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906B1 -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 Google Patents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906B1
KR101506906B1 KR1020140133490A KR20140133490A KR101506906B1 KR 101506906 B1 KR101506906 B1 KR 101506906B1 KR 1020140133490 A KR1020140133490 A KR 1020140133490A KR 20140133490 A KR20140133490 A KR 20140133490A KR 101506906 B1 KR101506906 B1 KR 10150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lectronic
component
coupled
po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진
Original Assignee
임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진 filed Critical 임재진
Priority to KR102014013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따르면,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일직선으로 형성된 전선블록과,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 부품블록과, 좌우에 극성이 표시되고,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블록 및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전원블록 중 두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접속블록 및 전원블록은, 각각의 블록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블록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Educational electronic block kit for promoting creativity}
본 발명은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조립되는 교구에 전자부품을 삽입한 블록들을 이용한 블록조립으로 여러가지 전자기기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 구성은 산업체나 대학의 실험실이나 소수 동호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초등학교 교육 과정을 통하여 누구나가 익히도록 되었다.
기존의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납땜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전기인두의 화상위험, 납중독 위험이 있어 초등학생에게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불어, 기판에 잘못 납땜된 후에는, 고치기 어려움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2079호에서는, 전자회로용 블럭이 결합되는 돌기와, 건전지 케이스 수납홈과, 스피커 수납홈으로 구성되는 회로구성판이 구비되는 하부 사각함체와, 상부 사각함체가 결합 되어 구성되는 상하부 사각함체와, 상기 상부 사각함체와, 하부 사각함체는 한변에서 연결되는 연결편을, 상기 상부 사각함체의 연결편 타측 중앙에는 결속구를, 상기 하부 사각함체의 연결구 타측 중앙에는 걸림테를 구성하여서 한몸통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 하부 사각함체의 전자회로용 블럭이 결합 되는 돌기에 결합하는 전자 회로용 블럭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기전자 회로 교습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용 블럭은 내피 블럭 몸체 상부에는 접속단자 수납홈을 더 구비하여서 외피 블럭 몸체와 조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전자부품의 단자를 전자회로용 블럭에 일일이 꽂아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자부품 외에, 전선을 전자회로용 블록에 일일이 꽂아 회로를 연결해야 하며, 이로인해, 전선의 복잡함이 이루어져 초보자에게 회로도를 알아보기 힘든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9207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 부품블록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부품블록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여러가지 전자기기를 만들볼 수 있으며, 다양한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따르면,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일직선으로 형성된 전선블록과,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 부품블록과, 좌우에 극성이 표시되고,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블록 및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전원블록 중 두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접속블록 및 전원블록은, 각각의 블록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블록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블록은, 'ㄱ', '-', '+', 'T'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전원블록 중 2개 내지 4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블록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부품을 나타내는 외형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표시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마다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돌출부와 결합홈이 형성된 연장부와, 극성 또는 방향의 구분이 필요한 전자부품의 경우, 해당되는 전자부품의 극성 또는 방향이 상기 연장부에 표시된 극성 또는 방향표시부 및 일측면에 상기 전자부품의 기호가 인쇄되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몸체 또는 연장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박리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몸체 또는 연장부의 외측면에 탈부착되는 기호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블록은, 배터리가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이 연장형성되며, 돌출부와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극성이 표시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이 조립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조립된 블록에 흐르는 전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확인블록과, 상기 확인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압, 전류,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가능한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접속블록 및 전원블록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기설정된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전원블록의 전원이 공급될 때,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송신하는 RFID칩; 및 상기 RFID칩으로부터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한 고유번호를 통해 사용한 블록종류의 갯수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번호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내부에는, 다수로 이루어진 상부의 돌출부와 하부의 결합홈을 모두 전기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전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블록은, 중간부분에 전선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및 축소가 가능하며,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 부품블록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부품블록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여러가지 전자기기를 만들볼 수 있으며, 다양한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전선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부품블록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전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접속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베이스판에 블록들이 조립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블록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회로도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블록들이 베이스판에 조립되어 회도로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RFID칩과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주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주름부에 대한 변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전선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부품블록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전원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접속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베이스판에 블록들이 조립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블록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회로도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블록들이 베이스판에 조립되어 회도로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RFID칩과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주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주름부에 대한 변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는, 상부에 돌출부(102)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102)가 결합되는 결합홈(104)이 형성된 블록(100)들을 이용하여 회로도를 만들고, 기 회로도를 이용하여 블록(100)들을 조립할 수 있는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이다.
여기서, 블록(100)은, 전선블록(110), 부품블록(130), 전원블록(140) 및 접속블록(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100)에 형성된 돌출부(102)와 결합홈(104)은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다수개의 돌출부(102)와 결합홈(104)들과도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블록(100)과 블록(100)의 결합, 즉, 블록(100)의 돌출부(102)에 또 다른 블록(100)의 결합홈(104)이 결합되면, 블록(100)과 또 다른 블록(100)은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즉, 블록(100)의 돌출부(102)와 결합홈(104)은 접점이 것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102)와, 결합부가 서로 접촉되는 접촉부위는 전기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100)의 내부에는, 다수로 이루어진 상부의 돌출부(102)와 하부의 결합홈(104)을 모두 전기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전도부재(106)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선블록(110)은,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블록(110)의 상부에 돌출부(102)가 형성되고, 하부에 결합홈(104)이 형성된다.
또한, 전선블록(110)은 돌출부(102)와 결합홈(104)이 4개씩 형성되거나, 8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선블록(110)은 중간부분이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블록(110)은, 후술할 부품블럭간의 연결시에 사용된다. 즉, 전선블록(110)은 전선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전선블록(11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에 주름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108)는, 전선블록(110)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및 축소가 가능하며,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주름부(108)는 자바라의 구조와 같이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팽창, 축소 또는 휘어졌을 때 그 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선블록(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전도부재(106)는, 주름부(108)에서 코일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름부(108)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킴에 따라 전기전도부재(106)가 끊어지지 않고 유연하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품블록(130)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다.
부품블록(130)은, 몸체(131), 이미지표시부(132), 연장부(133), 극성 또는 방향표시부(134), 기호표시부재(135)를 포함한다.
몸체(131)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된다.
전자부품은, 가변저항, 가변캐패시터,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저항, 트랜지스터, 콘덴서, 스피커 및 안테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또다른 전자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표시부(132)는, 몸체(131)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이미지표시부(132)는, 몸체(131)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부품을 나타내는 외형 이미지가 표시된다. 즉, 전자부품의 그림을 말한다.
연장부(133)는, 몸체(131)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연장부(133)는, 전자부품의 단자마다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전자부품과 같은 경우 단자가 세개이기 때문에 연장부(133)도 세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연장부(133)는, 몸체(131)의 내부에 구비된 전자부품의 단자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장부(133)의 상부에는 돌출부(102)가, 하부에는 결합홈(104)이 형성된다.
더불어, 연장부(133)에 형성된 돌출부(102)와 결합부는, 연장부(133)에 결합된 단자와 전기전도될 수 있도록 전기전도부재(106)가 구비된다.
극성 또는 방향표시부(134)는, 극성 또는 방향의 구분이 필요한 전자부품의 경우, 해당되는 전자부품의 극성 또는 방향이 연장부(133)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극성과 방향을 구분하여 부품블럭을 정확한 위치로 연결시킬 수 있다.
기호표시부재(135)는, 일측면에 전자부품의 기호가 인쇄되며, 일측면이 몸체(131) 또는 연장부(133)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박리접착제가 도포되어 몸체(131) 또는 연장부(133)의 외측면에 탈부착된다.
이때, 기호표시부재(135)에는, 전자부품의 방향 또는 극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호표시부재(135)의 일측단은 몸체(131) 또는 연장부(133)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탈부착되되 몸체(131) 또는 연장부(133)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전자부품에 대응되는 기호의 암기를 위한 것으로, 기호표시부재(135)를 탈리하여 전자부품의 기호를 잠시 확인 후, 재 부착시켜 놓는 동작에 의해 전자부품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블록(140)은, 좌우에 극성이 표시되고, 배터리가 구비된다.
전원블록(140)은, 케이스(141) 및 연결부(142)를 포함한다.
케이스(141)는, 배터리가 결합된다.
연결부(142)는, 케이스(141)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연결부(142)는,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이 연장형성되며, 돌출부(102)와 결합홈(104)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극성이 표시된다.
또한, 연결부(142)에 표시된 극성은 배터리의 + 또는 -극방향으로 돌출될 때, 대응되는 극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속블록(120)은, 전선블록(110), 부품블록(130), 전원블록(140) 중 두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접속블록(120)은 상부에 돌출부(102)가, 하부에 결합홈(1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블록(120)은, 'ㄱ', '-', '+', 'T'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전선블록(110), 부품블록(130), 전원블록(140) 중 2개 내지 4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의, 전선블록(110), 부품블록(130), 접속블록(120) 및 전원블록(140)은, 각각의 블록(100)에 형성된 결합홈(104)과 돌출부(102)를 이용하여 블록(100)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블록(100)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무한한 조합성으로 자유도 높은 완성품을 만들어 봄에 따라, 창의력 증진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는, 베이스판(200) 및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판(200)은, 블록(100)이 조립된다. 베이스판(200)의 상측면에는 블록(1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구조로 이루어진다.
측정부는, 베이스판(200)에 조립된 블록(100)에 흐르는 전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02)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확인블록(100)과, 확인블록(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압, 전류,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가능한 측정기기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별도의 테스터기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전압, 전류,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므로, 간단한 회로의 연결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는, RFID칩(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한다.
RFID칩(150)은, 전선블록(110), 부품블록(130), 접속블록(120) 및 전원블록(14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기설정된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전원블록(140)의 전원이 공급될 때,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송신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RFID칩(150)으로부터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한 고유번호를 통해 사용한 블록(100)종류의 갯수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번호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로를 완성함에 있어서 블록(100)종류의 갯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학습에 활용하자면, 회로도를 제시한 후, 블록(100)들을 이용하여 회로도와 동일하게 조립되도록 완성할 때, 불필요한 전자부품을 제거하여 최소한의 블록(100)으로 조립되며 동일한 작동관계가 나타날 수 있도록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RFID칩(150)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서 블록(100)의 사용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되는 RFID칩(150)의 고유번호에 따른 정보를 보고, RFID칩(150)에 대응되는 블록(100)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 102: 돌출부
104: 결합홈 106: 전기전도부재
108: 주름부 110: 전선블록
120: 접속블록 130: 부품블록
131: 몸체 132: 이미지표시부
133: 연장부 134: 극성 또는 방향표시부
135: 기호표시부재 140: 전원블록
141: 케이스 142: 연결부
150: RFID칩 160: 디스플레이부
200: 베이스판

Claims (6)

  1.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블록을 포함하는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일직선으로 형성된 전선블록과,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되고, 좌우에 극성 또는 방향이 표시된 부품블록과,
    좌우에 극성이 표시되고,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블록 및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전원블록 중 두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접속블록 및 전원블록은, 각각의 블록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블록끼리 결합될 때 통전되도록 결합되고, 결합을 통해 회로도를 설계하거나, 기 회로도를 따라 전자기기를 조립함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접속블록 및 전원블록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기설정된 고유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전원블록의 전원이 공급될 때,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송신하는 RFID칩; 및
    상기 RFID칩으로부터 기설정된 고유번호를 무선수신하며, 수신한 고유번호를 통해 사용한 블록종류의 갯수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번호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블록은, 'ㄱ', '-', '+', 'T'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전선블록, 부품블록, 전원블록 중 2개 내지 4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블록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부품을 나타내는 외형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표시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마다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돌출부와 결합홈이 형성된 연장부와,
    극성 또는 방향의 구분이 필요한 전자부품의 경우, 해당되는 전자부품의 극성 또는 방향이 상기 연장부에 표시된 극성 또는 방향표시부 및
    일측면에 상기 전자부품의 기호가 인쇄되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몸체 또는 연장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박리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몸체 또는 연장부의 외측면에 탈부착되는 기호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블록은,
    배터리가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이 연장형성되며, 돌출부와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극성이 표시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 조립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조립된 블록에 흐르는 전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확인블록과, 상기 확인블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압, 전류, 저항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가능한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부에는, 다수로 이루어진 상부의 돌출부와 하부의 결합홈을 모두 전기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전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블록은, 중간부분에 전선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팽창 및 축소가 가능하며,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20140133490A 2014-10-02 2014-10-02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150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90A KR101506906B1 (ko) 2014-10-02 2014-10-02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490A KR101506906B1 (ko) 2014-10-02 2014-10-02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06B1 true KR101506906B1 (ko) 2015-03-30

Family

ID=5302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90A KR101506906B1 (ko) 2014-10-02 2014-10-02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69U (ko) 2018-01-17 2018-02-06 이재우 창의적인 하드웨어 코딩 구조물을 위해 전자부품 모듈과 조립 블럭 완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
CN110111659A (zh) * 2019-05-22 2019-08-09 蓝莓极客(武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积木的教学用多功能电子模块构建系统
KR20210023096A (ko) 2019-08-22 2021-03-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 젤라틴의 저분자화 방법
KR20210154767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네패스 Sw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986A (ko) * 2003-10-14 2005-04-20 최창구 로직 퍼즐블럭
KR20110000019A (ko) * 2009-06-26 2011-01-03 (주)성민전자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KR101202391B1 (ko)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101413839B1 (ko) 2012-10-29 2014-07-01 강민수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986A (ko) * 2003-10-14 2005-04-20 최창구 로직 퍼즐블럭
KR20110000019A (ko) * 2009-06-26 2011-01-03 (주)성민전자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KR101202391B1 (ko) 2011-11-28 2012-11-16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완구용 조립블록
KR101413839B1 (ko) 2012-10-29 2014-07-01 강민수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69U (ko) 2018-01-17 2018-02-06 이재우 창의적인 하드웨어 코딩 구조물을 위해 전자부품 모듈과 조립 블럭 완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
CN110111659A (zh) * 2019-05-22 2019-08-09 蓝莓极客(武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积木的教学用多功能电子模块构建系统
KR20210023096A (ko) 2019-08-22 2021-03-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 젤라틴의 저분자화 방법
KR20210154767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네패스 Sw코딩 및 인공지능 교육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906B1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EP1348209B1 (en) Breadboar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US8991040B2 (en) Reusable electronic circuit assembling and testing system and uses thereof
KR101413839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US20080068816A1 (en) Magnetic component connector, circuit boards for use therewith, and kits for building and designing circuits
JP5373328B2 (ja) 回路作成キット
AU2001236325A1 (en) Breadboar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KR101870531B1 (ko) 자력을 이용한 아두이노 실습용 점퍼케이블, 제어보드, 브레드보드 및 이를 이용한 교육용 아두이노 실습키트
KR101128400B1 (ko) 디지털 전자 학습 실험 키트
KR101210304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구성 키트
KR200437346Y1 (ko) 학습용 브레드보드
KR200295786Y1 (ko) 교육용 전자 블럭
KR101107613B1 (ko) 전자기 유도현상 교육용 회로조립식 학습교재
CN104067330A (zh) 教学用电子电路板及使用其的电子电路套件
KR101165822B1 (ko)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KR101787339B1 (ko) 전자회로 학습용 교구
KR20160105194A (ko) 전도 테이프를 이용한 직렬 및 병렬 실험 교구
KR200350013Y1 (ko) 학습용 전자회로 조립 키트
KR200270732Y1 (ko) 똑딱단추 결착 방식으로서 통전가능한 전자회로학습키트용 전자 부품
KR200265631Y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KR100418198B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KR101526341B1 (ko) 모듈형 회로소자 키트의 회로도 제공 방법
US20200143706A1 (en) Educational aid
KR200287163Y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KR200266964Y1 (ko) 디지털 논리소자를 이용한 학습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