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08B1 - 제직장치 - Google Patents

제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08B1
KR102223808B1 KR1020200126726A KR20200126726A KR102223808B1 KR 102223808 B1 KR102223808 B1 KR 102223808B1 KR 1020200126726 A KR1020200126726 A KR 1020200126726A KR 20200126726 A KR20200126726 A KR 20200126726A KR 102223808 B1 KR102223808 B1 KR 10222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guide
state
uni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진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진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진물산
Priority to KR102020012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제직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직장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며 제직용 실이 감겨진 보빈을 구비한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직용 실을 공급받아서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직부와, 상기 제직부 측에서 제직된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수거통 측에 담겨지는 상태로 적층 수거되는 수거부, 그리고 상기 제직부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상기 수거통 측에 담겨지기 전에 적층 수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낙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를 구비한 낙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직장치{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제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직장치는 실을 제직(製織) 처리하여 제직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제직물은 제직장치의 실 제직 방식 및 구조에 따라 평면의 원단 또는 줄, 끈 형태로 제직될 수 있다.
특히, 줄이나 끈과 같은 형태의 제직물 제조에 사용되는 제직장치는, 실이 감겨진 보빈부와, 이 보빈부로부터 실을 공급받아서 제직 처리하는 제직부, 및 이들이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직장치는 보빈부와 제직부가 한 조로 구성되되, 대부분 프레임부 측에서 좌,우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제직물들을 동시에 제직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 측에 한 조로 각각 배치되는 보빈부 및 제직부는 줄이나 끈 형태의 제직 작업과 부합하도록, 위쪽의 보빈부 측에서 경사(經絲) 방향으로 공급되는 실이 아래쪽의 제직부 측에서 제직 처리되는 이른바, 수직의 제직 라인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셋팅된다.
이와 같이 보빈부와 제직부가 수직의 제직 라인 배열을 이루는 구조에 의하면, 줄이나 끈 형태의 제직물을 연속으로 제직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연속 제직 작업과 연계하여 제직물의 포장 처리가 용이하도록 안정적으로 수거 처리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제직부 하부 측에 수거용 보빈을 설치하고, 이 보빈 측에 제직물이 감겨지는 상태로 수거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수거 방식은 특히 스판 특성을 갖도록 제직된 줄이나 끈 형태의 제직물이 보빈 측에 감겨지는 상태로 수거될 경우, 스판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작업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9974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판성을 갖는 줄이나 끈 형태의 제직물을 제직(製織)하는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제직 작업과 연계하여 제직물의 스판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로 수거 처리할 수 있는 제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며, 제직용 실이 감겨진 보빈을 구비한 보빈부;
상기 보빈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직용 실을 공급받아서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직부;
상기 제직부 측에서 제직된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수거통 측에 담겨지는 상태로 적층 수거되는 수거부; 및
상기 제직부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상기 수거통 측에 담겨지기 전에 적층 수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낙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를 구비한 낙하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제직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이 제직부 측에서 수거부 측을 향하여 낙하되는 상태로 제직 및 수거가 이루어지되, 제직물의 스판 성능 유지 및 수거 효율성(용량) 확보와 부합하는 적층 상태로 수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장치 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직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직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직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2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직장치는, 프레임부(10), 보빈부(20), 제직부(30), 수거부(40), 및 낙하 가이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은 프레임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체결 또는 용접 접합 방식으로 금속바들이 서로 연결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제직 작업 환경이나 여건 등에 따라 작업장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방향 내의 복수 개의 지점에서 동시 제직 작업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빈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제직용 실(Y)이 감겨진 보빈(21)을 구비하고, 이 보빈(21)은 프레임부(10)의 상부 측에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직용 실(Y)은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이 후술하는 제직부(30) 측에 경사(經絲) 방향으로 공급 가능하게 셋팅되며, 스판덱스와 같은 스판 기능을 갖는 제직물의 제직 작업에 사용 가능한 특성을 갖는 실(예: 폴리우레탄계 합성 실)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한다.
제직부(30)는 보빈부(20) 측과 연계 작동되면서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을 제직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직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보빈부(20)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이 보빈부(20) 측으로부터 경사(經絲) 방향으로 제직용 실(Y)을 공급받아서 제직 처리할 수 있는 수직 제직 라인을 이루는 상태로 프레임부(10) 측에 형성된다.
즉, 제직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직용 보빈(31)과, 가이더(32)를 구비하고, 이 가이더(32)를 통해 제직용 보빈(31) 내측으로 공급되는 제직용 실(Y)들이 제직용 보빈(31)의 회전 운동에 의한 소정의 짜임 방식으로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의 제직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직부(30)는 상기와 같은 제직 방식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요구되는 제직 작업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여러 가지의 제직 방식 및 구조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보빈부(20)와 제직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한 조를 이루면서 프레임부(10)의 프레임 연장 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의 지점에 셋팅될 수 있다.
수거부(40)는 제직부(30) 측에서 제직된 스판성 제직물(T)이 수거통(B) 측에 담겨지는 상태로 수거 처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수거부(40)는 제직부(30) 측에서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T)이 고유의 스판 특성이 유지되는 상태로 수거 처리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수거부(40)는 예를 들어, 스판성 제직물(T)이 수거용 보빈 측에 감겨지는 일반적인 수거 구조가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스판성 제직물(T)이 제직 상태로 낙하되면서 수거통(B) 내측에 쌓이는 상태로 적층 수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거부(4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수거통(B)을 받쳐주는 지지대(41)를 구비하고, 프레임부(10) 측에서 제직부(30) 아래쪽에 형성된다,
수거통(B)은 상부가 개방된 수거공간(B1)을 구비하고, 이 수거공간(B1)은 제직부(30) 측에서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이 공간 바닥면 측에 순차적으로 쌓이면서 적층 상태로 담겨질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수거통(B)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종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41)는 제직부(30)로부터 제직된 스판성 제직물(T)이 수거통(B) 측에 적층 상태로 담겨질 수 있도록 수거통(B) 측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프레임부(10) 측에 형성된다.
즉, 지지대(4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수거통(B)이 세워진 상태로 놓여질 수 있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41)는 예를 들어, 프레임부(10) 측에 복수 개의 수직 제직 라인이 형성될 때,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복수 개의 수거통(B)들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낙하 가이드부(50)는 스판성 제직물(T)의 적층 수거과 부합하는 상태로 스판성 제직물(T)의 낙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낙하 가이드부(50)는 수거부(40) 측의 수거통(B)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이 수거통(B) 측을 향하여 적층 수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스판성 제직물(T)의 낙하 위치를 가이드하는 방식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낙하 가이드부(50)는 수거부(40)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스판성 제직물(T)의 낙하 위치를 가이드하되, 수거통(B)의 수거 용량 및 수거 효율성 확보와 부합하는 상태로 낙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낙하 가이드부(50)는 스판성 제직물(T)의 낙하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구(51)와, 이 가이드구(51)의 제1 가이드 동작을 위한 동력 발생 및 전달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 구동부(52), 및 가이드구(51)의 제2 가이드 동작을 위한 동력 발생 및 전달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가이드 구동부(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낙하 가이드부(5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0) 측에서 제직부(30)와 수거부(40)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구(51)는 도 5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일단 측에 가이드홀(54)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54) 측이 프레임부(10) 전방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구(51)는 프레임부(10) 측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되, 가이드홀(54)의 홀부 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상태로 가이드판(55) 상에 셋팅될 수 있다.
가이드홀(54)은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이 낙하 위치의 가이드가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원형(또는 다각형) 모양을 둘레부를 갖는 홀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구(51) 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56)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 슬롯(56) 측에는 가이드핀(57)이 끼워져서 이 가이드핀(57)과 가이드슬롯(56) 간의 접촉 간섭에 의해 제1 가이드 동작이 유도될 수 있는 상태로 가이드판(55) 측에 셋팅된다.
제1 가이드 구동부(52)는 가이드구(51) 측을 원형(또는 타원형)의 가이드 구간을 따라 반복적으로 가이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 구동부(52)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구동원(M1)과, 이 제1 구동원(M1)의 구동시 가이드구(51) 측이 제1 가이드 동작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C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구동원(M1)은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0) 내측에서 가이드구(51)의 단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가이드판(55)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1)는 제1 구동원(M1)의 구동과 연계하여 가이드구(51) 측이 제1 가이드 동작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연결부(C1)는 제1 구동원(M1)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구(51) 측이 가이드 동작되되, 원형의 구간을 따라 가이드 동작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갖도록 형상된다.
제1 연결부(C1)는 도 5에서와 같이 연결 디스크(58)와 연결핀(59)을 구비하고, 제1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가이드구(51) 측과 제1 구동원(M1) 간을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연결 디스크(58)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 구동원(M1)의 모터 축과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판(55) 상에 배치되며, 연결핀(59)은 디스크 둘레부 일측과 가이드구(51) 단부 측을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구동부(52)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 구동원(M1)의 구동시 회전력이 제1 연결구(C1)를 통해 가이드구(51) 측에 전달되고, 이 가이드구(51)는 가이드핀(57) 및 가이드 슬롯(56)에 의해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면서 가이드홀(54) 측이 원형의 구간을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제1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구동부(53)는 제2 구동원(M2)과, 이 제2 구동원(M2)의 구동시 가이드구(51) 측이 제2 가이드 동작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C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 구동원(M2)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0) 측에서 가이드판(55)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제2 연결부(C2)는 제2 구동원(M2)의 구동과 연계하여 가이드구(51) 측이 제2 가이드 동작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연결부(C2)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볼 스크류(60) 및 레일(61)을 구비하고, 제2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가이드구(51) 측과 제2 구동원(M2) 간을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볼 스크류(60)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부재로서, 수나사부(60a) 일단은 제2 구동원(M2)의 모터 축에 동축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판(55) 측에 고정되는 암나사부(60b)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레일(61)은 "LM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볼 스크류(60)의 정,역 회전에 의해 가이드판(55) 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프레임부(10)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구동원(M2)은 가이드판(55)의 위치에 따라 정,역 회전이 전환되는 상태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제어방식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레일(61)의 구간 양쪽 단부 측에 가이드판(55)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들의 감지 신호에 의해 제2 구동원(M2)의 정,역 회전이 전환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원(M2)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가이드판(55)이 이동되면서 레일(61) 구간 일측 단부 지점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2 구동원(M2)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제어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레일(61) 구간 내에서 제2 가이드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가이드판(55)의 전,후진 이동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모터의 정,역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 방식 및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제2 가이드 구동부(53)는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구(51)가 설치된 가이드판(55)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가이드구(51)의 제2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낙하 가이드부(50)는 제직부(30) 측에서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T)의 적층 수거와 부합하도록, 가이드구(51)의 제1 및 제2 가이드 동작으로 스판성 제직물(T)의 낙하 위치를 다음과 같이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직부(30) 측에서 스판성 제직물(T)이 가이드구(51)의 가이드홀(54)을 통해서 낙하될 때, 이와 연계하여 가이드구(51) 측이 가이드 구동부(52, 53)들에 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동시에 제1 및 제2 가이드 동작되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스판성 제직물(T)은 가이드구(51)의 가이드 동작에 의해 낙하 위치가 가이드되는 상태로 낙하되면서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수거부(40) 측의 수거통(B) 바닥면부터 순차적으로 쌓이는 상태로 적층 수거될 수 있다.
이때, 스판성 제직물(T)은 수거통(B)의 수거공간(B1) 바닥면부터 순차적으로 쌓이되, 가이드구(51)의 이중 가이드 동작에 의해 평면의 코일(COIL)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직선(좌,우 방향) 왕복 이동되면서 수거공간(B1)의 공간 둘레부 내측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적층 수거 상태로 담겨질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중의 가이드 동작에 의하면,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지 않는 적층 상태로 수거통(B) 측에 담겨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부(40) 측에서 수거통(B)이 움직이지 않는 안정적인 거치 상태로 수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낙하 가이드부(50)는 제직부(30) 측에서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T)이 수거부(40) 측에서 적층 수거될 때 더욱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상태로 적층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0)의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스판성 제직물(T)을 연속으로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으며, 특히 스판성 제직물(T)이 낙하되는 상태로 적층 수거될 때, 수거 효율성 및 수거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상태로 제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10: 프레임부 20: 보빈부
30: 제직부 40: 수거부
50: 낙하 가이드부 T: 스판성 제직물

Claims (6)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측에 배치되며, 제직용 실이 감겨진 보빈을 구비한 보빈부;
    상기 보빈부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보빈으로부터 제직용 실을 공급받아서 줄이나 끈 형태의 스판성 제직물을 제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직부;
    상기 제직부 측에서 제직된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수거통 측에 담겨지는 상태로 적층 수거되는 수거부; 및
    상기 제직부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직 상태로 낙하되는 스판성 제직물이 상기 수거통 측에 담겨지기 전에 적층 수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낙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구를 구비한 낙하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구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 측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구동부 및 제2 가이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구동부는,
    제1 구동원과, 이 제1 구동원 측과 상기 가이드구 측을 연결하는 연결 디스크 및 연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원의 구동시 상기 연결 디스크에 의해 상기 가이드구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면서 이 가이드구의 단부 측이 원형 구간을 따라 회전 운동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구동부는,
    제2 구동원, 볼스크류 및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시 상기 볼스크류와 레일에 의해 상기 가이드구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면서 이 가이드구 측이 상기 제1 가이드 구동부에 의한 원형의 회전 운동과 연계하여 직선 구간을 따라 왕복 운동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는 상기 제직부 아래쪽에서 상기 수거통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 측에 셋팅되는 제직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26726A 2020-09-29 2020-09-29 제직장치 KR10222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26A KR102223808B1 (ko) 2020-09-29 2020-09-29 제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26A KR102223808B1 (ko) 2020-09-29 2020-09-29 제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08B1 true KR102223808B1 (ko) 2021-03-08

Family

ID=7518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26A KR102223808B1 (ko) 2020-09-29 2020-09-29 제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56B1 (ko) * 2020-06-25 2021-10-14 전훈 마스크 끈용 튜블러 편기의 헤드
KR102345124B1 (ko) * 2021-04-07 2021-12-31 권일철 마스크용 밴드 편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27B1 (ko) 2019-05-16 2019-07-05 현재천 원사 정렬장치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27B1 (ko) 2019-05-16 2019-07-05 현재천 원사 정렬장치
KR102154033B1 (ko) * 2020-05-27 2020-09-10 주식회사 범진물산 제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56B1 (ko) * 2020-06-25 2021-10-14 전훈 마스크 끈용 튜블러 편기의 헤드
KR102345124B1 (ko) * 2021-04-07 2021-12-31 권일철 마스크용 밴드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808B1 (ko) 제직장치
CN113353732B (zh) 一种纺织用丝线自动给进系统
CN1333394A (zh) 探测提花型织布机梭口中异常情况的方法和装置
CN103797167B (zh) 经纱细带监测器和圆型织机
KR102154033B1 (ko) 제직장치
CN1204032C (zh) 纱线退绕张力稳定器及用于整经筒子架的纱线退绕张力稳定装置
CN1950556A (zh) 用于缝纫机的旋梭装置
KR101655421B1 (ko) 위사공급장치
CN106976755A (zh) 丝线卷绕机、生头部件及丝线卷绕机的生头方法
US4877061A (en) Automatic cop exchanging apparatus for shuttle loom
CN1212962C (zh) 生产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一工作位所用的筒管输送器
CN111908274A (zh) 一种纺织机储纱装置
CN116551659A (zh) 一种高速三平移绳驱动并联机器人
KR20220073146A (ko) 끈 제직장치
CN215439073U (zh) 一种纺织设备用纱线引导装置
CN205062334U (zh) 剑杆织机
CN211689366U (zh) 一种高速分条整经机
CN210002009U (zh) 一种织机经向送经结构
CN214529558U (zh) 一种纺织用可快速更换线轮的编织机
CN209873222U (zh) 一种纺织加工用稳定型导纱座
CN221026829U (zh) 一种纺织机辅助上料装置
KR102209257B1 (ko) 끈 편성용 편기의 자동 적층장치
CN213976484U (zh) 一种纺织机械上蜡装置
CN219410075U (zh) 一种送经线装置
CN102433667A (zh) 纱线卷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