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20B1 -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20B1
KR101998120B1 KR1020170136617A KR20170136617A KR101998120B1 KR 101998120 B1 KR101998120 B1 KR 101998120B1 KR 1020170136617 A KR1020170136617 A KR 1020170136617A KR 20170136617 A KR20170136617 A KR 20170136617A KR 101998120 B1 KR101998120 B1 KR 10199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egrees
fixing member
flan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737A (ko
Inventor
황종욱
김한찬
이항준
정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크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크순
Priority to US16/605,88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35164B2/en
Priority to CN201880025716.3A priority patent/CN110520662B/zh
Priority to JP2020506691A priority patent/JP2020516835A/ja
Priority to PCT/KR2018/003901 priority patent/WO201819429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20B1/ko
Priority to JP2021038735A priority patent/JP202110112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6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hree or more members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hanging from a pend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클램프에 배관의 축(종)방향과 축직각(횡)방향의 수평 지진 하중을 동시에 견딜 수 있는 2개의 버팀대를 결합하여 배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팀대의 구성을 간소화 하여 염가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클램프와 버팀대의 결합각도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하여 설치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를 제공코자 한다. 또한, 배관 행거가 설치 후 버팀대를 2중으로 설치하는 일반적인 작업공정을 해소하고자 행거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120~150도 각도의 호형으로 제2부재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Supporting device for horizontal piping 4 directions}
본 발명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에 적용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클램프에 배관의 축(종)방향과 축직각(횡)방향의 수평 지진 하중을 동시에 견딜 수 있는 2개의 버팀대를 결합하여 배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팀대의 구성을 간소화 하여 염가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클램프와 버팀대의 결합각도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하여 설치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를 제공코자 한다.
또한, 배관 행거가 설치 후 버팀대를 2중으로 설치하는 일반적인 작업공정을 해소하고자 행거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자 한다.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은 슬래브에 버팀장치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버팀장치는 배관을 잡아주는 기본기능과 함께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여 배관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성도 가진다.
배관에 적용되는 버팀장치는 종방향 진동을 흡수 처리하는 것과, 횡방향 진동을 흡수 처리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방향 진동을 흡수 처리하는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6-0057358호(2016.05.23.)호의 파이프를 구비한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배관의 상부 외면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제1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배관의 하부 외면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제2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의 일측과 제2클램프의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와; 상기 제1클램프의 타측과 제2클램프의 타측을 고정시켜 주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1회전수단과; 상기 제1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3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3연결부 사이에 나사 결합 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1파이프를 포함한 구성 등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횡방향 진동을 흡수 처리하는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6-0058072호(2016.05.24.)의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제1회전수단과; 상기 제1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외면 일단부에 설치된 제1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파이프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2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파이프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3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3클램프에 설치되어 배관을 고정시켜 주는 유밴드와; 상기 제1회전수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회전수단과; 상기 제2회전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배관이 흔들리지 않게 해 주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2연결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파이프의 외면 일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힌지부에 의해 제1클램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4클램프를 포함한 구성 등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들의 버팀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종방향과 횡방향의 진동을 모두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관상에 각각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20-2016-0001755호(2016.05.24.)의 흔들림 방지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배관의 상부 외면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배관의 하부 외면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하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수단과; 상기 제1회전수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천정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수단과; 상기 제1회전수단과 제2회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회전수단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구성등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클램프에 제1연결부를 결합하고, 제1연결구에 제3 내지 제7연결부를 상호 결합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2나사봉을 조립하여 버팀 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사봉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30도 이상으로 버팀대의 설치해야 하는데, 현장에서 이 규정에 부합하도록 설치하지 못하여 재 시공하는 사례가 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바, 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버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내진용 버팀대를 배관의 축(종)방향 및 축직각(횡)방향, 축방향 또는 축직각방향으로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관에 버팀대를 적용하기 전 행거를 설치한 후 버팀대를 설치하므로 버팀대와 행거가 이중으로 설치되므로 이를 해소하고자 소켓형 너트 또는 제1부재와 체결되는 플랜지에 행거를 설치하도록 하여 내진용 버팀대와 행거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공정을 없애고자 한다.
KR 1020160057358 A 2016.05.23. KR 1020160058072 A 2016.05.24. KR 2020160001755 U 2016.05.24.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배관 설치에 관련한 내진성을 갖는 다양한 버팀장치에서 축(종)방향 또는 축직각(횡)방향으로의 진동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 복수의 버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시공과정에서 클램프와 버팀대의 결합각도를 30 보다 큰 각도로 시공할 때 정확한 각도로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과 버팀대 설치전 배관을 지지하는 행거를 2중으로 설치하는 작업공정을 줄이고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를 2등분 또는 3등분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는 버팀대와,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는 버팀대를 함께 적용하여 배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팀대의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도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하면서도 염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클램프에 형성된 플랜지 및 버팀대의 양단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에 각도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이를 통해서 소망하는 설치각도로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과정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버팀대 설치전 배관을 지지할 수 있는 일반적인 행거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수평방향으로부터 120~240도 각도의 호형으로 제2부재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180~270도 각도로 이루어지고, 30~60도 각도의 호형으로 조립홈이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배관과 접하는 내주연에는 조립홈과 연결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음각으로 형성된 제2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2부재에 형성된 조립홈을 통해 내입된 상태로 걸림홈에 하단이 걸림되는 고정구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고,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플랜지를 클램프부재의 축방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구비된 플랜지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상호 조립되고, 슬래브 쪽에 위치하는 제1부재에는 수직으로 플랜지를 클램프부재의 축방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에 수직으로 형성된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1,2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플랜지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배관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 및 제2버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되고,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플랜지를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사이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는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이면서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플랜지와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제1버팀대 또는 제2버팀대는, 클램프부재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 및 상부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슬래브에 고정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상기 클램프부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재2부재의 내주연에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완충재를 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상기 하부고정부재 또는 상부고정부재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을 형성하고, 결합편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이 형성되도록 볼트내입홈을 형성하여 나사봉이 조립되는 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상기 하부고정부재를 구성하는 결합편은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째 상기 하부고정부재 또는 상부고정부재는 평철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결합편의 하측으로 조절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편을 절곡 형성하고, 연결편으로 하측에는 상기 결합편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된 나사봉결합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째 상기 하부고정부재 또는 상부고정부재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편 상측으로 바디를 일체 형성하되, 바디에는 조절공간이 축직각으로 관통되고, 바디의 상단에는 나사구멍을 조절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째 상기 제1버팀대를 구성하고 있는 브래킷을 고정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는 소켓형 너트와, 소켓형 너트에 결합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구와, 연결구의 하단에 결합되며 배관을 클램핑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세째 상기 제2버팀대의 구성부재인 슬래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는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행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넷째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각도표시부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상기 각도표시부와 대응하는 지시부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다섯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에 결합되는 고정구에는 각도표시부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상기 각도표시부와 대응하는 지시부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여섯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에는 각도표시부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상기 각도표시부와 대응하는 지시부를 형성하는 표시수단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일곱째 상기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여덟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아홉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째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3부재을 결합하는 플랜지와, 제2부재와 제3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플랜지에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핀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한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부재에 결합되는 고정구에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둘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고정구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셋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고정구의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넷째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3부재을 결합하는 플랜지와, 고정구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플랜지와 고정구에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핀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다섯째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에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여섯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에는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일곱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에는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여덟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플랜지와,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에는 플랜지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핀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물아홉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하부고정부재의 결합편 하측면을 30도 각도에서 배관과 면접 지지되도록 평면부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하부고정부재의 결합편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한째 기 제1,2부재 중 플랜지가 형성된 부재에는 행거겸용 플랜지(27)를 더 설치하여 제1버팀대 또는 행거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둘째 상기 플랜지는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28
형으로 절곡하여 연결부분측을 제1부재 또는 재2부재에 고정하되; 상기 플랜지는 연결부분이 클램프부재의 폭에 부합하거나 클램프부재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구성된 것을 고정판 한다.
서른셋째 상기 제2버팀대는 상단이 슬래브에 고정된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29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으로 결합한 파이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넷째 상기 제2버팀대는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0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과, 슬래브에 고정된 브래킷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 및 상부고정부재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봉 및 나사봉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다섯째 상기 하부고정부재 및 상부고정부재는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판과 이들 고정판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고정판에는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되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연결판에는 나사봉이 끼워지는 나사봉조립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플랜지와 같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1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른여섯째 상기 플랜지의 상단과 하부고정부재 및 상부고정부재을 구성하는 고정판의 상단 양측으로 45도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클램프부재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2개의 버팀대를 동시에 결합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구성이 간단하다.
-배관의 축(종)방향과 축직각(횡)방향의 진동을 2개의 버팀대로 흡수 처리하므로 내진성이 우수하다.
-2개의 버팀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염가의 제작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클램프부재의 플랜지와 제1,2버팀태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부재에 각도표시부와 지시부가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이를 이용하여 제1,2버팀대의 설치 각도를 소망하는 데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의 플랜지와 제1,2버팀대에 스토퍼수단이 구비되므로, 제1,2버팀대를 설치함에 있어 소방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3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시공이 불가능하므로 시공량으로 인한 문제점을 완벽히 해소할 수 있다.
-내진용 버팀대를 설치하기 전 배관을 고정하는 행거를 설치한 이후 버팀대를 설치함에 따라 2중으로 배관을 고정 지지하는 작업공정을 일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클램프부재에 플랜지를 90도 각도로 설치하여 제1,2버팀대를 적용한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1,2버팀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버팀대에 적용되는 하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제1,2버팀대의 정면도
도 13, 도 14는 본 발명 제1,2버팀대에 적용될 수 있는 하부고정부재와 상부고정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1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2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3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4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5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버팀대에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제2버팀대만 적용한 상태에서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적용될 수 있는 제2버팀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서 제공하는 제2버팀대의 사용례를 보인 정면도
도 26은 도 23에 적용될 수 있는 제2버팀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7는 도 26에서 제공하는 제2버팀대의 사용례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1)는 건출물에 설치되는 상하수도관, 가스관,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이 유체를 공급하는 각종 배관(200)에 적용하여, 특히 지진 발생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축직각(횡)방향으로 발생하는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여 배관(20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1)의 경우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결합되는 하나의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와 슬래브(3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버팀대(3)는 축(종)방향으로의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0)의 축(종)방향(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부터 30도 이상 90도 이하로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2버팀대(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원주방향)으로 수직으로부터 30도 이상 90도 이하로 경사지게 설치하게 된다.
참고로 부언하면, 내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버팀대의 경우 슬래브(300)와 바닥을 있는 수직선상에서 최소 30도 이상의 기울기를 제공하도록 소방법상에 명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일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클램프부재(2)의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반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120~240도 각도의 호형으로 제2부재(22)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부재(21)(22)(23)에는 양단부에 각각 플랜지(24)가 형성되고, 플랜지(24)에 고정구멍(25)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26)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부재(21)(22)(23)은 상호 결합된 상태일 때 내주면에 배관(200)과 접하는 원호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제공하는 클램프부재(2)는 상기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부재(21)(22)(23)로 구성함에 있어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연결하는 구성이 힌지 타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부재(21)에 힌지홈(21a)을 형성하고, 제2부재(22)에 힌지편(22a)을 형성하여 상호 조립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2개의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의 클램프부재(2)는 상기와는 달리 반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제2부재(22)에는 180~270도 각도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부터 30~60도 각도의 호형으로 조립홈(22b)이 원주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배관(200)과 접하는 내주연에는 조립홈(22b)과 연결되는 복수의 걸림홈(22c)이 축(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3개소의 걸림홈(22c)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30도, 45도, 60도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태이다.
또한 도 6에서 제공하는 클램프부재(2)는 고정구(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고정구(5)는 상측으로 제2버팀대(4)의 하부고정부재(1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51)이 형성되도록 대향으로 고정편(52)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제2부재(22)에 형성한 조립홈(22b)을 통해 끼워져 90도 회동되어 걸림홈(22c)에 걸림되는 앵커부(5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구(5)에 구비되는 앵커부(53)는 제2부재(22)에 복수로 형성된 걸림홈(22c)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구(5)를 30도, 45도, 60도의 각도로 위치되게 한다.
또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플랜지(24)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한쪽을 힌지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제1부재(21) 또는 제2부재(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플랜지(24)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클램프부재(2)의 축방향으로 부착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24)는 하나 또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플랜지(24) 사이에는 제2버팀대(4)의 하부고정부재(1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51)이 형성되거나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삽입공간 없이 하나의 플랜지(24)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플랜지(24)를 90도 각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클램프부재에 플랜지를 90도 각도로 설치하여 제1,2버팀대를 적용한 예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반호형으로 형성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플랜지(24)가 수평상태로 위치되도록 배관(200)에 결합하고, 상측에 위치하는 제1부재(21)에 수직으로 플랜지(24)를 더 형성한 것으로, 제1부재(21)에 수직으로 형성한 플랜지(24)에 축직각(횡)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는 제1버팀대(4)를 설치하고, 제1,2부재(21)(22)를 상호 결합하는 플랜지(24)에 축직각(횡)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2버팀대(4)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버팀대(4)를 슬래브(300)와 경사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버팀대(4)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부재(10)의 결합편(15)을 수직으로부터 30~90도 범위로 슬래브(300)을 향하도록 상향 절곡하여 제2버팀대(4)의 설치각도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에 도시한 클램프부재는 상기 도 4, 5, 7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3개의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1/4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210~240도 각도의 호형으로 제2부재(22)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23)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4에서의 클램프부재(4)에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형상을 달리한 것으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결합되는 부분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이 결합되는 부분과 직각으로 위치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주로 공동주택과 같이 슬래브(300)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좁은 곳에 적용할 때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결합되는 부분이 천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1,2버팀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버팀대에 적용되는 하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제1,2버팀대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1)에서 제공하는 제1,2버팀대(3)(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10)와 상부고정부재(12)는 동일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의 구성은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며, 플랜지(24)에 형성된 고정구멍(25)과 연통되는 결합구멍(14)이 형성된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너트(28)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를 구성하는 경우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나사봉(11)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1,2버팀대(3)(4)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13)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를 조립하는 볼트구멍(13a)이 적어도 한 개소 이상 형성되며, 상부고정부재(12)의 결합편(15)을 고정하는 고정편(131)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나사봉(11)은 생산성 등을 고려할 때 기성품인 전산볼트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3, 도 14은 본 발명 제1,2버팀대에 적용될 수 있는 하부고정부재와 상부고정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1,2버팀대(3)(4)에 적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부고정부재(12)는 도 12에서와 같이 결합편(15)의 하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연결편(15a)을 절곡 형성하고, 연결편(15a)으로 하측에는 상기 결합편(15)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나사구멍(15c)이 형성된 나사봉결합판(15b)을 절곡하여 형성한 구성한 것으로, 평철을 절곡하여 형성하면 된다.
도 14은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결합편(15) 상측으로 바디(19)를 일체 형성하되, 바디(19)에는 조절공간(16)을 축직각으로 관통 형성하고, 바디(19)의 상단에는 나사구멍(19a)을 조절공간(16)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도 13, 도 14와 같이 하부고정부재(10)와 상부고정부재(12)를 제공하는 경우 너트(18)를 용접 고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제작이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수단을 적용한 상태의 제1실시례 내지 제5실시례를 보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부재(2)와 하부고정부재(10)를 결합할 때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상의 경사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토퍼수단(30)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각도표시부(41)를 두어 버팀대의 설치각도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표시수단(40)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표시수단(4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각도표시부(41)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상기 각도표시부(41)와 대응하는 지시부(42)를 형성하여 설치각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도표시부(41)와 지시부(42)는 프레싱 가능하도록 음각으로 형성토록 하며, 각도표시부(41)는 30~90도 범위에서 5~10도 간격으로 표시하여 다양한 각도로 제1,2버팀대(3)(4)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시수단(40)을 도 6에서와 같은 고정구(5)에 적용코자 할 시에는 고정구(5)를 구성하고 있는 고정편(52)에 형성토록 하거나 도 7과 같이 플랜지(24)에 형성토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40)의 경우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재에 형성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스토퍼수단(30)의 경우 도 15 내지 도 19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및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에 적용되거나, 플랜지(24)에 결합되는 고정구(5)에 적용할 수 있다.
스토퍼수단(30)의 제1실시례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31)을 형성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로 회동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토퍼수단(30)의 제2실시례로는 도 16과 같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로 회동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토퍼수단(30)의 제3실시례로는 도 17과 같이 하부고정부재(10)의 결합편(15) 하측면을 수직으로부터 30도 각도에서 배관(200)과 면접 지지되도록 평면부(33)를 형성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로 회동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토퍼수단(30)의 제4실시례로는 도 18과 같이 하부고정부재(10)에 구비된 결합편(15)의 중간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4)를 형성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로 회동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스토퍼수단(30)의 제5실시례로는 도 19와 같이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에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35)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플랜지(24)에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3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36)을 형성하여 고정핀(37)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도조절용 구멍(35)은 배관(200)과 수직선상에서 제1,2버팀대(3)(4)가 30도, 45도, 60도 등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여 제1,2버팀대(3)(4)의 설치가 30도, 45도, 60도 등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면 도 15, 도 16, 도 17와 같이 구성되는 스토퍼수단(30)의 경우 제2부재(22)에 결합되는 고정구(5)의 고정편(52)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클램프부재(2)에 축(종)방향과 축직각(횡)방향으로 적용하는 제1,2버팀대(3)(4)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고, 특히 제1,2버팀대(3)(4)를 염가 제작하여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부재(2)와 제1,2버팀대(3)(4)를 결합함에 있어서, 표시수단(40) 및 스토퍼수단(30)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버팀대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소방법에서 제한하고 있는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 각도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여 설치불량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버팀대에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도 2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버팀대(3)를 설치하기 전 행거(6)가 구비되어 배관(200)을 걸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버팀대와 행거(6)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버팀대(3)를 구성하고 있는 브래킷(13)에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편(131)을 절곡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브래킷(13)을 고정하는 앵커볼트(132)에는 소켓형 너트(61)를 결합하고, 소켓형 너트(61)에는 행거(6)를 설치토록 한다.
상기 행거(6)는 소켓형 너트(61)에 결합되는 나사봉(62)과, 나사봉(62)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구(63)와, 연결구(63)의 하단에 결합되며 배관(200)을 클램핑하는 클립(6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6)는 배관(200)을 단순히 걸어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며,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배관(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철거하거나 또는 행거(6)를 그대로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인 행거(6) 설치 후 축(종)방향 또는 축직각(횡)방향의 제1,2버팀대(3)(4)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행거(6)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슬래브(300) 하측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공동주택의 천장 등에 사용하여 배관(200)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에 제2버팀대만 적용한 상태에서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클램프부재(2)가 1/4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210~240도 각도의 호형으로 제2부재(22)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부재(2)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2부재(22)와 제3부재(23)의 연결 부분으로 제2버팀대가 적용되고,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연결부분에 행거(6)를 적용토록 한 것이다.
상기 행거(6)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앵커볼트(132)에 결합한 소켓형 너트(61)와, 소켓형 너트(61)에 결합되는 나사봉(62)과, 나사봉(62)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연결부분에 하단이 연결구(6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2와 같은 구성은 클램프부재(2)에 제2버팀대(4)만 적용할 때 별도로 행거(6)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클램프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클램프부재(2)는 주로 슬래브(300)와 천장간의 높이가 낮은 곳(아파트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으로, 반호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제1부재(21) 또는 제2부재(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플랜지(24)를 수직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부착함에 있어서, 도 7과 달리 플랜지(24)가 원주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24)는 하나 또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 제안되고 있으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2
형으로 절곡하여 연결부분측을 제1부재(21) 또는 제2부재(22)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구성을 제공하며, 또한 개구 측인 상단 양측으로 30도 또는 45도 각도의 경사면(24a)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24)는 연결부분이 클램프부재(2)의 폭에 부합하거나 클램프부재(2)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재(2)를 구성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내주연에는 고무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재(50)를 부가 구성토록 한다. 상기 완충재(50)는 상기한 다양한 실시례들의 클램프부재(2)에 공용으로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24)를 원주방향으로 적용하는 경우 제2버팀대(4)에서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한 전단력을 높일 수 있어 사용 중 플랜지(24) 및 클램프부재(2)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 없는 견고한 구성의 클램프부재(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4)가 형성된 제1부재(21) 또는 제2부재(22)에는 플랜지(24)와 30도 각도로 틀어진 위치에 행거겸용 플랜지(27)를 더 설치하여 제1버팀대(3) 또는 행거(6)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는 도 23에 적용될 수 있는 제2버팀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5는 도 24에서 제공하는 제2버팀대의 사용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60)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3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24)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60)으로 결합한 구성이다.
이는 버팀 역할을 하는 파이프(70)를 적당한 길이로 커팅하고, 양단에 고정수단(60)을 조립할 수 있는 구멍만 천공하면 되는 것으로,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도 버팀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6은 도 23에 적용될 수 있는 제2버팀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7는 도 26에서 제공하는 제2버팀대의 사용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 27에서 제공하는 제2버팀대(4)는 도 23에서 제공하고 있는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4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24)의 내측 또는 외측과,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봉(11) 및 나사봉(11)에 체결되는 너트(1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는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판(10a)(12a)과 이들 고정판(10a)(12a)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판(10b)(12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고정판(10a)(12a)에는 플랜지(24)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되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10c)(12c)을 형성하고, 연결판(10b)(12b)에는 나사봉(11)이 끼워지는 나사봉조립구멍(10d)(12d)을 형성한 것으로, 플랜지(24)와 같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5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4)의 상단과 같이 고정판(10a)(12a)에는 개구 측인 상단 양측으로 30도 또는 45도 각도의 경사면(10e)(12e)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버팀대(4)를 구성하는 경우 플랜지(24)와 하부고정부재(10)의 각도 조절을 별도의 표시 수단 없이도 30도, 45도, 60도 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 실시례와 같이 플랜지(24)와 하부고정부재(10)의 고정판(10a)을 서로 일치하게 하면 제2버팀대(4)를 30도 각도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고, 플랜지(24)와 하부고정부재(10)의 고정판(10a)에 형성된 경사면(24a)(10e)이 일치하게 하면 제2버팀대(4)를 45도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클램프부재
21:제1부재 21a:힌지홈
22:제2부재 22a:힌지편
22b:조립홈 22c:걸림홈
23:제3부재 24:플랜지
25:고정구멍 26:체결수단
3:제1버팀대 4:제2버팀대
5:고정구 51:삽입공간
52:고정편 53:앵커부
6:행거 61:소켓형 너트
62:나사봉 63:연결구
64:클립 10:하부고정부재
10a,12a:고정판 10b,12b:연결판
10c,12c:고정구멍 10d,12d:나사봉조립구멍
11:나사봉 12:상부고정부재
13:브래킷 131:고정편
132:앵커볼트 14:결합구멍
15:결합편 15a:연결편
15b:나사봉결합편 15c,19a:나사구멍
16:조절공간 17:너트내입홈
18:너트 19:바디
30:스토퍼수단 31:걸림턱
32,34:걸림돌기 33:평면부
35:각도조절용 구멍 36:고정구멍
37:고정핀 40:표시수단
41:각도표시부 42:지시부
50:완충재 60:고정수단
70:파이프 200:배관
300:슬래브

Claims (36)

  1.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 또는 1/4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1)와, 120~240도 각도의 호형으로 이루어진 제2부재(22)와,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이루어진 제3부재(2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팀대(3)는,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4)는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버팀대(3) 또는 제2버팀대(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또는 상부고정부재(12)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 또는 1/4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1)와, 180~270도 각도로 이루어지고 30~60도 각도의 호형으로 조립홈(22b)이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배관(200)과 접하는 내주연에는 조립홈(22b)과 연결되는 복수의 걸림홈(22c)이 형성된 음각으로 형성된 제2부재(22)로 구성되며;
    상기 제1버팀대(3)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4)는 제2부재(22)에 형성된 조립홈(22b)을 통해 내입된 상태로 걸림홈(22c)에 하단이 걸림되는 고정구(5)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버팀대(3) 또는 제2버팀대(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또는 상부고정부재(12)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로 구성되고, 제1,2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플랜지(24)를 클램프부재(2)의 축방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3)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4)는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구비된 플랜지(24)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버팀대(3) 또는 제2버팀대(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또는 상부고정부재(12)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4.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상호 조립되고, 슬래브(300) 쪽에 위치하는 제1부재(21)에는 수직으로 플랜지(24)를 클램프부재(2)의 축방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3)는, 제1부재(21)에 수직으로 형성된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4)는, 제1,2부재(21)(22)를 상호 결합하는 플랜지(24)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버팀대(3) 또는 제2버팀대(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또는 상부고정부재(12)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5. 배관(20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클램프부재(2)와, 클램프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제1버팀대(3) 및 제2버팀대(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는, 반호형으로 이루어진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로 구성되고,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로 플랜지(24)를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버팀대(3)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사이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종)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종)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제2버팀대(4)는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30~60도 각도이면서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플랜지(24)와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30~9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배관(200)의 축직각(횡)방향 수평 지진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1버팀대(3) 또는 제2버팀대(4)는, 클램프부재(2)와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1)과, 상기 나사봉(1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재(12) 및 상부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또는 상부고정부재(12)는 철판을 프레싱 절단하여 일측으로 플랜지(24)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편(15)을 형성하고, 결합편(15)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조절공간(16)이 형성되도록 너트내입홈(17)을 형성하여 나사봉(11)이 조립되는 볼트를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2)를 구성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내주연에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완충재(50)를 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팀대(4)의 구성부재인 슬래브(300)에 고정되는 브래킷(13)에는 배관(200)을 설치하기 위한 행거(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에는 각도표시부(41)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상기 각도표시부(41)와 대응하는 지시부(42)를 형성하는 표시수단(40)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3)(4)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에 결합되는 고정구(5)에는 각도표시부(41)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상기 각도표시부(41)와 대응하는 지시부(42)를 형성하는 표시수단(40)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3)(4)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24)에는 각도표시부(41)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상기 각도표시부(41)와 대응하는 지시부(42)를 형성하는 표시수단(40)을 마련하여 제1,2버팀대(3)(4)의 설치각도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수단(30)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31)을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와, 제2부재(22)와 제3부재(23)를 결합하는 플랜지(24)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35)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플랜지(24)에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3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36)을 형성하여 고정핀(37)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부재(22)에 결합되는 고정구(5)에는 스토퍼수단(30)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고정구(5)의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31)을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고정구(5)의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3부재(23)을 결합하는 플랜지(24)와, 고정구(5)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35)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플랜지(24)와 고정구(5)에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3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36)을 형성하여 고정핀(37)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24)에는 스토퍼수단(30)을 구비하여 하부고정부재(10)가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24)에는 상부에 외향 돌출된 상태로 하향 절곡하여 걸림턱(31)을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 중 어느 하나와,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24)에는 상부에 프레싱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결합하는 플랜지(24)와, 제1,2부재(21)(2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플랜지(24)에 30도, 45도, 60도로 복수의 각도조절용 구멍(35)을 형성하고, 하부고정부재(10)에는 플랜지(24) 형성한 각도조절용 구멍(35)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중심선상에 고정구멍(36)을 형성하여 고정핀(37)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29. 청구항 17, 청구항 21,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하부고정부재(10)의 결합편(15) 하측면을 30도 각도에서 배관(200)과 면접 지지되도록 평면부(33)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0. 청구항 17, 청구항 21,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30)은 하부고정부재(10)의 결합편(15)에 돌출된 걸림돌기(34)를 형성하여 하부 고정부재(10)가 수직으로부터 30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부재(21)(22) 중 플랜지(24)가 형성된 부재에는 행거겸용 플랜지(27)를 더 설치하여 제1버팀대(3) 또는 행거(6)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4)는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6
    형으로 절곡하여 연결부분측을 제1부재 (21)또는 제2부재(22)에 고정하되;
    상기 플랜지(24)는 연결부분이 클램프부재(2)의 폭에 부합하거나 클램프부재(2)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버팀대(4)는 상단이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60)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7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24)에 회동가능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60)으로 결합한 파이프(70)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버팀대(4)는 철판을
    Figure 112019036093814-pat00038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플랜지(24)의 내측 또는 외측과, 슬래브(300)에 고정된 브래킷(13)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나사봉(11) 및 나사봉(11)에 체결되는 너트(1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는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판(10a)(12a)과 이들 고정판(10a)(12a)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판(10b)(12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고정판(10a)(12a)에는 플랜지(24)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되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10c)(12c)을 형성하고, 연결판(10b)(12b)에는 나사봉(11)이 끼워지는 나사봉조립구멍(10d)을 형성한 것으로, 플랜지(24)와 같이 철판을
    Figure 112019060267993-pat00039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24)의 상단과 하부고정부재(10) 및 상부고정부재(12)을 구성하는 고정판(10a)(12a)의 상단 양측으로 30도 또는 45도 각도의 경사면(24a)(10e)(12e)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KR1020170136617A 2017-04-17 2017-10-20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KR10199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05,880 US10935164B2 (en) 2017-04-17 2018-04-03 Device for supporting horizontal pipe in four directions
CN201880025716.3A CN110520662B (zh) 2017-04-17 2018-04-03 水平配管4方向支撑装置
JP2020506691A JP2020516835A (ja) 2017-04-17 2018-04-03 水平配管4方向支え装置
PCT/KR2018/003901 WO2018194295A1 (ko) 2017-04-17 2018-04-03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JP2021038735A JP2021101126A (ja) 2017-04-17 2021-03-10 水平配管4方向支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9007 2017-04-17
KR1020170049007 2017-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37A KR20180116737A (ko) 2018-10-25
KR101998120B1 true KR101998120B1 (ko) 2019-07-09

Family

ID=6413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617A KR101998120B1 (ko) 2017-04-17 2017-10-20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5164B2 (ko)
JP (2) JP2020516835A (ko)
KR (1) KR101998120B1 (ko)
CN (1) CN1105206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115B1 (ko) * 2019-08-14 2021-01-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부품 간소화를 기한 건물 배관 내진설계 지지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120B1 (ko) * 2017-04-17 2019-07-09 주식회사 메이크순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KR102246583B1 (ko) * 2018-12-18 2021-04-30 주식회사 포스코 태양광모듈의 지지구조물
KR102001242B1 (ko) * 2019-04-30 2019-10-01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농축산지역기반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98825B1 (ko) * 2019-09-04 2020-05-26 김상문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CN111365526B (zh) * 2020-03-30 2022-02-1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软管固定装置
CN113446470A (zh) * 2021-01-08 2021-09-28 康兰兰 一种建筑电气施工固定辅助装置
CN114738560A (zh) * 2022-03-22 2022-07-12 彭争争 一种城市燃气工程管道拐角支撑装置
CN115031091B (zh) * 2022-05-27 2024-04-30 中国化学工程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防管道端部变形的支撑装置
CN117404528B (zh) * 2023-12-14 2024-03-29 临汾淼森能源工程有限公司 一种供热工程施工用管道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94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근화철강 냉온수 공급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5833A (en) * 1942-03-09 1943-11-30 Gen Spring Corp Supporting and bracing device
US4078752A (en) * 1977-01-21 1978-03-14 Kin-Line, Inc. Conduit support and seismic bracing system
JPS55115481U (ko) * 1979-02-09 1980-08-14
JP2573466Y2 (ja) * 1990-10-17 1998-05-28 株式会社 アカギ 配管用の吊り金具
JPH06117576A (ja) * 1992-10-06 1994-04-26 Takenaka Komuten Co Ltd 配管類の支持装置
DE4433640A1 (de) * 1994-09-21 1996-03-28 Sina Befestigungssysteme Gmbh Rohrschelle
US6126119A (en) * 1998-11-09 2000-10-03 Giangrasso; Anthony Pipe support insulation holder
CN201050643Y (zh) * 2007-06-12 2008-04-23 常熟市宝华建筑装璜材料有限公司 敷设管道用的吊具结构
JP6170721B2 (ja) * 2013-05-13 2017-07-26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吊り下げ支持装置
CN204357363U (zh) * 2014-12-20 2015-05-27 泰安力达凿岩机具有限责任公司 一种锚杆钻机的转角装置及锚杆钻机
CN204437495U (zh) * 2015-01-13 2015-07-01 深圳市民乐管业有限公司 一种抗震支架
US9777870B2 (en) * 2015-03-30 2017-10-03 Steven Andrew Roth Bracket for seismic bracing of conduits
CN205226634U (zh) * 2015-11-13 2016-05-11 王文元 一种简易可调节的柔性钢索抗震支架
CN205226635U (zh) * 2015-11-13 2016-05-11 王文元 一种可调节的柔性钢索抗震支架
KR101770062B1 (ko) 2016-04-20 2017-08-21 김대식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200485852Y1 (ko) 2016-04-20 2018-03-06 김대식 내진 흔들림 방지버팀대
KR101851448B1 (ko) 2016-04-20 2018-04-23 김대식 파이프를 구비한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KR20160002992U (ko) * 2016-08-10 2016-08-30 김대식 내진용 브라켓
KR101998120B1 (ko) * 2017-04-17 2019-07-09 주식회사 메이크순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294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근화철강 냉온수 공급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115B1 (ko) * 2019-08-14 2021-01-28 주식회사정평이앤씨 부품 간소화를 기한 건물 배관 내진설계 지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2390A1 (en) 2020-03-05
CN110520662B (zh) 2022-03-18
KR20180116737A (ko) 2018-10-25
CN110520662A (zh) 2019-11-29
JP2020516835A (ja) 2020-06-11
JP2021101126A (ja) 2021-07-08
US10935164B2 (en)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120B1 (ko) 수평 배관 4방향 버팀장치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US7140579B2 (en) Sway brace clamp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160004264U (ko) 배관 거치대
KR101690021B1 (ko)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JP3774325B2 (ja) 支柱と横棧の継手およびこの継手を備えた接続構造
JP4724027B2 (ja) 空調用縦配管の固定支持装置
JP2016125566A (ja) 交差連結具
US8398331B2 (en) Adjustable pipe coupling assembly
JP6437760B2 (ja) 建築用受具
KR100720733B1 (ko) 건물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2010019055A (ja) クランプ機構
JP2009275892A (ja) 配設体の支持具
JP2022160192A (ja) 排水管の支持構造の施工方法、その施工方法で施工された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で使用される支持金物
JP2008127880A (ja) 天井の耐震補強に用いる連結具
KR20190133898A (ko) 배관용 4방향 버팀장치
JP2001074170A (ja) 管の耐震支持具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JP4966259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具
JPH0683047U (ja) スプリンクラ−の取付具
JPH08261364A (ja) 配管の断熱支持装置
CN211548405U (zh) 采光顶连接结构
JPH07208648A (ja) 配管の断熱支持装置
AU2009101134A4 (en) Adjustable pipe coupl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