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29B1 -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729B1
KR101711729B1 KR1020150053838A KR20150053838A KR101711729B1 KR 101711729 B1 KR101711729 B1 KR 101711729B1 KR 1020150053838 A KR1020150053838 A KR 1020150053838A KR 20150053838 A KR20150053838 A KR 20150053838A KR 101711729 B1 KR101711729 B1 KR 10171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ircuit
assembling
kit
transparen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603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7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a) 브레드 보드 위에 투명 회로가 구성될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놓여지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단계; (c)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에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투명 회로 내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d) 상기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상기 브레드 보드에서 분리되어 입체적으로 조립되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복수개의 소자홀들을 관통한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회로도에 따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자 회로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일반인들도 누구나 전자 회로 구성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고, 납땜을 하지 않고서도 회로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어 전자 회로 제작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전자 회로의 파트를 분리하여 새로운 조합의 다양한 응용으로 인해 자신만의 인터랙티브한 조명을 디자인하여 일반인들에게도 창의적인 결과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조명 키트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An assembling method of a transparent circuit kit}
본 발명은 투명 회로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으로만 이해되던 전자 회로를 다양하게 입체로 만들어 볼 수 있어 전자 회로 조립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브레드 보드에 실습한 것을 그대로 떼어내어 납땜을 하지 않고서도 회로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어 누구나 자신의 개성이 담긴 창의적인 조명 기구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회로를 만드는 방법으로 대량 생산을 하는 경우에는 구리 박판 등으로 인쇄된 회로를 기판에 미리 형성시키고 그 위에 위치에 맞도록 전자 부품을 배열한 다음, 주로 납땜을 통하여 각각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대량 생산을 하지 않고 시험용 또는 취미용으로 전자 회로를 만드는 방법은 만능 인쇄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만능 인쇄 회로 기판에는 다수개의 소자홀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소자홀 주위로 구리 박판이 부착되어 있다.
소자홀 간의 간격은 전자 부품의 리드선 핀의 간격과 맞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구리 박판의 역할은 리드선을 연결하거나 고정시키고자 할 때, 납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기판의 상면과 하면 양쪽에 있거나, 하면의 한쪽에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만능 인쇄 회로 기판의 소자홀에 부품들의 각각의 리드선을 원하는 위치에 맞게 배열을 하고 만능인쇄회로 기판의 소자홀에 각각의 리드선을 끼운다.
각각의 소자홀에 끼워진 부품의 리드선은 통상적으로 기판의 하부에서 납땜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만능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하여 전자 회로를 만드는 경우는 부품의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배치를 바꾸고자 할 때에 원하는 위치에 부품을 꽂아서 납땜을 통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리드선을 상호 연결하고자 할 때는 일일이 납땜을 하여야 하고,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부품을 바꾸고자 할 때는 납땜이 된 납을 다시 제거하고 부품을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납땜을 하지 않고 전자 회로를 제작하는 방법이 브레드 보드(Bread Board)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브레드 보드는 부품의 리드선을 끼우기만 하고 납땜을 하지 않는 구조로서 소자홀의 집합 내에 들어 있는 소자홀은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리드선을 하나의 집합체에 들어 있는 소자홀들에 끼우기만 하면 두 부품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브레드 보드를 이용하면 납땜 대신에 전자 부품을 원하는 위치에 끼우는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자홀의 세트인 소자홀의 집합체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자 부품의 배열에 제약을 받는 한계가 있다.
즉, 다른 부품을 연결하고자 할 때는 하나의 소자홀의 세트를 피하여 다른 위치에 리드선을 끼워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전자 회로가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또한, 브레드 보드는 통상적으로 만능 인쇄 회로 기판에 비교하여 10 내지 100배 정도 비싼 가격이므로 한번 브레드 보드에서 전자 회로를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이를 다시 만능 인쇄 회로 기판이나 전문적으로 제작된 인쇄회로 기판에 다시 옮겨서 계속 사용이 가능한 회로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전자 회로 키트(kit)들은 대부분이 처음 회로를 접하는 일반인들에게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및 예시로 설명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본적인 전자 회로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전기 회로를 어렵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자 회로 키트들보다 좀 더 직관적이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핵심적 요소로 내용을 구성하여 키트 설명서의 양을 부담스럽지 않게 줄일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또한, 전자 회로에 대한 키트로서 시중에는 학습용으로 사용되는 간단한 전자 회로 제품이 상용되어 초등학생 및 중학생용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전자 회로 키트는 저항,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전자부품을 기판에 일일이 인두를 통해 납땜을 하여 제작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이로 인해 제작 과정에서 인두기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간단한 전자부품의 연결 시에도 반드시 남땜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시중에 납땜 없이 사용되는 전자조립식 키트가 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키트들은 대개 회로의 구성이 정해진 상태로 출시가 되어 정해진 규격 이외의 다른 변형된 회로 구성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자 회로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결과물을 직접 만들고 응용하여 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 전자 분야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자 한다.
아울러,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납땜을 전혀 하지 않으면서 회로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각 파트를 조립했을 때 조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기본 형태를 디자인하여 그 자체로도 완구 및 가구에 활용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KR 10-2003-0083691 A1
(특허문헌 2) KR 10-0467416 B1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으로만 이해되던 전자 회로를 다양하게 입체로 만들어 볼 수 있어 전자 회로 조립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자 회로를 브레드 보드 위에 한번 실습하고 해체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브레드 보드에 실습한 것을 그대로 떼어내어 입체화시키는 간편한 파트의 조립과 회로의 조합을 통해 조립된 완성품 자체로도 조형성을 지닌 완구 및 가구의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은 (a) 브레드 보드 위에 투명 회로가 구성될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놓여지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단계; (c)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에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투명 회로 내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d) 상기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상기 브레드 보드에서 분리되어 입체적으로 조립되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복수개의 소자홀들을 관통한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회로도에 따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소정의 크기로 제조되는 단계; 상기 브레드 보드의 복수개의 소자홀들과 대응되는 소자홀들 중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삽입될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이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에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모서리의 모양이 분리된 파트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분리된 파트는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중 제1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전원 소켓이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받는 전원부; 제2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스위치 또는 각종 센서가 장착되어, 점멸 또는 감지를 통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센서부; 및 제3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상기 발광부 및 저항들이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저항들을 통해 정격 전압으로 전압 강하시킨 후에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압 강하된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발광부의 조명 색상과 동일한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상부에 부품별 정격 전압값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부품별 정격 전압값이 실크 스크린을 이용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된 복수개의 부품들의 회로 연결이 정확한지 여부가 검토되어 부정확한 회로 연결이 수정된 후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재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발광부는 LED, LCD 및 세븐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들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복수개의 점퍼선들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자 회로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일반인들도 누구나 전자 회로 구성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자 회로 키트들보다 좀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알맞은 위치에 부품을 꽂고 연결만 시키면 납땜을 하지 않고서도 회로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어 전자 회로 제작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전자 회로의 파트를 분리하여 새로운 조합의 다양한 응용으로 인해 단순히 교육용 키트에 그치지 않고 자신만의 인터랙티브한 조명을 디자인하여 전문 조명 디자이너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창의적인 결과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조명 키트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완성된 투명 회로 키트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최종 완성된 투명 회로 키트의 실재 사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명 회로 키트의 분리된 파트별 실재 사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디자인된 조명 기구의 활용예의 실재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완성된 투명 회로 키트의 구성도로서, 브레드 보드(50),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 전원 소켓(150),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 및 복수개의 점퍼선들(4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레드 보드(50) 위에 투명 회로가 구성될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이 놓여진다(S110).
여기에서, 투명 회로는 LED, LCD, 세븐 세그먼트 등의 발광부(200-1)를 포함하는 발광 회로뿐 아니라 저항, 트랜지스터, 콘덴서, 모터 등 기타 다른 부품들을 포함하는 회로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발광 회로의 일종인 LED 조명 회로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에 구비된 부품 장착용 복수개의 소자홀들(110-1 내지 110-3)에 복수개의 부품들 중 회로를 구성할 부품인 LED들(200-1), 저항들(200-2) 및 스위치(200-3)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장착된다(S120).
전원부(100)의 전원 소켓(150)을 통하여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S130) LED들(200-1)에서 정상적으로 발광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S140).
LED들(200-1)에서 발광이 정상적으로 되는 경우,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이 브레드 보드(50)에서 분리되어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들(120-1 내지 120-3)을 이용하여 3 차원 상 입체적으로 조립된다(S150).
만일, LED들(200-1)에서 발광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회로 연결이 정확한지 여부가 검토되어 정확하지 않은 연결을 수정(S145)한 후에 단계(S130)로 궤환한다.
회로도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의 복수개의 소자홀들(110-1 내지 110-3)을 관통한 LED들(200-1)과 저항들(200-2)의 리드선이 복수개의 점퍼선들(400)을 이용하여 연결된다(S160).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최종 완성된 투명 회로 키트의 실재 사진으로서,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 복수개의 점퍼선들(4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명 회로 키트의 분리된 파트별 실재 사진으로서, 전원부(100), 센서부(200) 및 작동부(300)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립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디자인된 조명 기구의 활용예의 실재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에 사용되는 투명 회로 키트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브레드 보드(50)와의 연계를 통해 회로의 작동 여부와 기본 회로의 원리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전자 회로를 각각 전원부(100), 센서부(200), 작동부(300)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즉, 각 파트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며 회로의 재구성을 용이하게 하여 어떤 파트를 선택해 조립하느냐에 따란 다양한 회로가 구현될 수 있도록 응용과 확장의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둔 것이다.
전원부(100)는 제1 투명판(100-1)의 복수개의 소자홀들(110-1)에 전원 소켓(150)이 장착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전압을 인가받는다.
센서부(200)는 제2 투명판(100-2)의 복수개의 소자홀들(110-2)에 스위치(200-3) 또는 각종 센서가 장착되어, 점멸 또는 감지를 통해 전원부(100)로부터 전원 전압을 전달 또는 차단한다.
작동부(300)는 제3 투명판(100-3)의 복수개의 소자홀들(110-3)에 LED들(200-1) 및 저항들(200-2)이 장착되어, 센서부(200)로부터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저항(200-2)을 통해 정격 전압으로 전압 강하시킨 후에 LED(200-1)가 전압 강하된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발광한다.
즉,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은 브레드 보드(50)와의 연계를 위해 부품 장착용 복수개의 소자홀들(110-1 내지 110-3)을 구비하고, 투명하고 가공이 쉬운 아크릴판을 소정의 크기로 제조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크기는 폭이 브레드 보드(50)의 폭과 동일하고, 길이가 장착될 부품 수에 적절한 크기를 의미한다.
그 후 브레드 보드(50)의 복수개의 소자홀들과 대응되는 소자홀들 중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의 리드선이 삽입될 복수개의 소자홀들(110-1 내지 110-3)이 형성된다.
장착되는 부품의 동작 전압의 혼동을 막기 위해 판 상부에 실크 스크린을 이용해 부품별 정격 전압값이 표기된다.
특히, 전원부(100), 센서부(200), 작동부(300)로 분리된 파트별로 모서리의 모양이 분리된 파트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고, 작동부(300)의 경우 LED(200-1)를 직접 켜 보지 않는 이상 조립된 LED(200-1)의 색을 알 수 없으므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LED(200-1)의 조명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투명판이 사용된다.
복수개의 부품들은 LED(200-1), 저항(200-2), 스위치(200-3) 및/또는 센서를 포함한다.
저항(200-2)은 전원 공급부(500)로부터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LED(200-1)가 동작할 수 있는 정격 전압으로 전압 강하시킨 후에 LED(200-1)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전원 공급부(500)는 건전지, 알카라인 전지, 충전지, 리튬 이온 전지 등이 포함된다.
LED(200-1)는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저항(200-2)으로부터 전압 강하된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발광한다.
스위치(200-3)는 전자 회로의 온/오프나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소자로서, 점멸을 통해 전원 공급부(500)로부터 전원 전압을 저항(200-2)에 인가 또는 차단한다.
스위치(200-3)에는 푸시 스위치, 토글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각종 센서는 자성, 기울기, 온도, 조도 등을 감지하여 접점을 연결시킨다.
각종 센서에는 자석 스위치, 기울기 스위치, 온도 스위치, 조도 센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분리된 파트의 조립은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의 두께와 장착되는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을 고려하여 접착제나 부가 재료 없이도 조립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 각각의 조립되는 부분에 수치가 조절된 복수개의 홈들(120-1 내지 120-3)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을 브레드 보드(50) 상에 얹고 그 위에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을 장착한 후에 전원부(100)가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부(200-1)에서 점멸을 확인한다.
발광부(200-1)에서 정상적으로 불이 켜지는 경우,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을 브레드 보드(50)에서 분리하여 복수개의 홈들(120-1 내지 120-3)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복수개의 점퍼선들(400)을 이용하여 회로를 연결하면 3차원 구조의 조명 장치가 만들어 진다.
이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접근, 연구하여 이해와 응용이 쉽도록 회로를 직관적으로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전원부(100), 센서부(200), 작동부(300)로 파트 분리를 통해 본 발명의 조명 장치 자체의 회로 조립뿐 만 아니라 아듀이노(Arduino) 보드 등 외부 회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파트의 교환만으로도 쉽게 새로운 회로를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하여 구성된 파트의 조립과 회로의 조합을 통해 조립하였을 때 그 자체로도 조형성을 지닌 하나의 완성된 제품이 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한다.
즉, 전자 회로의 조립을 단지 브레드 보드(50) 등의 평면에 나열하는 형식에서 벗어나 3 차원(X, Y, Z축)의 입체 조립 형식을 도입하여, 조립된 전자 회로 자체가 하나의 조명 제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파트를 조립했을 때 조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기본 형태를 3차원으로 디자인하여 결과적으로 조립된 회로 그 자체로도 조형성을 지닌 완성품으로서 완구 및 가구에 사용되는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개의 투명판들(100-1 내지 100-3)에 복수개의 부품들(200-1, 200-2, 200-3)을 시험적으로 조립하여 동작시켜 본 후에 정상 동작하는 조립을 기반으로 최종 인쇄회로 기판을 제작하게 함으로써 납땜을 전혀 하지 않으면서 회로 제작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은 평면으로만 이해되던 전자 회로를 다양하게 입체로 만들어 볼 수 있어 전자 회로 조립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자 회로를 브레드 보드 위에 한번 실습하고 해체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브레드 보드에 실습한 것을 그대로 떼어내어 입체화시키는 간편한 파트의 조립과 회로의 조합을 통해 조립된 완성품 자체로도 조형성을 지닌 완구 및 가구의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 회로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일반인들도 누구나 전자 회로 구성에 쉽게 접근 가능하게 하고,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자 회로 키트들보다 좀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알맞은 위치에 부품을 꽂고 연결만 시키면 납땜을 하지 않고서도 회로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어 누구나 자신의 개성이 담긴 창의적인 조명 기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전자 회로의 파트를 분리하여 새로운 조합의 다양한 응용으로 인해 단순히 교육용 키트에 그치지 않고 자신만의 인터랙티브한 조명을 디자인하여 전문 조명 디자이너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창의적인 결과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조명 키트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50 : 브레드 보드
100 : 전원부
100-1 내지 100-3 : 복수개의 투명판들
150: 전원 소켓
200 : 센서부
200-1: LED
200-2: 저항
200-3: 스위치
300 : 작동부
400 : 복수개의 점퍼선들
500: 전원 공급부

Claims (10)

  1. (a) 브레드 보드 위에 투명 회로가 구성될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놓여지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각각에 구비된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단계;
    (c)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에 전원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투명 회로 내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d) 상기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상기 브레드 보드에서 분리되어 입체적으로 조립되는 단계; 및
    (e)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복수개의 소자홀들을 관통한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회로도에 따라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이 소정의 크기로 제조되는 단계;
    상기 브레드 보드의 복수개의 소자홀들과 대응되는 소자홀들 중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삽입될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이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에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모서리의 모양이 분리된 파트의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파트는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중 제1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전원 소켓이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인가받는 전원부;
    제2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스위치 또는 각종 센서가 장착되어, 점멸 또는 감지를 통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센서부; 및
    제3 투명판의 상기 복수개의 소자홀들에 상기 발광부 및 저항들이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저항들을 통해 정격 전압으로 전압 강하시킨 후에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압 강하된 전원 전압을 전달받아 발광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발광부의 조명 색상과 동일한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 상부에 부품별 정격 전압값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투명판은
    상기 부품별 정격 전압값이 실크 스크린을 이용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광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된 복수개의 부품들의 회로 연결이 정확한지 여부가 검토되어 부정확한 회로 연결이 수정된 후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재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 LCD 및 세븐 세그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투명판들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개의 홈들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부품들의 리드선이 복수개의 점퍼선들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KR1020150053838A 2015-04-16 2015-04-16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KR10171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38A KR101711729B1 (ko) 2015-04-16 2015-04-16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38A KR101711729B1 (ko) 2015-04-16 2015-04-16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03A KR20160123603A (ko) 2016-10-26
KR101711729B1 true KR101711729B1 (ko) 2017-03-02

Family

ID=5725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38A KR101711729B1 (ko) 2015-04-16 2015-04-16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55B1 (ko) * 2022-06-02 2023-09-04 주식회사 협신 간이 이동식 고정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86Y1 (ko) 2002-07-22 2002-11-22 서홍렬 교육용 전자 블럭
JP2004121790A (ja) 2002-10-04 2004-04-22 Card Planning Kk 嵌合組立形発光模型
KR100926648B1 (ko) 2008-04-29 2009-11-17 주식회사 크레스타 전자회로 실험교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7362A (ja) 2001-01-02 2004-06-10 アデスト テクノベーション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教育用のブレッドボード
KR100467416B1 (ko) 2001-08-22 2005-01-24 권혁배 납땜을 하지 않는 전자회로 만능기판 학습교재
KR20120116537A (ko) * 2011-04-13 2012-10-23 주식회사 하이로시 전자회로를 모듈화하여, 회로의 재구성이 가능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786Y1 (ko) 2002-07-22 2002-11-22 서홍렬 교육용 전자 블럭
JP2004121790A (ja) 2002-10-04 2004-04-22 Card Planning Kk 嵌合組立形発光模型
KR100926648B1 (ko) 2008-04-29 2009-11-17 주식회사 크레스타 전자회로 실험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55B1 (ko) * 2022-06-02 2023-09-04 주식회사 협신 간이 이동식 고정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03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39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US20140349544A1 (en) Illuminable Building block
CN205376362U (zh) 电子元器件可在线路板上自由插拔的结构
KR101509665B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KR101711729B1 (ko)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TW201501768A (zh) 模組化接觸式導電積木
US11959619B2 (en) Lamp or luminaire comprising a LED module
JP6375180B2 (ja) 電子ブロックに使用する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10201093B2 (en) Variable width printed circuit board using surface mount technology jumpers
KR101128400B1 (ko) 디지털 전자 학습 실험 키트
CN210867617U (zh) 一种基于多谐振荡电路拼图装置
EP2724434A2 (en) Integral module with lighted faceplate display
TW201730906A (zh) 按壓開關結構
TWI672084B (zh) 雙高度發光二極體保持器之結構
RU167466U1 (ru)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CN204986479U (zh) 集成式led灯
KR101606632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 접속장치
KR101275623B1 (ko) 내부회로와 단자간의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led 소켓
CN210740100U (zh) 一种led照明系统
KR101165822B1 (ko) 브레드보드용 블록형 전선 및 이를 구비한 브레드보드 어셈블리
JP2011028192A (ja) 電圧可視化静電配線式ブレッドボード
KR200469676Y1 (ko) 학습용 전자회로 키트
KR101846061B1 (ko) 전기회로블럭
KR20170052166A (ko) 전자모듈 키트
KR20160015594A (ko) 도전성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자 회로 구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