LED light
CN214714359U (zh) 积木板组件和基于积木的环境创意多媒体互动教学系统
CN216934711U (zh) 智能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