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58B1 -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 Google Patents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58B1
KR101927758B1 KR1020170029269A KR20170029269A KR101927758B1 KR 101927758 B1 KR101927758 B1 KR 101927758B1 KR 1020170029269 A KR1020170029269 A KR 1020170029269A KR 20170029269 A KR20170029269 A KR 20170029269A KR 101927758 B1 KR101927758 B1 KR 10192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ule
generating module
generation module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749A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4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with sound e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과 음생성 모듈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를 포함하며, 음생성 모듈의 베이스부에는 후속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후속음 연결부와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과 함께 재생될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화음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고, 재생모듈에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재생모듈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로부터 시작해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음생성 모듈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다른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을 해당 음생성 모듈의 음과 함께 화음으로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Assembly toy for musical education}
본 발명은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멜로디의 음악부터 화음이나 다성부를 포함하는 복잡한 멜로디의 음악까지 쉽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일반적으로 아이들에게 놀이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된 물건으로, 최근에는 아이들이 완구를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학습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과학이나 음악 등의 학습 기능이 부가된 완구 제품들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조립 블록 형태의 완구에 음악 형성 및 재생 기능을 부가해 블록 완구를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과학적·음악적 사고가 학습될 수 있도록 구성된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완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음정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블록(20)을 구비해, 사용자가 블록(20)을 본체(30)에 임의로 배열하면 블록(20)의 배열 순서에 따라 블록(20)에 내장된 음이 순차적으로 재생되어 멜로디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완구(10)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블록(20)을 다양한 배열로 조합해 보면서 자연스럽게 음악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되고, 재생되는 멜로디를 들으면서 완구를 가지고 놀 수 있게 되어 보다 큰 흥미를 가지고 완구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완구는 특정 음정의 음을 발생시키는 블록을 순차적으로 배열해 멜로디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멜로디의 음악만 형성/재생할 수 있을 뿐, 다수의 음계로 구성된 화음(도 19에 도면부호 810, 820, 840, 850으로 표시된 음)이나 다성부 구조로 구성된 복잡한 멜로디(도 20에 도시된 멜로디)의 음악은 형성/재생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 연령층이 조금만 높아져도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지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아주 기초적인 수준의 음악 학습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화음이나 다성부 등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구조의 음악까지도 쉽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폭넓은 연령층의 사용자들이 오랜 시간 흥미를 가지고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층 더 효과적인 음악 학습이 가능한 완구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공보 제10-130334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멜로디의 음악 뿐만 아니라 화음이나 다성부를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멜로디의 음악도 쉽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놀이 및 음악 학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과 음생성 모듈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를 포함하며, 음생성 모듈의 베이스부에는 후속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후속음 연결부와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과 함께 재생될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화음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고, 재생모듈에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재생모듈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로부터 시작해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음생성 모듈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다른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을 해당 음생성 모듈의 음과 함께 화음으로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에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는 음생성 모듈을 재생모듈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나 다른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 또는 화음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재생모듈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 및 화음 연결부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음길이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옥타브를 조절하는 옥타브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일측 단부에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며,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결합홈에 음생성 모듈의 결합돌기를 결합해 음생성 모듈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이용해 음악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형성 방법은, 멜로디의 시작음에 해당하는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을 재생모듈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하고, 멜로디의 진행 순서에 따라 해당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을 앞선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에 연결하고, 복수의 음계로 형성된 화음은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연결함으로써 멜로디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과, 음생성 모듈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를 포함하고, 재생모듈에는 복수의 음형성 영역이 구비되고,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는 음생성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미리 정해진 음형성 영역의 순서에 따라 음형성 영역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동일한 음형성 영역 내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들은 함께 화음으로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복수의 재생모듈이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재생모듈을 통해 별도의 멜로디를 독립적으로 형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단위부재를 상호 연결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는 음생성 모듈을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구비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구비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는 이러한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음길이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옥타브를 조절하는 옥타브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일측 단부에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며,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결합홈에 음생성 모듈의 결합돌기를 결합해 음생성 모듈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이용해 음악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형성 방법은, 멜로디의 진행 순서에 따라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형성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음생성 모듈을 연결하고, 복수의 음계로 형성된 화음은 하나의 음형성 영역 내에 형성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함께 연결해 멜로디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과 음생성 모듈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를 포함하고, 음생성 모듈의 베이스부에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과 함께 재생될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화음 연결부가 구비되며, 재생모듈에는 복수의 음형성 영역이 구비되고,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는 음생성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음생성 모듈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미리 정해진 음형성 영역의 순서에 따라 음형성 영역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되,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다른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을 해당 음생성 모듈의 음과 함께 화음으로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복수의 재생모듈이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재생모듈을 통해 별도의 멜로디를 독립적으로 형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은 단위부재를 상호 연결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는 음생성 모듈을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구비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구비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는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음길이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옥타브를 조절하는 옥타브 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일측 단부에 음생성 모듈의 연결막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며,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는 결합홈에 음생성 모듈의 결합돌기를 결합해 음생성 모듈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이용해 음악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형성 방법은, 멜로디의 진행 순서에 따라 재생모듈의 음형성 영역에 형성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음생성 모듈을 연결하고, 복수의 음계로 형성된 화음은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음생성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멜로디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의 연결을 통해 단일 음계로 구현된 음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멜로디의 음악 뿐만 아니라 복수의 음계로 구성된 화음을 포함하는 복잡한 멜로디의 음악도 용이하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음악 학습 및 놀이 기능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독립적으로 진행하는 복수의 멜로디를 형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멜로디로 구성된 다성부 구조의 음악도 쉽게 형성 및 재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높은 수준의 음악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음악 학습 기능을 구비한 완구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악 학습 기능을 구비한 완구의 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악 학습 기능을 구비한 완구의 블록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의 음생성 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음생성 모듈의 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의 재생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재생모듈의 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재생모듈의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에 이용될 수 있는 음길이 조절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에 이용될 수 있는 옥타브 조절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의 음생성 모듈에 음길이 조절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의 음생성 모듈에 음길이 조절부재 및 옥타브 조절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이용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로 형성/재생할 수 있는 화음(다수의 음계로 구성된 음)이 포함된 연주곡 악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로 형성/재생할 수 있는 다성부 곡조의 연주곡 악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도 4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음생성 모듈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음악 멜로디를 형성해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200)과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생성 모듈(200)은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10)와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의 형상을 갖는 연결막대부(220)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막대사탕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부(210)와 연결막대부(220)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별개의 부재로 형성된 이후 공지의 체결방법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은 음생성 모듈의 상호 연결을 위한 체결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돌기(230)를 형성하고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 결합돌기(230)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240)을 형성해 음생성 모듈(20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생성 모듈(2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은 원기둥, 다각기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막대부(22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를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돌출부로 형성하고, 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결합홈(240)은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리세스로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결합홈(240)은 후속음 연결부(242)와 화음 연결부(244)로 구성될 수 있다. 후속음 연결부(242)는 해당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되는 음에 이어지는 후속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이며, 화음 연결부(244)는 해당 음생성 모듈(200)과 함께 재생될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200)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화음 연결부(242)는 보다 다양한 화음 구성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하나의 후속음 연결부(242)를 형성하고 베이스부(210)의 측면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화음 연결부(244)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후속음 연결부(242) 및 화음 연결부(244)의 개수 및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의 음생성 모듈(200)의 구성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의 음생성 모듈(200)은 제어부(250), 음정보 저장부(260), 전력부(270), 신호 전달부(2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음생성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음정보 저장부(260)는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력부(270)는 재생모듈(300)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음생성 모듈(200)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 전달부(280)는 음정보 저장부(260)에 저장된 음정보를 선행 음생성 모듈(200)이나 재생모듈(300) 등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부(270) 및/또는 신호 전달부(280)에 의한 전력 및/또는 신호의 전달은 전기접촉부 등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구현되어도 좋고,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송수신되도록 구현되어도 좋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기접촉부의 접촉을 통해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음생성 모듈(200)의 전력부(270) 및 신호 전달부(280)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30)의 단면에 전기접촉부[전력 단자(232) 및 신호 단자(234)]를 구비해, 음생성 모듈(200)이 다른 음생성 모듈(200)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돌기(230)에 형성된 전기접촉부[전력 단자(232) 및 신호 단자(234)]가 음생성 모듈(200)의 결합홈(240)에 형성된 전기접촉부[후속음 연결부(242)에 형성된 전력 단자(242a) 및 신호 단자(242b), 화음 연결부(244)에 형성된 전력 단자(244a) 및 신호 단자(244b)]에 접촉되면 전력 및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에는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의 음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200)은 베이스부(210) 및/또는 연결막대부(220)에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되는 음의 음계 정보(도, 레, 미, 파, 솔, 라, 시)를 글자 또는 기호로 표시하거나, 베이스부(210) 및/또는 연결막대부(220)를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빨, 주, 노, 초, 파, 남, 보)으로 형성해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되는 음의 음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생성 모듈에 생성되는 음의 음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음생성 모듈이 어떤 음을 생성하는지를 쉽게 구별하면서 조립 완구를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쉽게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의 재생모듈(30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재생모듈(300)은 음생성 모듈(200)의 상호 연결을 통해 형성된 음악 멜로디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의 재생모듈(300)에는 음생성 모듈(200)을 연결하기 위한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는 음생성 모듈(200)의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즉,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 형성된 후속음 연결부(242) 및 화음 연결부(244)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에 멜로디의 시작음에 해당하는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200)을 연결하게 되면, 음생성 모듈(200)의 결합돌기(230)에 형성된 전기접촉부[전력 단자(232) 및 신호 단자(234)]와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에 형성된 전기접촉부[전력 단자(310a) 및 신호 단자(310b)]의 접촉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어,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스피커(3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300)에 구비되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재생모듈(300)의 상부면, 양측면, 후면에 각각 1개씩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를 형성해 총 4개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재생모듈(300)에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를 복수개 구비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생성 모듈 연결부별로 독립적으로 음생성 모듈(200)을 연결해 복수의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다성부 구조의 음악을 형성/재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300)은 통상의 음악 재생 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재생모듈(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30),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 음생성 모듈(200)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전달부(350), 음생성 모듈(200) 등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60),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음악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부(370), 음악의 재생이나 볼륨 등을 조절하는 조작부(3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300)은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와 같은 구조(예컨대, 대략 원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재생모듈(300)를 형성하게 되면, 음생성 모듈(200)과 재생모듈(300)의 조합이 마치 화학의 원자 구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게 되어, 사용자들은 놀이 및/또는 음악 학습을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자 구조 등의 형태에 친숙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완구를 통해 기본적인 과학적 소양을 함께 배양할 수 있는 부수적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재생모듈(300)의 구조는 반드시 원형의 구조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 9에 도시된 직육면체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음생성 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음길이 조절부재(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2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길이 조절부재(400)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에 결합되어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음길이 조절부재(400)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돌기(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러한 결합돌기(410)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420)이 형성되며, 결합돌기(410)의 단면에는 전기접촉부[전원 단자(412) 및 신호 단자(414)]가 구비되고, 결합홈(420)의 대응되는 단면에는 전기접촉부[전원 단자(422) 및 신호 단자(4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의 옥타브를 조절하는 옥타브 조절부재(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1 및 도 13 참조). 옥타브 조절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음길이 조절부재(40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옥타브 조절부재(500)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와 동일한 결합돌기(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이러한 결합돌기(510)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홈(520)이 형성되며, 결합돌기(510)의 단면에는 전기접촉부[전원 단자(512) 및 신호 단자(514)]가 구비되고, 결합홈(520)의 대응되는 단면에는 전기접촉부[전원 단자(522) 및 신호 단자(5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앞서 설명한 음길이 조절부재(400), 옥타브 조절부재(500) 이외에도 음을 반음 올리거나 반음 내리는 등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된 음의 음정을 조절하는 음정 조절부재 등과 같이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의 조절부재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음길이 조절부재(400), 옥타브 조절부재(500) 등과 같은 조절부재는 음생성 모듈(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내부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음길이 조절부재(400), 옥타부 조절부재(500) 등과 같은 조절부재는 내부에 제어부, 음정보 저장부, 전력부, 신호 전달부 등을 구비해, 전기접촉부가 음생성 모듈(200) 및/또는 재생모듈(300)에 형성된 전기접촉부와 접촉되면 결합된 음생성 모듈(2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음정보를 조절부재의 음정보 저장부에 형성된 음정보[음길이 조절부재(400)에 저장된 음길이 정보(예컨대, 4분음표, 8분음표, 16분음표 등), 옥타브 조절부재(500)에 저장된 옥타브 조절 정보(예컨대, 옥타브 올림 또는 옥타브 내림), 음정 조절부재에 저장된 음정 조절 정보(예컨대, 반음 올림 또는 반음 내림) 등]와 함께 앞쪽의 음생성 모듈 또는 재생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음생성 모듈(200)의 음정보 저장부(260)에 기초적인 음정보(예컨대, 음계 정보)에 더하여 음길이, 옥타브, 음정 조절 등의 정보를 모두 포함시켜, 음생성 모듈(200)만으로 정확한 음정 및 길이의 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와 같이 음생성 모듈(200)에 모든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음정 및 음길이를 구현하기 위해 굉장히 많은 종류의 음생성 모듈(200)을 형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음생성 모듈(200)에 더하여, 음길이 조절부재, 옥타브 조절부재, 음정 조절부재 등을 별도의 부재로 형성해 음생성 모듈(200)에 결합하여 이용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이들 부재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음정 및 음길이를 갖는 음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멜로디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을 통해 멜로디를 형성한 다음 재생모듈(300)에 형성된 조작부를 통해 재생 명령을 내리게 되면, 재생모듈(300)은 제어부를 통해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200)부터 시작해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음생성 모듈(200)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음생성 모듈(200)의 화음 연결부(244)에 다른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어 있으면 화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을 해당 음생성 모듈의 음과 함께 화음으로 재생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단일 음계로 구현된 음(예컨대, 도 19의 악보에서 도면부호 830으로 표시된 음) 뿐만 아니라 복수의 음계로 구성된 화음(예컨대, 도 19의 악보에서 도면부호 810, 820, 840, 850으로 표시된 음)도 용이하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음악의 형성/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음생성 모듈(200)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게 되면, 처음에는 200a, 200b로 표시된 음생성 모듈의 음이 동시에 화음으로 출력되고, 다음으로는 200c, 200d로 표시된 음생성 모듈의 음이 화음으로 출력되고, 다음으로는 200e로 표시된 음생성 모듈의 음이 출력되고, 다음으로는 200f, 210g로 표시된 음생성 모듈의 음이 화음으로 출력되고, 다음으로는 200h, 200i로 표시된 음생성 모듈의 음이 화음으로 출력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음악 멜로디가 연주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를 이용하게 되면, 단음정의 음정들로만 구성된 단순한 구조의 음악만 형성/재생할 수 있었던 종래의 완구 제품과 달리, 도 19에 도시된 악보와 같이 화음을 포함하는 복잡한 멜로디의 음악도 사용자가 쉽게 형성해 재생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하게 완구를 이용하면서 보다 높은 수준의 음악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들은 악보에 표현되는 음표와 유사한 구조로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멜로디를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예컨대, 도 19에 도면부호 810 내지 850으로 도시된 음표는 각각 도 14에서 A 내지 E에 대응될 수 있음), 직관적으로 멜로디를 쉽게 구현할 수 있고(2계의 음계로 형성된 음은 2개의 음생성 모듈로 구현하고, 1개의 음계로 형성된 음은 1개의 음생성 모듈로 구현하게 됨), 높은 음악적 지식을 갖추지 못한 사용자들도 쉽게 완구를 이용해 음악을 형성/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재생모듈(300)에 구비된 복수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를 이용해 복수의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다성부 구조의 음악을 쉽게 형성/재생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20을 참조하면 다성부로 구성된 음악의 악보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성부 구조의 음악은 복수의 멜로디가 독립적으로 진행하면서 연주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도 20에 도시된 음악의 경우에는, X와 Y로 표시된 오선지의 멜로디가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면서 음악이 연주되도록 구성됨), 특허문헌 1과 같이 블록의 단순 배열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완구 제품으로는 음악을 용이하게 형성/재생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에 형성된 복수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를 이용해, 하나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는 X 부분의 멜로디를 구현하도록 음생성 모듈을 연결하고 다른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는 Y 부분의 멜로디를 구현하도록 음생성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다성부 구조의 음악을 쉽게 형성/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종래의 음악 학습용 완구 제품들과 달리 화음 및/또는 다성부를 포함하는 복잡한 멜로디의 음악도 용이하게 형성하여 재생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음악 학습이 가능하고 사용자들에게 완구 제품에 대한 흥미를 보다 길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재생모듈(600)의 구조에서만 앞선 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고, 음생성 모듈(200)은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다만,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결합홈(240)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지 않으므로, 결합홈은 생략하고 실시해도 좋음],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재생모듈(6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음형성 영역(610)을 형성하고, 음형성 영역(610)에 음생성 모듈 연결부(620)를 형성해 음생성 모듈(2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모듈(600)에 형성된 음형성 영역(610)에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620)가 복수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음형성 영역(610) 내에 결합된 음생성 모듈 연결부(620)에 결합된 음생성 모듈(200)의 음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용이하게 다수의 음계로 형성된 화음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 지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는 음형성 영역(610)의 순서에 따라 음형성 영역(610)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200)의 음을 재생해 나가면서, 하나의 음형성 영역(610)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들은 동시에 재생되어 화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앞선 실시예와 같이 화음을 포함하는 멜로디를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재생모듈(600)은 하나의 일체형 부재로 형성되어도 좋고, 단위 부재(600a, 600b 등)를 상호 연결해 재생모듈(600)를 형성하도록 구현되어도 좋다(도 17 참조). 또한, 재생모듈(600)은 다성부 구조의 음악을 형성/재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재생모듈(600)을 병렬로 연결해 음악을 형성/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는 재생모듈(600)의 음형성 영역(610)에 복수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620)를 구비해 화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앞선 실시예와는 달리(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 도 4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음생성 모듈(200)의 화음 연결부에 음생성 모듈(200)을 연결해 화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른 세부적인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다만,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242)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지 않으므로, 후속음 연결부(242)를 생략하고 실시해도 좋음].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200: 음생성 모듈
210: 베이스부
220: 연결막대부
230: 결합돌기
240: 결합홈
242: 후속음 연결부
244: 화음 연결부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모듈
310: 음생성 모듈 연결부
320: 스피커
400: 음길이 조절부재
500: 옥타브 조절부재
6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모듈
610: 음형성 영역
620: 음생성 모듈 연결부
630: 스피커
7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모듈

Claims (24)

  1. 음생성 모듈을 연결해 음악 멜로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이며,
    특정 음의 소리를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200)과,
    상기 음생성 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멜로디를 재생하는 재생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음생성 모듈(200)은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로부터 연장하는 연결막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에는, 후속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후속음 연결부(242)와, 상기 음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음과 함께 재생될 음을 생성하는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는 화음 연결부(244)가 구비되고,
    상기 재생모듈(300)에는 상기 음생성 모듈(200)이 연결될 수 있는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가 구비되며,
    상기 재생모듈(300)은 상기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200)로부터 시작해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24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음생성 모듈(200)의 음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멜로디를 재생하되, 음생성 모듈(200)의 화음 연결부(244)에 다른 음생성 모듈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음 연결부(244)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의 음을 해당 음생성 모듈의 음과 함께 화음으로 형성하여 상기 멜로디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생성 모듈(200)에는 상기 화음 연결부(244)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재생모듈(300)에는 상기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재생모듈(300)은 하나의 멜로디 내에서 복수의 음계로 형성된 화음 및 복수의 멜로디로 형성된 다성부를 포함하는 음악을 형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 상기 복수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 중 제1 음생성 모듈 연결부에 연결된 제1 음생성 모듈, 상기 제1 음생성 모듈의 후속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 및 상기 제1 음생성 모듈의 화음 연결부에 연결된 음생성 모듈을 통해 화음을 포함하는 제1 멜로디가 상기 음악의 다른 멜로디와 독립적으로 형성 및 재생됨 -,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에는 상기 음생성 모듈을 상기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나 다른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242) 또는 화음 연결부(244)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재생모듈(300)의 음생성 모듈 연결부(310),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242) 및 화음 연결부(244)는 상기 결합돌기(230)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의 결합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베이스부(210)는 상기 재생모듈(300)과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는 막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음생성 모듈(200)과 상기 재생모듈(30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음생성 모듈(200)과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후속음 연결부(242) 또는 화음 연결부(244)에 연결된 다른 음생성 모듈(20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갖는,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의 길이를 조절하는 음길이 조절부재(400)를 더 구비하는,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생성 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음의 옥타브를 조절하는 옥타브 조절부재(500)를 더 구비하는,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길이 조절부재(400) 및 상기 옥타브 조절부재(50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음생성 모듈(200)의 연결막대부(220)에 형성된 결합돌기(320)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돌기(410, 510)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결합돌기(410, 510)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420, 520)을 구비하며,
    상기 음길이 조절부재(400) 및 상기 옥타브 조절부재(500)는 상기 결합홈(420, 520)에 음생성 모듈(200)의 결합돌기(230)를 결합해 음생성 모듈(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항에 따른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100)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29269A 2017-03-08 2017-03-08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KR10192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269A KR101927758B1 (ko) 2017-03-08 2017-03-08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269A KR101927758B1 (ko) 2017-03-08 2017-03-08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749A KR20180102749A (ko) 2018-09-18
KR101927758B1 true KR101927758B1 (ko) 2018-12-11

Family

ID=6371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269A KR101927758B1 (ko) 2017-03-08 2017-03-08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7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3925B2 (ja) * 2001-09-21 2007-03-1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JP5951881B2 (ja) * 2012-03-29 2016-07-13 ヒューマン リー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音楽教育用ブロック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3925B2 (ja) * 2001-09-21 2007-03-1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JP5951881B2 (ja) * 2012-03-29 2016-07-13 ヒューマン リーグ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音楽教育用ブロック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749A (ko)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nberg et al. The beatbug network: a rhythmic system for interdependent group collaboration
KR20190061146A (ko) Vr 기기를 활용한 치매예방치료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13690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1303344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JP2010017262A (ja) ゲーム端末
GB2290685A (en) Sound effect adding system
KR101927758B1 (ko) 음악 학습용 조립 완구
KR20190059522A (ko)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Aimi New expressive percussion instruments
JP2001137415A (ja) ダンスゲーム装置
Biles Genjam: Evolutionary computation gets a gig
KR101405535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N209804259U (zh) 一种音乐控制装置
TWM526433U (zh) 音樂玩具
Curtin Designing Sound for Shakespeare: Connecting past and present
CN210516209U (zh) 一种智能电子琴及音乐教学系统
NL1031996C2 (nl) Liedjesbouwer.
Freeman Glimmer: Creating new connections
JP4085471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マイクロホン
TW201739491A (zh) 音樂玩具
TWM444206U (zh) 合唱玩具系統
CN205759660U (zh) 一种玩具演奏设备
Filosa Electronics Integration and Sound Reinforcement in the 21st Century Marching Arts
Hattwick Face to face, byte to byte: Approaches to human interaction in a digital music ensemble
KR20200056637A (ko) 노래반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