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061B1 - 전기회로블럭 - Google Patents

전기회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061B1
KR101846061B1 KR1020160008703A KR20160008703A KR101846061B1 KR 101846061 B1 KR101846061 B1 KR 101846061B1 KR 1020160008703 A KR1020160008703 A KR 1020160008703A KR 20160008703 A KR20160008703 A KR 20160008703A KR 101846061 B1 KR101846061 B1 KR 10184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ductive line
connection
conductive
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072A (ko
Inventor
양명승
차호현
유성민
정원재
문병준
조은비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0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6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 H05K1/0287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회로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고온의 납땜방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전기회로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하고 폭넓은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도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회로블럭{Electrical circuit block}
본 발명은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고온의 납땜방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전기회로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하고 폭넓은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도 사용가능한 전기회로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부품에 사용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에는 다수의 단자들이 고정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삽입되는 부품의 핀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부분 납땜 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57220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상기 단자들을 번거롭게 납땜방식으로 연결고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고온의 납땜 사용으로 인해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572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고온의 납땜방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전기회로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하고 폭넓은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도 사용가능한 전기회로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블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블럭부는 내부에 좌우수평연장되는 제 1도전라인과, 상기 제 1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도전라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후수평연장되는 제 2도전라인 및 제 3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라인과,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되는 전기소자가 구비는 전기소자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과 통전되기 위해 내부에 상기 제 1, 2, 3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상기 도전라인이 구비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 및 상기 연결블럭과 통전되기 위해 내부 일측에 좌우수평연장되는 제 1도전라인과, 상기 제 1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도전라인의 일측에 전후수평연장되는 제 2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라인이 구비되는 일측연결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 상기 연결블럭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으로의 전류통전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블럭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소자블럭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제 4도전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의 내부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제 4도전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기소자는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LED,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전라인의 단부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도전라인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상부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판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접속판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에 복수의 블럭부를 고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기회로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고온의 납땜방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상기 베이스판에 복수의 상기 블럭부를 연결고정할 수 있어 고온의 납땜방식으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베이스판에 복수의 블럭부를 고정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도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회로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3은 블럭부의 전기소자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4는 블럭부의 연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5는 블럭부의 일측연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6은 블럭부의 절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1은 블럭부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기회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블럭부가 상하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회로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회로블럭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삽입고정되는 복수의 블럭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0)과 상기 블럭부(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매트릭스형태로 일정간격을 배치되는 돌출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110)는 상기 블럭부(20)의 후술할 수용홈(202c)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블럭부의 전기소자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부(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1)와 연결부재(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1)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1)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2)는 상부연결부재(202a)와 하부연결부재(2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202a)는 상기 몸체(20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몸체(20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는 상기 상부연결부재(202a)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몸체(201)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202a)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는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를 따라 상하연장되는 수용홈(202c)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블럭부(20)의 상부연결부재(202a)가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20)의 하부연결부재(202b)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202c)내에 수용된 상태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럭부(20)의 상부에 다른 하나의 상기 블럭부(20)가 적층구비될 수 잇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201)와 상기 연결부재(202)로 구성되는 상기 블럭부(20)는 전기소자블럭(210), 연결블럭, 일측연결블럭 및 절연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전라인(250)과 전기소자(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50)은 전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기소자(270)는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 LED, 건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은 제 1, 2, 3도전라인(251, 252, 2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도전라인(251)은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몸체(20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도전라인(252)은 상기 제 1도전라인(251)의 일측에 일체연결 및 상기 몸체(20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몸체(201)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도전라인(253)은 상기 제 1도전라인(251)의 타측에 일체연결 및 상기 몸체(20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2b)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몸체(201)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전후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소자(270)는 상기 도전라인(250)의 제 1도전라인(251)의 중간부에 연결구비된다.
도 4는 블럭부의 연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상기 연결블럭(220)이 상기 전기소자블럭(210)과 통전되기 위해 상기 연결블럭(220)의 내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3도전라인(251, 252, 253)으로 구성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이 구비된다.
도 5는 블럭부의 일측연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이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및 상기 연결블럭(220)과 통전되기 위해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의 내부 일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도전라인(251, 252)으로 구성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블럭부(20)를 상기 블럭부(20)의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경우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블럭부(20)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전라인(250)은 제 4도전라인(2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도전라인(254)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소자블럭(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도록 제 1, 2, 3도전라인(251, 252, 253)과 일체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20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25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도전라인(254)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블럭(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도록 제 1, 2, 3도전라인(251, 252, 253)과 일체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20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25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도전라인(25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250)의 제 1, 2도전라인(251, 252)과 일체연결되어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20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25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블럭부의 절연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상기 절연블럭(240)은 상기 전기소자블럭(210)과 상기 연결블럭(220) 사이 또는 상기 전기소자블럭(210)과 상기 일측연결블럭(230) 사이 또는 상기 연결블럭(220)과 상기 일측연결블럭(2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으로의 전류통전을 차단하게 된다.
도 7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이 서로 접한 상태로 삽입고정된 경우,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으로 원활하게 전류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전라인(250)의 단부에는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접속단자(26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의 몸체(201)와 연결부재(202)에는 각각 관통구(2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03)는 상기 제 1도전라인(251)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0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203)는 상기 제 2, 3도전라인(252, 253)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201)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203)는 상기 제 4도전라인(254)과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02)의 상부연결부재(20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260)는 판부(261)와 접속판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261)는 상기 몸체(201)의 관통구(203)내에 각각 일체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261)는 상기 연결부재(202)의 하부연결부재(202b)의 수용홈(202c)의 내부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261)는 상기 도전라인(250)의 제 1도전라인(25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261)는 상기 제 2, 3도전라인(252, 253)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261)는 상기 제 4도전라인(25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판부(262)의 상부가 상기 판부(261)의 상부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접속판부(262)는 상기 판부(261)의 외측방향으로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가 서로 접할 경우 상기 접속판부(262)가 서로 눌림압착된 상태로 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상기 연결블럭(220)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으로 원활하게 전류가 통전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블럭부를 이용하여 구성한 전기회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복수의 상기 절연블럭(240)의 전측, 후측,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복수의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복수의 상기 연결블럭(220),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이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복수의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복수의 상기 연결블럭(220),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블럭(230) 및 복수의 상기 절연블럭(240)을 서로 접하도록 삽입고정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블럭부가 상하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1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복수의 상기 블럭부(20)가 상하적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절연블럭(2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상기 전기소자블럭(210), 복수의 상기 연결블럭(220), 복수의 상기 일측연결블럭(230)을 연결시켜 크리스마스트리 등의 완구를 제작할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10)에 복수의 상기 블럭부(20)를 고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기회로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고온의 납땜방식을 사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상기 베이스판(10)에 복수의 상기 블럭부(20)를 연결고정할 수 있어 고온의 납땜방식으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베이스판(10)에 복수의 상기 블럭부(20)를 고정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완구를 완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도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베이스판, 20; 블럭부.

Claims (3)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블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블럭부는 내부에 좌우수평연장되는 제 1도전라인과, 상기 제 1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도전라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후수평연장되는 제 2도전라인 및 제 3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라인과,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되는 전기소자가 구비는 전기소자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과 통전되기 위해 내부에 상기 제 1, 2, 3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상기 도전라인이 구비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 및 상기 연결블럭과 통전되기 위해 내부 일측에 좌우수평연장되는 제 1도전라인과, 상기 제 1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도전라인의 일측에 전후수평연장되는 제 2도전라인으로 구성되는 도전라인이 구비되는 일측연결블럭과;
    상기 전기소자블럭, 상기 연결블럭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으로의 전류통전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라인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상부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판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접속판부로 구성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블럭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제 4도전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의 내부 및 상기 일측연결블럭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도전라인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도전라인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제 4도전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블럭.
KR1020160008703A 2016-01-25 2016-01-25 전기회로블럭 KR10184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03A KR101846061B1 (ko) 2016-01-25 2016-01-25 전기회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03A KR101846061B1 (ko) 2016-01-25 2016-01-25 전기회로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072A KR20170089072A (ko) 2017-08-03
KR101846061B1 true KR101846061B1 (ko) 2018-04-06

Family

ID=5965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03A KR101846061B1 (ko) 2016-01-25 2016-01-25 전기회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1656B2 (ja) * 2019-11-21 2023-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給電ブロック、配線ユニット、及び配線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5128A (ja) * 2008-08-11 2010-02-25 Ihi Corp 多層プリント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5128A (ja) * 2008-08-11 2010-02-25 Ihi Corp 多層プリント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072A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256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EP2285195B1 (en)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2100985U (zh) 一种led日光灯管
CA2829582C (en) Modularized contact type of conductive building block
CN206364229U (zh) 连接器
DE60314970D1 (de) Lichtquelle, die eine Glühlampe nachahmt
CY1110279T1 (el) Βυσματικος συνδετηρας καλωδιων για τυπωμενα κυκλωματα
US10673160B2 (en) Circuit board assembly
US11612827B2 (en) Plastic toy brick having electrical contact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said toy brick in the installed st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toy brick
KR101846061B1 (ko) 전기회로블럭
DE602005005138D1 (de) Miniaturisiertes Bilderzeugungsmodul
US3745510A (en) Printed circuit board/integrated circuit socket combination
TW201501768A (zh) 模組化接觸式導電積木
JP3186941U (ja) モジュラー化接触式玩具ブロック
US10505296B1 (en) Track light structure and earth terminal fitting thereof
TWM493165U (zh) 線束組件
KR200400294Y1 (ko) 정션박스용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KR101378464B1 (ko) 교육용 전자회로보드
US20090034267A1 (en) Led lamp
IE44777B1 (en) Electronic experimenting kit
US20140148020A1 (en) Mechanical spacer with non-spring electrical connections for a multip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101846202B1 (ko) 복수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20160015594A (ko) 도전성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자 회로 구성 장치
KR101711729B1 (ko) 투명 회로 키트의 조립 방법
US9562675B2 (en) Two-high light-emitting diode hold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