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850A -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850A
KR20190002850A KR1020170083070A KR20170083070A KR20190002850A KR 20190002850 A KR20190002850 A KR 20190002850A KR 1020170083070 A KR1020170083070 A KR 1020170083070A KR 20170083070 A KR20170083070 A KR 20170083070A KR 20190002850 A KR20190002850 A KR 2019000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gmented reality
display
puzzle
b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499B1 (ko
Inventor
한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한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한상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에이알
Priority to KR102017008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12Electronic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044Display board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즐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오브젝트, 즉 아이템을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하여 게임이나 실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전자기기와 다양한 오브젝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Puzzle completion typ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system and a variety of articles used therefor}
본 발명은 현시된 컨텐츠에 대한 증강 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기기의 보편화와 IT 기술 인프라의 보급화에 의해 전자통신기기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제공이나 홍보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통신 기기에서 접목된 기술로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혼합된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강 현실은 현실의 이미지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주는 현시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시 현실의 공간에 다양한 정보를 덧씌워 보여주는 증강 현실(AR; Agu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단순 가상 현실 기술에 비하여 3차원 가상 환경에 실사영상도 같이 제공하여 현실 환경과 가상환경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체감할 수 없는 정보들을 제공받고 또는, 교육,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증강 현실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출원인은 한국 특허 제1714983호에서, 제품에 표시된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통해 문자,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을 현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특허는 기 완성된 제품의 이미지를 증강 현실에 투영하기 위한 것이며, 퍼즐의 끼워 맞춤으로 일체로 완성되는 아이템에 대한 증강 현실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퍼즐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오브젝트(object)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지기와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은: 증강 현실 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object); 및 촬상부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는 n×m 행열의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subject)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을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세그먼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분할 서브젝트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배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 완성된 오브젝트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 상기 이미지 배열이 표시된 분할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는 (1) 실제 화면을 배경으로 조정되거나, (2) 게임 영역 또는 체험 시뮬레이션 영역으로 전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의 오브젝트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복수의 세그먼트는 복수의 퍼즐 조각이며, 상기 퍼즐 조각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일 때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를 형성하는, 오브젝트를 제공한다.
상기 오브젝트의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학습용 또는 놀이용 교재, 서적 또는 보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탈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이며,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의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자기기의 화면에서 증강 현실 이미지로 표시되는 오브젝트로서, 상기 오브젝트는 n×m 행열의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굵은 선, 색채 선 또는 입체 윤곽으로 배경 이미지와 구별된 분할 이미지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된, 오브젝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즐 완성형 오브젝트의 구현으로 사용자, 특히 어린이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게임이나 시뮬레이션 체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흥미와 교육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퍼즐 완성형 오브젝트는 전자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으므로, 기술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고, 어플리케이션과 더불어 상품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이미지를 구현하는 동작을 보인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도,
도 4는 유아용의 퍼즐 맞추기 게임으로서, 차량을 오브젝트로 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이미지의 활용예를 보인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1)은 제작 대상인 실제 오브젝트(object)를 이루는 분할 서브젝트(subject)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체 또는 부분 이미지가 완성된 경우 이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증강 현실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4;object)는 퍼즐 조각과 같은 분할 서브젝트(subject)로 조립 또는 일체화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제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퍼즐 조각으로 맞추는 캐릭터, 상품, 풍경, 건축물, 차량 등을 구현한 종이, 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모든 제품이 이에 해당한다.
오브젝트(4)를 이루는 서브젝트군은 도시한 예에서는 가로 4행, 세로 3열로 배열된 분할 서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다. 편의상, 가로 n행, 세로 m열에 배열된 분할 서브젝트는 4(n,m)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분할 서브젝트가 모여 서브젝트군을 이루고, 서브젝트군은 오브젝트(4)를 이룬다.
분할 서브젝트((4(1,1),…,4(4,3))는 물리적으로 또는 현실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각각의 세그먼트가 행과 열에 맞추어 고유 위치에 정렬될 때 분할 서브젝트가 되며, 그렇지 않으면 분할 서브젝트를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리된 퍼즐 조각이 세그먼트이며, 임의의 분리된 퍼즐 조각이 제 위치에 놓일 때 분할 서브젝트가 된다. 모든 분할 세그먼트가 고유 위치에 정렬될 때 서브젝트군이 형성되고, 오브젝트(4)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1)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2)를 포함한다. 전자기기(2)는 카메라와 같은 촬상부(C)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C)와 디스플레이(D)가 있는 한 전자기기는 컴퓨터, 태블릿 PC, 캠코더, 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촬상부(C)는 오브젝트(4)의 형성 과정 즉 세그먼트, 분할 서브젝트, 서브젝트군의 이미지를 차례대로 실시간 촬영하여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한다. 그리고, 오브젝트(4)가 완성되었을 때 최종 이미지는 증강 현실 이미지(Vr)로 전환된다. 증강 현실 이미지(Vr)는 디스플레이(D)의 다른 영상, 예를 들어 배경 화면이나 인물과는 독립한 이미지로 표시되며, 각도, 크기, 상태 및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전자기기(2)에는 촬상부(C)와 디스플레이(D)의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촬상부(C)는 오브젝트(4) 형성 과정 촬영을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도이다.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제어부(22)와, 영상획득부(24)와, 메모리(26)와 영상 출력부(28)를 포함한다.
메모리(26)에는 오브젝트(O)의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 배열(I(n,m))이 저장되어 있다.
영상획득부(24)는 촬상부(C)를 통하여 오브젝트(4) 형성 과정의 이미지, 예를 들어 세그먼트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촬상부(C)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시점부터, 촬영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영상획득부(24)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는 영상출력부(28)를 통하여 디폴트로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다.
제어부(22)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그램에는 세그먼트가 놓여야 할 순서를 지시하는 일련의 명령 코드가 기입되어 있다. 제어부(22)는 명령 코드를 판독하여 해당하는 순서의 이미지 배열(I(n,m))을 결정한다. 제어부(22)는 영상획득부(24)를 통하여 전송된 이미지가 이미지 배열(I(n,m))과 일치하는 경우, 이를 분할 서브젝트(4(n,m))로 판단하고, 해당하는 이미지를 영상 출력부(28)를 통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4)가 동물이고, 동물을 이루는 퍼즐 조각이 가로 5행, 세로 4열의 20개이면, 세그먼트는 20개이다. 사용자가 블랭크 위에 처음으로 (5,3)번 퍼즐 조각을 놓아야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22)는 명령 코드를 판독하고, 촬상부(C)가 촬영한, 사용자가 블랭크(blank)위에 놓은 세그먼트 이미지를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배열(I(5,3))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하면 이를 적절한 분할 서브젝트(4(5,3))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모든 세그먼트가 분할 서브젝트로 인식되어 서브젝트군을 이루고, 오브젝트(4)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가 완성되면, 전체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Vr)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 과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전자기기(2)의 디스플레이(D)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처음 디스플레이(D)에는 디폴트로 실사 중인 화면에 더하여, 오브젝트(4)의 전체 윤곽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오브젝트(4)가 12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22)가 판독하는 명령 코드, 즉 세그먼트의 배열 순서는 사전 정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 세그먼트의 배열을 올바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D)의 분할 화면에 세그먼트가 놓여야 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1”, “2”,…,”12”의 기호를 단계 마다 표시할 수 있다.
처음 위치되어야 할 세그먼트가 (2,2)인 경우, 사용자가 블랭크 위에 해당하는 세그먼트를 놓으면, 제어부(22)는 촬상부(C)가 촬영한 이미지가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배열(I(2,2))와 일치하므로 세그먼트를 분할 서브젝트(4(2,2))로 판단하고, 이미지 배열(I(2,2))을 디스플레이(D)에 전송한다. 전송된 배열은 디스플레이(D) 상에서는 분할 이미지(S(2,2))로 표시된다. 이미지 배열(I(2,2))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분할 서브젝트(4(2,2))로 판단하지 않으며, 분할 이미지(S(2,2))는 생성되지 않고, 촬상부(C)가 전송하는 실제 화면(즉, 육안으로 인식되는 실제 화면)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세그먼트가 적절한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다른 세그먼트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촬상부(C)가 촬영한 이미지가 오브젝트(4)를 전체적으로 또는 상당 부분을 포함하도록 스캔하는 것으로 이미지 배열(I(2,2))에 대응하는 세그먼트가 존재하는지 충분히 식별할 수 있다.
분할 이미지(S(2,2))는 예를 들어 굵은 선, 색채 선 또는 입체 윤곽으로 표현되어 실제 화면과 구별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세그먼트를 찾았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위치되어야 할 세그먼트가 (3,1)인 경우, 사용자가 블랭크 위에 해당하는 세그먼트를 놓으면, 제어부(22)는 촬상부(C)가 촬영한 세그먼트의 이미지가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배열(I(3,1))과 일치하므로 이를 디스플레이(D)에 표시한다. 표시된 화면은 분할 이미지(S(3,1))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위치되어야 할 세그먼트가 (4,3)인 경우, 사용자가 블랭크 위에 해당하는 세그먼트를 놓으면, 제어부(22)는 촬상부(C)가 촬영한 이미지가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배열(I(4,3))과 일치하므로 이를 디스플레이(D)에 표시한다. 표시된 화면은 분할 이미지(S(4,3))로 표시되어 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분할 서브젝트(4(n,m))가 완성되면, 분할 이미지(S(n,m))도 완성되며, 오브젝트(4)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가 형성된다.
제어부(22)는 전체 이미지 중에서 예를 들어 분할 이미지(S(n,m))간의 경계선을 소거하는 등의 필터링 작업을 거친 후 전체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Vr)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증강 현실 이미지(Vr)는 실제 화면과 독립한 이미지로, 각도, 크기 및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에서는 45도 회전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증강 현실 이미지(Vr)의 활용에 대해서는 출원인의 선특허출원번호 10-2017-0075612호에 개시한 것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선특허출원은 여기서의 언급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증강 현실 이미지(Vr)를 실제 화면을 배경으로 조정하거나, 다른 고유 영역으로 전이하여 예를 들어 게임을 하거나 또는 체험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 어플리케이션의 구축에 있어서는 선정된 오브젝트(4)를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에 맞는, 즉 분할 서브젝트(4(n,m))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I(n,m))을 메모리에 사전 기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하는 한 어떠한 현실의 물건도 오브젝트(4)로 어플리케이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4는 유아용의 퍼즐 맞추기 게임으로서, 차량을 오브젝트(4)로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그먼트는 9개 존재하며, 각각의 세그먼트가 순서에 따라 제 위치에 자리 잡은 경우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4(n,m))로 인식된다.
서브젝트군이 완성되어 차량 전체 이미지가 도 5(a)와 같이 증강 현실 이미지(Vr)가 되면 사용자는 실사 화면을 배경으로 증강 현실 이미지(Vr)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화면 좌측 상단의 “1”, “2”, “3”, “4”의 기호를 클릭하면 이미지는 각각 회전, 주행, 가속, 및 감속되어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도 5(b)는 증강 현실 이미지(Vr)를 다른 고유 영역으로 이동시켜 드라이빙 게임을 즐기는 화면이고, 도 5(c)는 체험 시뮬레이션으로서 안전벨트 착용을 교육하는 화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가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4(n,m))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되는 분할 이미지(S(n,m))를 바로 증강 현실 이미지(Vr)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4)가 동물원인 경우, 사자 우리, 코끼리 우리, 관람객, 숲, 도로 등을 각각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제어부(22)는 명령 코드에 따라 예를 들어 사자 우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이미지가 이미지 배열(I(n,m))과 일치하는 경우 분할 서브젝트로 판단하고, 관련된 이미지 배열(I(n,m))에 대응하는 분할 이미지(S(n,m))를 디스플레이(D)에 표시함과 동시에 이를 증강 현실 이미지(Vr)로 전환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이미지(Vr) 내의 사자를 클릭하여 걷거나 달리게 할 수 있다.
코끼리 우리, 관람객 등에 해당하는 세그먼트에 대해서도, 모든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Vr)가 완성되기까지 같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9)

  1.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증강 현실 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object); 및
    촬상부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는 n×m 행열의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subject)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을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세그먼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분할 서브젝트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배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 완성된 오브젝트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하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 상기 이미지 배열이 표시된 분할 이미지를 증강 현실 이미지로 전환하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는 (1) 실제 화면을 배경으로 조정되거나, (2) 게임 영역 또는 체험 시뮬레이션 영역으로 전이되는,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3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의 오브젝트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복수의 세그먼트는 복수의 퍼즐 조각이며, 상기 퍼즐 조각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일 때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를 형성하는, 오브젝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학습용 또는 놀이용 교재, 서적 또는 보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탈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이며,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오브젝트.
  7. 제 1항 내지 제3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시스템의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8. 전자기기의 화면에서 증강 현실 이미지로 표시되는 오브젝트로서, 상기 오브젝트는 n×m 행열의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어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굵은 선, 색채 선 또는 입체 윤곽으로 배경 이미지와 구별된 분할 이미지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된, 오브젝트.
  9. 퍼즐 완성형 증강 현실 어플리케이션과 이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로서, 상기 시스템은 증강 현실 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object); 및
    촬상부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는 n×m 행열의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각각의 분할 서브젝트(subject)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분할 서브젝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배열을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세그먼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될 때 분할 서브젝트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배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의 제품은,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학습용 또는 놀이용 교재, 서적 또는 보드, 의류나 프린트된 원단, 광고원단, 종이, 열쇠고리, 모자, 가방의 공산품, 카탈로그, 잡지, 광고지, 서적, 커튼, 카페트, 벽지, 달력, 시트지, 이불, 매트, 인테리어용품, 마개나 뚜껑, 용기, 자석교구, 나무교구, 완구, 색칠북, 교재 및 포장지, 택(tag), 이미지, 마크 및 글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제품의 외관, 택 또는 제품 내부에 제공되는 카드의 이미지나 마크, 글자를 표시한 표시한 모든 제품인,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1020170083070A 2017-06-30 2017-06-30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KR10194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70A KR101940499B1 (ko) 2017-06-30 2017-06-30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70A KR101940499B1 (ko) 2017-06-30 2017-06-30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50A true KR20190002850A (ko) 2019-01-09
KR101940499B1 KR101940499B1 (ko) 2019-04-10

Family

ID=6501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070A KR101940499B1 (ko) 2017-06-30 2017-06-30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16B1 (ko) * 2019-03-07 2020-07-21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KR102191570B1 (ko) * 2019-06-28 2020-12-15 박정식 퍼즐 조립 기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922B1 (ko) * 2021-01-21 2022-10-0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이퍼토이 기반 ar인터랙티브 교육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714A (ja) * 2012-06-13 2013-12-26 Tenyo Co Ltd ジグソーパズル画像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15109097A (ja) * 2014-12-26 2015-06-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KR20150067649A (ko) * 2013-12-10 2015-06-18 이복동 증강현실 기반의 체감형 퍼즐 학습 교구
KR101561267B1 (ko) * 2014-12-10 2015-10-26 (주)한스 증강현실을 접목한 제품과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통합 애플리케이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714A (ja) * 2012-06-13 2013-12-26 Tenyo Co Ltd ジグソーパズル画像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150067649A (ko) * 2013-12-10 2015-06-18 이복동 증강현실 기반의 체감형 퍼즐 학습 교구
KR101561267B1 (ko) * 2014-12-10 2015-10-26 (주)한스 증강현실을 접목한 제품과 다양한 추가기능이 탑재된 통합 애플리케이션시스템
JP2015109097A (ja) * 2014-12-26 2015-06-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16B1 (ko) * 2019-03-07 2020-07-21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언어발달교구
KR102191570B1 (ko) * 2019-06-28 2020-12-15 박정식 퍼즐 조립 기반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99B1 (ko)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1318B (zh) 基于增强现实技术的点读方法及系统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40499B1 (ko) 퍼즐 완성형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어플리케이션, 오브젝트 및 전자기기
KR20190051779A (ko)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N103530594A (zh) 一种提供增强现实的方法、系统及终端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2411854A (zh) 基于增强现实的课堂教学混合技术应用系统及方法
EP1779372A2 (en) Portable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
CN106713896A (zh) 静态图像的多媒体呈现方法、装置和系统
CN103077668A (zh) 农产品虚拟互动展示系统及方法
US10997418B2 (en) Augmented, virtual and mixed-reality content selection and display
CN106200960A (zh) 电子互动产品的内容显示方法及装置
CN110968239B (zh) 一种展示对象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90098116A (ko)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CN111625100A (zh) 图画内容的呈现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13451A (ko)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접목한 제품현시시스템
CN114153548A (zh) 一种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780761A (zh) 基于增强现实技术的自闭症儿童兴趣点信息采集系统
KR200489627Y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CN107909654A (zh) 基于ar技术的家居设计体验系统
CN114328998A (zh) 一种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470190A (zh) 场景显示方法及装置、设备、车辆、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101620A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JP4161769B2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画像出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配信サーバ、画像配信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3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6

Effective date: 2018070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