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44B1 -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344B1
KR101303344B1 KR1020110024897A KR20110024897A KR101303344B1 KR 101303344 B1 KR101303344 B1 KR 101303344B1 KR 1020110024897 A KR1020110024897 A KR 1020110024897A KR 20110024897 A KR20110024897 A KR 20110024897A KR 101303344 B1 KR101303344 B1 KR 10130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oy
sound
main body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292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리그
Priority to KR102011002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34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4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with sound e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7Combinations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presentation, e.g. film, slides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본체와, 완구 본체에 배열되도록 장착되고, 각각 높이가 다른 음의 재생을 위하여 완구 본체에 접속되는 소자를 가지거나 각기 다른 중량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과, 블록의 소자와 접속하거나, 블록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완구 본체에 마련되고, 블록의 배열순서에 따라 블록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음원재생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음을 출력하도록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와, 음원재생부와 스피커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멜로디와 리듬뿐만 아니라, 스스로 작곡이나 편집된 멜로디와 리듬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음악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BLOCK TYPE MUSICAL TOY}
본 발명은 블록 완구로서, 아이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는 아이들이 가지고 놀기 위해 제작된 물건으로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완구 중에서 멜로디나 음악을 주기능으로 제공하거나, 보조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 경우 음악용 완구는 건반악기나 기타, 그 밖의 널리 알려진 악기를 축소하여 제작한 제품이거나, 저장된 멜로디나 음악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음악용 완구로부터 제공되는 음악이나 멜로디는 아이들에게 상당히 정서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음악용 완구 중에서 연주가 가능한 제품의 경우, 아이들이 조작에 의해 원하는 음악을 연주하기에는 조작 방법이 어렵고, 이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연주하는 음악이 소음에 가깝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악용 완구 중 저장된 음악이나 멜로디를 재생하는 제품의 경우, 반복되는 음악이나 멜로디 등으로 인해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서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멜로디와 리듬을 연주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작곡이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멜로디와 리듬의 재생을 통해서 음악 교육을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완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멜로디와 리듬뿐만 아니라, 스스로 작곡이나 편집된 멜로디와 리듬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음악 교육을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로서, 완구 본체와, 상기 완구 본체에 배열되도록 장착되고, 각각 높이가 다른 음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완구 본체에 접속되는 소자를 가지거나 각기 다른 중량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소자와 접속하거나, 상기 블록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블록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블록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부와,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와, 상기 음원재생부와 상기 스피커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상기 완구 본체는, 기관차 형태를 가지고, 상기 블록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가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구 본체의 뒤에 연결되도록 열차 형태를 가지는 연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블록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가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음원재생부가 연결부에 의해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의 소자에 접속하거나, 상기 블록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블록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다수로 적층시 적층되는 각각의 음을 서로 합하여 상기 음원재생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상단과 하단에 상호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쉼표 역할을 하는 단위 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음높이에 비례한 높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음의 재생시 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소자에 연결되는 발광소자가 내장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시 외부로 광을 출력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기 소자가 저항소자, 메모리소자, 자속을 인식하기 위한 소자, 패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에 의하면, 아이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멜로디와 리듬뿐만 아니라, 스스로 작곡이나 편집된 멜로디와 리듬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음악 교육을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음원재생부의 음원 재생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의 다른 예에 따른 블록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100)는 완구 본체(110)와, 완구 본체(110)에 배열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블록(120)과, 완구 본체(110)에 음의 재생 및 출력을 위하여 마련되는 음원재생부(130) 및 스피커(140)와, 음의 재생 및 출력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완구 본체(110)는 자동차, 비행기, 로봇 등과 같이 특정 사물의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정방향 등의 보드 형태 등과 같이 특정 도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기관차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블록(12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11)가 홈 형태로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20)은 음높이에 따라 다수로 이루어지고, 완구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장착되며, 각각의 음높이가 다른 음의 재생을 위하여 완구 본체(110)에 접속되기 위한 소자(129)를 가질 수 있다.
블록(120)은 후술하는 음원재생부(130)와의 접속에 의해, 일례로 도레미파솔라시의 7개 음을 나타내기 위한 소자(129)가 각각 내장되는 단위 블록(121,122,123,124,125,126,127)과, 옥타브를 높이도록 하는 소자(129)가 각각 내장되는 단위 블록(128)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반음 올림 또는 반음 내림을 위한 소자가 내장될 수 있고, 음의 높이와 함께 음의 길이를 각각 가지도록 하는 소자가 내장될 수 있다.
블록(120)은 소자가 저항소자, 메모리소자, 자속을 인식하기 위한 소자, 패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소자(129)는 저항값을 각각 달리하는 저항소자로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음원재생부(130)와의 접속에 의해 음원 재생 회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음원재생부(130)는 소자(129)의 저항값에 각기 상응하는 음높이의 음을 배열 순서에 따라 재생하도록 한다. 또한, 블록(120)은 소자(129)를 음원재생부(130)에 접속시키도록 소자(129)가 연결되는 패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부(129a)가 저면에 마련된다.
블록(120)은 다수로 적층시 적층되는 각각의 음을 서로 합하여 음원재생부(130)에 의해 출력하도록, 상단과 하단에 상호 접속을 위한 접속부(129a)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위 블록(121,122,123,124,125,126,127)이 서로 적층시, 예컨대 도와 도를 나타내는 단위 블록(121)이 서로 적층시 레를 나타내는 단위 블록(122)과 마찬가지로 음원재생부(130)에 의해 레가 출력되도록 하고, 도를 나타내는 블록(121)이 3개 적층시 미를 나타내는 단위 블록(123)과 마찬가지로 음원재생부(130)에 의해 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옥타브를 높이도록 하는 소자(129)를 가진 단위 블록(128)은 다른 단위 블록들과 마찬가지로 접속부(129a)가 하측은 물론 상측에도 마련됨으로써 상측에 7개 음을 나타내는 소자(129)가 각각 내장되는 단위 블록(121,122,123,124,125,126,127)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되어 접속됨으로써 음원재생부(130)가 해당하는 단위 블록(121,122,123,124,125,126,127)의 음을 1 옥타브 올려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블록(120)은 멜로디와 리듬에서 쉼표 역할을 하는 단위 블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쉼표를 나타내는 단위 블록의 해당 위치에서는 음원재생부(130)가 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음원재생부(130)는 음이나 쉼표를 나타내는 단위 블록이 없는 자리는 앞의 단위 블록이 나타내는 음을 길게 연장하여 이음줄의 개념으로 연주할 수 있다.
한편, 블록(120)의 소자는 메모리소자를 이용할 경우, 일례로 4bit 메모리를 이용하여 id를 전달하거나, 74LS161 또는 74HC161의 카운터(counter)의 프리셋 밸류(preset value)를 이용하거나, RF id를 이용하여 음원재생부(130)가 해당하는 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블록(120)의 소자가 자속을 인식하기 위한 소자인 경우, 일례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음원재생부(130)는 완구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블록(120) 각각에 대응하도록 자속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미리 장착되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자로서 자석이 홀 센서에 자력에 의해 접속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음원재생부(130)의 홀 센서가 블록(120)의 일정 높이에 소자로서 부착된 자석의 자속밀도를 측정하여 전류/전압값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음원재생부(130)가 이러한 전류/전압값에 따라 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블록(120)의 소자가 패턴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블록의 저면에 패턴으로서 다섯개의 구멍을 이용하여 총 12가지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음원재생부(130)는 완구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블록(120) 각각의 패턴 각각에 대응하도록 터치센서를 다수로 설치함으로써 터치센서가 패턴의 막혀진 구멍과의 접속에 의해 터치되어 음의 종류를 구분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한편, 이때, 음원재생부(130)는 터치센서를 대신하여 멤브레인 스위치, 푸쉬 스위치, 택트 스위치 등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패턴인 구멍의 개폐 여부에 따른 스위칭에 의하여 블록(120) 각각이 나타내는 음을 인식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블록(12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음높이에 비례한 높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의 재생시 광을 출력하도록 소자(129)에 연결되는 발광소자(LED; 도 5에 도시)가 내장되며, 발광소자(LED)의 발광시 외부로 광을 출력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원재생부(130)는 블록(120)의 소자(129)에 접속되도록 완구 본체(110)에 마련되고, 블록(120)의 배열순서에 따라 블록(120)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블록(120)의 소자(129)와의 접속을 위해 연장되는 회로가 완구 본체(110)의 장착부(111)까지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블록(120)의 접속부(129a)가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재생부(130)는 일례로 소자(129)가 저항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0 내지 7번 슬롯에 차례대로 전원을 인가하고, Rx의 값에 따라 AO에 걸리는 전압이 (VO-Vd)*Rs(Rx+Rs)로 나타나게 되고, 이 신호를 CPU가 측정하여 CPU가 음원칩에게 신호를 주고, 음원칩이 스피커를 통해서 적절한 음을 연주하게 도니다. 여기서, VO는 슬롯에 인가된 전압이고, Vd는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을 의미한다. 이때, 발광소자(LED)가 전원 공급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스피커(140)는 음원재생부(13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음을 출력하도록 완구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된다.
전원공급부(150)는 음원재생부(130)와 스피커(140)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완구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로 이루어지거나, 건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완구 본체(110)는 일측, 예컨대 상부에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등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해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1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60)는 구동의 온/오프 뿐만 아니라, 음의 반복 여부나 횟수 또는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는 스위치 등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원재생부(130)는 조작부(160)가 조작에 따라 음의 반복 여부나 횟수를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서, 연주되는 음악의 악기가 선택된 악기로 연주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100)는 기관차 형태를 이루는 완구 본체(110)의 뒤에 연결되도록 열차 형태를 가지는 연결 본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본체(170)는 블록(12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71)가 상부에 마련되고, 음원재생부(130)가 연결부(131)에 의해 내측으로 연장되어 블록(120)의 소자(129)에 접속됨으로써 블록(120)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 본체(170)는 블록(120)의 장착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완구 본체(110)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완구 본체(110)와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연결부(131)를 통해서 음원재생부(130)가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블록(120)의 배열 개수를 확대하여 재생되는 음악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블록(120)이 완구 본체(110)에 배열되도록 장착되고, 각각 높이가 다른 음의 재생을 위하여 각기 다른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음원재생부(130)는 블록(120)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완구 본체(110)의 장착부(111)에 블록(120) 각각에 대응하도록 일례로 압력센서가 설치됨으로써 블록(20)의 무게에 따라 음을 인식하여 음을 재생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음원재생부(130)는 연결 본체(170)의 장착부(171) 저면에도 블록(120)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일례로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131)에 의해 연결 본체(17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171)에 마련된 압력센서와 함께 회로를 이루게 되고, 블록(120)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블록(120)이 각각 나타내는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에 의하면, 완구 본체(110)와 연결 본체(170)의 장착부(111,171)에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블록(120)을 일렬로 배열되도록 장착함으로써, 블록(120)이 나타내는 음들을 재생하여 스피커(140)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멜로디와 리듬을 손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멜로디와 리듬뿐만 아니라, 블록(120)의 다양한 배열로 인해서 스스로 작곡이나 편집된 멜로디와 리듬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음악 교육을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완구 본체 111 : 장착부
120 : 블록
121,122,123,124,125,126,127,128 : 단위 블록
129 : 소자 129a : 접속부
130 : 음원재생부 131 : 연결부
140 : 스피커 150 : 전원공급부
160 : 조작부 170 : 연결 본체
171 : 장착부 Rx : 저항소자
LED : 발광소자

Claims (7)

  1.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로서,
    완구 본체;
    상기 완구 본체에 배열되도록 장착되고, 각각 높이가 다른 음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완구 본체에 접속되는 소자를 가지고, 높이가 다른, 일부 또는 전부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록;
    음의 재생시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블록을 통해 광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발광소자;
    상기 블록의 소자와 접속하고,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블록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블록이 각각의 높이에 따른 음을 재생하는 음원재생부;
    상기 음원재생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 및
    상기 음원재생부와 상기 스피커에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완구 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는,
    기관차 형태를 가지고, 상기 블록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가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의 뒤에 연결되도록 열차 형태를 가지는 연결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연결 본체와 상기 완구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완구 본체로부터 상기 연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높이에 따른 블록의 음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다수로 적층시 적층되는 각각의 음을 서로 합하여 상기 음원재생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상단과 하단에 상호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쉼표 역할을 하는 단위 블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소자가 저항소자, 메모리소자, 자속을 인식하기 위한 소자, 패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20110024897A 2011-03-21 2011-03-21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130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7A KR101303344B1 (ko) 2011-03-21 2011-03-21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7A KR101303344B1 (ko) 2011-03-21 2011-03-21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92A KR20120107292A (ko) 2012-10-02
KR101303344B1 true KR101303344B1 (ko) 2013-09-03

Family

ID=4727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897A KR101303344B1 (ko) 2011-03-21 2011-03-21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3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53B1 (ko) 2013-11-15 2015-03-25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KR101639290B1 (ko) 2015-04-10 2016-07-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생성 차량 완구
WO2016148323A1 (ko) * 2015-03-19 2016-09-22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WO2017222145A1 (ko) * 2016-06-22 2017-12-28 권오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KR20190061146A (ko) 2017-11-27 2019-06-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r 기기를 활용한 치매예방치료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10098006A (ko) 2020-01-31 2021-08-10 울산과학기술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459B1 (ko) * 2013-05-20 2014-11-07 주식회사 매직에듀 캐릭터를 이용한 음원 및 영상 출력 시스템
KR101479638B1 (ko) * 2013-05-29 2015-01-08 한국과학기술원 음감 훈련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음감 훈련 방법
KR101631755B1 (ko) * 2014-07-23 2016-06-20 (주)모션블루 학습 완구, 학습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BR112017007839B1 (pt) * 2014-10-21 2022-06-07 Lego A/S Sistema de construção de brinquedo
KR20160121208A (ko) 2015-04-10 2016-10-19 (주)토가월드 그루빙 현상을 이용한 음악 반주 악기.
KR102002226B1 (ko) * 2017-11-23 2019-07-23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ja)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US6353168B1 (en) * 2000-03-03 2002-03-05 Neurosmith, Llc Educational music instrument for children
US6755655B2 (en) 1995-12-29 2004-06-29 Tinkers & Chance Electronic educational toy appliance and a portable memory device therefor
KR100907341B1 (ko) 2008-12-19 2009-07-13 광주광역시 남구 교육용 전자악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5655B2 (en) 1995-12-29 2004-06-29 Tinkers & Chance Electronic educational toy appliance and a portable memory device therefor
JP2001228871A (ja)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US6353168B1 (en) * 2000-03-03 2002-03-05 Neurosmith, Llc Educational music instrument for children
KR100907341B1 (ko) 2008-12-19 2009-07-13 광주광역시 남구 교육용 전자악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53B1 (ko) 2013-11-15 2015-03-25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WO2016148323A1 (ko) * 2015-03-19 2016-09-22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KR101639290B1 (ko) 2015-04-10 2016-07-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악 생성 차량 완구
WO2017222145A1 (ko) * 2016-06-22 2017-12-28 권오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KR20190061146A (ko) 2017-11-27 2019-06-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Vr 기기를 활용한 치매예방치료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10098006A (ko) 2020-01-31 2021-08-10 울산과학기술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92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344B1 (ko)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JP4195232B2 (ja) 楽器
US6525252B1 (en) Device for composing and arranging music
US9064425B2 (en) Color-based music out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496993B2 (ja) 楽音制御装置
US1099795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US10621963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US20200246713A1 (en) Hand puppet with controllable audio output
JP3584825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WO1999059131A1 (en) Music toy and teaching device
Zigelbaum et al. BodyBeats: whole-body, musical interfaces for children
JP2006251376A (ja) 楽音制御装置
CN103632657A (zh) 一种一指弹交响乐系统
JP2004233853A (ja) 音楽学習玩具
US10818277B1 (en) Enhanced electronic musical wind instrument
US9205343B1 (en) Programmable track musical toy
TWM526433U (zh) 音樂玩具
JP3893925B2 (ja) 電子楽器
CN110889994A (zh) 一种根据提示信号弹奏的乐器
KR20080092140A (ko) 다수의 국악소리발생 및 연주장치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KR200245776Y1 (ko) 유희용 제기
US11527225B2 (en) Sensor module, system of modules for a piano keyboard, and corresponding method
TW201739491A (zh) 音樂玩具
JP2956070B2 (ja) 楽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