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429B1 -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429B1
KR101957429B1 KR1020170096496A KR20170096496A KR101957429B1 KR 101957429 B1 KR101957429 B1 KR 101957429B1 KR 1020170096496 A KR1020170096496 A KR 1020170096496A KR 20170096496 A KR20170096496 A KR 20170096496A KR 101957429 B1 KR101957429 B1 KR 10195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knock
sinker
over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810A (ko
Inventor
마르쿠스 아펠만
클라우스 브란들
게르하르트 고타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24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cut needle presser arrangements to produce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4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편성 니들(3), 가이드 니들(1), 및 노크 오버 에지(knock-over edges)(15)와 하강 홀더(downholders)(5)를 갖는 싱커 어셈블리를 구비한 경편기가 구체화되며, 상기 편성 니들(3), 상기 가이드 니들(1), 및 상기 싱커 어셈블리는 각각 폭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된다.
그 의도는 많은 다양한 제조 가능성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싱커 어셈블리는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노크 오버 싱커(4)와 분리된 하강 홀더(5)를 가지며, 상기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하강 홀더(5)의 각각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상기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하강 홀더(5)는 다른 운동(dissimilar movements)에 의해 구동가능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Warp-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rp-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편성 니들, 가이드 니들, 및 노크 오버 에지(knock-over edges)와 하강 홀더(downholders)를 갖는 싱커 어셈블리를 갖는 경편기로서, 상기 편성 니들, 상기 가이드 니들, 및 상기 싱커 어셈블리는 각각 폭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된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편성직물(warp-knitted fabric)의 제조 방법으로서, 사 그룹(yarn group)의 사가 가이드 니들에 의하여 편성 니들에 대하여 가이드되며, 루프가 노크 오버(knock over) 되면, 하강 홀더가 상기 사 그룹을 관통하는 편성직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조 유형의 경편기는 특히 직물 제거(fabric take-off)의 방향과 관련하여 다르다. 직물, 즉 생산된 경편직물이 공급되어 들어오는 실에 대하여 거의 직선 방식으로 또는 큰 경사각으로 제거되는 경우, 상기 편성 니들의 헤드부(head)에서 경사를 수용하기 위하여 편성 니들이 새로운 루프 형성 절차에서 상승할 때, 제거되고 있는 경편 직물은 편성 니들 위에 루프를 유지한다. 특히 라셀(raschel) 기계의 경우에 사용되는 이러한 유형의 직물 제거의 경우, 피부에 착용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상대적으로 거친 경편 직물이 생성된다.
예를 들면 자동 경편기의 경우와 같이, 경편 직물을 제거하는 것이 공급되어 들어오는 실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수행되는 경우, 편성 니들이 루프를 동반하지 않고 상승할 수 있도록 루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 노크 오버 에지 (knockover edge), 잠금 몰딩(locking moulding) 및 하강 홀더(downholders)를 갖는 소위 잠금 노크 오버 싱커(locking knock-over sinkers)가 사용된다. 편성 니들이 상승할 때 하강 홀더는 루프가 편성 니들의 축 위에서 그의 언더레이(underlay) 위에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경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가능성을 특정하기 위한 목적에 기초한다.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경편기의 경우 이 목적은 싱커 어셈블리가 노크 오버 싱커 및 상기 노크 오버 싱커와 분리된 하강 홀더를 가지며, 노크 오버 싱커 및 하강 홀더의 각각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노크 오버 싱커 및 하강 홀더가 다른 운동(dissimilar movements)에 의해 구동가능한 경편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 구현예를 사용하면, 그렇지 않으면 소위 라셀 기계에서만 제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상대적으로 낮은 장력을 사용하여 경편 직물을 제조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현재까지 라셀 기계에서만 생산될 수 있으며, 거친 햅틱 지각(haptic perception)을 낳는 높은 장력을 갖는 레이스 직물(lace fabric)을 이 새로운 경편기에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노크 오버 싱커 및 하강 홀더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호 분리된 방식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가능하다. 이동 경로의 다른 영역에서, 노크 오버 싱커와 하강 홀더는, 아래의 후속 단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또한 함께(conjointly) 이동할 수 있다.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으로 하강 홀더에 작용하고,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에 의하여 노크 오버 싱커에 대하여 하강 홀더는 폭 방향으로 변위가능(displaceable)하다. 폭 방향의 변위는 "측면 오프셋(lateral offsetting)"이라고도 지칭된다. 하강 홀더가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될 때, 즉 폭 방향으로 변위될 때, 하강 홀더는 실을 상응하는 방식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따라서 하강 홀더는 임시적인 언더레이(temporary underlay)의 영향을 받는다.
하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으로 구동 스트로크를 가지며, 상기 구동 스트로크는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무충돌 영역 내의 하강 홀더의 위치를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다른 무충돌 영역으로 변위시킨다. 노크 오버 싱커들과 하강 홀더들의 피치는 편성 니들들의 피치와 일치한다. 초기 위치에서의 노크 오버 싱커 및 하강 홀더는 편성 니들들 사이의 니들 채널 내에 배치된다. 편성 니들은 "작동 니들(operative needle)"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하강 홀더가 측면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측면 방향 변위가 노크 오버 싱커들의 피치 또는 노크 오버 싱커들의 피치의 정수배에 대응하면, 하강 홀더에 의해 충돌된 실은 마찬가지로 노크 오버 싱커들의 피치만큼 또는 노크 오버 싱커들의 피치의 정수배만큼 측면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 때문에 말하자면 두 개의 이웃 루프들 사이의 인공적인 언더레잉(underlaying)이 달성된다. 편성 니들이 하강 홀더들 사이에서 충돌없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구동 스트로크는 또한 정확한 피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강 홀더를 가이드 니들과 편성 니들 사이의 직선 사경로(rectilinear yarn path) 내로 변위한다. 따라서, 이 직선 사경로는 흐트러짐을 받아서, 하강 홀더가 측면 방향으로 변위되면 편성 니들이 상승할 수 있고, 하강 홀더는 따라서 편성 니들의 축 상에 실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장력이 없는 편성 직물(tension-free knitted fabric)이 제조될 수 있다.
노크 아웃 싱커 및/또는 하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몰딩의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다. 잠금 몰딩의 나머지 부분은 따라서 각각 하강 홀더 또는 노크 오버 싱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종래의 잠금 노크 오버 싱커와 유사한 설계 구현예가 결국 루프 형성 절차의 적어도 일부를 생기게 한다.
편성 니들 구동 장치가 편성 니들을 상승 이동시키기 전에 하강 홀더 구동 장치가 하강 홀더를 폭 방향으로 오프셋(offset)시키는 방식으로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편성 니들 구동 장치와 동기화된다. 하강 홀더는 따라서 초기에는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그 후, 편성 니들이 상승하고, 하강 홀더가 실을 보유한다.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방법의 경우, 노크 오버 싱커와는 분리된 하강 홀더가 사용되며, 이에 의하여 노킹 오버 싱커를 동반하지 않고 하강 홀더가 편성 니들이 상승하기 전에 폭 방향으로 오프셋되어서 상기 목표가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렇지 않다면 라셀 기계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는 낮은 장력의 편성 직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낮은 장력을 사용하여 프린지(fringe)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얇은 실을 사용하여 편성 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완전히 새로운 햅틱 지각 및/또는 시각적 외관이 많은 경우에 발생한다.
각각의 하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니들과 편성 니들 사이의 직선을 흐트린다. 따라서 실이 이 직선 밖으로 이동한다.
하강 홀더가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무충돌 영역 내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다른 무충돌 영역으로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되면 또한 유리하다. 그러면 하강 홀더는 편성 니들들 사이의 하나의 니들 채널로부터 다른 니들 채널로 변위되어, 상기 하강 홀더가 상승할 때 편성 니들을 흐트리지 않도록 한다.
언더레잉 동안 하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실의 일부를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유지한다. 따라서 말하자면 인공적인 언더레잉이 달성된다.
노크 오버 싱커는 바람직하게는 하강 홀더가 실 그룹을 관통할 때 하강 홀더와 함께 이동한다. 이 이동은 폭 방향에 수직하게 수행된다. 노크 오버 싱커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각 실의 경우에 싱커 루프가 형성된다.
노크 아웃 싱커 및 하강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편성 니들이 하강할 때 뒤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또한 편성 니들의 하강 이동의 마지막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노크 오버 싱커 및 하강 홀더는 다음 루프 형성 사이클 이전에 초기 위치에 위치한다.
본 발명이 아래에서 다음의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예시적인 구현예에 의하여 기술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 1a 및 도 1b는 경편기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루프 형성 절차의 일부분의 부분 사시도를 보인다.
도 3은 도 2의 구성 요소를 실이 없는 상태로 도시한다.
도 4는 루프 형성 절차의 제3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루프 형성 절차의 제4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루프 형성 절차의 제5 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그것과 유사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경편기의 일부을 도시하는데, 구체적으로 본원에서는 실(2)을 안내하는 구멍을 갖는 니들로서의 구조를 갖는 가이드 니들(1), "작동 니들"이라고도 지칭되는 편성 니들(3),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는 노크 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노크 오버는 본원에서 경편기의 주축(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음)의 0°의 회전각(rotary angle)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b는 도 1a와 관련하여 약간 수정된 경편기 부분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a에 따른 설계 구현예의 경우, 잠금 몰딩(7)은 노크 오버 싱커(4)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도 1b에 따른 설계 구현예의 경우, 잠금 몰딩(7)은 하강 홀더 (5) 위에 구성된다. 편성 니들(3)이 상승할 때 원하는 잠금(locking)은 노크 오버 싱커(4)와 하부 홀더(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루프 형성 절차의 경우(도 1a 및 1b의 도시와 관련하여) 편성 니들(3)은 위아래로 이동한다. 가이드 니들(1)(마찬가지로 도 1a 및 도 1b의 도시와 관련하여)은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좌에서 우로, 그리고 우에서 좌로, 그리고 그 사이에서 2회 이동한다.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는 양방향 화살표(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강 홀더(5)는 노크 오버 싱커(4)와 분리된 요소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노크 오버 싱커(4)는 루프를 노킹 오버(knocking-over)하고 잠금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하강 홀더(5)는 양방향 화살표(6) 방향으로의 이동에 더하여 도면 평면에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가이드 니들(1)이 고정되는 바(bar)의 구동 장치의 그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각각의 바의 일 단부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캠 디스크 등을 통해 하강 홀더(5)를 운반하는 바(bar)에 작용할 수 있다.
도 2는 개략적인 사시도의 제2 단계를 나타낸다. 이 두 번째 단계는 예를 들어 주축의 40°의 회전각에서 발생하는 "잠금"과 관련된다.
루프를 노크 오버하면,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 모두가 경편기의 폭 방향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전방(forward)"이라고 지칭된다. 하강 홀더는 복수의 실(2)에 의해 형성된 사 그룹을 관통(penetrate)한다. 노크 오버 싱커(4)는 그 잠금 몰딩(7)을 통해 루프를 앞으로 밀어낸다. 싱커 루프는 이 전방 변위(forward displacement)에 의해 형성된다.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는 전방 및 후방으로, 즉 폭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화살표(8)의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소위 "잠금"을 위한 치수(9)가 도 3에 추가적으로 도시된다. 이 치수는 잠금 몰딩(7)과 편성 니들(3)의 등뼈 사이의 간격(spacing), 즉 잠금 몰딩(7)과 이를 마주하는 편성 니들(3)의 측면에 사이의 간격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거(take-off) 방향(10)은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의 이동과 대략 동일하며, 상기 이동은 화살표(8)로 도시된다. 제거 방향(10)은 실(2)의 평균 공급 방향과 대략 직각을 이룬다. 이 각도는 또한 90°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상기 각도는 180°보다 작다. 따라서 극단적인 응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견인력은 루프의 이륙으로 인해 발휘되지 않는다. 따라서, 극단적인 고화(solidification)로 이어질 수 있는 견인력은 이 제거에 의하여 루프에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편성 니들의 흉부 상승(breast rise)(11)과 편성 니들의 헤드부(12)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편성 니들(12)은 슬라이드(17)를 갖는 복합 니들(compound needle)로 구성된다.
도 4는 루프 형성의 제3 단계, 즉 언더레이의 변위를 도시한다.
하강 홀더(5)가 실 그룹(2)을 관통하자마자, 하강 홀더(5)는 편성 니들(3)들의 적어도 하나의 니들 피치만큼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그 이전에, 즉 초기 위치에서, 하강 홀더(5)는 마찬가지로 두 개의 편성 니들(3)들 사이의 니들 채널, 즉 노크 오버 싱커(4)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프린지의 언더레이는 하강 홀더(5)의 이러한 오프셋 이동에 의해 변위되고, 편성 니들(3)의 축 상에 위치하는 루프는 상승하는 편성 니들(3)의 흉부 상승(11)(도 2 참조)에 대항하여 유지된다(held down). 실의 변위 및 그로부터 생기는 임시적인 언더레이와 함께 하강 홀더(5)의 오프셋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니들 피치일 수 있다. 그러나, 루프 코오스(loop course)들의 횡방향 상호 연결(transverse interconnection)이 반드시 이 절차의 경우를 낳는 것은 아니다. 하강 홀더의 오프셋 이동은 화살표(14)로 도시된다. 그러나, 폭 방향에서 노크 오버 싱커(4)는 원래 위치에 유지된다.
도 5는 오버레잉이 수행되는 제4 단계를 도시한다. 오버레잉하는 동안, 하강 홀더(5)는 계속하여 언더레이를 제자리에 유지한다. 따라서, 편성 니들(3) 둘레에 놓인 루프(13)는 편성 니들(3)의 축 상에 유지된다.
도 6은 편성 니들(3)이 하강하는 제5 단계를 나타낸다. 편성 니들(3)이 하강 할 때, 즉 편성 니들(3)이 위에서 아래로 움직일 때, 하강 홀더(5)는 후방으로 이동한다(도 6과 관련하여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변위가 취소된다. 언더레이를 풀어준다(released). 루프(13)는 노크 오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크 오버 싱커(4)는 추가적인 노크 오버 에지(15)를 가질 수 있다. 노크 오버 에지(15)는 노크 오버되었을 때 루프(13)가 노크 오버 싱커(4)를 가로지르지(cross) 않을 때 특히 유리하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노크 오버 에지(15)가 노크 오버 싱커(4)들 사이의 채널들을 연결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노크 오버 싱커(4)가 프린지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노크 오버 싱커(4) 상의 노크 오버 에지(15)에 의해 노크 오버될 루프(13)가 새롭게 형성된 루프에 대해 유지될 수 있는 횡방향 연결(transverse connection)이 확립될 수 있다. 도 7은 이 단계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노크 오버 싱커(4)와 함께 하강 홀더(5)는 화살표(16)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드(17)와 함께 도시된 편성 니들(3)은 "이전의(old)" 루프(13)를 관통하여 당겨질 수 있다.
직물 제거시 높은 견인력에 의해 루프가 편성 니들(3)의 축 상에 유지될 필요가 없고, 하강 홀더(5)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장력을 사용하여 경편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한된 인장 강도를 갖는 얇은 실이 또한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라셀 기계에서만 제조될 수 있는 레이스 직물이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레이스 직물은 이전에 높은 장력을 사용하여 제조되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거친 핸들(harsh handle)을 가졌다. 측면 방향으로, 즉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강 홀더(5)를 사용하여, 훨씬 적은 장력을 갖는 경편 직물이, 심지어 레이스 직물로서도, 이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을 변위시키기 위한 하강 홀더(5)의 오프셋 이동(offset movement)은 편성 니들(3)들의 하나의 니들 피치 또는 편성 니들(3)들의 니들 피치의 정수배일 수 있다. 이 피치(5)는 하강 홀더(5)들의 피치 및 노크 오버 싱커(4)들의 피치에 해당한다. 하강 홀더(5)가 편성 니들(3)들 사이에서 충돌없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상기 피치는 정밀하게 고수될 필요가 없다.
특히 도 4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니들(1)과 편성 니들(3) 사이의 직선의 흐트러짐은 하강 홀더(5)의 측면 방향 오프셋(lateral offset)에 의해 초래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적인 언더레이를 형성하는 실(2)들의 중간 거리(18)는 상기 흐트러짐으로 인하여 생긴다.
노크 오버 에지(15)는 특히 프린지를 노크 오버할 수 있기 위해 사용된다.
잠금 치수(9)는 경편 직물에서의 장력에 대한 기준이다. 또한, 경편 직물의 햅틱 지각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 비교적 느슨한 싱커 루프가 생성될 수 있다.
인공적인 언더레잉(artificial underlaying)은 하강 홀더(5)에 의해 야기되는 실(2)의 측면 방향 오프셋에 의해 야기되어, 상대적으로 느슨한 프린지도 또한 경편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1: 가이드 니들
2: 실(때때로 "사"로 지칭됨)
3: 편성 니들
4: 노크 오버 싱커
5: 하강 홀더
6: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의 이동 방향
7: 잠금 몰딩
8: 노크 오버 싱커(4) 및 하강 홀더(5)의 이동 방향
9: 잠금 치수
10: 제거(take-off) 방향
11: 흉부 상승(breast rise)
12: 편성 니들(3)의 헤드부
13: 루프(편환)
14: 하강 홀더의 오프셋 이동
15: 노크 오버 에지
16: 하강 홀더(5) 후방 이동 방향
17: 슬라이드
18: 인공적인 언더레이를 형성하는 실(2)들의 중간 거리

Claims (14)

  1. 편성 니들(3), 가이드 니들(1), 및 노크 오버 에지(knock-over edges)(15)와 하강 홀더(downholders)(5)를 갖는 싱커 어셈블리를 구비한 경편기로서,
    상기 편성 니들(3), 상기 가이드 니들(1), 및 상기 싱커 어셈블리는 각각 폭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되며,
    상기 싱커 어셈블리는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노크 오버 싱커(4)와 분리된 하강 홀더(5)를 가지며,
    상기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하강 홀더(5)의 각각의 이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상기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하강 홀더(5)는 다른 운동(dissimilar movements)에 의해 구동가능하며,
    하강 홀더 구동 장치가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하강 홀더(5)에 작용하고,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노크 오버 싱커(4)에 대하여 상기 하강 홀더(5)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displace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상기 폭 방향으로 구동 스트로크를 가지며, 상기 구동 스트로크(drive stroke)는 상기 하강 홀더(5)의 위치를 두 개의 편성 니들(3) 사이의 무충돌 영역(collision-free region) 내에서 상기 두 개의 편성 니들(3) 사이의 다른 무충돌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5) 및 상기 노크 오버 싱커(4)는 상기 폭 방향을 가로질러 함께 변위될 수 있는(conjointly displace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는 상기 하강 홀더(5)를 각각 상기 가이드 니들(1)과 상기 편성 니들(3) 사이의 직선 사경로(rectilinear yarn path) 내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오버 싱커(4)는 잠금 몰딩(locking moulding)(7)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5)는 잠금 몰딩(7)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편성 니들 구동 장치가 상기 편성 니들(3)을 상승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가 상기 하강 홀더(5)를 상기 폭 방향으로 오프셋(offset)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하강 홀더 구동 장치가 상기 편성 니들 구동 장치와 동기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9. 경편 직물(warp-knitted fabric)의 제조 방법으로서,
    사 그룹(yarn group)의 사(2)가 가이드 니들(1)에 의하여 편성 니들(3)에 대하여 가이드되며, 루프(13)가 노크 오버(knock over)되면, 하강 홀더(5)가 상기 사 그룹을 관통하며, 노크 오버 싱커(4)로부터 분리된 상기 하강 홀더(5)가 사용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노크 오버 싱커를 동반하지 않고 상기 하강 홀더(5)는 상기 편성 니들(3)이 상승하기 전에 폭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5)는 각각 상기 가이드 니들(1)과 상기 편성 니들(3) 사이에서 상기 사(2)가 형성하는 직선을 흐트리는(disturb)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언더레이(underlay)를 형성하는 동안 상기 하강 홀더(5)는 상기 폭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기 사(2)의 일 부분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5)는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무충돌 영역 내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두 개의 편성 니들 사이의 다른 무충돌 영역으로 측면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홀더(5)가 상기 사 그룹을 관통할 때 상기 노크 오버 싱커(4)는 상기 하강 홀더(5)와 함께(conjointly)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니들(3)이 하강할 때 상기 노크 오버 싱커(4) 및 상기 하강 홀더(5)는 뒤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096496A 2016-07-28 2017-07-28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KR101957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1606.1 2016-07-28
EP16181606.1A EP3276062B1 (de) 2016-07-28 2016-07-28 Kettenwirk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ettenwirkw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810A KR20180013810A (ko) 2018-02-07
KR101957429B1 true KR101957429B1 (ko) 2019-06-19

Family

ID=5655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496A KR101957429B1 (ko) 2016-07-28 2017-07-28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276062B1 (ko)
JP (1) JP6416341B2 (ko)
KR (1) KR101957429B1 (ko)
CN (1) CN107663709B (ko)
ES (1) ES2681446T3 (ko)
TR (1) TR201811140T4 (ko)
TW (1) TWI730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5729B1 (de) 2019-09-18 2023-06-07 Groz-Beckert KG Platine, platinenanordnung und kettenwirkmaschine
EP4019680B1 (de) * 2020-12-23 2023-06-07 KARL MAYER STOLL R&D GmbH Strick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flachstrickmaschine mit demselb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flachstrickmaschine
CN113638119B (zh) * 2021-09-24 2023-02-10 福建利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三贾卡双针床经编织物的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4709A (en) * 1935-02-22 1936-12-15 Wirth Herbert Warp frame attachment
KR100272352B1 (ko) 1997-09-12 2000-11-15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2083C (de) * 1928-02-23 1931-03-30 Schneider & Reuthner Flache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doppelflaechiger Ware
DE2244096C3 (de) * 1972-09-08 1979-03-15 Liba Maschinenfabrik Gmbh, 8674 Naila Kettenwirkmaschine, insbesondere Raschelmaschine
DD203919A1 (de) * 1981-12-31 1983-11-09 Komb Textima Karl Marx Stadt V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gemusterter polgewirke
DE3827265A1 (de) * 1988-08-11 1990-02-15 Mayer Fa Karl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DE4432222C1 (de) * 1994-09-10 1996-05-02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Wirkware
DE19519410C2 (de) * 1995-05-26 1997-04-10 Mayer Textilmaschf Polbildende Kettenwirkmaschine
DE19647508C1 (de) * 1996-11-16 1998-04-16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olware
US6209362B1 (en) * 1997-07-25 2001-04-03 Textilma Ag Warp knitting machine, especially crocheting machine
DE20220055U1 (de) * 2002-12-28 2003-04-0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DE502007003317D1 (de) * 2007-08-23 2010-05-12 Liba Maschf Doppelbarren-Raschel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4709A (en) * 1935-02-22 1936-12-15 Wirth Herbert Warp frame attachment
KR100272352B1 (ko) 1997-09-12 2000-11-15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3709A (zh) 2018-02-06
EP3276062B1 (de) 2018-07-04
JP6416341B2 (ja) 2018-10-31
KR20180013810A (ko) 2018-02-07
EP3276062A1 (de) 2018-01-31
ES2681446T3 (es) 2018-09-13
JP2018016933A (ja) 2018-02-01
TR201811140T4 (tr) 2018-08-27
TW201804043A (zh) 2018-02-01
CN107663709B (zh) 2020-02-18
TWI730121B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7541A (en) Stringer foundation for slide fastener
KR101957429B1 (ko) 경편기 및 경편 직물의 제조 방법
EP2543758B1 (en) Warp knitting fabrics having ground structure expressing various design patterns
US325342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ush fabrics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KR20140029166A (ko) 파일편성방법, 파일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
CN108699736A (zh) 用于制造具有编入针织线或包覆线的机织织物的织机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CN113638119A (zh) 一种三贾卡双针床经编织物的工艺
KR102631625B1 (ko) 어퍼 및 어퍼의 제조 방법
KR101699038B1 (ko)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ITMI20131983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isegni ad intarsio con una macchina per maglieria in trama e tessuto a maglia in trama con disegno ad intarsio ottenibile con il procedimento.
US4266411A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ush-loop warp knit fabric
JP2017186681A (ja) フリンジ付編地の編成方法
US4266410A (en) Method and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a looped pile warp knit fabric having a pile pattern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US2300804A (en) Knitting machine and needle therefor
EP0694639B2 (en) Sinker arrangement in a knitting machine and knitwork formation methods using said arrangement
US1501857A (en) Braid-knitting machine
CN204714998U (zh) 三线卫衣提花机
CN104775225A (zh) 三线卫衣提花机及其提花工艺
KR101491825B1 (ko) 편물지
US2984092A (e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GB1455380A (en) Production of patterned looped pile knitted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