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401B1 -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401B1
KR102391401B1 KR1020200083554A KR20200083554A KR102391401B1 KR 102391401 B1 KR102391401 B1 KR 102391401B1 KR 1020200083554 A KR1020200083554 A KR 1020200083554A KR 20200083554 A KR20200083554 A KR 20200083554A KR 102391401 B1 KR102391401 B1 KR 10239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information
music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865A (ko
Inventor
길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Abstract

어린이 등이 블록의 간단한 배치로 간단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타 유저들과 공유하여 코딩 및 음악 작곡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블록 식별 정보를 리턴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 및 블록 유닛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 삽입부의 블록 유닛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접촉 영역마다 외부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외부 신호에 대응되는 블록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독출부, 정보 독출부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정보 독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부, 정보 송출부로부터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악 생성부, 및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재생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도구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판 형의 도구에 큐브 형태 등의 블록을 배치 시, 배치된 블록의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음계 및 음길이 등을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 어린이 등이 블록의 간단한 배치로 간단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타 유저들과 공유하여 코딩 및 음악 작곡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치형 완구 및 도구 등은, 접근성이 좋고, 비교적 낮은 난이도의 학습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유아 등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구이다. 배치형 완구는 일정한 영역에 큐브나 판 형태의 유닛들을 배치하고, 배치된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규칙에 따라서 놀이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형 완구는 유아나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고, 배치된 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의미 등의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 등에게 매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자 배치, 알파벳 블록, 블록 조립형 학습 장치 등이 일반적으로 배치형 완구로서 시판되고 있다.
최근에는 Io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베이스 판에 다양한 전자 기능을 탑재하고, 유닛을 배치 시 이에 대한 결과 등을 데이터로 생성하여, 유저 단말이나 도구 자체에서 결과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형 완구 및 도구는 배치되는 유닛에 따라서 일정한 결과만을 도출할 수 있고, 문자나 도형 학습에만 치우쳐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음악 학습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악기를 구입하거나,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피아노 건반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이를 온라인 컨텐츠에 접목하여 유저가 학습하게 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 학습은 악기의 연주 방법에 제한되어 있고, 악기의 연주 방법에 대한 학습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치형 완구와 음악 학습을 결합한 기술은, 유저의 상상력 자극, 코딩 학습을 통한 이성적 학습 및 음악 학습을 통한 감성적 학습이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최근 이러한 배치형 완구와 음악 학습의 결합을 위한 기술 개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002226호에서는, 조립 가능한 블록을 조립 시, 블록의 결합 높이에 따라서 음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블록 자체에 음계 등을 부여하여, 블록의 조립에 따라서 멜로디를 구현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블록 자체에 음계가 설정되어 있고 복잡하게 블록을 적층 조립해야만 음높이 및 음길이를 구현할 수 있어 유아 등이 직관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악기에 대응되는 음색을 구현할 수 없어, 풍부한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한 유닛 배치만으로 음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닛의 배치만으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음길이 역시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한편, 자신이 생성한 음악을 장치뿐 아니라 스마트폰 등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유저의 음악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치 학습을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블록 식별 정보를 리턴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 및 상기 블록 유닛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블록 유닛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접촉 영역마다 상기 외부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외부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블록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독출부, 상기 정보 독출부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상기 정보 독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부, 상기 정보 송출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악 생성부, 및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재생 도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를 식별하여 블록 유닛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생성부는, 상기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상기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로부터 상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에서 상기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 유닛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사이즈가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를 서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독출부는, 상기 연결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블록으로부터 외부 신호 송출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정보 송출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송출부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음악 생성부에 송출하고, 상기 음악 생성부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를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상기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효과 출력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의 효과 출력부를 구동하는 효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기의 종류를 식별 정보로 갖는 블록 유닛을 재생 도구의 삽입부에 삽입 배치 시, 삽입부의 행과 열에 따라서 음의 순서 및 음 높이, 그리고 음색이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즉, 블록 유닛을 복잡하게 조작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닛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고, 재생 도구의 결합 등을 통해 음악 데이터의 길이 확장 및 악기의 협연이 가능하여, 매우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연결 블록을 이용하여 음길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매우 직관적으로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스마트폰을 통해 생성한 음악을 구현하고, 타 유저의 음악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 유닛의 배치를 가이드받을 수 있어, 배치형 완구를 통한 음악 컨텐츠의 이용성이 크게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블록 유닛의 설치 예 및 재생 도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재생 도구의 연결에 따라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재생 도구의 연결을 위한 재생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연결 블록을 통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유저 단말과의 연동 및 이를 위한 재생 도구의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블록 유닛의 설치 예 및 재생 도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재생 도구의 연결에 따라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재생 도구의 연결을 위한 재생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연결 블록을 통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유저 단말과의 연동 및 이를 위한 재생 도구의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또는 일부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는, 블록 유닛(10)와 재생 도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유닛(10)는 제1 하우징(11) 및 제1 메모리(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재생 도구(20)는 도 1의 (b) 및 도 2 및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구성으로서 삽입부(21), 정보 독출부(22), 정보 송출부(23), 음악 생성부(24), 재생부(25), 스피커(26), 통신부(291), 정보 분석부(292), 효과 제어부(293) 및 효과 출력부(294)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 구성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그 기능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컴퓨팅 장치는 재생 도구(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음악 데이터는, 디지털 피아노 등에 적용되는 사운드 제너레이터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음계, 음표 및 음색 등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해될 것이다.
블록 유닛(10)은 도 1의 (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에 삽입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은 금속제, 플라스틱제,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악기 표시(13)가 마킹될 수 있다. 이때 악기 표시(13)는 해당 블록 유닛을 삽입 시 어떤 악기의 음색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타,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식별할 수 있는 모양이 마킹되거나, 문자가 마킹될 수 있다.
제1 메모리(12)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블록 식별 정보를 외부 신호에 반응하여 리턴(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제1 메모리(12)는 외부 신호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신호가 전자기장 인식 신호인 경우, 제1 메모리(12)는 특정 전자기장을 갖는 자성체 등으로 구성되며, 블록 식별 정보는 해당 자성체의 전자기장의 크기로 대체되고, 이 경우 정보 독출부는 리턴되는 전자기장의 크기를 통해서 블록 식별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제1 메모리(12)는 NFC 등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나 제1 하우징(11)의 외면 중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외면의 일부에 프린팅된 2차원 코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독출부(12)에서 송출되는 외부 신호는 NFC 통신 모듈에 의한 정보 요청 신호나, 2차원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2차원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등 특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 리더기의 인식 시 해당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코드를 의미한다.
즉 제1 메모리(12)는 외부 신호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 또는 외부의 리더기 신호에 따라서 반사되는 신호를 서로 다르게 하도록 하는 방식 등 그 어떤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유닛(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고, 상술한 악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 등 음색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식별하여 블록 유닛(10)의 종류, 즉 음악 데이터 생성 시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유닛(10)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서는 큐브(Cube) 형태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을 것이고, 블록 유닛(10)의 형태에 따라서 블록 유닛을 특정 영역, 즉 삽입부(21)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 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고, 삽입부(21)의 형태 역시 이에 대응되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특정 영역마다 형성되어 블록 유닛(10)을 삽입 수용하여 고정고, 블록 유닛(1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일종의 슬롯(Slot)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및 제2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삽입부(21)를 식별 시 해당 직교 좌표계가 형성하는 좌표로서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독출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는 구성이다. 정보 독출부(22)는 제1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해야 하기 때문에, 삽입부(21)가 형성된 영역들 중, 블록 유닛(10)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정보 독출부(22)는 접촉 영역마다 외부 신호를 송출하는데, 이때 인접한 접촉 영역과의 외부 신호 송수신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의 최하면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외부 신호는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직진성을 갖는 것이 상기의 오류 발생의 최소화를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정보 독출부(22)는 상술한 제1 메모리(12)의 종류에 따라서 전자기장 신호, 리더기 신호 등 다양한 외부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제1 메모리(12)의 반응에 따른 반사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a)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S1)가 송출되면 제1 메모리(12)에 의하여 반응 또는 리턴되는 신호(S2)가 발생되고 정보 독출부(22)는 해당 신호(S2)를 수신한다. 이때 S2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것이다.
한편 정보 송출부(23)는 정보 독출부(22)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정보 독출부(22)에 대응되는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음악 생성부(24)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정보 독출부(22)에 대응되는 삽입부(21)는 정보 독출부(22)가 설치된 영역의 삽입부(21)를 의미하는 것으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는 상술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좌표 정보는 정보 독출부(22) 및 삽입부(21)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정보 송출부(23)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독출부(22)의 시리얼 넘버가 저장되고, 제품 제조 시 해당 시리얼 넘버별로 좌표 정보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좌표 정보는, 도 1의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부(21)마다 단위 좌표가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1의 (b)에서는 가장 왼쪽 아래의 좌표를 원점(0, 0)으로 하고 y축, 즉 제1축마다 상승되는 경우 (0, 1), (0, 2) 등으로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x축, 즉 제2축마다 상승되는 경우 (1, 0), (2, 0) 등으로 좌표가 설정되는 것이다.
즉 제1 데이터에는, 블록 식별 정보 및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음악 생성부(24)는 정보 송출부(23)로부터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데이터는 블록 유닛(10)이 삽입부(21)에 삽입되어 리턴 신호(S2)가 감지되는 경우 생성되며, 이때 유저가 재생 도구(20)에 존재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음악 생성부(24)가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구체적으로 제2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으로 식별될 수 있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음악 생성부(24)는,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5음계 구조에 있어서 y축, 즉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하는 경우 도, 레, 미, 솔, 라 등으로 음계가 높아지게 될 것이며, x축, 즉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순위가 후순위로 설정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각 좌표는 라1, 미2, 레3, 미4, 미5, 솔6, 솔7, 미8로 설정되며, 1 내지 8은 음순위가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3의 5선지에 각각 음표 및 음계가 설정되면서 제2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각 음순위, 즉 제2축에 대한 단위 좌표는 단위 음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 하나 당 8분음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위 음길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재생 도구(20)의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한 유저의 입력에 의해서도 변경될 수 있다.
재생부(25)는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sound generator 또는 음원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재생부(25)는 상술한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유저로부터 재생 입력을 수신 시, 내장된 스피커(26) 등을 통해서 음악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악기의 종류를 식별 정보로 갖는 블록 유닛(10)을 재생 도구(20)의 삽입부에 삽입 배치 시, 삽입부(21)의 행과 열에 따라서 음의 순서 및 음 높이, 그리고 음색이 자연스럽게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즉, 블록 유닛(10)을 복잡하게 조작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재생 도구(20)의 특성 상 매우 짧은 음악 데이터만이 생성되거나, 단음만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4 내지 6과 같이 재생 도구(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재생 도구(20)의 측면에는,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25)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28)를 포함하고, 이와 동일하게,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20)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20) 사이의 재생부(25)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27)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8) 및 제2 연결부(27)는 예를 들어 자성을 갖는 전극 등으로 구성되어, 재생 도구(20)를 연결 시 자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재생부(25)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8)에 의하여 다른 재생부(25)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감지한 상태에서, 해당 재생 도구(20)의 블록 유닛(10)의 삽입에 따라서 음악 생성부(24)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연결부(28)에 전송한다. 이때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20-3)의 재생부(25)는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20)의 재생부(25)로부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제2 데이터를 함께 재생(200)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즉 서로 제1축으로 연결된 경우, 연결된 재생 도구(20, 20-3)의 재생부(25)가 동시에 각 제2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일종의 협연과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재생 도구(20)에는 기타 음색으로 구현된 특정 제2 데이터가 재생되고, 재생 도구(20-3)에는 피아노 음색으로 구현된 특정 제2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이다. 동일한 음색으로도 단음이 아닌 화음의 구현 역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으로 재생 도구(20)들이 서로 연결되어 제2 연결부(27)에 의하여 다른 재생부(25)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감지한 상태에서, 재생부(25)는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연결부(27)에 전송한다. 이때,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20-1. 20-2 순)의 재생부(25)는,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20, 20-1 순)의 재생부(25)에서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순서를 결정하는데, 재생 도구(20)를 서로 제2축으로 연결 시, 일종의 음길이를 확장하는 개념의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즉, 재생 도구(20)의 재생이 완료되면 즉시 재생 도구(20-1)의 재생이 시작되고, 이와 동일하게 재생 도구(20-2)의 재생이 컨트롤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보다 긴 음악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긴 음악을 구현함에 있어서 재생 도구(20) 사이의 결합이라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학습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부(21)는 예를 들어 8분음표 등의 음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음악 데이터에 따라서 4분음표 등 긴 길이의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재생 도구(20)에서 다양한 길이의 음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에는, 도 7의 (a),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블록 유닛(10)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특정한 결합 구조가 아닌, 연결 블록(30)이 설치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서, 연결 블록(30)이 도 7의 (b)와 같은 구조인 경우 블록 유닛(10)의 상면 형상 자체가 상부 결합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자성 결합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부 결합부는 자성을 갖는 물질이 배치된 영역으로 이해될 것이다. 연결 블록(30)에는 상술한 상부 결합부에 대응되는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연결 결합부는 상술한 상부 결합부의 형태 또는 연결 방식에 상응하는 홈, 가이드 홈, 자성체 등으로 이해될 것이다.
연결 블록(30)의 외형인 제2 하우징의 길이 사이즈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21)를 서로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제2 하우징 내부에는 연결 블록(30)의 구성으로서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3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메모리(31)의 종류, 신호 리턴 방식, 외부 신호의 종류 등은 상술한 제1 메모리(1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여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정보 독출부(22)는, 연결 블록(30)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신호(S1)에 따라서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블록 식별 정보와 함께 연결 정보를 정보 송출부(23)에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블록(30)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블록 식별 정보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 송출부(23)는 연결 정보가 존재 시 제1 데이터에 이를 포함시켜 음악 생성부(24)에 전송하게 되며, 음악 생성부(24)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 정보가 존재하게 되면, 어느 하나 이상의 음길이가 되도록 음표가 설정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때 연결 정보가 동일한 음끼리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정보(C1, C2)가 존재하는 음들을 서로 같은 연결 정보(C1, C2)끼리 결합함으로써, 4분음표가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 블록(30)의 사이즈에 따라서 더 긴 음표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재생 도구(20)의 구조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재생 도구(20)의 구성으로 상술한 통신부(291)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게 하거나 외부로부터 제2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부(20)는 유저 단말(40)과 연결되는 경우, 유저 단말(40)에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유저 단말(40)은 제2 데이터를 수신 시, 제2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구현되는 재생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하여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에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통신부(291)는 유저 단말(40)의 요청(입력)에 따라 유저 단말(40)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정보 분석부(292)는, 제2 데이터를 수신 시 이를 복수의 제1 데이터로 분할 분석하게 되며,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서,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데이터와 동일하게 음악 생성부(24)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21)들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이때 각 삽입부(21)에는,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삽입부(21)에 시각적 효과, 예를 들어 점멸 신호나 점등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 출력부(294)가 설치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 제어부(293)는, 정보 분석부(292)를 통해 분석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21)의 효과 출력부(294)를 구동하여 효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을 통해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한 뒤 유저 단말(40)에서 재생 도구(20)에 이를 전달하고, 재생 도구(20)에서는 다른 사람이 생성한 제2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블록을 어디에 삽입해야 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효과 출력부(294)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 배치형 완구를 통한 음악 컨텐츠의 이용성 및 활용성이 크게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각 음색의 구현 역시 그대로 따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 출력부(294)는 다양한 패턴(점멸 방식, 색깔)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정보 분석부(292)는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뿐 아니라 블록 식별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를 도출하여 효과 제어부(293)에 전송할 수 있다. 효과 제어부(293)는 이 경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21)의 효과 출력부(294)를 블록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블록 식별 정보를 리턴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 및
    상기 블록 유닛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블록 유닛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접촉 영역마다 상기 외부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외부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블록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독출부, 상기 정보 독출부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상기 정보 독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부, 상기 정보 송출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악 생성부, 및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재생 도구; 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거나,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유저 단말로부터 타 유저가 작성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를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상기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효과 출력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의 효과 출력부를 구동하는 효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를 식별하여 블록 유닛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생성부는,
    상기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상기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로부터 상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에서 상기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유닛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사이즈가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를 서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독출부는,
    상기 연결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블록으로부터 외부 신호 송출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정보 송출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송출부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음악 생성부에 송출하고,
    상기 음악 생성부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200083554A 2020-07-07 2020-07-07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KR10239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ko) 2020-07-07 2020-07-07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ko) 2020-07-07 2020-07-07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65A KR20220005865A (ko) 2022-01-14
KR102391401B1 true KR102391401B1 (ko) 2022-04-27

Family

ID=7934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ko) 2020-07-07 2020-07-07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ja)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69091A (zh) * 1999-06-09 2002-09-11 英诺普雷有限公司 用于创作和编排音乐的装置
KR102002226B1 (ko) * 2017-11-23 2019-07-23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음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ja)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音出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65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2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rogrammable computerized interactors
Fiebrink Real-time human interaction with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for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JP5464684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操作補助パネル
CN105536266B (zh) 智能积木游戏装置、智能积木游戏的控制方法及系统
CN103456203A (zh) 一种便携式实物编程方法及系统
Wang et al. E-Block: A tangible programming tool with graphical blocks
Kaltenbrunner et al. The TUIO 2.0 protocol: An abstraction framework for tangible interactive surfaces
CN105700808A (zh) 音乐播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160045535A (ko) 전자펜, 전자펜과 연동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391401B1 (ko)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JP2005078086A (ja) 教育学習コントローラー
KR20090032777A (ko) 알에프아이디, 알에프, 아이알디에이통신을 이용한 다국어및 물체인식 교육용 로봇
Pajankar Arduino Made Simple: With Interactive Projects
KR20180046242A (ko) Nfc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방법
KR102044516B1 (ko) 스마트 블록 시스템, 스마트 블록 제어 방법 및 스마트 블록 제어 단말
US2012011738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nd Using a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Object
KR20230072866A (ko) 마이크로 비트를 통해 예술 컨텐츠를 생성하는 장치
KR102107283B1 (ko) 알고리즘 생성 장치
Wünschiers Computational Biology
KR102203829B1 (ko) 코딩용 카드를 이용하여 코딩로봇의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코딩보드장치 및 방법
Zhang et al. CoolMag: a tangible interaction tool to customize instruments for children in music education
KR102213354B1 (ko) 로봇과 페어링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코딩펜 및 동작 방법
JP2005182540A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を用いた玩具並びに入力方法
Jetsu Tangible user interfaces and programming
KR102403633B1 (ko) 악보 호환 및 상호 인식을 통한 학습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피아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