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431B1 -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431B1
KR100502431B1 KR10-2003-0010012A KR20030010012A KR100502431B1 KR 100502431 B1 KR100502431 B1 KR 100502431B1 KR 20030010012 A KR20030010012 A KR 20030010012A KR 100502431 B1 KR100502431 B1 KR 10050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knitting
cam
circular knitt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397A (ko
Inventor
강문환
이진석
Original Assignee
강문환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환, 이진석 filed Critical 강문환
Priority to KR10-2003-001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4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는 편물의 편성밀도(도목)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환편기 본체와, 환편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와,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는 편성기구와, 환편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성된 편물을 인출하는 인출기구와, 편성기구 및 인출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로 이루어진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에 있어서, 편성기구의 상ㆍ하부 캠박스의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하강캠과, 각 승하강캠에 대응되게 설치된 스테핑 모터와, 각 스테핑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회전체와, 각 회전체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부재와, 각 승강부재의 자유단부에 링크결합되어 각 승하강캠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레버와, 각 승하강캠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레버의 가압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하강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일측에 감지용 돌기를 구비하여 회전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감지부재와, 감지부재의 감지용 돌기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회전체에 의한 승강부재의 상하한값을 측정 및 제어하는 상하한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knitting density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용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는 편물의 편성밀도(도목)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편물기계라 함은 공급되는 실을 편침(바늘)에 의해 루프(코)를 만들고, 이 루프를 가로ㆍ세로 방향으로 연철시켜 의도하는 바의 편포를 생산하는 섬유 기계의 일종이다. 이 편물기계는 편침에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 및 이 공급된 실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편성운동을 수행하는 편성기구로 이루어지고, 경사를 세로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경편기(經編機)와 위사를 가로 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위편기(緯編機)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환편기(丸編機)는 위편기의 범주에 속하며, 실린더 상에 편침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환형의 편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이 환형의 편포는 통상 재단공정을 통해 의류로 완성된다.
이러한 환편기 중에서 상ㆍ하부 2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진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는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상ㆍ하부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홈 상에 개재된 다수의 잭들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다수의 양두 니들이 캠박스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안내로를 따라 상하 회전이동하면서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캠박스 내부면 상의 안내로는 캠박스 내부면 상에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캠들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그 편성 작동시의 편성밀도는 일률적일 수 밖에 없다.
즉, 종래의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는 편물은 그 편성밀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편성 조직 자체가 매우 단조로워 다양한 형태의 편성 조직을 달성하지 못하는 적용 범위의 한계가 극명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의 양두 니들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편물의 편성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환편기 본체와, 환편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와, 이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도록 상ㆍ하부 실린더 및 상ㆍ하부 캠박스로 이루어진 편성기구와, 환편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성된 편물을 인출하는 인출기구와, 이 편성기구 및 인출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로 이루어진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에 있어서, 편성기구의 상ㆍ하부 캠박스의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하강캠과; 각 승하강캠에 대응되게 설치된 스테핑 모터와; 각 스테핑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회전체와; 암나사부가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이 상기 각 회전체의 돌기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와; 각 승강부재의 자유단부에 링크결합되어 각 승하강캠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레버와; 각 승하강캠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레버의 가압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 승하강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일측에 감지용 돌기를 구비하여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감지부재와; 감지부재의 감지용 돌기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회전체에 의한 승강부재의 상하한값을 측정 및 제어하는 상하한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자유단부측에는 가압구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는 외관을 이루는 환편기 본체(100)와, 이 환편기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10)와, 이 급사기구(10)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는 편성기구(20)와, 환편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성기구(20)에 의해 편성되는 편포를 인출하는 인출기구(40)와, 이 편성기구(20) 및 인출기구(40)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30)로 이루어진다.
급사기구(10)는 편성기구(20)의 일측에 다수개 설치되어 편성기구(20)측으로 실을 공급하는 통상의 급사기구이다.
편성기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동기구(30)의 구동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ㆍ하부 실린더(21, 22)와, 이 상ㆍ하부 실린더(21, 2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홈(21a, 22a) 상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다수의 잭(25, 26)과, 급사기구(10)에 의해 공급되는 실을 이용하여 소정의 편성작동을 하는 다수의 양두 니들(27)과, 소정 갯수로 분할된 다수의 섹션이 상ㆍ하부 실린더(21, 22)의 각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인접 배치되어 이루어진 상ㆍ하부 캠박스(23, 24)와, 이 캠박스(23, 24)의 각 내측면 상에 고정설치되어 각 실린더(21, 22)에 개재된 다수의 잭(25, 26)이 안내되는 소정의 안내로(28a, 29a)를 형성시키는 다수의 고정캠(28, 29)으로 이루어진다.
상ㆍ하부 실린더(21, 22)는 상술한 구동기구(30)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각 외주면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슬롯형상의 홈(21a, 22a)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수의 잭(25, 26)은 상ㆍ하부 실린더(21, 22)의 다수의 홈(21a, 22a) 상에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개재되고, 각 잭(25, 26)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트(25a, 26a)가 구비되며, 각 잭(25, 26)의 자유단부 상에는 후술하는 양두 니들(27)이 걸리는 후크(25b, 26b)가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잭(25, 26)들은 하부 실린더(22)의 하부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73) 및 다수의 엑츄에이터 잭(74)에 의해 선택적이며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다수의 양두 니들(27)은 상ㆍ하부 실린더(21, 22)의 각 홈(21a, 22a) 상에 개재된 상ㆍ하부측의 잭(25, 26)의 후크(25b, 26b) 사이에 선택적으로 걸려, 급사기구(10)에서 공급되는 실을 루프 형태로 만들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철시키는 소정의 편성 작동을 하게 된다.
상ㆍ하부 캠박스(23, 24)는 소정 갯수로 분할된 다수의 섹션들이 상ㆍ하부 실린더(21, 22)의 각 외측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인접 배치됨으로써 환형을 이룬다. 이 분할된 섹션의 일부가 도 5에 도시되고, 이 도 5는 분할된 일부 섹션의 내측면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수의 고정캠(28, 2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ㆍ하부 캠박스(23, 24)의 각 섹션 내측면 상에 상술한 잭(25, 26)들의 각 버트(25a, 26a)들이 안내되는 소정의 안내로(28a, 29a)를 형성하도록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편성기구(20)의 구성에 의해, 각 잭(25, 26)들은 상ㆍ하부 실린더(21, 22)가 회전함에 따라 그 버트(25a, 26a)들이 안내로(28a, 29a)를 따라 안내되어 상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각 잭(25, 26)의 후크(25b, 26b) 사이에 선택적으로 걸려 결합된 다수의 양두 니들(27) 또한 상하 회전 운동을 하면서 소정의 편성 작동을 하게 된다.
구동기구(30)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편성기구(20)의 상ㆍ하부 실린더(21, 22)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축(32)과, 인출기구(40)를 구동시키는 하부 구동축(33)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구동축(32)은 그 하단부에 구비된 상부 피동기어(32a)가 하부 구동축(33)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 구동기어(33a)와 치합되어 이루어지고, 상부 구동축(32)은 그 상ㆍ하부 각각에 제 1, 2 구동기어(32b, 32c)가 구비되고, 이 제 1, 2 구동기어(32b, 32c)는 환편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된 제 1, 2 피동기어(34, 35)에 개별적으로 치합되며, 이 제 1, 2 피동기어(34, 35)에는 편성기구(20)의 상ㆍ하부 실린더(21, 22)가 각각 결합되고, 제 1피동기어(34)의 상부측에 상부덮개(20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이 체인 또는 벨트 등과 같은 감기 전동절(37) 및 하부 구동축(33)을 통해 상부 구동축(32)에 전달되면, 이 상부 구동축(32)의 제 1, 2 구동기어(32b, 32c)에 치합된 제 1, 2 피동기어(34, 35)가 기어 구동함에 따라 상ㆍ하부 실린더(21, 22)도 회전구동된다.
또한, 하부 구동축(33)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구동기어(33b) 및 인출기구(4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피동기어(41)는 소정의 기어열(42)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이 감기 전동절(37)을 통해 하부 구동축(33)에 전달되면, 하부 구동축(33)의 하부 구동기어(33b) 및 하부 피동기어(41)는 기어구동하여 인출기구(40)가 회전 구동된다.
인출기구(40)는 환편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성기구(20)에서 편성이 완료된 편포을 인출하는 통상의 인출기구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예시된 형태의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외의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구비한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 모두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편성밀도 조절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편성기구(20)의 상ㆍ하부 캠박스(23, 24)의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하강캠(51)과, 각 승하강캠(51)에 대응되게 설치된 다수의 스테핑 모터(52)와, 각 스테핑 모터(52)의 출력축 상에 결합된 회전체(53)와, 각 회전체(53)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하는 승강부재(54)와, 각 승강부재(54)의 자유단부에 링크결합되어 승하강캠(51)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레버(55)와, 각 승하강캠(5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레버(55)의 가압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하강캠(5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57)와, 일측에 감지용 돌기(58a)를 구비하여 회전체(53)의 일측에 결합되는 감지부재(58)와, 이 감지부재(58)의 감지용 돌기(58a)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회전체(53)에 의한 승강부재(54)의 상하한값을 측정 및 제어하는 상하한센서(59)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승하강캠(51)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ㆍ하부 캠박스(23, 24)의 각 소정위치에 형성된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23a, 24a)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승하강캠(5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잭(25, 26)의 버트(25a, 26a)들이 걸려 안내되는 소정의 안내로(51a)가 형성된다.
스테핑 모터(52)는 펄스 모양의 전압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고 입력 펄스의 수에 비례하여 그 회전 각도가 결정되며 입력 펄스 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여 그 회전속도가 결정되는 통상의 스테핑 모터의 일종으로, 상ㆍ하부 캠박스(23, 24)의 후방에 설치된다.
회전체(53)는 그 상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돌기(53a)를 구비하고, 그 하단부가 스테핑 모터(52)의 출력축(52a)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53b)를 통해 고정결합된다.
다수의 승강부재(54)는 그 내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홈(54a)을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를 구비한 홈(54a)에 상술한 회전체(53)의 수나사부(53a)가 나사결합된다.
레버(55)는 각 승강부재(54)의 자유단부 상에 링크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부재(54)가 승하강함에 따라 레버(55)는 소정의 시소 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55)의 자유단부가 승하강캠(51)의 후방을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55)의 자유단부에는 상술한 승하강캠(51)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가압구(56)가 더 구비된다.
탄성부재(57)는 상술한 레버(55)의 가압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하강캠(51)의 후방측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설치된다.
감지부재(5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53)의 일측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58b)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그 일측에 감지용 돌기(58a)가 돌출형성된다.
상하한 센서(59)는 물체가 접근해 왔을 때의 위치를 검출하는 근접센서의 일종으로 상술한 감지부재(58)에 인접 배치되어, 회전체(53)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감지부재(58)의 감지용 돌기(58a)의 회전각도를 감지함으로써 회전체(53)에 의한 승강부재(54)의 상하한값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승강부재(54)의 상하한값과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기준치의 범위를 벗어나면 스테핑 모터(52)의 작동을 오프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편성밀도 조절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환편기는 급사기구(10)로부터 편성기구(20)의 양두 니들(26)측으로 공급되는 실을 이용하여 편성작동을 하는 도중에 편성되는 조직의 밀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편성기구(20)의 상ㆍ하부 캠박스(23, 24) 각각에 설치된 승하강캠(51)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스테핑 모터(52)를 소정의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고, 이 스테핑 모터(52)의 회전구동에 의해 회전체(53) 및 이에 고정결합된 감지부재(58)도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체(53)에 나사결합된 승강부재(54)는 이 회전체(53)의 회전운동에 의해 나사 운동을 함으로써 상, 하방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한 센서(59)는 회전체(53)와 동시에 회전하는 감지부재(58)의 감지용 돌기(58a)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승강부재(54)의 상하한값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승강부재(54)의 상하한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승강부재(54)의 높이를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이 승강부재(54)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부재(54)의 자유단부측에 링크결합된 레버(55)는 그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레버(55)의 자유단부 상에 장착된 가압구(56)가 승하강캠(51)의 후방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하강캠(51)은 가압구(56)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하 이동하는 승하강캠(51)들 사이에 형성된 안내로(51a) 상에 다수의 잭(25, 26)의 버트(25a, 26a)가 걸리면, 다수의 잭(25, 26)은 그 상하 이동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이 잭(25, 26)들에 의해 작동하는 양두 니들(27)의 상하 이동길이 또한 조절된다.
이렇게 양두 니들(27)의 상하 이동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양두 니들(27)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길이 또한 조절된다.
한편, 승하강캠(51)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승하강캠(51)의 후방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캠(51)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의 양두 니들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편성되는 편포의 편성밀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환편기의 편성기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편성밀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편성밀도 조절장치의 승하강캠이 상ㆍ하부 캠박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승하강캠 52 : 스테핑 모터
53 : 회전체 54 : 승강부재
55 : 레버 57 : 탄성부재
58 : 감지부재 59 : 상하한 센서

Claims (2)

  1. 외관을 이루는 환편기 본체와, 환편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을 공급하는 급사기구와, 이 급사기구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편성하도록 상ㆍ하부 실린더 및 상ㆍ하부 캠박스로 이루어진 편성기구와, 환편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성된 편물을 인출하는 인출기구와, 이 편성기구 및 인출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로 이루어진 더블 실린더형 의류용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편성기구의 상ㆍ하부 캠박스의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승하강캠과;
    상기 각 승하강캠에 대응되게 설치된 스테핑 모터와;
    상기 각 스테핑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회전체와;
    내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이 상기 각 회전체의 돌기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각 승강부재의 자유단부에 링크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시소 작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자유단부 측에 구비되어 승하강캠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가압구와;
    상기 각 승하강캠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레버의 가압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 승하강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일측에 감지용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용 돌기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체에 의한 승강부재의 상하한값을 측정 및 제어하는 상하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2. 삭제
KR10-2003-0010012A 2003-02-18 2003-02-18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KR10050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012A KR100502431B1 (ko) 2003-02-18 2003-02-18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012A KR100502431B1 (ko) 2003-02-18 2003-02-18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397A KR20040074397A (ko) 2004-08-25
KR100502431B1 true KR100502431B1 (ko) 2005-07-20

Family

ID=3736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012A KR100502431B1 (ko) 2003-02-18 2003-02-18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58A (ko) * 2015-04-06 2016-10-14 삼에스기계(주)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58A (ko) * 2015-04-06 2016-10-14 삼에스기계(주)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KR101699038B1 (ko) 2015-04-06 2017-02-01 삼에스기계(주) 고밀도 편직물용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397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9728B (zh) 用于添纱针织的导纱器的圆形袜类针织机、特别是双筒型针织机
EP1148162B1 (en) Apparel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502431B1 (ko)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밀도 조절장치
KR101363228B1 (ko) 공간직물 제조장치
US6289703B1 (en) Rashel machine with a stroke device for a guide bar assemblage
CN209227165U (zh) 一种可自由变换编织组织及纱圈大小的纬编针织双面机
US4040273A (en) Method and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stockings and like articles having a Jacquard pattern over ribbed knitwork made of plain and purl stitches
CN107904773B (zh) 无三角针织机及其编织方法
ITFI930150A1 (it) Metod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US4083203A (en) Knitting process utilizing multi-level presser foot
ITBS20080115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essili su macchine per maglieria in catena e macchina per realizzare tale metodo
EP1692333B1 (en) Method and equipment to change the knitting density in the production of warp fabrics and tubular articles by raschel loom and obtained products
US3433034A (en) Warp knitting adjustment mechanism
JP2007501338A (ja) 改良された編み機および編み方
JPS5812380B2 (ja) 経編機及びその使用法
US5682770A (en) Jacquard mechanism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CN101021028B (zh) 无缝内衣机的导纱喂纱装置
KR100922320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KR10051939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기구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EP0189956B1 (en) Improvements to mechanisms for creating irregular effects with different appearances in warp knit fabrics
EP0385154A1 (en) Mechanical take down device
US2444503A (en) Reverse plating of knitting fabrics
SU1432111A1 (ru) Кругла основов заль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