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257B1 -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257B1
KR102209257B1 KR1020200122057A KR20200122057A KR102209257B1 KR 102209257 B1 KR102209257 B1 KR 102209257B1 KR 1020200122057 A KR1020200122057 A KR 1020200122057A KR 20200122057 A KR20200122057 A KR 20200122057A KR 102209257 B1 KR102209257 B1 KR 10220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knitting
moving
rotation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덕순
Original Assignee
채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덕순 filed Critical 채덕순
Priority to KR10202001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34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기에서 제작, 완성된 끈을 사각 상자에 적층되도록 전후로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좌우로 왕복하는 이동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편기에서 완성된 끈이 사각 상자에 적층되어, 끈의 수납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된 끈이 이동과 운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기에서 편성되어 하강하는 끈을 사각 상자 내부에 균일하게 적층, 수납되도록 하여, 제작된 끈을 사용 시에 엉킴 현상이나 단락 현상을 예방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 Stacking device of knitting machine for string }
본 발명은 끈 등을 편성하도록 하는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기에서 편성되어 하강하는 끈을 전후 및 좌우 왕복하며 적층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편성된 끈의 수납이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상자의 내부로 전후 및 좌우 이동하며 적층되기 때문에, 끈의 수납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 시에 끈의 엉킴 또는 끊어짐 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 또는 편성물을 편성하는 방식으로는, 루프를 가로의 방향으로 연결하여 편성하도록 하는 위편방식과, 루프를 세로의 방향으로 연결하여 편성하는 경편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위편식과 경편식으로 편직하는 편성 기계의 종류는 다양하고, 그 종류로는 횡편기 및 환편기, 그리고 양말편기와 트리코편기, 라셀편기 등이 있다.
근래에 와서는 상기한 각종의 편직기와 니트 방식, 원사 등에 관련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원단 및 천, 스타킹과 레이스, 그리고 각종 끈이나 밴드 등의 편물을 편성하고 있다.
특히 각종 의류 및 장신구, 마스크 또는 모자 등에 사용되는 끈이나 밴드 등의 사용분야와 수요량은 상당하였으며, 이러한 동그란 끈, 즉 스트링을 편성하는 편기와 스트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같이 끈, 스트링 등을 편성하는 편기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6282호의 발명의 명칭 ‘ 가죽사 편성용 환편기 ’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가죽사가 스프링에 지지되는 장력조절부를 통과하고 파라핀으로 가죽사 표면이 도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신축성이 없는 가죽사에 장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가죽사를 이용한 편성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죽사 편성물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죽사 원단의 편성 배출속도에 따라 완충되는 로울러를 통해, 가죽사 원단의 표면을 보호하고 편성된 가죽사 원단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각종 끈 등을 편성하는 편기에 관련한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376호의 고안의 명칭 ‘ 래치 튀어오름 방지 기구를 구비한 끈 형상물의 편기 ’ 는, 브레이딩 속도를 올려도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코어 막대를 회전함으로써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각종 끈 등을 편성하는 편기는, 편기에서 편성되어 하강하는 끈을 원통형의 상자에서 원형으로 일정 높이 적층, 수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작 완성된 끈의 수납되는 크기와 부피가 커지게 됨에 따라, 제작된 끈의 이동 및 운반, 보관 및 취급이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편기에서 제작 완성된 끈을 원통형의 상자에 수납, 보관하여 사용되어, 상자를 개봉하여 끈을 사용할 경우, 끈이 엉키거나 끊어지는 현상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기에서 편성되어 하강하는 끈을 사각 상자에 적층되도록 좌우로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전후로 왕복하는 이동부재를 형성하기 때문에, 편기에서 완성된 끈이 사각 상자에 적층되어, 끈의 수납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된 끈이 이동과 운반, 보관 및 취급이 편리하고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성된 끈이 사각 상자 내부에 균일하게 적층되기 때문에, 끈의 엉킴 현상이나 단락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링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사부재와, 급사부재에서 공급되는 원사를 끈으로 편성하도록 하는 편성부재와, 편성부재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 하강시키도록 하는 인출부재로 구성된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에 있어서,
인출부재는,
편성부재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하도록 회전하는 로울러와, 로울러에 이격되어 끈을 하강시키도록 하는 지지로울러와, 로울러와 지지로울러의 사이에서 하강하는 끈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서 하강하는 끈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회동키도록 하는 회동수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기에서 제작, 완성된 끈을 사각 상자에 적층되도록 전후로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좌우로 왕복하는 이동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편기에서 완성된 끈이 사각 상자에 적층되어, 끈의 수납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된 끈이 이동과 운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기에서 편성되어 하강하는 끈을 사각 상자 내부에 균일하게 적층, 수납되도록 하여, 제작된 끈을 사용 시에 엉킴 현상이나 단락 현상을 예방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끈 등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사부재(100)와, 상기 급사부재(100)에서 공급되는 원사를 끈으로 편성하도록 하는 편성부재(200)와, 상기 편성부재(200)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 하강시키도록 하는 인출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급사부재(100)는 원사가 권취된 보빈에서 편성부재(200)로 원사를 공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편성부재(200)는 축을 중심으로 헤드가 회전하면서 사도를 따라 공급되는 원사를 헤드 표면의 다수 개의 요홈에 요입, 구비된 니들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끈을 편성하도록 한다.
상기 인출부재(300)는 편성부재(200)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하도록 회전하는 로울러(310)와, 로울러(310)에 이격되어 끈을 하강시키도록 하는 지지로울러(320)와, 로울러(310)와 지지로울러(320)의 사이에서 하강하는 끈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수단(330)과, 이동수단에서 하강하는 끈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회동키도록 하는 회동수단(340)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수단(330)은 하강하는 끈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331)와, 가이드바(331)에 결합되어 좌우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바(332)와, 이동바(33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로드(333)와, 이동로드(333)를 동작,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1 전동기(334)와, 이동로드(333)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1 감지부(335)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바(332)는 상,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끈을 안정적으로 이동,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동기(334)와 이동로드(333)는 체인 및 기어, 감속기 등의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다수 개로 배열된 편성부재(200)의 편성헤드에서 하강하는 끈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동기(334)는 제1 감지부(33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회동거리에 도달하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 감지부(335)는 센서 및 리미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이동로드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도록 하여, 제2 전동기의 정, 역회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수단(340)은 이동수단(330)에서 하강하는 끈을 전후로 이동시키며 하강되도록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바(341)와, 상기 회동 가이드바(341)에 결합되어 전후 회동하는 회동바(342)와, 상기 회동바(342)를 회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회동축(343)과, 상기 회동축(343)을 동작,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 전동기(344)와, 회동축(343)의 회전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2 감지부(345)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 가이드바(341)는 상,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끈을 안정적으로 회동,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동기(344)와 회동축(343)은 체인 및 기어, 감속기 등의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다수 개로 배열된 편성부재(200)의 편성헤드에서 하강하는 끈을 동시에 회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동기(344)는 제2 감지부(34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회동거리에 도달하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감지부(345)는 센서 및 리미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회동축의 회동 간격을 감지하여, 제1 전동기(344)의 정, 역회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Y는 원사이고, S는 편성된 끈이고, B는 수납 박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를 통하여 동그란 끈, 즉 스트링을 편성하는 과정은, 급사부재(11)에서 보빈에 권취된 원사(Y)는 편성부재(200)에 공급되고, 편성부재(200)에서는 축을 중심으로 헤드가 회전함에 따라, 헤드 표면의 요홈에 요입된 다수 개의 니들이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끈(S)을 편성하게 된다.
그리고 편성부재(200)에서 편성되는 끈은 인출부재(300)의 로울러(310)와 지지로울러(320) 사이로 인출, 통과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이때, 로울러(310)와 지지로울러(320) 사이로 통과, 낙하되는 끈은 이동수단(330)의 가이드바(331)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가이드바(331)는 제1 전동기(334)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바(332)과 이동로드(333)를 따라, 일정 속도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낙하되는 끈도 좌우로 이동되면서 낙하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전동기(334)는 이동로드(333)에 일정 간격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 제1 감지부(335)에서 도달되는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기 때문에, 편성된 끈을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330)의 좌우 이동하는 가이드바(331)를 통과하여 낙하되는 끈은, 회동수단(340)의 회동 가이드바(341)로 통과하게 되고, 회동 가이드바(341)는 제2 전동기(344)의 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바(342)와 회동축(343)을 따라, 일정 속도로 전측 또는 후측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편성된 끈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더욱이, 제2 전동기(344)는 회동축(343)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한 쌍으로 제2 감지부(345)에서 회전하여 도달되는 거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기 때문에, 편성되어 낙하되는 끈은 상자(B) 내부에 균일한 높이와 부피로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적층, 수납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급사부재 200 : 편성부재
300 : 인출부재 310 : 로울러
320 : 지지로울러 330 : 이동수단
331 : 가이드바 332 : 이동바
333 : 이동로드 334 : 제1 전동기
335 : 제1 감지부 340 : 회동수단
341 : 회동 가이드바 342 : 회동바
343 : 회동축 344 : 제2 전동기
345 : 제2 감지부

Claims (3)

  1. 스트링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사부재(100)와, 급사부재(100)에서 공급되는 원사를 끈으로 편성하도록 하는 편성부재(200)와, 편성부재(200)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 하강시키도록 하는 인출부재(300)로 구성된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에 있어서,
    인출부재(300)는,
    편성부재(200)에서 편성된 끈을 인출하도록 회전하는 로울러(310)와, 로울러(310)에 이격되어 끈을 하강시키도록 하는 지지로울러(320)와, 로울러(310)와 지지로울러(320)의 사이에서 하강하는 끈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수단(330)과, 이동수단에서 하강하는 끈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회동키도록 하는 회동수단(3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수단(330)은,
    하강하는 끈을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331)와, 가이드바(331)에 결합되어 좌우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바(332)와, 이동바(332)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로드(333)와, 이동로드(333)를 동작,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1 전동기(334)와, 이동로드(333)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1 감지부(335)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수단(340)은,
    이동수단(330)에서 하강하는 끈을 전후로 이동시키며 하강되도록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바(341)와, 상기 회동 가이드바(341)에 결합되어 전후 회동하는 회동바(342)와, 상기 회동바(342)를 회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회동축(343)과, 상기 회동축(343)을 동작,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 전동기(344)와, 회동축(343)의 회전거리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2 감지부(345)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2057A 2020-09-22 2020-09-22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KR10220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57A KR102209257B1 (ko) 2020-09-22 2020-09-22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57A KR102209257B1 (ko) 2020-09-22 2020-09-22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257B1 true KR102209257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57A KR102209257B1 (ko) 2020-09-22 2020-09-22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27B1 (ko) * 2019-05-16 2019-07-05 현재천 원사 정렬장치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27B1 (ko) * 2019-05-16 2019-07-05 현재천 원사 정렬장치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250A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US11828009B2 (en) System and method of unspooling a material into a textile machine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US370708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eft threads to a warp knitting machine
US3523432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ystem of weft threads
KR101757678B1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KR101206793B1 (ko) 환편기용 파일사 절단장치
KR102209257B1 (ko)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DK157692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forsyning af arbejdsstederne i maskiner til fremstilling af flade tekstilvare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tekstilvare med en for faerdigmaskiner til fremstilling af flade tekstilvarer klargjort gruppe af parallelle garner
EP1526199B1 (en) Textile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173415B (zh) 通过编织-拆线来处理线的方法以及线处理作业线
KR101699038B1 (ko)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US2935037A (en) Apparatus for making patterned tufted pile fabric
CN213681140U (zh) 一种一次成型的3d经编草坪机
US3878697A (en) Production of bulky and stretchable knitted cord
EP0393136B1 (en) High speed yarn knitting apparatus
CN221000040U (zh) 一种针织横机的挑线装置
KR101366930B1 (ko)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MX2012010090A (es) Maquina destejedora para recuperar hilos de los generos de tejido de punto de recogida circular.
KR102239034B1 (ko) 브레이드사 제조장치
US3599446A (en) Terry knit fabric, machin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209854329U (zh) 一种针织面料生产用可变换针筒直径的针织圆纬机
CN212655941U (zh) 一种用于电脑横机的送纱系统
CN220079348U (zh) 经编机纱线切断机构
Dias et al. Knitting seamless threedimensional shell structures on modern electronic flat bed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