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930B1 -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 Google Patents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930B1
KR101366930B1 KR1020130009135A KR20130009135A KR101366930B1 KR 101366930 B1 KR101366930 B1 KR 101366930B1 KR 1020130009135 A KR1020130009135 A KR 1020130009135A KR 20130009135 A KR20130009135 A KR 20130009135A KR 101366930 B1 KR101366930 B1 KR 10136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ircular knitting
fabrics
knitting machin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102013000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부로 인출되는 편직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가지런하게 지그재그로 안정감 있게 쌓아서 더 많은 양을 적층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단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직된 원단은 곧바로 바퀴달린 원단적층수단을 통해 이동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을 편직하는 편직부, 상기 편직부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 및 상기 편직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직된 원단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양측 회전기대 사이 상부에 설치된 원단인출롤러;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된 원단이 적층되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 회전기대의 하부와 연결되는 원단적층수단;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이 원단적층수단에 적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이동부재; 및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회전기대와 상기 원단적층수단은 동시에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Circular knitting apparatus having texture lamin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출부로 인출되는 편직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가지런하게 지그재그로 안정감 있게 쌓아서 더 많은 양을 적층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단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직된 원단은 곧바로 바퀴달린 원단적층수단을 통해 이동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산업에서는 방적기에서 원사를 생산한 후 편직기에서 원사를 편직하여 원단을 생산한다. 이렇게 생산된 원단을 가공하여 섬유제품을 제작한다.
이러한 섬유기기에는 실로부터 다수의 루프들(loops)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들을 체인처럼 연결함으로써 원단을 편직할 수 있는 환편기(circular knitting apparatus)가 있다.
상기 환편기에는 루프를 형성하고 루프들을 체인처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니들이 원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환편기는 수십 내지 백 가닥 정도의 실을 동시에 편직함에 따라 원단의 생산성을 현저히 상승시킨다.
상기 환편기에서 편직된 원단은 권취롤러에 감겨진다. 상기 권취롤러에 원단이 적절하게 권취되면 원단을 절단한 후 권취된 상태로 보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원단이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권취된 원단을 다시 풀어 적층시킨 후 원단을 가공한다.
따라서,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 증가하고 섬유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롤 형태로 원단을 감아서 권취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원단에 구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고무사가 들어가는 스판텍스 원단의 경우 구김이 많이 발생하여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권취롤러에 일정량의 원단이 권취되면 환편기를 정지시킨 후, 새로운 권취롤러로 일일이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원단을 편직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176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출부로 인출되는 편직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가지런하게 지그재그로 안정감 있게 쌓아서 더 많은 양을 적층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단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편직된 원단은 곧바로 바퀴달린 원단적층수단을 통해 이동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단을 편직하는 편직부, 상기 편직부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 및 상기 편직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직된 원단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양측 회전기대 사이 상부에 설치된 원단인출롤러;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된 원단이 적층되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 회전기대의 하부와 연결되는 원단적층수단;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이 원단적층수단에 적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이동부재; 및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회전기대와 상기 원단적층수단은 동시에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단적층수단의 하부에는 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상기 원단적층수단이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양측 회전기대의 하부에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가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상단과 결합하여 양측 회전기대와 원단적층수단이 회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는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봉과,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켜 주는 하나 이상의 원단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양측 회전기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도록 구동시켜 주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출부로 인출되는 편직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가지런하게 지그재그로 안정감 있게 쌓아서 더 많은 양을 적층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단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직된 원단은 곧바로 바퀴달린 원단적층수단을 통해 이동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출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출부에 의해 원단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출부가 작동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출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출부에 의해 원단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인출부가 작동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환편기(10)는 편직부(100), 실공급부(200) 및 인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편직부(100)는 원단을 편직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편직부(100)는 다수의 니들(미도시)이 둘레부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니들(미도시)이 캠(미도시)에 의해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원단을 편직한다.
이때 상기 니들(needle)은 원사에 루프들(loops)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들을 체인처럼 연결함으로써 원단을 편직한다. 각 니들은 원단의 종류 및 형태와 원사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한 치수가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캠(미도시)은 니들을 왕복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캠은 환편기의 기종, 환편기의 게이지, 원사의 종류 및 원사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형태가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실공급부(200)는 실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편직하고자 하는 원단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색상의 원사가 감겨진 다수의 보빈(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열로 배열된다. 이러한 실공급부(200)는 편직에 필요한 원사를 적절한 장력과 속도로 편직운동을 하는 니들에 공급해 준다.
상기 인출부(300)는 상기 편직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직된 원단을 인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인출부(300)는 원단인출롤러(310), 원단적층수단(320), 이동부재(330) 및 차단봉(340)을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300)는, 종래의 환편기의 권취롤형태의 인출부와는 달리, 원단적층형태의 인출부로서 2층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이를 가진 인출부(300)를 통해 인출되는 원단은 구김이 없을뿐만 아니라 원단적층수단(320)에 적층되는 원단의 양은 기존의 권취롤형태의 원단보다도 훨씬 더 많은 양을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4참조).
상기 원단인출롤러(310)는 양측 회전기대(350) 사이 상부에 설치되며, 편직부(100)에 의해 편직된 원단을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원단인출롤러(310)를 통해 편직된 원단이 인출된다. 양측 회전기대(350)는 편직부(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양측 회전기대(350)는 종래의 환편기와는 달리 일정한 길이 또는 높이를 가진 형태로 길게 형성시켜 원단이 내려오면서 구김을 최대한 방지하고, 적층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은 상기 원단인출롤러(310)에 의해 인출된 원단이 적층되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 회전기대(350)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양측 회전기대(350)와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은 동시에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원단적층수단(320)은 많은 양의 원단을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였다(도 4참조).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단적층수단(320)의 하부에는 회전부재(3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의 하부에 바퀴(도면 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이 상기 회전부재(360)와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원단적층수단(320)의 하부에 회전부재(360)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원단적층수단(320)에 일정한 양의 원단이 적층될 경우, 원단을 절단하고, 적층된 원단이 실린 원단적층수단(320)을 다른 작업공간으로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기존의 권취롤형태의 원단을 일일이 힘들게 이동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측 회전기대(350)의 하부에 지지바(35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351)가 상기 원단적층수단(320)의 상단과 결합하여 양측 회전기대(350)와 원단적층수단(320)이 회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도 5참조). 도 5를 참조하면, 원단적층수단(320)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원단적층수단(320)과 연결된 회전기대(350)가 함께 회전이 되도록 함으로서 편직부(100)에서 편직된 원단이 원단인출롤러(310)를 통과한 후, 원단적층수단(320)에 적층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지부(351)가 원단적층수단(320)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330)는 상기 양측 회전기대(35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단인출롤러(310)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이 원단적층수단(320)에 적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부재(330)는 양측 회전기대(350)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봉(331)과, 상기 원단인출롤러(310)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켜 주는 하나 이상의 원단고정봉(332)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봉(331)은 차단봉(340)의 사이에서 일정한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원단인출롤러(310)를 통과한 원단은 원단고정봉(332) 사이로 들어가게 되고, 원단고정봉(332) 사이에서 일정한 힘으로 고정된 원단은 이동봉(33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그재그형태로 원단적층수단(320)에 적층된다. 따라서 양측 회전기대(350)와 원단적층수단(320)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동봉(331)을 포함한 이동부재(330)는 좌우방향으로 왔다갔다 이동하게 된다(도 5참조).
상기 차단봉(340)은 상기 양측 회전기대(35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330)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부재(330) 사이에 한 쌍 이상이 설치된다. 차단봉(340)은 원단인출롤러(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동부재(330)의 이동봉(331)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차단봉(340)이 없다면, 이동봉(331)이 지나치게 왔다갔다 하면서 이동하여 원단이 원단적층수단(320) 밖에 적층될 수도 있기 때문에 차단봉(340)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편기(10)는 양측 회전기대(3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봉(331)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331)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도록 구동시켜 주는 구동축(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70)은 양측 회전기대(3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부재(330)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편기(10)는 안전사고에 대비해 원단적층수단(320)의 둘레를 따라 울타리부재(38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울타리부재(38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현장 내에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직부(100), 실공급부(200) 및 인출부(300)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따로 도시하거나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입력한 조건에 따라 환편기(10)를 제어하여 원단이 생산되도록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10)는 인출부로 인출되는 편직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가지런하게 지그재그로 안정감 있게 쌓아서 더 많은 양을 적층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단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편직된 원단은 곧바로 바퀴달린 원단적층수단을 통해 이동시켜 다음 작업공정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환편기
100: 편직부
200: 실공급부
300: 인출부
310: 원단인출롤러
320: 원단적층수단
330: 이동부재
331: 이동봉
332: 원단고정봉
340: 차단봉
350: 회전기대
351: 지지바
360: 회전부재
370: 구동축
380: 울타리부재

Claims (5)

  1. 원단을 편직하는 편직부, 상기 편직부로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 및 상기 편직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편직된 원단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양측 회전기대 사이 상부에 설치된 원단인출롤러;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된 원단이 적층되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 회전기대의 하부와 연결되는 원단적층수단;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이 원단적층수단에 적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이동부재; 및
    상기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차단봉;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회전기대와 상기 원단적층수단은 동시에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단적층수단의 하부에는 회전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상기 원단적층수단이 상기 회전부재와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회전기대의 하부에 지지바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가 상기 원단적층수단의 상단과 결합하여 양측 회전기대와 원단적층수단이 회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양측 회전기대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봉과, 상기 원단인출롤러에 의해 인출되는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켜 주는 하나 이상의 원단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회전기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봉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이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도록 구동시켜 주는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KR1020130009135A 2013-01-28 2013-01-28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KR10136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35A KR101366930B1 (ko) 2013-01-28 2013-01-28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35A KR101366930B1 (ko) 2013-01-28 2013-01-28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930B1 true KR101366930B1 (ko) 2014-02-24

Family

ID=5027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135A KR101366930B1 (ko) 2013-01-28 2013-01-28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9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638Y1 (ko) * 1984-08-07 1985-08-09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에 있어 편직물 안내 절첩장치
EP1842949A1 (en) 2006-04-05 2007-10-10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olding apparatus for tubular knitted fabric
KR20100082999A (ko) * 2009-01-12 2010-07-21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의 원단적층장치
KR20110136176A (ko) * 2010-06-14 2011-12-21 박승선 환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638Y1 (ko) * 1984-08-07 1985-08-09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에 있어 편직물 안내 절첩장치
EP1842949A1 (en) 2006-04-05 2007-10-10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olding apparatus for tubular knitted fabric
KR20100082999A (ko) * 2009-01-12 2010-07-21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환편기의 원단적층장치
KR20110136176A (ko) * 2010-06-14 2011-12-21 박승선 환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52071B (zh) 筒形双轴向纬编三维针织结构的编织方法和设备
JP5615743B2 (ja) 紡糸巻取機
CN104611809A (zh) 防缠绕型分条整经机
KR101868802B1 (ko) 합사장치
JP2015078455A5 (ko)
EP3003939B1 (en)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with superimposed winding positions with multiple motor drives
KR101366930B1 (ko) 원단적층기능을 구비한 환편기
KR101483781B1 (ko) 환편기용 원단 적출장치
JP2013189719A (ja) 丸編機におけるスリットヤーンの編成方法、その装置および編地
CN101173415B (zh) 通过编织-拆线来处理线的方法以及线处理作业线
US20170260663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18503000A5 (ko)
US20200109498A1 (en) Loading yarns into a textile machine
EP2843093A1 (en) Warp yarn positive feed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achine
KR100880017B1 (ko) 정경장치
KR102209257B1 (ko)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KR20110136176A (ko) 환편기
JP2020153056A (ja) 経編機及び経編機のための生地引出装置
EP3003938B1 (en) A module for a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KR20100082999A (ko) 환편기의 원단적층장치
MX2012010090A (es) Maquina destejedora para recuperar hilos de los generos de tejido de punto de recogida circular.
CN221000040U (zh) 一种针织横机的挑线装置
KR101218240B1 (ko) 멀티형 고메즈 자수기
CN101858002A (zh) 试样整经机和运行试样整经机的方法
KR20170097522A (ko) 환편기의 편침실린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