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87B1 -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87B1
KR101996787B1 KR1020190047993A KR20190047993A KR101996787B1 KR 101996787 B1 KR101996787 B1 KR 101996787B1 KR 1020190047993 A KR1020190047993 A KR 1020190047993A KR 20190047993 A KR20190047993 A KR 20190047993A KR 101996787 B1 KR101996787 B1 KR 10199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hub bearing
lift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식
Original Assignee
박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식 filed Critical 박규식
Priority to KR102019004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는, 소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평면을 기준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의 평면에 형성되고, 허브베어링이 안착되는 하부고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상기 하부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된 후, 회전되어 상기 허브베어링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1 런아웃측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하강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몸통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2 런아웃측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상이한 두 영역의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runout of hub bearing}
본 발명은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디스크부를 구비하는 허브베어링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개발은 자동차 바퀴에 적용되고 있는 런아웃(RUN-OUT) 차세대 허브베어링(HUB BEARING) 복합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검사의 신뢰성 및 시스템의 내구성 강화를 확보하고자 한다.
런아웃(RUN-OUT)이란? HUB BEARING의 런아웃이란 자동차의 바퀴가 고정되는 플랜지 부분의 흔들림 정도를 결정하는 정밀도의 측정 기준을 의미한다.
런아웃(RUN-OUT)이 나쁘면 자동차 바퀴의 흔들림이 심해져 승차감 저하와 더불어 진동 발생으로 인한 부품 수명 저하,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
런아웃(RUN-OUT)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제일 처음에는 BALL BEARING을 두 개 겹쳐서 사이에 스페샤 등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예압을 주고 제작하는 방식에서 복열 앵귤러 콘텍트 베어링을 개발하여 베어링을 제작할 때부터 예압이 들어가는 방식으로 진화해 온 것이 자동차용 HUB BEARING 이다.
HUB BEARING이 진화하면서 1세대에서 3세대까지는 현재 보편화 되었으며 3.5세대, 4세대, 5세대까지 개발 진행 중 이나 현재까지 경제성을 확보한 세대는 3세대 정도까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UB 1세대는 외경이 연삭된 상태에서 플랜지가 부착된 하우징에 강제 압입하는 방식이며, 2세대는 플랜지 자체에 궤도를 가공하여 복렬 앵귤러 콘텍트 베어링과 바퀴 고정용 플랜지 유니트가 한 몸체로 이루어져 컴팩트 화 되고 있는 과정이다.
HUB 3세대는 자동화 부품으로 개별 장착되는 ABS INBOARD FLANGE 등이 HUB 2세대에 추가로 부착되어 부품 간소화를 이루어 원가 절감 등으로 이어진다.
HUB BEARING의 세대가 진화할수록 자동차의 기종이 점점 고급화되며 2에 따라 저진동, 저소음의 HIGH QUALITY 사양을 요구하게 되므로, 자동차 바퀴가 부착되는 플랜지 단면 및 기준경의 흔들림인 RUN-OUT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품질을 관리하게 되므로 최종 완제품 상태에서 RUN-OUT을 측정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98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디스크부를 구비하는 허브베어링의 런아웃 및 단차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디스크부를 구비하는 허브베어링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평면을 기준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의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허브베어링이 안착되는 하부고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상기 하부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된 후, 회전되어 상기 허브베어링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1 런아웃측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하강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2 런아웃측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상이한 두 영역의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1 런아웃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1 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부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디스크부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단차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상이한 두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 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1 센싱부 및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2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센싱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2-1 삽입부, 상기 제2-1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되는 제2-1 접촉부 및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1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1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1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2-1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2 센싱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2-2 삽입부, 상기 제2-2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되는 제2-2 접촉부 및 상기 제2-2 삽입부와 상기 제2-2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2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2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2-2 완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2 삽입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2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채,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제2 런아웃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수평방향이동부 및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하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측면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측면측정부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수평방향이동부는, 상기 연동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측고정편, 상기 하측고정편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측고정편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편 및 상기 하측고정편과 상기 위치이동편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절곡부가 상기 몸통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의 상기 몸통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수직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삽입공간부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접촉되는 상기 몸통부의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기립부를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운동부 및 상기 기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운동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는, 서보 실린더(servo cylinder)로 형성되어, 소정의 입력지령 신호에 따라 서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매개부, 상기 매개부와 연결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이동편, 상기 회전이동편의 하측단에 형성된 채, 상기 허브베어링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가 하강 하는 경우,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회전이동편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에 배치되는 평면형성부 및 상기 평면형성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허브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유압척의 작동에 의해 상기 허브베어링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는,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과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은 동시에 구현되며, 상기 측면측정부는,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 및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이 구현된 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런아웃 측정 센서와 허브베어링의 접촉을 위한 상하강 운동을 위해 서보실린더를 사용하여, 하중 및 부하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허브베어링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해 유압척을 사용하여, 런아웃 측정 시, 허브베어링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허브베어링의 디스크부의 런아웃, 몸통부의 런아웃 및 디스크부의 단차 측정이 동시에 진행되어,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허브베어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승강부, 회전부 및 하부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1 런아웃측정부 및 단차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2 런아웃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2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측면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허브베어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1, 이하, 런아웃 측정장치)는,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H2) 및 상기 몸통부(H2)의 외주면에 연결된 디스크부(H1)를 구비하는 허브베어링(H)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런아웃 측정장치(1)는 본체부(10), 승강부(20), 하부고정부(30), 회전부(40), 제1 런아웃측정부(50), 제2 런아웃측정부(60) 및 단차측정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소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일종의 선반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평면을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허브베어링(H)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0)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되어 상기 하부고정부(30)에 안착된 상기 허브베어링(H)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허브베어링(H)과 접촉된 후, 회전되어 상기 허브베어링(H)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런아웃측정부(50)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4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20)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H1)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H)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의 런아웃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런아웃측정부(60)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되어 하강한 채,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H)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H2)의 런아웃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차측정부(70)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4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20)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H1)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H)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의 상이한 두 영역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런아웃 측정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승강부, 회전부 및 하부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1)의 승강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21), 상기 기립부(21)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기립부(21)를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운동부(23) 및 상기 기립부(21)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운동부(2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25)는, 서보 실린더(servo cylinder)로 형성되어, 소정의 입력지령 신호에 따라 서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0)는, 매개부(41), 회전이동편(43), 플러그부(45) 및 회전모터부(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1)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편(43)은, 상기 매개부(41)와 연결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45)는, 상기 회전이동편(43)의 하측단에 형성된 채, 상기 허브베어링(H)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2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부(47)는, 상기 회전이동편(4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평면에 배치되는 평면형성부(31) 및 상기 평면형성부(3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허브베어링(H)이 안착되는 안착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3)는, 유압척의 작동에 의해 상기 허브베어링(H)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40)는, 상기 제1 런아웃측정부(50) 및 상기 단차측정부(70)가 상기 디스크부(H1)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런아웃측정부(60)가 상기 몸통부(H2)에 접촉되면, 회전되어 상기 허브베어링(H)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런아웃측정부(50)에 의한 상기 디스크부(H1)의 런아웃이 측정되도록 하고, 상기 단차측정부(70)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H1)의 상이한 두 영역의 단차가 측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런아웃측정부(60)에 의해 상기 몸통부(H2)의 런아웃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1 런아웃측정부 및 단차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1)의 제1 런아웃측정부(50)는, 제1 연결부(51), 제1 고정부(53) 및 제1 센싱부(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51)는,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된 매개부(41)를 매개로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53)는, 상기 제1 연결부(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55)는, 상기 제1 고정부(53)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센싱부(55)는, 제1 삽입부(551), 제1 접촉부(553) 및 제1 완충부(5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551)는, 상기 제1 고정부(5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553)는, 상기 제1 삽입부(551)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H1)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553)는 일종의 런아웃 측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555)는, 상기 제1 삽입부(551)와 상기 제1 접촉부(553)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1 접촉부(553)가 상기 디스크부(H1)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553)의 상기 디스크부(H1)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553)는,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40)가 회전되면,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중에,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의 런아웃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촉부(553)는,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부(H1)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디스크부(H1)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1)의 단차측정부(70)는, 제2 연결부(71), 제2 고정부(73) 및 제2 센싱부(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71)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71)는,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된 매개부(41)를 매개로 상기 승강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73)는, 상기 제2 연결부(7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75)는, 상기 제2 고정부(73)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의 상이한 두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센싱부(75)는, 상기 승강부(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의 제1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1 센싱부(75a) 및 상기 승강부(2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H1)의 제2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2 센싱부(7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센싱부(75a)는, 제2-1 삽입부(751), 제2-1 접촉부(752) 및 제2-1 완충부(7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삽입부(751)는, 상기 제2 고정부(7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1 접촉부(752)는, 상기 제2-1 삽입부(751)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H1)의 제1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1 접촉부(752)는, 일종의 런아웃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접촉부(752)는,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부(H1)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디스크부(H1)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완충부(753)는, 상기 제2-1 삽입부(751)와 상기 제2-1 접촉부(752)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1 접촉부(752)가 상기 디스크부(H1)의 제1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1 접촉부(752)의 상기 디스크부(H1)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센싱부(75b)는, 제2-2 삽입부(756), 제2-2 접촉부(757) 및 제2-2 완충부(75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삽입부(756)는, 상기 제2 고정부(7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2 접촉부(757)는, 상기 제2-2 삽입부(756)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H1)의 제2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2 접촉부(757)는, 일종의 런아웃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접촉부(757)는, 상기 회전부(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H1)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부(H1)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디스크부(H1)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완충부(758)는, 상기 제2-2 삽입부(756)와 상기 제2-2 접촉부(757)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2 접촉부(757)가 상기 디스크부(H1)의 제2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2 접촉부(757)의 상기 디스크부(H1)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측정부(70)는, 상기 제2-1 접촉부(752)가 접촉된 상기 디스크부(H1)의 제1 영역과, 상기 제2-2 접촉부(757)가 접촉된 상기 디스크부(H1)의 제2 영역의 런아웃 측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단차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2 런아웃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1)의 제2 런아웃측정부(60)는, 연동부(61), 수평방향이동부(63) 및 측면측정부(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61)는, 상기 승강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2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는, 상기 연동부(61)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40)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측면측정부(65)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하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H2)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측정부(65)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수평부(651), 상기 수평부(651)의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53) 및 상기 수직부(653)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40)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6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655)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H2)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655)는 상기 몸통부(H2)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655)는, 일종의 런아웃 측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는, 상기 연동부(6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측고정편(631), 상기 하측고정편(631)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측고정편(631)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편(633) 및 상기 하측고정편(631)과 상기 위치이동편(633)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절곡부(655)가 상기 몸통부(H2)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655)의 상기 몸통부(H2)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63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20)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부(5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과 상기 제2 센싱부(7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측정부(65)는, 상기 제1 센싱부(5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 및 상기 제2 센싱부(7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이 구현된 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H2)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제1 센싱부(55)의 디스크부(H1)의 접촉 및 제2 센싱부(75)의 디스크부(H1)의 접촉 전에, 수평방향이동부(63)가 위치 이동되어 측면측정부(65)가 몸통부(H2)와 접촉되는 경우, 디스크부(H1)와의 접촉을 위해 하강하는 허브베어링(H)의 몸통부(H2)는 접촉된 측면측정부(65)에 의해 스크래치가 날 수 있으며, 또는 하강하는 허브베어링(H)에 의해 몸통부(H2)와 접촉된 측면측정부(65)가 하강하는 허브베어링(H)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센싱부(5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 및 상기 제2 센싱부(75)의 상기 디스크부(H1)의 접촉이 완료된 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63)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제2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는, 제2 센싱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런아웃 측정장치(1)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2 센싱부(175)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싱부(175)의 제2 고정부(173)는, 상기 제2-1 삽입부(1751)와 상기 제2-2 삽입부(1756)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홈(7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삽입부(1751)와 상기 제2-2 삽입부(1756)는, 상기 가이드홈(731)에 삽입된 채,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센싱부(175)에 의한 디스크부(H1)의 단차 측정 위치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아닌, 제1 영역과 제3 영역 또는 제2 영역과 제3 영역인 경우, 상기 제2-1 삽입부(1751) 또는 상기 제2-2 삽입부(1756)를 상기 가이드홈(731)을 통해 위치 이동시켜, 디스크부(H1)의 측정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의 측면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아웃 측정장치(1)는, 측면측정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런아웃 측정장치(1)와 동일하므로, 이하 측면측정부(165)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측정부(165)의 수직부(1653)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며, 절곡부(1655)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공간부(65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655)는, 상기 삽입공간부(653a)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칭 이동되어 접촉되는 상기 몸통부(H2)의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1655)에 의한 몸통부(H2)의 측정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절곡부(1655)를 상기 삽입공간부(653a)를 통해 위치 이동시켜, 몸통부(H2)의 측정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10: 본체부
20: 승강부
30: 하부고정부
40: 회전부
50: 제1 런아웃측정부
60: 제2 런아웃측정부
70: 단차측정부

Claims (6)

  1.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연결된 디스크부를 구비하는 허브베어링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에 있어서,
    소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평면을 기준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의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허브베어링이 안착되는 하부고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상기 하부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허브베어링과 접촉된 후, 회전되어 상기 허브베어링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1 런아웃측정부;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하강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의 런아웃을 측정하는 제2 런아웃측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디스크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한 상기 허브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상이한 두 영역의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런아웃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1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크부의 상면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부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디스크부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상이한 두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1 센싱부 및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제2-2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센싱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2-1 삽입부, 상기 제2-1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되는 제2-1 접촉부 및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1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1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의 제1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1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2-1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2 센싱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2-2 삽입부, 상기 제2-2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되는 제2-2 접촉부 및 상기 제2-2 삽입부와 상기 제2-2 접촉부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제2-2 접촉부가 상기 디스크부의 제2 영역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2 접촉부의 상기 디스크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제2-2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2 삽입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1 삽입부와 상기 제2-2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채,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접촉되는 가이드부의 영역이 변화되고,
    상기 제2 런아웃측정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수평방향이동부 및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하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측면측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측정부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고,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과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은 동시에 구현되며,
    상기 측면측정부는,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 및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디스크부의 접촉이 구현된 후, 상기 수평방향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몸통부와 접촉되고,
    상기 수평방향이동부는,
    상기 연동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측고정편, 상기 하측고정편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측고정편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편 및 상기 하측고정편과 상기 위치이동편 사이에 개재된 채, 상기 절곡부가 상기 몸통부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의 상기 몸통부에 대한 가압력을 감쇄시키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삽입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삽입공간부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접촉되는 상기 몸통부의 영역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기립부를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운동부 및 상기 기립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운동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부는, 서보 실린더(servo cylinder)로 형성되어, 소정의 입력지령 신호에 따라 서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는 매개부, 상기 매개부와 연결된 채,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이동편, 상기 회전이동편의 하측단에 형성된 채, 상기 허브베어링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플러그부 및 상기 회전이동편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평면에 배치되는 평면형성부 및 상기 평면형성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허브베어링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유압척의 작동에 의해 상기 허브베어링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KR1020190047993A 2019-04-24 2019-04-24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KR10199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93A KR101996787B1 (ko) 2019-04-24 2019-04-24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993A KR101996787B1 (ko) 2019-04-24 2019-04-24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787B1 true KR101996787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993A KR101996787B1 (ko) 2019-04-24 2019-04-24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3122A (zh) * 2021-01-11 2021-04-20 张帆 一种汽车零件生产用轮毂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687A (ja) * 2007-12-19 2009-07-09 Ntn Corp 軸受の回転精度の測定装置
KR20090114852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차량용 디스크 조립체의 런아웃 측정장치
KR20130084861A (ko)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비티씨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0687A (ja) * 2007-12-19 2009-07-09 Ntn Corp 軸受の回転精度の測定装置
KR20090114852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차량용 디스크 조립체의 런아웃 측정장치
KR20130084861A (ko)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비티씨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
KR101329857B1 (ko) 2012-01-18 2013-11-14 주식회사 비티씨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3122A (zh) * 2021-01-11 2021-04-20 张帆 一种汽车零件生产用轮毂检测装置
CN112683122B (zh) * 2021-01-11 2022-03-11 枣庄福尔德汽车配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零件生产用轮毂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787B1 (ko) 허브베어링 런아웃 측정장치
CN101027199A (zh) 汽车水平探测
CN102729753B (zh) 用于车辆中的悬架的支柱组件的回弹止挡件
US9366288B2 (en) Bearing arrangement with two axially acting spring systems
CN101776526A (zh) 悬架运动学与全工况弹性试验机
EP2724877B1 (en) Air spring with a sensor arrangement
JP2003532890A (ja) ローリング試験装置
KR100986722B1 (ko) 차량용 디스크 조립체의 런아웃 측정장치
KR20160116708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CN109969227A (zh) 轮对检测装置、高铁轮对检测装置与动车轮对检测装置
KR20190029597A (ko) 액티브 휠 서스펜션 요소
KR100725804B1 (ko) 제동 장치의 런아웃 측정 시스템
JPS59153792A (ja) エレベ−タの支持構造
CN107478442A (zh) 副车架疲劳试验弯矩、转矩消除装置
CN106843367A (zh) 一种信号感应装置及采用该感应装置的动力装置
CA1078303A (en) Phonograph record player/changer
KR20210008018A (ko) 섀시 동력계 장치
CN105346552A (zh) 一种重载机车转向架构架
CN104512421A (zh) 确定机动车辆的行驶高度
CN110579358B (zh) 车辆前部区域验证调节架
CN210426370U (zh) 一种用于球笼壳球道半径差检测的装置
FI57371B (fi) Anordning pao spaorbundet fordon foer detektering av en spaorkurva
JP3085955B1 (ja) 鉄道車両用車輪圧入装置
CN111855080A (zh) 车辆的质心位置测量装置
US20050012643A1 (en) Tone wheel testing apparatus and its tes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