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038B1 -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 Google Patents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038B1
KR101699038B1 KR1020150048671A KR20150048671A KR101699038B1 KR 101699038 B1 KR101699038 B1 KR 101699038B1 KR 1020150048671 A KR1020150048671 A KR 1020150048671A KR 20150048671 A KR20150048671 A KR 20150048671A KR 101699038 B1 KR101699038 B1 KR 10169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cam
yarn
cylind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658A (ko
Inventor
조민행
김종훈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삼에스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에스기계(주) filed Critical 삼에스기계(주)
Priority to KR102015004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0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기의 실린더와 캠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편침의 밀도를 증가시켜 48게이지로 형성하여, 두께가 가는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원단 및 실크 질감의 원단 등의 고급 편직물의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고, 편침의 파손을 방지하고 편성되는 편직물의 불량을 최소화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 Circular knitting machine }
본 발명은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하는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세원사를 편성하도록 편침 개수를 증가시켜 설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가는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원단 및 실크 질감의 원단 등의 고급 편직물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는 직기와 더불어 의류산업의 근간이 되는 원단을 생산하는 섬유기계로서, 이러한 환편기는 편침에 공급되는 실을 편침에 의해 루프를 만들고, 이 루프를 가로ㆍ세로 방향으로 체인처럼 연결시켜 편직물을 편성하여 의류용 원단 등을 제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환편기는 회전구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실린더의 각 외주면 상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며, 각 홈에는 다수의 편침들이 개재되고, 각 편침들은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된 캠박스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이러한 각 편침들의 상하운동에 의해 양두니들은 실린더의 각 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린더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들에는 복수의 파일편성용 싱커 및 복수의 하부 싱커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파일편성용 싱커 및 하부 싱커들은 래치니들의 후크에 걸리는 실의 루프 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환편기는 인치당 구비되는 편침의 수, 즉 게이지에 따라 원사의 두께 및 편성물의 조직 밀도 등을 조정하게 되고, 근래들어 다양한 기능성 원사가 개발됨에 따라 가는 두께의 원사로 조밀하게 편성되는 고밀도의 편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환편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밀도 편직물을 편성하는 환편기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436호의 발명의 명칭 ‘ 고밀도 편직물의 편성을 용이하게 하는 편침의 배열방법 ’ 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환편기의 원둘레를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하여 하나의 가이드홈에 편침을 장착하는 편침의 배열방법에 있어서, 몸체에 일체로 구비된 조정바트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편침을 가이드홈에 복수로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편직물의 편성을 용이하게 하는 편침의 배열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5116호의 발명의 명칭 ‘ 고밀도 환편직물의 제조 방법’ 은, 편사를 고밀도로 편직하기 위하여 실린더와 다이얼의 간격을 단축하는 동시에 실린더 편침의 상하왕복 노출구간을 적정한 수준으로 확보하여 상기 실린더 편침에 걸린 편사를 편환에 원활하고 용이하게 얽히도록 함으로써, 편사의 고밀도 편직을 지원하는 고밀도 환편직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밀도 편직물을 편성하도록 한 환편기는, 편침이 안착되어 회전하는 실린더와 안착된 편침의 상하운동을 시켜주는 캠의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편침의 파손이 잦고 편성물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원형의 실린더의 고속회전에 의한 마모와 진동 등을 최소화하도록 한 정밀도를 향상시킨 구조의 환편기에 관련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편기의 실린더와 캠을 정밀하게 조정하고 편침의 밀도를 높여 48게이지로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가는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원단 및 실크 질감의 원단 등의 고급 편직물의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고, 편침의 파손과 편성물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단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사부재와, 상기 급사부재에서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편성하도록 하는 편성부재와, 상기 편성부재에서 편성된 원단을 권취하도록 하는 권취부재로 구성된 환편기에 있어서,
급사부재를 기어링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센서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편성부에 공급하는 실의 급사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모터가 구비되도록 하고;
편성부재를 48게이지로 형성하고, 원사를 편성하는 편침과, 상기 편침을 상하운동시키도록 하는 캠과, 상기 편침이 요입되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권취부재를 상기 편성부재에서 편성된 원단을 권취하도록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편기의 실린더와 캠을 정밀하게 조정하여 편침의 밀도를 증가시켜 48게이지로 형성하여, 두께가 가는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원단 및 실크 질감의 원단 등의 고급 편직물의 편리하고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고, 편침의 파손을 방지하고 편성되는 편직물의 불량을 최소화하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편성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편침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캠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급사부재(10)와, 상기 급사부재(10)에서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편성하도록 하는 편성부재(20)와, 상기 편성부재(20)에서 편성된 원단을 권취하도록 하는 권취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급사부재(10)는 편직물의 편성에 필요한 원사를 일정한 장력과 사속으로 편성운동을 하는 편침에 공급해주도록 형성하고, 기어링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센서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편성부에 공급하는 실의 급사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모터(11)를 형성한다.
상기 편성부재(20)는 48게이지로 형성하고, 원사를 편성하는 편침(21)과, 상기 편침(21)을 상하운동시키도록 하는 캠(22)과, 상기 편침(21)이 요입되는 실린더(23)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침(21)은 편침의 폭(a)을 2.6mm로 형성하고, 캠에 의해 상하운동하도록 돌출된 버트의 높이(b)를 2.9mm로 형성하여, 다량의 편침을 미세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22)은 편침의 상승 시에 원단을 함몰시키는 길이(c)를 10mm가 되도록 하는 홈을 구비한 싱커캠(22a)과, 편침이 상승하는 길이(d)를 16.8mm로 하고, 편침의 상하 이동거리(e)를 11.3mm가 되도록 홈이 구비한 실린더캠(22b)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캠(22b)의 일측을 돌출시키도록 하여, 편침이 루프를 형성하고 형성된 루프를 이탈시키는 높이(f)를 1mm가 되도록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3)는 통살을 삽입하기 위한 커팅 깊이(g)를 2mm가 되도록 형성하고, 유효 통살의 깊이(h)를 2.6mm가 되도록 형성하고, 싱커 슬라이딩면의 길이(i)를 6mm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권취부재(30)는 상기 편성부재(20)에서 편성된 원단을 권취하도록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급사부재(10)에서 원사가 공급되어 원단을 편성하기 위하여 상기 편성부재(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링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센서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컨트롤 모터(11)가 구동함에 따라, 편성부재(20)에 공급되는 원사의 급사량을 회전상황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편침의 폭(a)과 버트의 높이(b)를 최소화하여, 편침의 개수가 대폭 증가된 48게이지를 형성할 수 있고, 싱커캠(22a)의 원단 함몰길이(c)와 실린더캠(22b)의 편침 상승길이(d), 편침 이동거리(e), 루프 이탈높이(f)에 의해, 편침의 운동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환편기의 편침의 밀도를 조밀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23)의 커팅 깊이(g)와 유효 통살깊이(h), 싱커 이동 길이(i)에 의해, 편침의 미세한 설치 간극과 운동에 따른 조정과 편침의 파손 방지를 도모하여, 극세의 원사를 이용하여 고밀도의 편직물을 편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편성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침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캠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사부재 11 : 컨트롤 모터
20 : 편성부재 21 : 편침
22 : 캠 22a : 싱커캠
22b : 실린더캠 23 : 실린더
30 : 권취부재

Claims (5)

  1. 기어링과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센서에서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편성부에 공급하는 실의 급사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모터(11)가 구비된 급사부재(10)와,
    원사를 편성하는 편침(21)과, 상기 편침(21)을 상하운동시키도록 하는 캠(22)과, 상기 편침(21)이 요입되는 실린더(23)를 형성한 편성부재(20)와,
    편성부재(20)에서 편성된 원단을 권취하도록 형성한 권취부재(30)로 구성된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에 있어서,
    편성부재(20)를 48게이지로 형성하되,
    편성부재(20)의 편침(21)은, 미세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편침의 폭(a)을 2.6mm로 형성하고, 캠에 의해 상하운동하도록 돌출된 버트의 높이(b)를 2.9mm로 형성하고;
    편성부재(20)의 캠(22)은, 편침의 상승 시에 원단을 함몰시키는 길이(c)를 10mm가 되도록 하는 홈을 구비한 싱커캠(22a)과, 편침이 상승하는 길이(d)를 16.8mm로 하고, 편침의 상하 이동거리(e)를 11.3mm가 되도록 홈이 구비한 실린더캠(22b)을 형성하고;
    편성부재(20)의 실린더(23)는, 통살을 삽입하기 위한 커팅 깊이(g)를 2mm가 되도록 형성하고, 유효 통살의 깊이(h)를 2.6mm가 되도록 형성하고, 싱커 슬라이딩면의 길이(i)를 6mm가 되도록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캠(22b)의 일측을 돌출시키도록 하여, 편침이 루프를 형성하고 형성된 루프를 이탈시키는 높이(f)를 1mm가 되도록 형성하여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8671A 2015-04-06 2015-04-06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KR10169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71A KR101699038B1 (ko) 2015-04-06 2015-04-06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71A KR101699038B1 (ko) 2015-04-06 2015-04-06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58A KR20160119658A (ko) 2016-10-14
KR101699038B1 true KR101699038B1 (ko) 2017-02-01

Family

ID=5715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671A KR101699038B1 (ko) 2015-04-06 2015-04-06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22B1 (ko) * 2018-08-27 2019-01-22 이일영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462B1 (ko) * 2017-04-07 2018-08-14 삼에스기계 주식회사 기능성 편직물용 환편기
KR101957035B1 (ko) * 2017-08-29 2019-03-11 (주)텍스밀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고밀도환편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604Y1 (ko) 2000-05-01 2000-10-02 박윤석 실(絲) 공급장치
KR100502431B1 (ko) 2003-02-18 2005-07-20 강문환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KR100602060B1 (ko) * 2006-02-13 2006-07-19 김성미 직물용환편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056A (ja) * 1999-09-24 2001-06-12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の給糸自動制御及び編地密度自動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604Y1 (ko) 2000-05-01 2000-10-02 박윤석 실(絲) 공급장치
KR100502431B1 (ko) 2003-02-18 2005-07-20 강문환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KR100602060B1 (ko) * 2006-02-13 2006-07-19 김성미 직물용환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22B1 (ko) * 2018-08-27 2019-01-22 이일영 편기용 니들 및 이를 갖는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58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038B1 (ko)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EP3575462A3 (en) Knitting machine, textile article and method of knitting a textile article on a flat knitting machine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EP2246465A1 (en) Yarn guide i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using the yarn guide
JP2012092456A (ja) ラッセル編機及び編物地の製造方法
KR101957429B1 (ko)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EP0402034B1 (en) Double-knit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EP19590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holding warp of weft knitting machine
US4202185A (en) Warp knitting machine
JP2018526541A (ja) ループ形成方法及び装置
JPH0693542A (ja) テリー編みを形成する装置
JP2016121418A (ja) シンカー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編機
JP2004308102A (ja) 硬質で、非弾力性の糸材料から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み機
KR101764370B1 (ko) 환편기
JP3604199B2 (ja) 編み機のシンカ装置及び編み物成形方法
CN112746378A (zh) 一种长毛绒机及其编织工艺
KR101928518B1 (ko) 환편기
KR20170097522A (ko) 환편기의 편침실린더 구조
CN112899864A (zh) 一种长绒毛机的编织工艺
KR100830091B1 (ko) 환편기에서 컷팅파일 기장을 3㎜이하로 편성하는 편직방법
EP0382282A1 (e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quality hosiery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and a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JP2007501338A (ja) 改良された編み機および編み方
KR101888462B1 (ko) 기능성 편직물용 환편기
KR102451256B1 (ko) 원형 니팅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