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79B1 -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79B1
KR101998579B1 KR1020170054535A KR20170054535A KR101998579B1 KR 101998579 B1 KR101998579 B1 KR 101998579B1 KR 1020170054535 A KR1020170054535 A KR 1020170054535A KR 20170054535 A KR20170054535 A KR 20170054535A KR 101998579 B1 KR101998579 B1 KR 10199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dth direction
hole
predetermined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495A (ko
Inventor
오명호
김영호
염경수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액트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액트파트너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1개 이상의 타설구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상부 플랜지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연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관통공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이 배근되는 높이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부재와;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와; 상부 플랜지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 또는 트러스 거더가 구성되는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Steel Built Up Beam And Column-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의 자주식 주차장에는 주차 전용 건축물과 공작물 자주식 주차장이 있다. 공작물 자주식 주차장이란 건축법시행령에 의해 공작물로 인정되는 높이 8m 이하의 철골 조립식 주차장으로서 외벽이 없는 것(이하 "공작물 주차장"이라 함)을 말한다.
공작물 주차장은 주차 전용 건축물과 달리 건축허가 및 사용승인 절차가 요구되지 않고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공작물 축조신고만 하면 되므로 인허가가 간소하고, 건폐율 적용 산정에서 제외되며, 용적율 제한이 적용되지 않고,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설비가 요구되지 않고 간단히 호스릴이나 포소화 설비만 갖추면 된다. 하지만 규모가 최대 3층 4단(3개층에 옥상층 주차가 가능하여 주차 바닥면은 4개)으로 제한된다.
국내 대부분의 공작물 주차장은 주차통로와 주차공간부의 사이에 기둥을 배열하여 설계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즉, 법정주차 통로 최소 폭 6m 좌우에 기둥을 세우고 그 후면에 주차공간을 마련함에 있어서 주차공간의 최소 폭 2.3m의 2, 3, 4배수로 기둥을 배치한다. 그러나 이렇게 설계된 공작물 주차장은 설치되는 기둥의 수가 많아 주차공간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통행 및 회전에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의 단면을 확대하여 중간기둥을 없앤 장스팬 보를 적용한 공작물 주차장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장스팬 보를 적용할 경우 보의 춤이 커져 공작물로 인정되는 높이제한 즉, 8m 이내에서 3개층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주차장법에서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최소 천장높이는 각각 2.3m와 2.1m로 규정하고 있다. 이 높이제한 규정을 공작물 주차장에 적용할 경우, 3개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8m 높이를 3등분한 2.66m 층고가 부여될 수 있다. 중간기둥을 없애기 위해 보의 단면을 확대하여 장스팬화할 경우,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경제성을 부가할 수 있는 보의 최대 높이는 50cm로 한정되기 때문에, 보의 수직적 보강에 의하여 차량 통행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47979호 "기둥 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지상높이가 8m로 제한되는 3개 층의 공작물 주차장 구조물 중, 폭 7m의 주차통로와 주차통로 좌·우는 각각 4.5m 의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총 16m 폭의 주차장 내부 주차통로와 주차공간 사이에는 12m 간격마다 기둥을 세워 차량 5대씩 기둥 간섭 없이 주차할 수 있는 공작물 주차장공법에 있어서, (a) 기초 상부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은 상·하부 플랜지와 수직의 웨브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부 플랜지가 안쪽으로 접혀 있는 폐쇄형의 TSC로된 CFT 기둥으로 하고; (b) 기둥의 높이는 8m이고, 3개 층의 보가 붙는 위치에는 기둥 내부에 앵커볼트와 개방된 부분의 강판을 접합하여 패널 존으로 보강하고 일자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단계에서 기둥의 방향은 주차통로에 면하는 폭이 270mm가 되게 하고 각층 보를 기둥에 부착하는 단계; (d) 12m 길이의 보는 50cm, 그 밖의 보는 30cm로 하고, 16m 폭 중 중앙부의 큰 보는 공장에서 중앙부를 강선으로 긴장하여 제작하는 단계; (d) 보에 깊은골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철근 배근 및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와이어메시를 설치하는 단계; (e)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 시 기둥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전강관콘크리트(CFT)가 되도록 하고, 콘크리트 두께는 보 상부는 5cm, 데크플레이트 상부에서 콘크리트 두께는 7.5cm가 되도록 콘크리를 타설하는 단계; (f) 콘크리트 타설 전 중앙에 가설 잭 서포트(Jack Support)를 준비하여 치올림을 주고, 12m 폭의 내측 보를 조금 높게 설치하여 구조체 자체가 물매를 확보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 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단면형상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고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 길이 전체에 걸쳐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보의 단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순수 철골로 이루어지지 않고 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지는 합성보이기 때문에 해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947979호 "기둥 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사용되는 주차장 구조물용 보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1개 이상의 타설구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상부 플랜지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연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관통공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이 배근되는 높이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부재와;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와; 상부 플랜지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상부부재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 또는 트러스 거더가 구성되는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부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재 높이 형성부의 하단부가 하부부재의 상부판에 결합되어, 상부판의 외측 단부가 높이 형성부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통공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가 하부부재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상부 보강재가 상부부재의 상부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슬릿은 상부부재의 높이 형성부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강부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시공하는 주차장 구조물의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충전형 보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 (b)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와, 충전형 보의 보호노출 압축확판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으로 구성되는 보 연결용 브라켓을 일단부를 충전 기둥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c) 보 연결용 브라켓에 충전형 보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충전형 보의 접근 홀을 덮는 덮개판을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b) 단계에서, 보 연결용 브라켓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와 충전 기둥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b) 단계에서, 보강 부재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도 3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1)는 ∩형 단면을 갖는 상부부재(20)와 상부부재(20)의 하부의 개구부를 덮는 하부부재(10)로 이루어져 내부에 콘크리트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형 단면을 갖도록 하고, 상부부재(20)의 상부에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구성하도록 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부재(20)는 ∩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부(21)와, 상부 플랜지부(2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높이 형성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높이 형성부(22)의 하부에는 하부부재(10)가 결합된다.
이때, 상부 플랜지부(21)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특히 내부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도록 1개 이상의 타설구(211)가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219)이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의 보 연결용 브라켓과 충전형 보(1)의 접합시에 볼트 조립, 용접 등의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높이 형성부(22)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222)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관통공(222)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배근되도록 하여,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폐단면을 갖는 충전형 보(1)의 상부부재(20)와 슬래브 콘크리트(6)간의 합성용 다우웰바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슬래브 단부의 부모멘트 연결 철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도 3의 시공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연통공(22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공(221)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6)와 충전형 보(1) 내부의 콘크리트가 서로 연통공(221)을 통하여 연통되어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4b에서와 같이, 연통공(221)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229)을 배근하여, 하부부재(10)에 데크 거치시에 테크의 골부에 슬래브 골용 철근(229)이 배근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부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U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평판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부재(10)의 경우에는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9)를 거치하고 데크 플레이트(9)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부재(10)가 U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부재(10)는 U형의 단면을 갖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11)과, 하부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으로 구성되며,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부판(13)이 구성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부판(13)의 상부에는 데크 플레이트(9)를 거치하고 데크 플레이트(9)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상부 보강재(50)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플랜지부(21)는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하부에 접합되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이 바닥면과 일치되어 노출되기 때문에 상부 보강재(50)를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구성하여 상부 플랜지부(21)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중에도 작업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보강하도록 한다.
상부 보강재(50)는 철근 등의 다양한 선재를 상부 플랜지부(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부 보강재(50)로 사각단면을 갖는 각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21)의 하부면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형 보(1)는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40)가 하부부재(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하부부재(10)를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로 이루어지는 충전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를 형성하는 강재판의 두께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상부면이 영구 노출되도록 상부부재(20)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구성하도록 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무늬가 없는 일반 강판이나 상부면에 특정 무늬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무늬 강판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상부부재(20) 상부 플랜지(21)의 상부면에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폭은 상부 플랜지(21)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부 플랜지(21)에 접합시에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하여 상부 플랜지(21)에 휨압축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은 상부 플랜지부(21)의 타설구(211)및 접근 홀(219)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에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외측에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73)이 형성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의 압축력과 충전형 보(1)와의 강성차이로 길이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슬릿(73)은 도 5a에서와 같이,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 부분과 충전형 보(1)와의 변형에 의하여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노축 보호강판(70)에는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트러스 거더(72)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b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71)를 구성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와의 합성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75)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보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보강부(75)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75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보강부(75)의 내측과 외측의 콘크리트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먼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충전형 보(1)를 사전 제작하도록 한다(a).
이후, 도 6a에서와 같이, 보 연결용 브라켓(8)을 일단부를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b).
보 연결용 브라켓(8)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형 보(1)의 단면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폐단면의 박스형 구조로 형성한다.
보 연결용 브라켓(8)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83) 및 충전형 보(1)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88)으로 이루어진다.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상부 수평 플레이트(82)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는 모두 폐단면을 갖는 박스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충전형 보(1)의 단부에 형성된 접근 홀(219)을 이용하여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접합시에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지지 플레이트(83)는 하부부재(1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별도의 이음판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타측 단부 즉, 충전형 보(1)와 결합되는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충전형 보(1)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상부에 거치되어 보 연결용 브라켓(8)과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보 연결용 브라켓(8)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하부와 기둥(7)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84)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84)는 플레이트 등을 덧대어 보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84)는 ┻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충전형 보(1)의 단부를 지지하며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 연결용 브라켓(8)은 일단부를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용접, 브라켓 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보 연결용 브라켓(8)에 충전형 보(1)의 단부를 결합하도록 한다(c).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결합은 별도의 덧판(90)을 덧대어 볼트 등으로 결합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c에서와 같이,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을 덮는 덮개판(89)을 결합하여 마감하도록 한다(d).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은 보 연결용 브라켓(8)과 충전형 보(1)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충전형 보(1)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미리 접근 홀(821)을 덮도록 덮개판(89)을 접근 홀(821)에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덮개판(89)은 접근 홀(219)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기밀하게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부재(20)의 타설구(211)는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도 있으며 별도의 마감판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1)를 적용한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주차장 구조물은 일반적인 공작물 주차장과 동일하게, 기초와, 기초 상부에 구성되는 기둥(7)과, 기둥(7)과 기둥(7)을 연결하는 충전형 보(1)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보(1)는 노축 보호강판(70)가 노출되도록 슬래브 콘크리트(6)가 구성된다.
주차장법에서 주차통로와 주차공간의 최소 천장높이는 각각 2.3m와 2.1m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작물 주차장의 경우에는 8m이하의 높이로 제작되어야 하며, 3층 4단의 8m 높이의 공작물 주차장에서는 최대 8m를 3등분한 2.66m 층고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은 충전보를 사용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 충전보의 상부면에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구성하여 휨압축을 받는 충전보의 강재단면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도, 보호노출 압축확판을 바닥면 슬래브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충전형 보
10 : 하부부재
11 : 하부판
12 : 수직판
13 : 상부판
20 : 상부부재
21 : 상부 플랜지부
22 : 높이 형성부
40 : 하부 보강재
50 : 상부 보강재
70 : 보호노출 압축확판
6 : 슬래브 콘크리트
7 : 기둥
8 : 보 연결용 브라켓
81 : 수직 결합 플레이트
82 : 상부 수평 플레이트
83 : 하부 지지 플레이트
9 : 데크 플레이트

Claims (11)

  1.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사용되는 주차장 구조물용 보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1개 이상의 타설구(211)가 통공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단부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접근 홀(219)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부(21)와, 상부 플랜지부(2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연통공(221)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222)이 통공되어 형성되며, 관통공(222)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상부 연속 철근(223)이 배근되는 높이 형성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부재(20)와;
    폭방향 양단부가 상부부재(20)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부재(10)와;
    상부 플랜지(21) 보다 일정 크기 큰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길게 슬릿(73)이 형성되어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21)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상부 플랜지(2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강재 앵커(71) 또는 트러스 거더(72)가 구성되는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부재(1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하부판(11)과, 하부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 수직판(12)의 상단에서 폭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재(20) 높이 형성부(22)의 하단부가 하부부재(10)의 상부판(13)에 결합되어, 상부판(13)의 외측 단부가 높이 형성부(22)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통공(221)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슬래브 골용 철근(229)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하부 보강재(40)가 하부부재(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선재로 구성되는 상부 보강재(50)가 상부부재(20)의 상부 플랜지부(2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릿(73)은 상부부재(20)의 높이 형성부(22)를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노출 압축확판(70)의 폭방향 양단부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부(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보강부(75)는 길이방향 일정 간격마다 관통전단홀(75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의 충전형 보를 이용하여 보의 상부면이 노출되어 바닥면 슬래브와 일치하도록 시공하는 주차장 구조물의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충전형 보(1)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
    (b)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타측 단부가 수직 결합 플레이트(81)의 타단부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와, 충전형 보(1)의 보호노출 압축확판(7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일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 플레이트(8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연결 강판(88)으로 구성되는 보 연결용 브라켓(8)을 일단부를 충전 기둥(7)의 일정 높이에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
    (c) 보 연결용 브라켓(8)에 충전형 보(1)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d) 충전형 보(1)의 접근 홀(219)을 덮는 덮개판(89)을 결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b) 단계에서,
    보 연결용 브라켓(8)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83)의 하부와 충전 기둥(7)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보강 부재(8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b) 단계에서,
    보강 부재(84)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20170054535A 2017-04-27 2017-04-27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199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ko) 2017-04-27 2017-04-27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ko) 2017-04-27 2017-04-27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95A KR20180120495A (ko) 2018-11-06
KR101998579B1 true KR101998579B1 (ko) 2019-07-10

Family

ID=6432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35A KR101998579B1 (ko) 2017-04-27 2017-04-27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60B1 (ko) * 2020-05-15 2022-05-23 김재문 장스팬 구조 및 낮은 층고 구현을 위한 빔
CN112012399A (zh) * 2020-07-31 2020-12-01 中冶(上海)钢结构科技有限公司 钢骨梁腹板不穿孔的箍筋设置方法
KR102496559B1 (ko) 2020-09-21 2023-02-07 송성민 프리캐스트 중공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355916B1 (ko)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SE546101C2 (sv) * 2022-05-30 2024-05-21 Svensson Nils Gustav Balk av stål avsedd att tillsammans med betong forma ett bjälkl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10A (ja) 2008-08-19 2010-03-04 Takenaka Komuten Co Ltd 合成梁、合成梁施工方法、及び耐火建築物
KR101464349B1 (ko) 2013-06-25 2014-11-26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주차장 건물의 상부플랜지 노출형 철골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79B1 (ko) 2008-03-28 2010-03-18 이창남 기둥 간섭 없이 5대 주차가 가능한 3개층 공작물 주차장공법
KR101073610B1 (ko) * 2008-09-24 2011-10-14 권기혁 슬릿형 강판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
KR20140071199A (ko) * 2012-12-03 2014-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형 모자빔
KR20140146403A (ko) * 2013-06-17 2014-12-26 우경기술주식회사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보강용 콘크리트 케이션을 합성한 강재거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10A (ja) 2008-08-19 2010-03-04 Takenaka Komuten Co Ltd 合成梁、合成梁施工方法、及び耐火建築物
KR101464349B1 (ko) 2013-06-25 2014-11-26 주식회사 한구조엔지니어링 주차장 건물의 상부플랜지 노출형 철골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95A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79B1 (ko) 주차장 구조물에서의 보호노출 압축확판이 형성되어 층고절감이 가능한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0898283B1 (ko)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철골조 시공방법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US8245469B2 (en) Deck assembly module for a steel framed building
KR101814506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슬래브 플랜지를 갖는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1116073B1 (ko) 층고절감형 합성보
KR101617221B1 (ko)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587583B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JP3494433B2 (ja) 鉄骨造建物の壁式構築工法
WO2007131115A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JP4996370B2 (ja) 架構組立方法および建物の架構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CN216475803U (zh) 一种应用于剪力墙体体系的新型预制楼板构造
KR100578641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 기둥, 이를 이용한 복합 구조 시스템및, 이의 시공방법
JPH0586674A (ja) 合成床スラブ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JP2003105861A (ja) Hfc柱、hfc梁等を用いた中高層建造物
KR101038291B1 (ko) 슬림플로어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JP4247482B2 (ja) 床の構造
JPS6314937A (ja) 鉄筋鉄骨複合柱
CN220433898U (zh) 装配式肋格构建筑结构及建筑物
JP3116767B2 (ja) 既設建物の免震構造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