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816B1 -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16B1
KR102135816B1 KR1020190026238A KR20190026238A KR102135816B1 KR 102135816 B1 KR102135816 B1 KR 102135816B1 KR 1020190026238 A KR1020190026238 A KR 1020190026238A KR 20190026238 A KR20190026238 A KR 20190026238A KR 102135816 B1 KR102135816 B1 KR 10213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fitted
reed switch
feedback
teach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한희정
이상빈
이채은
차보영
오수은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12Electronic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유아용 언어발달교구는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뒷면에 형성된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 근접되어 리드 스위치 온을 해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파악한다.
그래서, 그 리드 스위치가 온될 시, 교구 판에 형성된 녹음부에서 퍼즐의 대상별로 고유한 소리를 미리 녹음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전원 공급의 개시와 수행에 의해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이도록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언어발달교구{Language developing parish employing childre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일반 영유아 또는 언어 치료 등이 필요한 영유아 등의 언어 치료를 하는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이러한 언어 치료가 될 시, 놀이 또는 게임 등을 활용해서 언어 치료를 하는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언어 치료 교구는 치료사 개개인의 수작업에 의존한 교구를 사용하거나 한글교육용 교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특수교육교구가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아동언어치료의 경우 놀이를 통한 다양한 시청각적 교구를 이용해 언어의 개념형성이 이루어져야 하나 언어치료 현장에서는 이러한 치료교구의 부족으로 인해 언어치료사가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특히, 단어를 습득시킬 수 있는 교구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카드, 스크립트, 책 등으로는 아동에게는 다소 평면적이고 정적인 활동으로 아동이 쉽게 지루해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반 영유아들과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 모두에게 흥미를 가지고 언어적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영유아에게도 치료효과가 있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일반 아동들은 단순하게 칭찬과 격려로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지만, 장애아동 같은 경우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학습동기를 이끌어내기에 제한점이 있다.
그래서, 기존의 퍼즐 등의 교구에서 줄 수 없는 시각적 및 청각적 피드백을 이용하여 강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점도 필요하다.
이러한 언어 치료 교구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대표적으로 아래의 특허문헌 정도로서, 대체적으로 선행기술이 적은 편이다.
(특허문헌 1) KR1020110018397 A
참고적으로, 위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언어의 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단어습득과 단어 범주화하기의 치료도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영유아에게 흥미를 가지고 언어적 발달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언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영유아에게도 효과가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특히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이도록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언어발달교구는,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뒷면에 형성된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 근접되어 리드 스위치 온을 해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파악한다.
그래서, 그 리드 스위치가 온될 시, 교구 판에 형성된 녹음부에서 퍼즐의 대상별로 고유한 소리를 미리 녹음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전원 공급의 개시와 수행에 의해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이도록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매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한다면 우선 일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는 대집단 활동에 활용되어 생활주제에 맞게 친숙한 실물들에 대한 이름들을 알아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집단활동 시언어영역 및 수조작영역 교구로 비치되어 2명 이상의 유아가 주사위게임 활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단어와 실물화면을 바로 확인하면서 언어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주사위에 나온 수만큼 말판을 옮기면서 수를 읽고 셀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한글을 모르는 어린연령의 유아에게도 친숙한 단어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하며 또한 새로운 매체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언어치료센터에서는 퍼즐은 어렸을 때부터 즐겼던 친근한 놀이이며 학습도구로서, 퍼즐을 이용하여 학습을 이끌어 가던 학생들은 부담 없이 접근하며, 또한 호기심을 갖고 해결하기 위해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범주화 퍼즐을 아동에게 적용시켰을 때 흥미를 유발한다. 그리고, 뿐만 아니라 앞/뒤를 구분할 수 있는 위치 개념, 사람들이 어떠한 사물을 나타내기 위해 그 사물의 이름, 즉, 낱말을 사용하는 것을 알게 되는 참조원리, 초기 의사소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능력을 높이는 훈련을 목표로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그 훈련은 공동주의하기, 기억확장활동과 기억인출활동을 도와주는 낱말 찾기 훈련이다. 따라서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성, 신체(소근육) 발달 등을 도모하는 교육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동물범주카드의 경우 사자, 원숭이, 강아지 등은 치료실에서의 제약이 있으며 동물을 인지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지만, 증강현실을 언어치료에 적용시킨다면 아동에게 더욱 관심을 끈다. 이에 더하여, 뿐만 아니라 동물의 소리, 특성 등에 대해서도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적 피드백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전술한 청각적 피드백 외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청각적 피드백과 도 3의 시각적 피드백 외에 입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피드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청각적 피드백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교구는 퍼즐의 뒷면에 리드 스위치/자석이 형성된 리드 스위치부(101)와 그 리드 스위치가 온될 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102) 및 퍼즐대상별로 소리를 녹음한 녹음부(103)를 포함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치료 교구는 퍼즐이 판에 대응되는 맞춤 끼움이 될 시, 녹음부(103)에서 대응되는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그 맞춤 끼움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02)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한다.
상기 리드 스위치부(101)는 언어치료가 될 시 퍼즐의 뒷면에 리드 스위치와 자석이 형성되어 퍼즐이 맞춰 끼워졌는지의 여부를 판에 대응되는 퍼즐의 끼움 여부에 따른 리드 스위치에 대한 자석의 근접/이격의 온/오프에 따라 알려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그 리드 스위치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교구 판에 퍼즐이 끼워질 시, 퍼즐 뒷면의 리드 스위치와 자석에서 판에 대응되는 퍼즐의 끼움을 상호 간의 근접에 따른 리드 스위치의 온에 의해 알려 파악한다. 반면, 그 리드 스위치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교구 판에 퍼즐이 끼워질 시, 퍼즐 뒷면의 리드 스위치와 자석에서 판에 대응되지 않는 퍼즐의 끼움을 상호 간의 이격에 따른 리드 스위치의 오프에 의해 알려 파악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교구 판에 퍼즐이 끼워질 시, 그 리드 스위치부(101)에서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는지를 파악해서 이러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의 청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2)는 상기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부(101)의 리드 스위치가 온/오프될 시,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상기 리드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해서 인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 인터페이스부(102)는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이에 따라 리드 스위치도 온될 시,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이러한 리드 스위치의 온에 따라 전기적으로 루프를 형성해서 공급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에 따른 소리재생이 된다. 반면, 그 인터페이스부(102)는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지지 않을 시 이에 따라 리드 스위치도 오프될 시,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이러한 리드 스위치의 오프에 따라 루프가 형성되지 않아서 차단함으로써 청각적 피드백의 소리재생이 안 된다.
상기 녹음부(103)는 그 인터페이스부(102)에 의해 전원이 공급/차단될 시,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미리 녹음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그 전원의 공급/차단에 따라 재생/정지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그 퍼즐의 대상은 일반 영유아 또는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의 언어의 치료가 될 시, 생활주제에 맞게 친숙한 실물 등에 대한 이름 예를 들어, 동물, 과일 등의 이름에서 단어 또는 그림 등을 구성해서 언어치료에 도움이 된다.
상기 청각적 피드백은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상기 녹음부(103)에 미리 녹음된 대응되는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02)에 의해 공급된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재생해서 된다. 그래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장애아동의 영유아 등의 언어치료가 될 시,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치료 교구에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해서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이도록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적 피드백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청각적 피드백의 동작은 퍼즐 판에 대응되는 퍼즐교구를 끼워 맞췄을 시, 맞춰진 퍼즐교구의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제공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퍼즐에서 줄 수 없는 강화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청각적 피드백의 동작은 예를 들어, 사자 모양 틀에 사자 퍼즐교구를 끼워 맞췄을 시, 사자 소리가 나며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고 토끼 퍼즐에 사자퍼즐을 끼워 맞췄을 시 소리가 나지 않아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그 동작은 사자 단어 틀에 사자 퍼즐을 끼워 맞췄을 시 퍼즐 뒤의 자석이 리드 스위치(101)에 근접되어 온 상태로 되므로 녹음부(103)의 사자우는소리를 이러한 온 상태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02)의 전원공급에 의해 출력해서 된다.
반면, 그 동작은 사자 단어 틀에 다른 예를 들어, 아X 퍼즐을 끼웠을 시, 자석이 리드 스위치(101)에 이격되어 오프 상태가 되므로 녹음부(103)의 사자 우는소리를 인터페이스부(102)의 전원차단에 의해 출력하지 않아서 된다.
도 3은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전술한 청각적 피드백 외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각적 피드백 구성은 판에 대응되는 퍼즐이 끼움될 시 시각적 피드백을 주는 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통신 리모컨(104)과 교구에 형성되어 그 신호가 송출될 시 발광하는 표시부(105)를 포함한다. 그래서,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의 구성은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표시부(105)에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104)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신호에 의해 발광해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104)은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판에 대응되는 퍼즐이 끼움된 경우의 시각적 피드백을 주도록 신호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신호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제공해서 시각적 피드백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근거리통신 리모컨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리모컨이다.
상기 표시부(105)는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104)으로부터 상기 신호가 제공될 시, 상기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광부를 퍼즐의 대상별로 퍼즐 주변의 판에 구비해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발광부가 온되어 알려 시각적 피드백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그 표시부(105)는 아동이 퍼즐을 정답에 맞게 끼울 때 마다 교구 틀에 LED 바를 부착해서 근거리통신 리모컨(104)과 연결하여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치료사가 수동적으로 리모컨을 눌러 LED 바에 불빛이 들어오도록 된다. 이러한 경우, 그 수동적인 근거리통신 리모컨을 선택한 이유는 아동이 퍼즐을 끼울 때 마다 LED 바에서 불빛이 나온다면 이러한 불빛만을 아동이 집중하게 될 수 있으므로 수업 활동이 진행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을 해결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수동적인 근거리통신 리모컨을 선택한 이유는 아동이 정답을 맞쳤을 시 정답이라고 알려주는 시각적 피드백을 넣어 아동이 계속 정답을 맞힐 수 있게끔 유도한다.
상기 시각적 피드백은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표시부(105)의 발광부에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104)의 상기 신호에 의해 발광해서 알려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청각적 피드백과 도 3의 시각적 피드백 외에 입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피드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피드백의 구성은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대상별로 특성을 나타내는 VR 영상을 증강현실화해서 입체적 피드백하는 모바일 단말기(401) 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래서,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피드백의 구성은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이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이 촬영될 시 증강현실화해서 입체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VR 영상을 등록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이 촬영될 시 증강현실화해서 제공함으로써 입체적 피드백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범주화 퍼즐과 증강현실 관련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접목시켜 단어카드를 비쳤을 때 관련된 영상이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입체적 피드백은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이 촬영될 시 증강현실화해서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그 입체적 피드백은 스마트폰 또는 아이패드로 촬영될 시, 이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교구 판에 그려져 있는 사자의 달리는 모습을 대응되는 VR 영상에 따른 재생에 의해 증강현실화해서 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아동은 사자그림과 영상을 통하여 어휘 이해와 어휘 습득력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또한 현대사회에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놀잇감이나 생활이 많아지면서 아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구를 만들어 더 흥미를 가지고 놀이와 치료를 함께 한다.
따라서, 더 나아가서 예를 들어 동물범주카드의 경우 사자, 원숭이, 강아지 등은 치료실에서의 제약이 있으며 동물을 인지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증강현실을 언어치료에 적용시킨다면 아동에게 더욱 관심을 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뿐만 아니라 동물의 소리, 특성 등에 대해서도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도 4의 입체적 피드백이 될 시 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영유아에 맞는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의 외형에 따라 예를 들어, 크기, 형태, 단어 개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해서 맞춤교육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입체적 피드백이 될 시, 퍼즐의 대상의 외형유형별로 예를 들어, 크기, 형태, 단어 개수 등에 따라 증강현실 정도를 예를 들어, 증강현실화 속도, 색상, 사이즈 등을 상이하게 설정해서 된다.
그래서, 퍼즐이 맞춰 끼워진 경우의 입체적 피드백될 시, 퍼즐의 대상의 외형유형별로 상이한 증강현실 정도의 상태에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이러한 퍼즐의 대상의 외형유형의 증강현실 정도에 따라 증강현실화해서 된다.
도 5는 도 1의 유아용 언어발달교구에 적용된 청각적 피드백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언어 치료 교구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언어발달교구는 먼저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뒷면에 형성된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 근접되어 리드 스위치 온을 해서(S501)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파악한다.
그러면, 이러한 리드 스위치가 온될 시, 교구의 판에 형성된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리드 스위치의 온에 따라 녹음부에 공급해서(S502) 청각적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그 녹음부는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미리 녹음한다.
그래서, 이렇게 녹음부에 전원이 공급될 시, 상기 녹음부에서 미리 녹음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S503).
따라서, 이를 통해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하고,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인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교구 판에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뒷면에 형성된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 근접되어 리드 스위치 온을 해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파악한다.
그래서, 그 리드 스위치가 온될 시, 교구 판에 미리 형성된 녹음부에서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녹음해 두었다가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전원 공급의 개시와 수행에 의해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언어치료가 필요한 영유아에게 칭찬과 격려만으로는 부족한 학습동기를 높이도록 기존의 퍼즐 등에서 줄 수 없는 강화를 제공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리드 스위치부 102 : 인터페이스부
103 : 녹음부 104 : 근거리통신 리모컨
105 : 표시부

Claims (4)

  1. 언어치료가 될 시, 퍼즐의 뒷면에 리드 스위치와 자석이 형성되어 퍼즐이 맞춰 끼워졌는지의 여부를 판에 대응되는 퍼즐의 끼움 여부에 따른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자석의 근접/이격의 온/오프에 따라 알려 파악하는 리드 스위치부;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온/오프될 시,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상기 리드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공급 또는 차단해서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될 시,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을 나타내는 소리를 미리 녹음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상기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에 따라 재생/정지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녹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리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 상기 녹음부에 미리 녹음된 대응되는 퍼즐의 대상의 소리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공급된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재생해서 청각적 피드백을 하고,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퍼즐의 대상별로 대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VR 영상을 등록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이 촬영될 시 증강현실화해서 제공함으로써 입체적 피드백을 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퍼즐의 대상이 촬영될 시 증강현실화해서 제공함으로써 입체적 피드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판에 대응되는 퍼즐이 끼움된 경우의 시각적 피드백을 주도록 신호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신호를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제공해서 시각적 피드백이 되도록 하는 근거리통신 리모컨; 및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신호가 제공될 시, 상기 시각적 피드백에 따른 발광부를 퍼즐의 대상별로 퍼즐 주변의 판에 구비해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상기 발광부가 온되어 알려 시각적 피드백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졌을 시, 상기 표시부의 발광부에서 퍼즐이 맞춰 끼워졌음을 상기 근거리통신 리모컨의 상기 신호에 의해 발광해서 알려 시각적 피드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퍼즐이 맞춰 끼워진 경우 입체적 피드백이 될 시 퍼즐의 대상의 외형유형별로 증강현실 정도를 상이하게 미리 설정해서 맞춰 끼워진 퍼즐의 대상의 VR 영상을 대응되는 퍼즐의 대상의 외형유형의 증강현실 정도에 따라 증강현실화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KR1020190026238A 2019-03-07 2019-03-07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KR10213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38A KR102135816B1 (ko) 2019-03-07 2019-03-07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238A KR102135816B1 (ko) 2019-03-07 2019-03-07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816B1 true KR102135816B1 (ko) 2020-07-21

Family

ID=718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238A KR102135816B1 (ko) 2019-03-07 2019-03-07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20Y1 (ko) * 2005-07-02 2005-09-23 박석순 언어 교육용 완구
KR20150076678A (ko) * 2013-12-27 2015-07-07 유한책임회사 클로즈 유아용 다기능 모빌
KR20170071136A (ko) * 2015-12-15 2017-06-23 홍성은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KR20190002850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20Y1 (ko) * 2005-07-02 2005-09-23 박석순 언어 교육용 완구
KR20150076678A (ko) * 2013-12-27 2015-07-07 유한책임회사 클로즈 유아용 다기능 모빌
KR20170071136A (ko) * 2015-12-15 2017-06-23 홍성은 블록문자와 음성을 이용한 다국 언어학습기
KR20190002850A (ko) *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508B1 (ko)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퍼즐 시스템
US4846693A (en) Video based instructional and entertainment system using animated figure
US20130260886A1 (en) Multi-sensory Learning Game System
US20030139113A1 (en) Interactive toy
US20080145823A1 (en) Toy for use with vertical surfaces
WO2015113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a targeted object on an interactive surface to produce a response
WO2013006139A1 (en) A tangible user interface and a system thereof
JPH08299593A (ja) コンピュータとの対話型遊技装置及び方法
Considine Visual literacy and the curriculum: More to it than meets the eye
US20100248828A1 (en) Educational toy
Eriksson et al. Computer game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KR102135816B1 (ko)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Veronese et al. Off-the-shelf, robotic toys and physically impaired children: an analysis and suggested improvements
KR20190107962A (ko) 음악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H03114487A (ja) 音声ゲーム機
KR20140092598A (ko)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Yamamoto et al. Trial of using robotic pet as human interface of multimedia education system for pre-school aged child in kindergarten
Warner Preschool classroom management: 150 teacher-tested techniques
Fisher et al. Learning as play
Weng et al. Research on Children's English Situational Teaching in Immersion Environment——Taking the Small Stars English Class as an example
KR20160000739A (ko) 학습용 디지털 조립완구 시스템
KR20010044295A (ko) 블록(Block) 삽입식 시청각퍼즐(영·유아용)
CN103065516A (zh) 幼儿启蒙助教仪
KR200283625Y1 (ko)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학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