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125A -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125A
KR20180064125A KR1020160164368A KR20160164368A KR20180064125A KR 20180064125 A KR20180064125 A KR 20180064125A KR 1020160164368 A KR1020160164368 A KR 1020160164368A KR 20160164368 A KR20160164368 A KR 20160164368A KR 20180064125 A KR20180064125 A KR 2018006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base plate
electrode
light emit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무
박정모
최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6016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125A/ko
Publication of KR2018006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3/00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 B43L3/001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with illuminating devices

Abstract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일면으로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빛이 발산되고, 타면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TANGRAM SET USING LUMINOUS ELE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에 관련된다.
칠교 놀이는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놀이기구로서, 형태가 다른 정방형의 얇은 나무 조각 일곱 개를 새롭게 조합하여 인형, 사물, 글자, 풍경 등의 형상을 만들어 내는 놀이이다. 칠교 놀이는 어린이의 창의력, 공간지각력, 인내심 등 다양한 지적능력을 향상시키고 정서함양에도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칠교 놀이는 노인들의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칠교 놀이는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칠교 놀이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칠교 놀이의 진행 상태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칠교 놀이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1826호(2016.06.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칠교 놀이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일면으로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빛이 발산되고, 타면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블록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끝단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은,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절연층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상기 오목부 별로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복수의 상기 블록의 배치에 따라 나타나는 모양에 관한 설명을 표시하고, 상기 모양에 대응되는 오목부 각각에 상기 돌출부가 모두 결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이 베이스판에 결합되거나 칠교 놀이가 완료되는 경우, 블록에 구비된 발광 소자가 발광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칠교 놀이의 진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교 놀이를 수행함에 따른 창의력, 공간지각력, 인내심 등의 향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층에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10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100)는 복수의 블록(102) 및 베이스판(104)을 포함한다.
복수의 블록(102)은 그들의 조합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블록의 조합 및 배치에 따라 여러가지 도형, 기호, 숫자, 사물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블록은 각각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은 삼각형(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등), 사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 등) 등의 모양을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블록의 조합은 각각의 블록이 가지는 형상 및 크기의 조합을 의미하고, 블록의 배치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각각의 블록의 위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은 상기 블록이 안착되는 베이스판과는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블록의 조합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D: laser diode), 고체 레이저(solid laser)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음극 및 양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은 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판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내부에 발광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는 빛이 발산하는 부분이 블록의 일면 측을 가리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에 전력이 공급되어 빛이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빛은 블록의 일면으로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타면에는 돌출부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타면은 베이스판과 접촉하는 블록의 일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블록의 타면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원기둥, 사각 기둥과 같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후술할 발광 소자의 제2 전극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은 블록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은 타면 상에 편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상으로서, 돌출부를 제외한 블록의 타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제1 전극은 블록의 타면에 대응되는 형상에서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원 형상을 제거한 전극판일 수 있다.
발광 소자의 제2 전극은 블록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끝단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은 막대 형상 또는 끝단이 확장 형성되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전극은 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끝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끝단은 돌출부 상의 상기 타면으로부터 가장 먼 일 지점일 수 있다. 즉, 제2 전극은 돌출부의 내부를 통해 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의 끝단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은 후술할 베이스판의 제2 도전층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는 부도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베이스판은 복수의 블록이 안착되는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돌출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오목부는 블록과 접촉하는 베이스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돌출부와 대응되는 음각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오목부는 원기둥 형상이 내부에 안착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베이스판은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판은 별도의 전력원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원은 소형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판이 건물의 벽면에 배치된 콘센트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베이스판의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상기 전력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은 제2 도전층의 상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제1 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판의 제1 도전층은 블록의 타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제1 도전층 및 절연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는 베이스판의 일면으로부터 제1 도전층 및 절연층을 지나 제2 도전층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가 오목부와 결합되는 경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2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은 제1 도전층 및 절연층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오목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도전층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은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통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판은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으로 항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별도의 프로세서를 통해 일정한 조건 하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도전체로 형성되며, 절연층은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은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는 루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이 사각형인 경우 절연층은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 루프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공기에 의해 절연층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판은 제2 도전층 상에 압력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복수의 오목부 별로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판은 상기 베이스판 상의 오목부 각각에 블록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은 현재 제 1번 오목부 및 제 5번 오목부에 블록이 결합되어 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베이스판 상에서 복수의 블록의 배치에 따라 나타나는 모양에 관한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블록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모양에 관한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강아지라는 설명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설명을 확인한 뒤 강아지의 모양이 나타나도록 복수의 블록을 베이스판에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판은 복수의 블록의 배치에 따라 나타나는 모양에 관한 설명에 대응되는 오목부 각각에 블록의 돌출부가 모두 결합되는 경우 칠교 놀이가 사용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은 상기 설명에 대응되는 오목부에 대해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판은 각각의 모양에 대응되는 오목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은 강아지라는 설명을 표시한 뒤, 상기 강아지 모양에 대응되는 오목부에 관한 정보를 미리 획득하고, 사용자에 의해 베이스판에 배치된 블록이 결합된 오목부에 블록의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베이스판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칠교 놀이가 완료된 경우 설정된 횟수만큼 발광 소자로의 전력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불빛을 깜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은 칠교 놀이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발광 소자가 2번 깜박이도록 전력의 공급 및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은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칠교 놀이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은 압력 센서와 연결된 아두이노 보드를 통해 각각의 오목부에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102)은 돌출부(202), 제1 전극(204) 및 제2 전극(2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02)의 일면에는 발광 소자(미도시)에 의해 빛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블록(102)의 타면에는 돌출부(20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타면은 베이스판(104)과 접촉하는 블록(102)의 일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02)는 블록(102)의 타면 상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02)는 원기둥, 사각 기둥과 같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202)는 후술할 발광 소자의 제2 전극(206)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의 제1 전극(204)은 블록(102)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04)은 타면 상에 편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상으로서, 돌출부(202)를 제외한 블록(102)의 타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02)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제1 전극(204)은 블록(102)의 타면에 대응되는 형상에서 상기 돌출부(202)에 대응되는 원 형상을 제거한 전극판일 수 있다.
발광 소자의 제2 전극(206)은 블록(102) 내부의 발광 소자로부터 돌출부(202)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202)의 끝단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206)은 막대 형상 또는 끝단이 확장 형성되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전극(206)은 돌출부(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202)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202)의 끝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206)은 돌출부(202)의 내부를 통해 블록(102)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202)의 끝단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206)은 후술할 베이스판(104)의 제2 도전층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02)는 부도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204) 및 제2 전극(206)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10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베이스판(104)은 제1 도전층(302), 제2 도전층(304) 및 상기 제1 도전층(302)과 제2 도전층(304)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층(30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판(104)은 제2 도전층(304)의 상면에 절연층(30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연층(306)의 상면에 제1 도전층(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판(104)의 제1 도전층(302)은 블록(102)의 타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08)는 제1 도전층(302) 및 절연층(306)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308)는 베이스판(104)의 일면으로부터 제1 도전층(302) 및 절연층(306)을 지나 제2 도전층(304)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02)가 오목부(308)와 결합되는 경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204)은 제1 도전층(3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206)은 제2 도전층(3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부(202)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전극(206)은 제1 도전층(302) 및 절연층(306)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오목부(308)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도전층(304)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4)은 제1 도전층(302) 및 제2 도전층(304)을 통해 제1 전극(204) 및 제2 전극(206)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판(104)은 제1 도전층(302) 및 제2 도전층(304)으로 항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별도의 프로세서를 통해 일정한 조건 하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도전층(302) 및 제2 도전층(304)은 도전체로 형성되며, 절연층(306)은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베이스판이 제1 도전층(302), 제2 도전층(304) 및 절연층(306)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함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은 압력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은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되는 루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이 사각형인 경우 절연층은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사각 루프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은 공기에 의해 절연층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층(302)에 블록(102)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층(302)은 베이스판(104)의 일 구성으로서 상단에 블록(102)이 안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102)은 제1 도전층(30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블록(102) 각각의 일면에는 발광 소자(4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102)의 일면으로 발광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빛이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02)와 오목부(308)가 결합됨에 따라 블록(102)이 베이스판(104)에 안착된 경우 발광 소자(402)에 전력이 공급되어 발광 소자(402)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베이스판(104)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0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102: 블록
104: 베이스판
202: 돌출부
204: 제1 전극
206: 제2 전극
302: 제1 도전층
304: 제2 도전층
306: 절연층
308: 오목부
402: 발광 소자

Claims (6)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일면으로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빛이 발산되고, 타면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발광 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블록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의 끝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도전층 및 상기 절연층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은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상기 오목부 별로 돌출부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복수의 상기 블록의 배치에 따라 나타나는 모양에 관한 설명을 표시하고, 상기 모양에 대응되는 오목부 각각에 상기 돌출부가 모두 결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칠교 놀이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KR1020160164368A 2016-12-05 2016-12-05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KR2018006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68A KR20180064125A (ko) 2016-12-05 2016-12-05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368A KR20180064125A (ko) 2016-12-05 2016-12-05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25A true KR20180064125A (ko) 2018-06-14

Family

ID=6262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368A KR20180064125A (ko) 2016-12-05 2016-12-05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1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902A (zh) * 2019-12-11 2020-03-31 东华大学 一种磁吸连接的模块化灯具
KR102270462B1 (ko) * 2020-10-26 2021-06-29 찬솔사회적협동조합 조립형 학습 교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619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과학기술원 흥미롭고 교육적이어서 아동에게 적합한 인터렉티브칠교놀이
JP4189973B2 (ja) * 2005-05-09 2008-12-03 義知 徳重 ブロック玩具
KR20090065600A (ko) * 2007-12-18 2009-06-23 김대웅 전자소자용 회로모듈
KR20110088354A (ko) * 2010-01-26 2011-08-03 윤종석 엘이디 모듈 조합에 의한 영상 및 영상의 정보 출력장치
KR101202391B1 (ko)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60061826A (ko) 2014-11-24 2016-06-01 이민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칠교놀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619A (ko) * 2003-12-30 2005-07-05 한국과학기술원 흥미롭고 교육적이어서 아동에게 적합한 인터렉티브칠교놀이
JP4189973B2 (ja) * 2005-05-09 2008-12-03 義知 徳重 ブロック玩具
KR20090065600A (ko) * 2007-12-18 2009-06-23 김대웅 전자소자용 회로모듈
KR20110088354A (ko) * 2010-01-26 2011-08-03 윤종석 엘이디 모듈 조합에 의한 영상 및 영상의 정보 출력장치
KR101202391B1 (ko) *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2015001023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20160061826A (ko) 2014-11-24 2016-06-01 이민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칠교놀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9902A (zh) * 2019-12-11 2020-03-31 东华大学 一种磁吸连接的模块化灯具
KR102270462B1 (ko) * 2020-10-26 2021-06-29 찬솔사회적협동조합 조립형 학습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444B1 (ko)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KR100946794B1 (ko)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US10099112B1 (en) Three-dimensional tic-tac-toe
CN205921172U (zh) 发光积木的导电底座
KR20180064125A (ko) 발광 소자를 이용한 칠교 놀이 세트
US20210233421A1 (en) Assembled educational toy technology using polyomino
US20190004623A1 (en) Touch sensing interactive audio platform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10989380B2 (en) Simulated flame device
JP6388892B2 (ja) ブロックおよびブロックセット
JP6334786B2 (ja) 電気部品及び電気実験セット
JPH0455332Y2 (ko)
JP2017102308A (ja) 電気部品及び電気実験セット
US8106280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teaching music to young children
EP1144058B1 (en) Jigsaw puzzle apparatus
JP2006311923A (ja) ブロック玩具
CN204087730U (zh) 可更换导光块的发光装置
JP3166291U (ja) 加減ゲーム器
CN107413042B (zh) 智能棋具
CN210348823U (zh) 一种早教装置
KR200285465Y1 (ko) 완구용 발광 표시장치
CN113069768B (zh) 虚拟角色的模拟设备、信息显示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80054201A (ko) 휴대용 전등 장치
KR20060040796A (ko) 딱지형 발광 카드
US1192587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system
JP7121243B2 (ja) 遊技機用装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