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822B1 -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822B1
KR101165822B1 KR1020120017522A KR20120017522A KR101165822B1 KR 101165822 B1 KR101165822 B1 KR 101165822B1 KR 1020120017522 A KR1020120017522 A KR 1020120017522A KR 20120017522 A KR20120017522 A KR 20120017522A KR 101165822 B1 KR101165822 B1 KR 10116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act
casing
wire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권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06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on insulating boards, e.g. wiring harnesses
    • H05K7/08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on insulating boards, e.g. wiring harnesses on perforated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길이를 조절을 위해 자르거나 붙이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 없이 주기판 상면에서 간단히 블록식으로 조립하여 연장해나가는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깔끔하게 정돈 배치된 형태로 회로가 이루어지므로 보기에도 좋고 도중에 잘못된 부분을 식별하여 수정하기에도 편리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중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의 경우,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공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접촉 유지를 위하여 탄성지지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접촉단자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접촉단자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내부 연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기판 상면에서 상기 접촉단자 간 접촉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해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Block type wire for bread board and bread board assembly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브레드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를 조절을 위해 자르거나 붙이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 없이 주기판 상면에서 간단히 블록식으로 조립하여 연장해나가는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깔끔하게 정돈 배치된 형태로 회로가 이루어지므로 보기에도 좋고 도중에 잘못된 부분을 식별하여 수정하기에도 편리한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테스트기,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측정기기와 납땜기, 땜납, 전선, 니퍼, 기판, 땜납 흡입기 등과 같은 전자재료 및 제작기구 그리고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 반도체 IC(Intergrated Circuit), 다이오드, 센서 등과 같은 전자소자 및 모터, 스위치, 스피커, 변압기, 축전기, LED(Lighted Emitted Diode)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전자기기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초보자가 다양한 기자재들을 구비하기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되고, 무엇보다도 전자회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구비해야할 대상을 선정하는 것조차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회로도와 단순한 설명서, 전자소자, 전자재료, 전자기기 및 기타 구성품들을 동봉하여 구성되는 전자회로 학습키트가 교육자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초?중?고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습을 통한 전자회로의 이해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회로 학습키트 구성품들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회로의 제작에 소모되나 제작 후 재생되어 다른 기능의 전자회로를 구성하도록 응용학습을 유도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못하다.
특히, 제공되는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솔더 마스크(기판의 뒷면)에는 결선회로가 프린팅되어 있고 기판의 앞면에는 회로도가 그려져 있다. 따라서 제작자는 각 전자소자 및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에 삽입하여 납땜을 실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전자회로의 제작을 마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회로 학습키트를 사용하여 전자회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과정에서 납땜 기술의 미숙으로 인한 과열로 전자소자를 파손시키거나 기판상의 공극을 잘못 판단하여 전자소자를 다른 위치의 공극에 납땜한 경우, 그리고 웨팅(Wetting)이 발생한 경우 등에는 전자회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학습자는 이러한 미작동 혹은 오작동의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제작자는 기존의 전자회로 학습키트를 통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동안에는 전자회로의 미작동 혹은 오작동의 여부를 검진할 수 없으며 전자회로의 결함을 찾기 위해서는 납땜작업을 완료하고 전원을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전자회로를 동작시켜봐야만 한다.
만약, 전자회로상의 결함이 발견되어 전자소자에 부착된 땜납을 다시 용융하여 제거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 전자소자를 분리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자소자가 많은 열에 노출되어 파손될 위험이 대단히 크며 납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판 또는 물리적으로 손상되기 쉽다. 그리고 전자소자의 브리지 및 단자핀을 기판에 꽂아 절곡 고정하여 최종적으로 전자회로의 결합을 시험하는 경우에도 기판으로부터의 착탈을 위하여 반복하여 절곡되는 과정에서 전자소자의 브리지나 단자핀이 부러지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회로를 연구하거나 학습, 개발하는 사람들은 보통 소켓을 사용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거나 흔히 빵판이라 불리는 브레드 보드(Bread board)상에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다수의 단자를 형성하는 디지털 전자부품을 브레드 보드상에서 연결하려면 매뉴얼을 보면서 단자핀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 계층이 최소 고등학교 정도로 초등학교나 중학교의 어린 학생들은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전자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보드(10)상에 스위치, 저항, 트랜지스터 등의 각종 전자부품(12,13,14,15,16)들 및 연결핀(11)의 입출력단자들을 바로 꽂기만 해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전자회로 학습키트(한국공개특허 2008-0085227)가 개시되어 있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전자부품(12,13,14,15,16)을 간단히 꽂는 방식으로 전자회로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12,13,14,15,16)을 다른 곳으로 옮겨 꽂아 전자회로를 바꾸거나 하여 창의적인 구성도 가능하였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자부품(12,13,14,15,16) 및 연결핀(11)의 입출력단자를 꽂아 지지하기 위하여 보드(10)의 삽입공(10a)과 일대일로 연계된 다수의 삽입관이 상기 보드(10) 내부에 설치되었고, 상기 삽입관 내주면에는 각각 복수의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부품(12,13,14,15,16) 및 연결핀(11)의 입출력단자가 꽂혀지면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삽입관들을 연결하는 도전체도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선의 역할을 하는 연결핀(11)이 서로간에는 연결될 수 없으므로 항상 보드(10)의 삽입공(10a)을 필요로 하였으며, 호환성이 떨어져서 범용적인 전자부품(12,13,14,15,16)의 입출력단자에 맞춰 대응하는데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완성된 회로의 형태가 일관성 없이 복잡한 느낌을 주어 보기에도 좋지 않았으며, 도중에 잘못된 부분을 찾고 수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를 조절을 위해 자르거나 붙이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 없이 주기판 상면에서 간단히 블록식으로 조립하여 연장해나가는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깔끔하게 정돈 배치된 형태로 회로가 이루어지므로 보기에도 좋고 도중에 잘못된 부분을 식별하여 수정하기에도 편리한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블록형 전선은, 내부에 전도성 재료를 구비하고 있는 주기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블록형 전선으로서,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공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접촉 유지를 위하여 탄성지지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접촉단자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접촉단자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내부 연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기판 상면에서 상기 접촉단자 간 접촉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해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연결재는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단자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접촉단자는 볼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연결재와 접촉단자는 하나의 전도성 금속판을 재단한 후 접어서 마련하되,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선단부인지 후단부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이나 표식이 가미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는, 내주면에 전도성 재료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전선을 삽입하여 상기 전도성 재료와 접촉되도록 한 접속공을 구비한 주기판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록형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케이싱의 일측면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촉소켓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접촉소켓과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공을 구비하여 다단자 부품의 입출력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한 소켓블록과; 두 개의 개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케이싱은 상호간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의 암소켓 및 수소켓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암소켓 및 수소켓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뻗어 있는 전선을 구비하여 이격된 두 개의 부품을 연결 가능하도록 한 점프블록과; 케이싱의 사방에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을 구비하여 상기 블록형 전선의 연결방향을 변환하거나 네 개까지의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 브리지블록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소켓에 연결된 전선을 구비하여, 상기 주기판의 접속공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그라운드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기판의 전도성 재료에는 적어도 플러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1금속판과, 마이너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2금속판이 포함되고,
상기 접속공은 삽입되는 전선이 상기 제1금속판과 접촉되도록 한 제1접속공과, 삽입되는 전선이 상기 제1금속판을 접촉하지 않고 관통하여 상기 제2금속판과 접촉되도록 한 제2접속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기판의 상면과, 상기 블록형 전선의 케이싱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블록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는, 길이를 조절을 위해 자르거나 붙이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 없이 주기판 상면에서 간단히 블록식으로 조립하여 연장해나가는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형 전선, 소켓블록, 점프블록, 브리지블록, 그라운드블록이 모두 같은 폭을 갖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깔끔하게 정돈 배치된 형태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돈 배치된 형태에 더해 가미된 색상에 의해 블록형 전선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구성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도중에 잘못된 부분을 식별하여 수정하기가 편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서 주기판 및 이에 부착된 블록형 전선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서 구성요소 간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서 주기판 및 이에 부착된 블록형 전선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에서 구성요소 간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조립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는, 주기판(160)을 비롯하여, 그 위에 부착되어 연결되는 블록형 전선(110)과 소켓블록(120)과, 점프블록(130)과, 브리지블록(140)과, 그라운드블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형 전선(110), 소켓블록(120), 점프블록(130), 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은 모두 외형적으로 볼 때 그 폭이 동일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간에 연결되었을 때 단순하고 잘 정돈 배치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형 전선(110)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다른 구성요소들 혹은 부품들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상기 블록형 전선(110), 소켓블록(120), 점프블록(130), 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들이 부착되어 회로를 구성하는데 토대가 되는 주기판(160)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주기판(160)은 케이싱 역할을 하는 상판(161)과 하판(164), 그리고 그 중간에 설치되고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금속판(162,163)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판(161) 전선을 상기 금속판(162,163)을 향해 삽입하기 위한 제1접속공(161a) 및 제2접속공(161b)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형 전선(110), 소켓블록(120)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 모두 혹은 적어도 상기 블록형 전선(110)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 이들을 간편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끼움돌기(161c)가 구비된다(상기 끼움돌기(161c)와 끼움홈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
그리고, 내부 전도성 재료인 상기 금속판(162,163)은 플러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1금속판과(162), 마이너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2금속판(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제1금속판(162)과 제2금속판(163)만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여러 개의 금속판들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금속판(162)에는 제1접속공(161a)을 통해 삽입된 전선이 접촉되는 제1접점(162a)을 비롯하여 제2접속공(161b)을 통해 삽입된 전선이 접촉하지 않고 관통하는 관통공(162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금속판(163)에는 상기 제2접속공(161b)과 관통공(162b)을 통해 삽입된 전선이 접촉되는 제2접점(163b)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블록형 전선(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110)은, 케이싱(111)과, 내부 연결재(112)와, 접촉단자(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은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공(114)을 갖는다. 또한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 하면에는 주기판(160) 상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61a)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주기판(160)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의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한 부위에는 방향성을 식별하기 위해 색상(115a,115b)이 가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선단부와 후단부에 서로 다른 색상(115a,115b)(적색과 흑색)이 가미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촉단자(113)는 케이싱(11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 설치공(111a)에서 각각 접촉 유지를 위하여 상기 내부 연결재(112)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13)는 상기 소켓블록(120), 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에 구비된 관형의 접촉소켓과 대응하여 접촉할 수 있는 볼형으로 구비된다. 단, 상기 접촉단자(113)는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소켓블록(120), 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에 구비되는 접촉소켓의 형태도 대응하는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연결재(112)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접촉단자(113) 간을 연결한다. 동시에 상기 접속공(114)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연결재(112)는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단자(113)를 탄성지지한다.
이같은 블록형 전선(11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접촉단자(113)가 탄성지지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블록형 전선(110) 상호 간 연결될 때 혹은 상기 소켓블록(120), 브리지블록(140), 그라운드블록(150)과 연결될 때 약간의 틈새가 벌어져도 지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은 상기 주기판(160) 상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고 가미된 색상(115a,115b)에 의해 회로에서 특정 목적에 따라 명확하게 방향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120)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과 같은 폭과 높이로 형성되며 접속공(124)을 갖는 사각 박스형태의 케이싱(121)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블록(120) 케이싱(121)의 일측면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접촉단자(113)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121a)에서 관 형태로 돌출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123)이 복수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소켓블록(120)의 케이싱(121) 상면에는 상기 접촉소켓(123)과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공(124)을 구비하여 다단자 부품(IC)의 입출력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소켓(123)은 상기 소켓블록(120) 케이싱(111)의 내부로 연장되거나 전도성 재료에 의해 상기 접속공(114)을 통해 삽입된 다단자 부품(IC)의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단자 부품(IC)의 좌측 입출력단자와 우측 입출력단자를 각각 담당하는 소켓블록(120) 두 개를 나란히 인접시킨 다음 그 위에 그 상기 다단자 부품(IC)을 장착하도록 한다. 단, 편의상 도면(도 3)에서는 상기 소켓블록(120) 하나에 대하여 블록형 전선(110)이 하나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상기 접촉소켓(123)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블록형 전선(11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프블록(130)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개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케이싱(131a,131b)을 구비하며, 상기 점프블록(130) 케이싱(131a,131b)에는 각각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호간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암소켓(132a) 및 수소켓(132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암소켓(132a) 및 수소켓(132b)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뻗어 있는 전선(133a,133b)을 구비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점프블록(130)은 이격된 두 개의 부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적당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블록(140)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과 같은 폭과 높이로 형성되며 사방에 설치공(141a)을 갖는 사각 박스형태의 케이싱(141)을 구비한다. 상기 브리지블록(140) 케이싱(141)의 사방 설치공(141a)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접촉단자(113)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소켓(143)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브리지블록(140)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연결방향을 변환하거나 상기 블록형 전선(110)을 복수개(네 개까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블록(150)은,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케이싱(111)과 같은 폭과 높이로 형성되며 사각 박스형태의 케이싱(151)을 구비한다. 상기 그라운드블록(150) 케이싱(151)의 일단부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110)의 접촉단자(113)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152)을 구비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접촉소켓(152)에 연결되는 전선(153)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그라운드블록(150)은 구비된 전선(153)에 의해 상기 주기판(160)의 접속공(161a,1612b)에 삽입되어 접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전선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에에 따른 블록형 전선(110-2)은, 상기 내부 연결재(112-2)와 접촉단자(113-2)는 하나의 전도성 금속판을 재단한 후 접어서 마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113-2)는 상기 케이싱(111-2)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케이싱(111-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블록하게 절곡하여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에는 변형전과 마찬가지로 접속공(114-2)이 형성된다.
이같은 변형실시예는 전도성 금속판을 간단히 접어서 마련한 것이지만, 변형전 블록형 전선(110)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블록형 전선 120 : 소켓블록
130 : 점프블록 140 : 브리지블록
150 : 그라운드블록 160 : 주기판

Claims (8)

  1. 내부에 전도성 재료를 구비하고 있는 주기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블록형 전선으로서,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공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접촉 유지를 위하여 탄성지지된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전도성 재질의 접촉단자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접촉단자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내부 연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주기판 상면에서 상기 접촉단자 간 접촉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해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연결재는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단자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접촉단자는 볼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연결재와 접촉단자는 하나의 전도성 금속판을 재단한 후 접어서 마련하되,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절곡된 형태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선단부인지 후단부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이나 표식이 가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전선.
  5. 내주면에 전도성 재료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전선을 삽입하여 상기 전도성 재료와 접촉되도록 한 접속공을 구비한 주기판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록형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일측면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촉소켓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접촉소켓과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공을 구비하여 다단자 부품의 입출력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한 소켓블록과;
    두 개의 개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케이싱은 상호간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의 암소켓 및 수소켓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암소켓 및 수소켓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을 향해 뻗어 있는 전선을 구비하여 이격된 두 개의 부품을 연결 가능하도록 한 점프블록과;
    케이싱의 사방에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을 구비하여 상기 블록형 전선의 연결방향을 변환하거나 네 개까지의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 브리지블록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는 상기 블록형 전선의 접촉단자와 대응하여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성 재질의 접촉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소켓에 연결된 전선을 구비하여, 상기 주기판의 접속공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그라운드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판의 전도성 재료에는 적어도 플러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1금속판과, 마이너스 전원과 연결되는 제2금속판이 포함되고,
    상기 접속공은 삽입되는 전선이 상기 제1금속판과 접촉되도록 한 제1접속공과, 삽입되는 전선이 상기 제1금속판을 접촉하지 않고 관통하여 상기 제2금속판에 접촉되도록 한 제2접속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판의 상면과, 상기 블록형 전선의 케이싱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블록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KR1020120017522A 2012-02-21 2012-02-21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KR10116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22A KR101165822B1 (ko) 2012-02-21 2012-02-21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522A KR101165822B1 (ko) 2012-02-21 2012-02-21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822B1 true KR101165822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522A KR101165822B1 (ko) 2012-02-21 2012-02-21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668B1 (ko) * 2018-07-30 2020-01-15 정순필 오리가미 방식의 접이식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744Y1 (ko) 1999-04-19 2000-02-15 성신웅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744Y1 (ko) 1999-04-19 2000-02-15 성신웅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668B1 (ko) * 2018-07-30 2020-01-15 정순필 오리가미 방식의 접이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357B2 (en) Magnetic component connector, circuit boards for use therewith, and kits for building and designing circuits
AU2001236325B2 (en) Breadboar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KR101413839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US3594689A (en) Building block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nstruction kits
AU2001236325A1 (en) Breadboard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KR101870531B1 (ko) 자력을 이용한 아두이노 실습용 점퍼케이블, 제어보드, 브레드보드 및 이를 이용한 교육용 아두이노 실습키트
KR101506906B1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1509665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KR101165822B1 (ko)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KR101128400B1 (ko) 디지털 전자 학습 실험 키트
KR200437346Y1 (ko) 학습용 브레드보드
KR102219634B1 (ko) 연결보드 키트
WO2013111984A1 (ko) 교육용 전자회로보드 및 이를 사용한 전자회로키트
CN211578194U (zh) 车灯电路连线模拟装置
CN201111768Y (zh) 一种电子电路实验装置
KR200295786Y1 (ko) 교육용 전자 블럭
KR200330521Y1 (ko) 전자회로 학습용 전자부품
KR200270732Y1 (ko) 똑딱단추 결착 방식으로서 통전가능한 전자회로학습키트용 전자 부품
KR200287163Y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KR200265631Y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KR200169744Y1 (ko)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KR20110118350A (ko) 조립식 전자키트
US7704107B1 (en) Conductive coil connector for reconfigurable electrical circuit element
KR101711729B1 (ko)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KR100418198B1 (ko) 전자회로 학습키트용 디지털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