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427B1 - 원사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원사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427B1
KR101997427B1 KR1020190057356A KR20190057356A KR101997427B1 KR 101997427 B1 KR101997427 B1 KR 101997427B1 KR 1020190057356 A KR1020190057356 A KR 1020190057356A KR 20190057356 A KR20190057356 A KR 20190057356A KR 101997427 B1 KR101997427 B1 KR 10199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reservoir
turntab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재천
Original Assignee
현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재천 filed Critical 현재천
Priority to KR102019005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and hardened by felting; Felts or felted products
    • D04H1/10Felts made from mixtures of fibres
    • D04H1/14Felts made from mixtures of fibres and incorporating inorganic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사장치로 공급되는 여러 줄의 원사를 하나의 저장통의 내부에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사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는 복수개의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가 서로 꼬이도록 한 후, 이중원을 그리도록 저장통(C)의 내부에 정렬하여 저장함으로, 이와 같이 원사(1)가 저장된 저장통(C)을 연사장치로 이동시키고,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를 풀어내어 연사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사장치의 근처에 여러개의 저장통(C)을 배치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가 모두 소비된 후, 저장통(C)을 교체하는 것 역시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사 정렬장치{yarn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연사장치로 공급되는 여러 줄의 원사를 하나의 저장통의 내부에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사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실을 제조할 때는 실을 가공하여 원사를 제작하고, 연사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줄의 원사를 인발함과 동시에 상호 꼬아서 얇은 실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사는 지름이 1~2cm정도로 매우 두꺼우면서 조직이 매우 성긴 로프 형태로 구성되어, 인발되면 매우 얇은 실 형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원사장치는 저장통에 코일형태를 이루도록 저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사를 연사장치로 공급할 때는 여러개의 저장통을 연사장치의 근처에 배치하고, 이와 같이 여러개의 저장통에서 인출된 원사가 상기 연사장치로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연사장치의 근처에 여러개의 저장통을 배치하여야 함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저장통에 저장된 원사가 모두 소비된 후, 저장통을 교체하는 것 역시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114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사장치로 공급되는 여러 줄의 원사를 하나의 저장통의 내부에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사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한 줄의 원사(1)가 코일형태로 감겨서 저장된 복수개의 공급통(A)과, 상기 공급통(A)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복수개의 원사(1)를 하나로 합친 후 꼬아서 배출하는 정렬수단(B)과, 상기 정렬수단(B)에서 배출된 원사(1)를 저장하는 저장통(C)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여러개의 원사(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정렬하는 정렬부재(20)와, 상기 정렬부재(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재(20)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사(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31,32)와, 상기 이송로울러(31,32)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31,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복수개의 원사(1)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된 가이드관체(4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관체(4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측과 전방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유도되는 가이드로울러(50)와, 상기 가이드로울러(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5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된 가이드링체(60)와, 상기 가이드링체(6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결합공(7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판(70)과, 상기 결합공(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이 형성되며 구동모터(82)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턴테이블(80)과, 상기 지지판(7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면에 상기 저장통(C)이 올려지며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턴테이블(90)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평바(2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21)의 상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수직바(22)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원사(1)가 각각의 수직바(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의 중앙부로부터 관통공(81)까지의 거리는 상기 저장통(C)의 반지름의 1/2에 비해 작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50)와 가이드링체(6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는 상기 관통공(81)을 통해 상기 저장통(C)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호 꼬이면서 작은 원을 그리면서 상기 저장통(C)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을 회전시켜 저장통(C)을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원사(1)가 이중원을 그리도록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은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판(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판(91)에는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이 상기 하부턴테이블(9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9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통(C)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통본체(101)와, 상기 통본체(101)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승강가이드레일(102)과,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원사(1)가 올려지는 승강패널(10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패널(103)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패널본체(103a)와, 상기 패널본체(103a)의 하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03b)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0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103c)와, 상기 슬라이드바(103c)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103c)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03d)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패널(103)의 패널본체(103a)의 상면에 원사(1)가 올려지면 원사(1)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03d)가 압축되면서 승강패널(103)이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는 복수개의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가 서로 꼬이도록 한 후, 이중원을 그리도록 저장통(C)의 내부에 정렬하여 저장함으로, 이와 같이 원사(1)가 저장된 저장통(C)을 연사장치로 이동시키고,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를 풀어내어 연사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사장치의 근처에 여러개의 저장통(C)을 배치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가 모두 소비된 후, 저장통(C)을 교체하는 것 역시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의 정렬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의 지지판과 상부턴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의 하부턴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사 정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한 줄의 원사(1)가 코일형태로 감겨서 저장된 복수개의 공급통(A)과, 상기 공급통(A)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복수개의 원사(1)를 하나로 합친 후 꼬아서 배출하는 정렬수단(B)과, 상기 정렬수단(B)에서 배출된 원사(1)를 저장하는 저장통(C)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통(A)은 일반적인 합성수지재질의 통을 이용하며 상기 정렬수단(B)의 후방에 적절히 배치된다.
본 도면의 경우, 상기 원사(1)는 얇은 단선으로 표시되었으나, 상기 원사(1)는 지름이 성긴 섬유을 1cm 이상의 로프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또한, 도면의 경우, 상기 공급통(A)은 2개만 도시되었으나, 제작하고자 하는 실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상기 공급통(A)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급통(A)에서 공급된 여러가닥의 원사(1)가 상기 정렬수단(B)으로 공급된다.
상기 정렬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여러개의 원사(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정렬하는 정렬부재(20)와, 상기 정렬부재(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재(20)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사(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31,32)와, 상기 이송로울러(31,32)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31,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복수개의 원사(1)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된 가이드관체(4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관체(4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측과 전방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유도되는 가이드로울러(50)와, 상기 가이드로울러(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5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된 가이드링체(60)와, 상기 가이드링체(6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결합공(7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판(70)과, 상기 결합공(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이 형성되며 구동모터(82)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턴테이블(80)과, 상기 지지판(7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면에 상기 저장통(C)이 올려지며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턴테이블(9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평바(2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21)의 상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수직바(22)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원사(1)가 각각의 수직바(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로울러(31,32)는 상기 정렬부재(20)의 전방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1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정렬부재(2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로울러(31)와, 상기 제1 이송로울러(31)의 전방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2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 이송로울러(31)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로울러(3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관체(40)는 상기 제2 이송로울러(32)의 전방에 구비된 것으로, 내경이 상기 이송로울러(31,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복수개의 원사(1)를 합친 지름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로울러(5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원사(1)가 삽입되는 오목홈(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체(60)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61)이 형성된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로울러(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11)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7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의 상부를 덮도록 넓은 금속재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후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71)은 상기 돌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 기어열(83)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도시 안된 베어링에 의해 상기 결합공(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의 중앙부로부터 관통공(81)까지의 거리는 상기 저장통(C)의 반지름의 1/2에 비해 작게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82a)는 구동축에 상기 기어열(83)에 결합되는 구동기어(82a)가 구비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판(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92)는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의 하측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턴테이블(90)과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판(91)은 본체(10) 전방의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판(91)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이 상기 하부턴테이블(9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93)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통(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통본체(101)와, 상기 통본체(101)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승강가이드레일(102)과,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원사(1)가 올려지는 승강패널(103)로 구성된다.
상기 통본체(10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패널(103)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패널본체(103a)와, 상기 패널본체(103a)의 하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03b)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0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103c)와, 상기 슬라이드바(103c)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103c)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03d)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본체(103a)는 상기 통본체(101)의 하단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구성되다.
상기 슬라이드바(103c)는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내측단이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0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103d)는 상기 슬라이드바(103c)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103c)를 적절한 힘으로 외측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패널(103)이 상승된 상태에는 상기 탄성부재(103d)에 의해 슬라이드바(103c)가 외측으로 가압되어 승강패널(103)이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본체(103a)의 상면에 원사(1)가 공급되면, 상기 원사(1)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03d)가 압축되면서 상기 승강패널(103)이 천천히 하측으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사 정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승강패널(103)이 상승된 상태의 저장통(C)을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놓고, 상기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를 인출하여, 원사(1)가 상기 정렬수단(B)과 이송로울러(31,32)와 가이드관체(40)와 가이드로울러(50) 및 가이드링체(60)를 경유한 후,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의 관통공(81)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통(C)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사 정렬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이송로울러(31,32)가 구동되어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82)를 구동시켜 상부턴테이블(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호 꼬이면서 작은 원을 그리면서 상기 저장통(C)의 내부, 즉, 상기 승강패널(103)의 상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92)로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을 회전시켜 저장통(C)을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원사(1)가 이중원, 즉, 작은 원이 큰원형태로 연결되는 형태를 그리도록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저장된 원사(1)의 높이가 높아지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사(1)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103)이 하강되어, 원사(1)가 저장통(C)의 내부에 이중원형태로 정렬된 상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가 모두 상기 저장통(C)에 저장되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을 배출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개의 공급통(A)에 저장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호 꼬인 상태로 이중원을 이루도록 상기 저장통(C)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사 정렬장치는 복수개의 공급통(A)에 저장된 원사(1)가 서로 꼬이도록 한 후, 이중원을 그리도록 저장통(C)의 내부에 정렬하여 저장함으로, 이와 같이 원사(1)가 저장된 저장통(C)을 연사장치로 이동시키고,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를 풀어내어 연사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사장치의 근처에 여러개의 저장통(C)을 배치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통(C)에 저장된 원사(1)가 모두 소비된 후, 저장통(C)을 교체하는 것 역시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은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판(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판(91)에는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이 상기 하부턴테이블(9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93)가 구비됨으로, 상기 저장통(C)을 상기 지지로울러(93)에 밀착되도록 배치하면, 자동으로 저장통(C)이 하부턴테이블(90)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저장통(C)이 유동되지 않고 회전되어,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의 관통공(81)을 통해 저장통(C)으로 공급되는 원사(1)가 정확히 저장통(C)의 내부로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C)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통본체(101)와, 상기 통본체(101)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승강가이드레일(102)과,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원사(1)가 올려지는 승강패널(10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패널(103)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패널본체(103a)와, 상기 패널본체(103a)의 하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03b)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0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103c)와, 상기 슬라이드바(103c)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103c)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03d)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패널(103)이 상승된 상태에서 패널본체(103a)의 상면에 원사(1)가 올려지면 원사(1)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03d)가 압축되면서 승강패널(103)이 하측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81)과 상기 승강패널(103)에 올려진 원사(1)의 상면의 간격이 근접되도록 하여, 관통공(81)을 통과한 원사(1)가 저장통(C)의 내부에 정확한 형태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공급통 B. 정렬수단
C. 저장통

Claims (3)

  1. 내부에 한 줄의 원사(1)가 코일형태로 감겨서 저장된 복수개의 공급통(A)과,
    상기 공급통(A)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복수개의 원사(1)를 하나로 합친 후 꼬아서 배출하는 정렬수단(B)과,
    상기 정렬수단(B)에서 배출된 원사(1)를 저장하는 저장통(C)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수단(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여러개의 원사(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정렬하는 정렬부재(20)와,
    상기 정렬부재(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부재(20)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원사(1)의 둘레부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로울러(31,32)와,
    상기 이송로울러(31,32)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송로울러(31,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복수개의 원사(1)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된 가이드관체(4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관체(4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측과 전방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유도되는 가이드로울러(50)와,
    상기 가이드로울러(5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5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된 가이드링체(60)와,
    상기 가이드링체(6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결합공(7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지지판(70)과,
    상기 결합공(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 일측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1)이 형성되며 구동모터(82)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턴테이블(80)과,
    상기 지지판(7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면에 상기 저장통(C)이 올려지며 구동모터(92)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턴테이블(90)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평바(2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바(21)의 상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수직바(22)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통(A)에서 인출된 원사(1)가 각각의 수직바(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의 중앙부로부터 관통공(81)까지의 거리는 상기 저장통(C)의 반지름의 1/2에 비해 작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50)와 가이드링체(60)를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는 상기 관통공(81)을 통해 상기 저장통(C)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80)을 회전시키면, 상기 관통공(81)을 통과한 복수개의 원사(1)가 상호 꼬이면서 작은 원을 그리면서 상기 저장통(C)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을 회전시켜 저장통(C)을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원사(1)가 이중원을 그리도록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은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판(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판(91)에는 상기 하부턴테이블(9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턴테이블(90)에 올려진 저장통(C)이 상기 하부턴테이블(90)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9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C)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통본체(101)와,
    상기 통본체(101)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승강가이드레일(102)과,
    상기 저장통(C)의 내부에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원사(1)가 올려지는 승강패널(103)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패널(103)은
    원판형태로 구성된 패널본체(103a)와,
    상기 패널본체(103a)의 하측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03b)과,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0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승강가이드레일(10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바(103c)와,
    상기 슬라이드바(103c)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바(103c)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03d)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패널(103)의 패널본체(103a)의 상면에 원사(1)가 올려지면 원사(1)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03d)가 압축되면서 승강패널(103)이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정렬장치.
KR1020190057356A 2019-05-16 2019-05-16 원사 정렬장치 KR10199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56A KR101997427B1 (ko) 2019-05-16 2019-05-16 원사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56A KR101997427B1 (ko) 2019-05-16 2019-05-16 원사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427B1 true KR101997427B1 (ko) 2019-07-05

Family

ID=6722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56A KR101997427B1 (ko) 2019-05-16 2019-05-16 원사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KR102209257B1 (ko) * 2020-09-22 2021-01-28 채덕순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KR102223808B1 (ko) 2020-09-29 2021-03-08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443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Spindle Mfg Co Ltd 原料繊維の貯蔵及び自動取出し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263442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Spindle Mfg Co Ltd 原料繊維の貯蔵及び自動取出し装置
KR200311444Y1 (ko) 2003-01-14 2003-05-01 신봉식 연사장치
JP2008214785A (ja) * 2007-02-28 2008-09-18 Kyocera Corp 繊維束整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443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Spindle Mfg Co Ltd 原料繊維の貯蔵及び自動取出し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263442A (ja) * 1998-03-18 1999-09-28 Nippon Spindle Mfg Co Ltd 原料繊維の貯蔵及び自動取出し装置
KR200311444Y1 (ko) 2003-01-14 2003-05-01 신봉식 연사장치
JP2008214785A (ja) * 2007-02-28 2008-09-18 Kyocera Corp 繊維束整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KR102209257B1 (ko) * 2020-09-22 2021-01-28 채덕순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KR102223808B1 (ko) 2020-09-29 2021-03-08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427B1 (ko) 원사 정렬장치
US4464893A (en) Spinning machine, in particular ring spinning machine
CN212639543U (zh) 一种用于自动络筒机的上料装置
CN108394594A (zh) 一种轮胎打包机及流水线
CN112061888B (zh) 筒纱补充装置
CN102070045A (zh) 筒管支架
CN101439817A (zh) 双滚筒绕线机
CN110735199A (zh) 一种自动换纱的外纱架装置
CN108040539B (zh) 一种用于种植业的种子带编织机
CN106640992B (zh) 一种圆锥滚子分层阵列机
KR101159059B1 (ko) 니트 기계용 니트 헤드
JPH11222358A (ja) 綾巻きボビンを製作する繊維機械用の巻管マガジン
US20090314436A1 (en) Bead supply system in tire building process
CN102015502B (zh) 用于填充条筒的设备和方法
JPS58119562A (ja) 粗糸ボビンの搬送装置
US3741453A (en) Piddler mechanism feeding means
CN209866988U (zh) 一种拉丝机转盘
CN114803712A (zh) 一种倍捻机的自动装卸纱筒装置
CN212688302U (zh) 一种纱管自动更换系统
CN210710062U (zh) 一种紧式络筒机
US5937484A (en) Flat container of textile fibre sliver
CN210259932U (zh) 一种高速络筒机用管络筒输送装置
CN216688476U (zh) 一种梳棉机条桶固定装置
CN218930679U (zh) 一种自动络筒机防错筒装置
CN210503331U (zh) 一种自动裁线绕线机的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