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692B1 -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692B1
KR101996692B1 KR1020147008997A KR20147008997A KR101996692B1 KR 101996692 B1 KR101996692 B1 KR 101996692B1 KR 1020147008997 A KR1020147008997 A KR 1020147008997A KR 20147008997 A KR20147008997 A KR 20147008997A KR 101996692 B1 KR101996692 B1 KR 10199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adapter
girder
run
cran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113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패스만
리하트 크레이스너
마이클 카르덴
토마스 슈리어바흐-크노브로흐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7727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966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1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3Static structure, e.g., a building component
    • Y10T29/49634Beam or girder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2)를 구비하는 크레인(1a 및 1b),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으로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3)과 하부 런(4)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트러스 구조의 크레인 거더(2)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거더(2)는 두 대향 단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어댑터(12)를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12)가 상부 런(3) 및 하부 런(4)에 대하여 배향되고 나서, 상기 어댑터(12)가 상부 런(3)과 하부 런(4) 상에 용접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어댑터는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CRANE, IN PARTICULAR AN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upper run)과 하부 런(lower run)을 갖는 트러스 거더(trussed girder)로서 구성되고,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crane trolley)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의, 소정의 길이로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과 하부 런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트러스 구조의 크레인 거더는 일회의 조립 단계로 제조된다.
독일 특허 명세서 제DE 260 030호에는 갠트리 크레인의 갠트리 프레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수평 크레인 거더와 두 개의 수직 지지 거더를 구비하는 소위 더블 거더 갠트리 크레인이 공개되어 있다. 크레인 거더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한다. 지지 거더의 각 하부 단부에는 이송 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하여 갠트리 크레인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이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윈치(cable winch)를 구비하는 크레인 트롤리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그리고 그것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더블 거더 크레인으로서의 구조에 따르면, 크레인 트롤리 상에 설치된 케이블의 로드 피킹업 수단(load picking-up means)이 상기 두 개의 크레인 거더 사이에서 하강 및 상승한다. 크레인 거더는 트러스 거더로서 형성되고, 각각 횡방향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된 상부 런과 하부 런을 개별적으로 구비한다. 두 개의 크레인 거더의 상부 런과 하부 런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봉형 포스트(rod-shaped post)와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봉형 스트러트(strut)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두 개의 크레인 거더는 수평 로드와 스트러트에 의하여 그 단부에서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을 형성한다. 로드형 포스트와 스트러트는 일종의 트러스로서 상부 런과 하부 런 사이에서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 런을 그 하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하부 런에 각각 연결한다.
독일 실용신안 공보 제DE 1 971 794 U호에는 더블 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이 공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두 개의 수평 크레인 거더가 그 각각의 단부에 설치된 헤드 거더(head girder)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송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양 크레인 거더는 트러스 거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판형 상부 런, 봉형 하부 런, 및 봉형 포스트를 각각 구비한다.
특허 명세서 제DE 31 09 834 C2호는 트러스 구조로서 형성된 마스트와 크레인 지브(crane jib)를 구비하는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방체형 마스트는 4개의 L형으로서 수직으로 배향된 지지 거더를 구비하며, 두 개의 인접한 지지 거더 각각은 삼각형 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판은 그 모서리 영역 및/또는 그 측면 중 하나가 지지 거더에 부착되어 있다. 판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절첩되어 보강 리브를 형성한다.
또한, 독일 실용신안 공보 제DE 1 971 793 U1호에는 박스 거더로서 구성된 오버헤드 크레인의 크레인 거더가 공개되어 있다. 그 두 개의 대향 단부에서, 크레인 거더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헤드 거더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있다. 헤드 거더는 이송 기구를 지지하며, 그것에 의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은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판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베이스 판으로 구성되며, 그 위에 두 개의 직사각형 체결판이 내측으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각각 용접되어 있다. 체결판은 베이스 판 상에 직각으로 각각 위치하며, 크레인 거더의 폭에 대략 대응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결합 부재는 소정 위치에 설치 및 용접된 크레인 거더의 단부 상방에서 체결판과 함께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개선된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의하여 달성되며, 또한, 청구범위 제9항의 특징부를 갖는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에 기술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 거더는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과 하부 런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되고,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는 하기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즉, 크레인 거더는 두 개의 대향 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는 그것이 상부 런과 하부 런에 대하여 배향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부 런과 하부 런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어댑터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부 런과 하부 런에 용접될 수 있다. 종래 크레인 거더를 과도한 크기로 제조한 이후에 부품을 소정의 크기나 소정의 길이로 절단 또는 단축시키는 종래 제조와 반대로, 개선된 크레인 거더의 경우에, 대응하는 후속 기계가공을 회피함으로써 제조비가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필요한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용접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구조 및 배향될 수 있는 어댑터의 사용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제조비의 감소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댑터는 상부 런 및 하부 런에 대하여 모든 공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 거더의 길이뿐만 아니라 크레인 거더의 제조 정밀도의 결여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는 적어도 크레인 거더의 일종방향으로 상부 런 및 하부 런에 대하여 배향될 수 있는 설비가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는 길이 및 비틀림에 대하여 매우 정밀하게 제조하지 않아도 되며, 어댑터를 배향 및 용접할 때 크레인 거더의 다른 오차가 고려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구조에 있어서, 크레인 거더는 두 개의 대향 단부 각각 상에 어댑터를 구비한다. 이것은 길이 범위를 바람직하게 증가시킴으로써, 크레인 거더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양태에서, 어댑터는 이송 기구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판과, 상부 런에 체결하기 위한 헤드 플레이트와, 하부런에 체결하기 위한 어댑터 벽을 포함한다.
일 조립 단계에서, 어댑터는 결합판이 없이 헤드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어댑터 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후, 헤드 플레이트는 크레인 거더의 상부 런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소정 위치에서 상부 런에 용접되며, 배향 이후에, 상기 어댑터 벽은 하부 런의 영역 내에서 종단하고, 소정 위치에서 하부 런에 용접된다. 다른 양태로, 이 경우에 결합판은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에 이미 용접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헤드 플레이트 상에는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어댑터 벽이 설치된다.
또 다른 조립 단계에서, 제2 배향은 배향 이후에 결합판이 소정 위치에서 이미 배향된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에 용접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송 기구는 결합판에 형성된 보어를 통해 어댑터 각각에 체결될 수 있다.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의, 소정의 길이로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과 하부 런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트러스 구조의 크레인 거더는 일회의 조립 단계로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가 다른 조립 단계에서 크레인 거더의 두 대향 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설치된 이후, 어댑터는 상부 런과 하부 런 상에서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용접된다. 그 결과, 어댑터는 어느 잠재적인 제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용접 이전에 상부 런과 하부 런에 대하여 모든 공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한 양태에서 어댑터는 적어도 크레인 거더의 일 종방향에서 상부 런과 하부 런에 대하여 배향된다. 그러므로,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는 길이 및 비틀림에 대하여 매우 정밀하게 제조될 필요가 없으며, 어댑터를 배향 및 용접할 때 크레인 거의 다른 오차가 고려될 수 있다.
일 제조 단계에서, 어댑터는 헤드 플레이트가 크레인 거더의 상부 런 상에서 수평하게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어댑터 벽을 구비하며, 소정 위치에서 상부 런으로 배향 및 그것에 용접되고, 상기 어댑터 벽은 하부 런의 영역 내에서 종단하고, 소정 위치에서 하부 런으로 배향 및 그것에 용접된다. 적어도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으로 구성된 어댑터는 상부 런과 하부 런을 결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간 내에서 배향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 기구를 체결하기 위한 결합판이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에 이미 체결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이 배향 및 용접된 이후에, 그리고 결합판이 여전히 생략되어 있는 크레인 거더의 전체 길이를 고려한 이후에, 결합판을 헤드 플레이트와 어댑터 벽 상의 소정 위치에서 배향 및 용접된다. 따라서, 조립을 위하여 두 개의 일련의 배향 옵션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어탭터는 크레인 거더의 두 가지 대향 단부 각각 상에서 배열, 변위 및 용접된다. 이 경우, 어댑터 각각은 일 단계 또는 두 단계에서 부착될 수 있다. 크레인 거더의 일단부에서, 결합판이 체결된 어댑터가 사용되고, 크레인 거더의 타단부에서, 결합판이 체결되지 않은 어댑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중 배향이 일단부에서 수행된다.
도 1A는 싱글 거더 크레인으로서 구성된 오버헤드 크레인을 도시한다.
도 1B는 더블 거더 크레인으로서 구성된 오버헤드 크레인을 도시한다.
도 2A는 도 1A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1B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위한 본 발명의 두 개의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A에 따른 크레인 거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크레인 거더용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으로 도시된 어댑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오버헤드 크레인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은 갠트리 크레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싱글 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서 구성된 종래의 제1 크레인(1a)을 도시한다. 제1 크레인(1a)은 박스 거더로서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길이 L로 연장하는 크레인 거더(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이송 기구 (7 및 8)가 크레인 거더(2)의 대향 단부에 체결되어, 평면에서 볼 때 거의 더블 T형인 크레인 브릿지가 형성된다. 이송 기구(7 및 8)에 의하여, 제1 크레인(1a)은 비도시된 레일 상에서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인 가로 이송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은 지면 상방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적절한 지지 구조체 의하여 승강될 수 있거나 대향하는 건물 벽에 체결될 수도 있다. 제1 크레인(1a) 또는 그 크레인 거더(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이송 기구(7)는 제1 전동기(7a)에 의하여 구동되며, 제2 이송 기구(8)는 제2 전동기(8a)에 의하여 구동된다. 크레인 거더(2)로부터 크레인 트롤리(9)가 현수되며, 상기 크레인 트롤리는 케이블로서 구성된 리프팅 기어를 구비하며, 제1 크레인(1a)의 이송 방향(F)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그리고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을 따라 비도시된 이송 기구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런(4)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주행면(4c) 상에서 그리고 그것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크레인(1a)은 크레인 제어기(10)와 이것에 연결된 펜던트 제어 스위치(pendant control switch; 11)를 구비하며, 이에 의하여 제1 크레인(1a) 또는 전동기 (7a 및 8a)와 케이블 윈치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가 상호 개별적으로 제어 및 작동될 수 있다.
도 1B는 더블 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구성된 종래의 제2 크레인(1b)을 도시하는 것으로, 싱글 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구성된 제1 크레인(1a)과 비교하여 두 개의 크레인 지브(2)를 구비한다. 이송 기구(7 및 8)가 두 개의 크레인(2)의 단부에 체결되어, 평면에서 볼 때 프레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크레인(1b)은 케이블 윈치로서 구성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를 구비한다. 그러나,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런(4)으로부터 현수되지 않으며, 오히려 두 개의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런(3) 상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 사이의 중앙에 설치된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을 따라 그리고 두 개의 크레인 거더(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크레인 트롤리(9) 상에 설치된 케이블 윈치의 부하 피킹업 수단이 두 개의 크레인 거더(2) 사이에서 하강하거나 승강할 수 있다.
하기에서, 제1 크레인(1a)을 참조한 설명은 제2 크레인(1b)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싱글 오버헤드 크레인으로서 도 1A에 따라 구성된 크레인을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거더(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크레인 거더(2)는 박스 거더로 통상적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오히려 트러스 거더로 구성된다.
트러스 구조의 크레인 거더(2)는 상부 런(3), 하부 런(4),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스트러트(5), 및 수직 포스트(6)를 구비한다. 상부 런(3) 및 하부 런(4)은 이송 기구(7 및 8) 사이에서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선형 방식으로 각각 연장한다. 이 경우에, 상부 런(3) 및 하부 런(4)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부 런(3)은 수평면 내에서 배치되고 또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및 제2 상부 런 프로파일(upper run profile; 3d 및 3e)로 구성된다.
두 개의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은 L형 또는 각형 프로파일 거더로 형성된다. 하부 런(4)은 두 개의 직립 돌출부(standing limb; 4a)를 갖는 평탄한 프로파일(4b)로 형성되어, U-프로파일형 단면이 마련된다. 이 경우에, 평탄한 프로파일(4b)은 돌출부(4a)를 지나 측방으로 연장한다(도 3 참조). 평탄한 프로파일(4b)의 측방향 연장부 각각은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트롤리(9)의 이송 기구를 위한 주행면(4c)을 형성한다. 게다가, 종방향 LR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의 최외측 가장자리 또는 평탄한 프로파일(4b)의 최외측 가장자리의 이격된 간극은 크레인 거더(2)의 폭 B를 형성한다.
상부 런(3) 및 하부 런(4)은 적층 방식으로 형성된 다수의 스트러트(5)와, 일 실시예에서 봉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포스트(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트러트(5)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인 주표면(5a)을 갖는 판금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며, 그 종방향 측면은 보조 표면(5b) 형태로 뒤집어져서 적어도 중앙 영역에서 좌굴 강도를 증가시킨다.
트러스 구조의 크레인 거더(2)는 각각 어댑터(12)에 의하여 상부 런(3)과 하부 런(4)의 대향 단부에서 종단한다. 이러한 어댑터(12)에 의하여, 상부 런(3)과 하부 런(4)은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한다. 하부 런(4)이 대체로 상부 런(3)보다 짧기 때문에, 어댑터(12)는 대각선 진행부(diagonal progression)를 가지며, 크레인 거더(2)의 프레임은 대체로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하고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게다가, 상부 런(3)의 영역 내에서 그리고 상부 런(3)에 등을 향하는 측면 상에서, 어댑터(12)는 이송 기구(7 및 8)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거더가 체결되는 결합판(12a)을 구비한다.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서 볼 때 두 개의 어댑터(12) 중 하나로부터 시작하여, 제1 스트러트(5)가 하루 런(4)에 결합되고, 상부 런(3)의 방향으로 제1 설정각(α1)으로 경사진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상부 절점(node point; OK) 내의 그 지점에 체결된다. 이 경우, 제1 설정각(α1)은 제1 스트러스(5)와, 상부 절점(OK)에서 종단하는 포스트(6)로 둘러 싸인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설정각(α1)은 35˚ 내지 5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이다. 상부 절점(OK)에서, 제1 설정각(α1)에서 하부 런(4)으로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제2 스트러트(5)가 인접한다. 이것은 스트러트(5)가 크레인 거더(2)의 대향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 경우에, 짝수 개수의 스트러트(5)가 항상 사용되어, 최종 스트러트(5)가 하부 런(4)에서 종단한다. 크레인 거더(2)의 길이(L)에 따라서, 제1 설정각(α1)이 조립 이전에 결정되어, 각각 길이가 동일하고 동일한 설정각(α1)으로 배치된 짝수 개수의 스트러트(5)가 사용된다. 게다가, 각각의 상부 절점(OK) 영역에서, 하부 런(4)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고 그 지점에 채결된 포스트(6)가 부가적으로 체결되어 있다. 그 결과, 레일로서 기능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주행면(4c)을 형성하는 하부 런(4)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되어 있다.
스트러트(5)는 각각 그 주표면(5a)이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트러스트 구조의 크레인 거더(2) 내부로 배향된다. 게다가, 스트러트(5)의 제1 하부 스트러트 단부(5g)가 하부 런(4)의 상향 돌출부(4a)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상부 스트러트 단부(5h)에서, 스트러트(5)는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 사이에 설치되며, 돌출부(3a)의 내측면이 하부 런(4)의 돌출부(4a)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는 방식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상태(도 3 참조)에서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은 스트러트(5)에 용접된다. 봉형 포스트(6)는 또한 하부 런(4)의 돌출부(4A)와,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의 돌출부 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측면과 용접된다.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볼 때, 단 하나의 스트러트(5)가 상부 런(3)과 하부 런(4)의 돌출부(3a 및 4a) 사이에 마련된다.
도 2A는 또한 두 개의 수직 포스트(6)가 경기장 지붕 형태로 비스듬히 또는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두 스트러트(5)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식으로 상호 배정되어 있는 스트러트(5)와 포스트(6)는 상부 런(3) 상의 공통 상부 절점(OK)에서 서로 당접하고, 스트러트(5) 각각은 상부 런(3) 상의 대응하는 상부 절점(OK)의 영역에서 해당 포스트(6)와 함께 동일한 크기의 제1 설정각(α1)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짝수 개수의 스트러트(5)가 대응하여 쌍을 이루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지막 스트러트(5)는 크레인 거더(2)의 양 단부에서 하부 런(4)을 향하여 하강한다.
또한, 크레인 거더(2)는 치수적으로 정밀한 방법으로 어댑터(12)(도 4 참조)에 의하여 길이 L로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12)는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런(3)의 대향 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종방향 LR로 배치되고, 최종적으로 크레인 거더(2)에 용접된다.
도 2B는 도 1B에 따라 더블 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구성된 크레인(1b)을을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두 개의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두 크레인 거더(2)는 대향 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어댑터(12)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 L로 조정되고, 평행하게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이송 기구(7 및 8)는 어댑터(12)에 의하여 두 개의 크레인 거더(2)의 단부에 체결된다.
제2 크레인(1b)의 트러스 구조의 두 크레인 거더(2)는 하부 런(4)과, 이 하부 런보다 긴 상부 런(3)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런은 제1 크레인(1a)의 하부 런(4)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 각각의 상부 런(3)은 단면이 대략 U-프로파일인 돌출부(3a)를 갖는 평탄한 프로파일(3b)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부 런(3)의 평탄한 프로파일(3b)의 하방을 향하는 돌출부(3a)와 하부 런(4)의 평탄한 프로파일(4b)의 상방을 향하는 돌출부(4a)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크레인 거더(2) 각각의 상부 런(3)은 박판(laminar)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스트러트(5)와 제2 실시예에서 박판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배향된 다수의 포스트(6)에 의하여 해당 하부 런(4)과 결합된다. 제2 실시예에서 형성된 박판 포스트(6)의 기본 구조는 박판 스트러트(5)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대응한다(상대적으로 조정된 치수로). 그러나, 두 개의 봉형 포스트(6) 대신에, 단 하나의 박판 포스트(6)가 두 인접 스트러트(5)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실시예에서 박판으로 형성된 포스트(6) 각각은 주표면(6a)과 보조 표면(6b)이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보조 표면은 종방향 LR로 직각으로 절첩되어 있다. 또한, 박판 포스트(6)은 보조 표면(6b)이 크레인 거더(2)의 단부 중 하나를 향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식으로 설치 또는 배향될 수 있다.
그러나, 박판 포스트(6)를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성하고, 싱글 거더 크레인으로 구성된 제1 크레인(1a)의 크레인 거더(2)를 제공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스트러트(5)는 제2 크레인(1b)의 두 크레인 거더에 대하여 동일한바, 즉 도 1A에 따른 제1 크레인(1a)의 경우에서와 같이, 스트러트는 종방향 축선(LA)에 대하여 경상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B에는 비도시된 케이블 위치용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런(4)으로부터 현수되지 않고 오히려 그 상부 런(3)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두 개의 상부 런(3) 상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대응하는 주행면(3c)을 갖는 주행 레일이 마련되며,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2) 사이에 배치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레인(1b)의 이송 기구(7 및 8) 사이에서 종방향 LR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는 스트러트(5)가 도 2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기장 지붕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두 개의 인접한 스트러트(5)가 박판 형태로 형성된 단 하나의 포스트(6)에 배정되어, 스트러트(5)와 포스트(6)는 하부 런(4) 상의 공통 하부 절점(UK)에서 서로 당접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스트러트(5)는 하부 런(4) 상의 대응하는 하부 절점(UK)의 영역에서 대응하는 박판 포스트(6)와 함께 동일하게 큰 제2 설정각(α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설정각은 제1 설정각(α1)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45˚이다. 그러므로, 짝수 개수의 스트러트(5)가 쌍을 이루고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지막 스트러트(5)는 크레인 거더(2)의 양 단부에서 하부 런(4)을 향하여 하강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의 경우와 달리, 박판 포스트(6)가 마지막 스트러트(5) 이후의 크레인 거더(2)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2A에 따른 크레인 거더(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서 박판 형태로 형성되지만 치수 조건에서 상이할 수 있는 포스트(6)의 기본 구조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스트러트(5)의 기본 구조를 특히 도시한다. 따라서, 도 3과 관련한 설명은 도 2B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에 적용되며, 또한 이 경우에 제2 실시예의 박판으로 사용된 포스트(6)에도 적용된다. 간명성을 위하여, 스트러트(5)에 대해서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참조부호 5a 내지 5h는 참조부호 6a 내지 6h와 동일한 지점에서 지시된 박판 포스트(6)의 대응하는 부재를 유사하게 지정하며, 참조부호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박판 형태로 형성된 스트러트(5)는 거의 직사각형인 주표면(5a)을 갖는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표면(5a)은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크레인 거더(2)의 폭 B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특히 돌출부(3a) 또는 돌출부(4a)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중심 영역에서 스트러트(5)의 종축선(LA)을 따라 연장한다. 스트러트(5)는 바람직하게는 판금을 레이저 절삭하여 제조된다. 게다가, 스트러트(5)는 제1 하부 스트러트 단부(5g)와 제2 하부 스트러트 단부(5h)를 갖는다. 특히, 두 개의 스트러트 다리부(5f)가 스트러트(5)의 하부 모서리 영역에서 제1 하부 스트러트 단부(5g) 상에 형성되고, 주표면(5a) 내의 제1 하부 스트러트 단부(5g) 사이에 개구(5e)가 중심에 마련된다. 개구(5e)는 종축(LA)에 대하여 경상 대칭이며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스트러트 다리부(5f)는 하부 런(4)의 돌출부(4a)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주표면(5a)의 종방향 측면에 위치하고, 돌출부(4a)에 용접되며, 상기 주표면의 종방향 측면은 하부 리세스(5c)와 제1 하부 스트러트 단부(5g) 사이에서 연장한다. 그러나, 스트러트 다리부(5f)는 하부 런(4)의 평탄한 프로파일(4b) 상에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두 개의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은 주표면(5a)의 대응하는 종방향 측면에 대항하여 수직 돌출부(3a)와 설치되며, 상기 주표면의 종방향 측면은 상부 리세스(5d)와 제1 상부 스트러트 단부(5h) 사이에서 연장하고, 용접부가 그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도 3으로부터 자명하다.
또한, 돌출부(3a 및 4a)는 서로 등거리로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스트러트 다리부(5f)의 스트러스 단부(5g 및 5h)의 외측 종방향 측면은 비정렬 방식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돌출부(3a 및 4a)에 대항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것에 용접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거리 이격된다.
대향하는 제1 상부 및 하부 스트러트 단부(5g 5h)의 영역에서, 스트러트(5)의 두 종방향 측면 상에는 두 개의 하부 리세스(5c)와 두 개의 상부 리세스(5d)가 마련된다. 하부 및 상부 리세스(5c 및 5d) 각각은 용접선(S) 상의 부하를 경감하거나 대응하는 용접선 진동(weld seam run-out)을 경감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런(3 및 4)의 돌출부(3a 및 4a)에 인접한다. 리세스(5c 및 5d)의 형상은 원형,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이다.
하부 및 상부 리세스(5c 및 5d) 사이에서, 직각으로 절첩되고 종축(LA)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보조 표면(5b)은 스트러트(5)의 각 종방향 측면에서 주표면(5a)에 인접한다. 보조 표면(5b)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보조 표면(5b)이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스트러트는 적어도 보조 표면(5b)의 영역에서 스트러트(5)의 종축(LA)의 방향에서 볼 때 U형 단면을 갖는다. 보조 표면(5b)은 대향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축(LA)의 방향에서 볼 때, Z형 단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보조 표면(5b)을 생략함으로써, 또는 단지 하나의 싱글 보조 표면(5b)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러트(5)는 또한 대응하는 방식으로 종축(LA)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L형 단면을 갖는다. 보조 표면(5b)은 스트러트(5)의 좌굴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조 표면(5b)은 돌출부(3a 및 4a) 외측에 배치되어, 주표면(5a)의 종방향 측면의 전도되지 않은 영역만이 돌출부(3a 및 4a)에 용접된다.
가능한 일실시예에서, 스트러트의 총길이는 890mm이다. 이 경우에, 제1 하부 및 제2 상부 스트러트 단부(5g 및 5h)의 종방향 측면은 상부 및 하부 런(3a 및 4a)의 돌출부(3a 및 4a) 사이에서 80mm의 삽입 길이로 각각 삽입되거나, 그 길이에 걸쳐 돌출부(3a 및 4a)에 용접된다. 종방향 측면과 보조 표면(5b)의 삽입된 영역 사이의 이격 간격, 즉 이 영역에 형성된 멤브레인 조인트(membrane joint)의 길이는 각각 100mm이다. 따라서, 보조 표면(5b)은 종축(LA)에 대하여 530mm의 보조 표면 길이를 갖는바, 즉 보조 표면(5b)은 530mm의 보조 표면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보조 표면의 길이는 스트러트(5)의 총길이의 약 40% 내지 7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삽입 길이는 스트러트(5)의 총길이의 약 5% 내지 15%의 범위이다.
도 4A는 제1 크레인(1a)용의 크레인 거더(2)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어댑터(12) 중 하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크레인 거더(2)는 두 개의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다. 또한, 스트러트(5)는 봉형 포스트(6)에 대하여 제1 설정각(α1)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주표면(5a)으로부터 절첩된 스트러트(5)의 보조 표면(5b)의 사다리꼴 형성을 도시한다. 보조 표면(5b)은 상부 및 하부 런(3 및 4)의 돌출부(3a 및 4a) 외측에 배열되고,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을 포함하는 수직면으로 연장한다.
크레인 거더(2)의 소정 길이(L)를 조절하기 위하여, 어댑터(12)는 상부 런(3) 및 하부 런(4)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종?향(LR)으로 배향되어 용접된다. 각각의 어댑터의 경우, 종방향 LR로 ±5 밀리미터의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는 어댑터(12)를 부착하기 전에 거의 소정 길이(L)를 이미 갖고 있다. 이 경우, 어댑터(12)의 구조는 용접 이전에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 및 하부 런에 대한 길이(L)의 미세한 조정을 위하여 대체될 수 있다. 미세 조정 동안, 비틀림과 절곡과 같은 크레인 거더(2)의 다른 제조 공차가 보정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어댑터(12)는 종방향 LR에 대해서 변위할 뿐만 아니라,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용접되기 전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의 단부는 트러스 구조의 종단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부 런(3)의 두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이 하부 런(4)에 결합되어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어댑터(12)는 종방향 LR로 연장하고 상부 및 하부 단부에서 돌출부(3a 및 4a)에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리브형 어댑터 벽(12e)를 갖는다. 이 경우, 어댑터 벽(12e)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그리고 돌출부(3a 및 4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표면과 함께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한다.
각각의 어댑터 벽(12e)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된 헤드부(12f)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4개의 모서리(E1 내지 E4)를 갖는다. 제1 상부 모서리(E1)와 제2 상부 모서리(E2)를 연결하는 어댑터 벽(12e)의 상부 측면에서, 수평으로 배향된 헤드 플레이트(12b)가 어댑터 벽(12e) 상에 배치되어 그것에 용접된다. 헤드 플레이트(12b)는 평면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으로 배향된 결합판(12a)은 제1 모서리(E1)를 그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3 모서리(E3)에 연결하는 어댑터 벽(12e)의 결합측에 체결된다. 또한, 결합판(12a)은 평탄하고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판(12a)은 종방향 LR에서 볼 때 어댑터 벽(12e)을 넘어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결합판(12a)과 헤드 플레이트(12b)는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며, 제1 모서리(E1)의 영역에서 상호 당접한다. 제1 모서리(E1)에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놓여 있는 제4 모서리(E4)의 영역에서, 어댑터 벽(12e)의 헤드부(12f)는 결합 돌출부(12g)로 변화한다. 결합 돌출부(12e)는 어댑터 벽(12e)의 결합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형태로 대각선으로 또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어댑터 벽(12e)의 헤드부(12f)에 인접한다. 결합 돌출부(12g)는 평탄하고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며, 그 기본적 구조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상부 런(3a) 또는 하부 런(4a)의 돌출부(3a 및 4a)의 구조와 유사하다.
어댑터(12)가 크레인 거더(2)의 대응하는 단부에 부착된 경우에, 결합 돌출부(12g)가 대각선으로 연속하기 때문에 상부 런(3)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부 런(4)에 대한 연결이 가능하다. 이 경우, 특히 헤드부(12f)와 그 결합 돌출부(12g)의 면에서, 어댑터 벽(12e)의 치수는 결합 돌출부(12g)가 하부 런(4)에 도달하도록, 상부 런(3)과 하부 런(4) 사이의 이격 간극에 따라 선택되며, 이 경우, 외측면이 상호 측방향으로 연결 또는 용접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대항하여 돌출부(4a) 외측에 놓인다. 도 3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런(3 및 4)의 경우에서와 달리, 도 4A에 도시된 상부 런(3)의 돌출부(3a) 각각은 하부 런(4)의 돌출부(4a)와 수직으로 정렬된 방식으로 배향되지 않고, 오히려 돌출부(3a)는 돌출부(4a) 보다 수평 방향으로 상호 더욱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부 런(4)과 최종 스트러트(5)에 도달하는 결합 스트러트(12g)는 각각의 돌출부(4a) 내측 또는 외측에서 교차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3a 및 4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결합 돌출부(12g)의 하부 단부는 돌출부(4a) 사이에서 그것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길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댑터 벽(12e)은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헤드부(12f)의 영역에서, 그 어댑터 벽의 외측벽은 그것이 결합 돌출부(12g)의 하부 자유 단부에 대항하여 놓이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런(3)의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의 돌출부(3a 및 3b) 내측면 또는 하부 런(4)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2차원 형태로 놓인다.
또한,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지 않은 돌출부(3a 및 4a)의 경우에, 어댑터 플레이트(12)의 헤드부(12f)는 상부 런(3)의 돌출부(3a) 사이에 놓여 있지만, 그 결합 돌출부(12g)는 하부 런(4)의 돌출부(4a) 외측에서 그 외측면에 대항하여 놓여 있다.
어댑터(12) 또는 그 대응하는 상호 이격된 어댑터 벽(12e), 특히 결합 돌출부(12g)가 적절한 강성과 안정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폐쇄판(12h)이 어댑터 벽(12e)의 하부측면에 마련된다. 폐쇄판(12h)은 헤드부(12e)의 제3 모서리(E3)로부터 출발하여 제4 모서리(E4)의 방향으로 우선 수평하게 연장하고, 하부 런(4)에서 종단할 때까지 대각선 하향하는 방식으로 결합 돌출부(12g)의 연속부를 추종한다. 상기 방식으로 각이 지도록 형성된 폐쇄판(12h)은 어댑터 벽(12e)의 하부 측면에 용접된다. 게다가, 헤드부(12f)에서 볼 때 외측을 향하는 폐쇄판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리스세(12i)가 마련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대조적으로, 예를 들면, 제2 크레인(1b)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각의 크레인 거더(2)가 평탄한 프로파일(3b)을 갖는 상부 런(3)을 구비하면, 크레인 거더(2)의 소정 길이 L에 대한 변경이 가능하다. 평탄한 프로파일(3b)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부 런(3)의 경우에, 어댑터 벽(12e)은 헤드 플레이트(12b) 하방에 어느 정도 멀리 위치되고, 어댑터(12)의 헤드 플레이트(12b) 만이 상부 런(3) 상에 놓인다. 따라서, 어댑터 벽(12e)은 돌출부(3a 및 4a)에 대항하여 더 이상 측방향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크레인 거더(2)의 길이를 만족시키고 또한 그 제조 공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어댑터(12)는 크레인 거더(2)의 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그 헤드 플레이트(12b)는 상부 런(3) 또는 두 개의 상부 런 프로파일(3d 및 3e)의 상부 측면 상에서 2차원적으로 놓여 있다. 조절될 수 있는 길이(L)와, 전술한 횡축과 종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회전은 크레인 거더(2)의 두 개의 단부 상에 배열된 결합 판(12a)의 결합면(12c)에 의하여 한정되고, 결합면(12c)은 상부 런(3)으로부터 떨어져서 서로 대향한다. 최종적으로, 길이(L)와 배향은 치수적으로 정확한 방법으로 조정되며, 헤드 플레이트(12b)가 상부 런(3) 상에 놓여 있는 어댑터(12)는 종방향 LR로 배치되어 회전하다. 상기 방법으로 조정된 길이(L)와 배향을 고정하기 위하여, 어댑터(12)는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용접된다.
그러나, 초기에 어댑터(12)를 결합판(12a)이 없이 크레인 거더의 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시켜 길이(L)와 배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전히 체결되어 있는 결합판(12a)의 치수는 이 경우를 고려한다. 대향하는 두 개의 결합판(12a)을 서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판(12a)은 최종적으로 크레인 거더에 용접되고, 결합판(12a)에 보어(12d)가 이미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하여 이송 기구(7 및 8)가 어댑터(12)에 대하여 그리고 대응하는 크레인 거더(2)에 체결된다. 결합판(12a)은 배향 목적을 위하여 헤드 플레이트(12b)와 어댑터 벽(12e)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 될 수 있으며,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결합판(12a)은 배향 이후에 용접되기 전에 측면으로부터 헤드 플레이트(12b)와 어댑터 벽(12e)에 대항하여 놓인다.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어댑터(12)는 체결된 결합판(12a)을 미리 구비한다. 대향 어댑터(12)는 두 단계로 배향 및 용접된다. 우선 헤드 플레이트(12b)는 어댑터 벽(12e)이 크레인 거더에 결합되고, 결합판(12a)을 추종한다.
도 4B는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 LR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거더(2)의 일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어댑터(12)의 도면을 도시한다. 어댑터(12)의 횡방향으로 배향된 헤드 플레이트(12b)가 상부 런(3) 또는 그것의 상부 런 프로파일(3 및 3e) 상에 놓여 있는 것이 자명하다. 이것은 비도시된 이송 기구(7 및 8) 중 어느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보어(12d)를 갖는 수직으로 배향된 결합판(7 및 8)과 인접한다. 결합판(12a)의 하방에는 폐쇄판(12h)이 설치되고, 하루 런(4)을 향하는 단부에는 리세스(12i)가 마련된다. 리세스(12i)를 통해서 스트러트(5)를 볼 수 있으며, 스트러트의 스트러트 다리부(5f)가 하부 런(4)의 평탄한 프로파일(4b)의 돌출부(4a) 사이에 삽입된다. 각각 용접선(S) 중 하나가 스트러트 다리부(5f)의 종방향 외측면 상에 나타나 있으며, 용접선에 의하여 스트러트(5)가 하부 런(4)에 체결된다.
1a 제1 크레인
1b 제2 크레인
2 크레인 거더
3 상부 런
3a 돌출부
3b 평탄한 프로파일
3c 주행면
3d 제1 상부 런 프로파일
3e 제2 상부 런 프로파일
4 하부 런
4a 돌출부
4b 평탄한 프로파일
4c 주행면
5 스트러트
5a 주표면
5b 보조 표면
5c 하부 리세스
5d 상부 리세스
5e 개구
5f 스트러트 다리부
5g 제1 스트러트 단부
5h 제2 스트러트 단부
6 포스트
6a 주표면
6b 보조 표면
6c 하부 리세스
6d 상부 리세스
6f 포스트 다리부
6g 제1 포스트 단부
6h 제2 포스트 단부
7 제1 이송 기구
7a 제1 전동기
8 제2 이송 기구
8a 제2 전동기
9 크레인 트롤리
10 크레인 제어기
11 펜던트 제어 스위치
12 어댑터
12a 결합판
12b 헤드 플레이트
12c 결합면
12d 보어
12e 어댑터 벽
12f 헤드부
12g 결합 돌출부
12h 폐쇄판
12i 리세스
α1 제1 설정각
α2 제2 설정각
B 폭
E1 제1 모서리
E2 제2 모서리
E3 제3 모서리
E4 제4 모서리
F 이송 방향
L 길이
LA 종축
LR 종방향
OK 상부 절점
S 용접선
UK 하부 절점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2)를 구비하는 크레인(1a 및 1b)으로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3)과 하부 런(4)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되고,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크레인 거더(2)는 두 대향 단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상에 어댑터(12)를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에는 이송 기구(7 및 8)가 체결되고, 상기 어댑터(12)는 상부 런(3) 및 하부 런(4) 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대하여 배향되고, 상기 어댑터(12)는 상부 런(3)과 하부 런(4) 상에 용접되는, 크레인(1a 및 1b)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2)는 이송 기구(7 및 8)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판(12a)과, 상부런(3)에 체결하기 위한 헤드 플레이트(12b), 그리고 하부런(4)에 체결하기 위한 어댑터 벽(12e)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벽(12e)은 헤드 플레이트(12b)에 체결되며, 상기 헤드 플레이트(12b)는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런(3) 상에 수평으로 놓여 있고, 소정 위치에서 상부 런(3)에 용접되며, 상기 어댑터 벽(12e)은 하부 런(4)의 영역 내에서 종단하고, 소정 위치에서 하부 런(4)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2)는 적어도 크레인 거더(2)의 일 종방향 LR에서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대하여 배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레인 거더(2)는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의 각각 상에 어댑터(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플레이트(12b) 상에는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어댑터 벽(12e)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12a)은 헤드 플레이트(12b)와 어댑터 벽(12e)에 대항하여 놓이며, 소정의 위치에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송 기구(7 및 8)는 결합판(12a)에 형성된 보어(12d)를 통해 어댑터(12) 각각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a 및 1b).
  7. 크레인(1a 및 1b)용의, 소정의 길이로 수평으로 연장하며, 상부 런(3)과 하부 런(4)을 갖는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2)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트러스 거더로서 구성된 크레인 거더(2)는 일회의 조립 단계로 제조되고, 다른 조립 단계에서, 이송 기구(7 및 8)를 체결하기 위한 어댑터(12)가 크레인 거더(2)의 두 대향 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설치되며,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대하여 배향되고, 어댑터(12)가 상부 런(3)과 하부 런(4) 상에서 소정 위치에 용접되는,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2)는 적어도 크레인 거더(2)의 일 종방향 LR에서 상부 런(3)과 하부 런(4)에 대하여 배향되며, 상기 어댑터(12)는 헤드 플레이트(12b)가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런(3) 상에서 수평하게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플레이트(12b)에 체결되는 어댑터 벽(12e)를 구비하며, 소정 위치에서 상부 런(3)으로 배향 및 그것에 용접되고, 상기 어댑터 벽(12e)은 하부 런(4)의 영역 내에서 종단하고, 소정 위치에서 하부 런(4)으로 배향 및 그것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2)는 소정 위치에서 헤드 플레이트(12b)와 어댑터 벽(12e)으로 배향되고 그것에 용접되는 결합 판(12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147008997A 2012-03-30 2013-03-28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KR101996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2809.5 2012-03-30
DE102012102809A DE102012102809A1 (de) 2012-03-30 2012-03-30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PCT/EP2013/056778 WO2013144319A1 (de) 2012-03-30 2013-03-28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113A KR20150013113A (ko) 2015-02-04
KR101996692B1 true KR101996692B1 (ko) 2019-07-04

Family

ID=4777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997A KR101996692B1 (ko) 2012-03-30 2013-03-28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96565B2 (ko)
EP (1) EP2760780B1 (ko)
JP (1) JP6025963B2 (ko)
KR (1) KR101996692B1 (ko)
CN (2) CN202766133U (ko)
AU (1) AU2013241731B2 (ko)
BR (1) BR112014008150B1 (ko)
CA (1) CA2851435C (ko)
DE (1) DE102012102809A1 (ko)
ES (1) ES2568059T3 (ko)
MX (1) MX352149B (ko)
RU (1) RU2596204C2 (ko)
WO (1) WO2013144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9586A1 (de) * 2012-10-09 2014-04-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zwei Kranträgern
CN103434929B (zh) * 2013-08-08 2015-12-30 无锡市恒畅起重物流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桁架
DE102014107323A1 (de) * 2014-05-23 2015-11-26 Terex Mhps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DE102015101755A1 (de)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5101756A1 (de) *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6120115A1 (de) * 2016-10-21 2018-04-26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Laufkran
CN107215775B (zh) * 2017-08-04 2018-08-28 长春市兴泰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单主梁起重设备的组合式主梁结构
FI129769B (en) * 2018-04-18 2022-08-15 Konecranes Global Corp Box girder, in particular a crane girder, and crane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030C (ko)
US327360A (en) 1885-09-29 Girder
DE185560C (ko) 1906-01-06
DE189383C (ko) 1907-03-25
SU63145A1 (ru) * 1939-05-10 1943-11-30 И.Б. Тартаковский Мостовой одноблочный кран
DE1971793U (de) * 1963-06-12 1967-11-02 Demag Zug Gmbh Zusammenschraubbarer laufkran.
JPS443796Y1 (ko) * 1964-10-19 1969-02-12
DE1971794U (de) 1967-09-08 1967-11-02 Ottokar Bente Traeger fuer zwei-traeger-brueckenkrane.
JPS4941030U (ko) * 1972-07-10 1974-04-11
JPS5173471U (ko) * 1974-12-06 1976-06-09
US4051435A (en) 1976-10-18 1977-09-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icrowave field detector
JPS5360277U (ko) * 1976-10-25 1978-05-23
IT1141853B (it) 1980-03-19 1986-10-08 Condecta Macchine Edili Srl Struttura reticolare con elementi poligonali per traliccio,particolarmente di gru a torre automontante
DE3222307A1 (de) 1982-06-14 1983-12-15 Filigran Trägersysteme GmbH & Co KG, 3071 Leese Fachwerktraeger
JPS62259987A (ja) 1986-04-30 1987-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クレ−ン装置
JPH027284A (ja) * 1988-06-22 1990-01-11 Nec Corp 集積回路
JPH027284U (ko) * 1988-06-28 1990-01-18
CN2175214Y (zh) * 1993-04-01 1994-08-24 交通部第四航务工程局机电工程公司 超低型电动葫芦双梁桥式起重机
JPH11165980A (ja) 1997-11-28 1999-06-22 Toshiba Corp 天井クレーン横行移動装置
US5950297A (en) * 1998-01-16 1999-09-14 Mh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ounting an object a desired distance from a support surface
CN201411331Y (zh) * 2009-04-02 2010-02-24 新乡市中原起重机械总厂有限公司 全自动管坯移送装置
UA48249U (ru) * 2009-09-24 2010-03-10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Молчано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башен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110073748A (ko) * 2009-12-24 2011-06-30 (주)대성마린텍 천정 크레인
US8678209B2 (en) 2010-04-13 2014-03-25 Gorbel, Inc. Gantry crane having a truss supported runway
DE102012102808A1 (de)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0780B1 (de) 2016-02-03
RU2014138978A (ru) 2016-05-20
MX352149B (es) 2017-11-10
AU2013241731A1 (en) 2014-10-16
US9796565B2 (en) 2017-10-24
BR112014008150A8 (pt) 2019-02-05
EP2760780A1 (de) 2014-08-06
CN104203796A (zh) 2014-12-10
CN104203796B (zh) 2016-02-03
MX2014011683A (es) 2015-05-11
KR20150013113A (ko) 2015-02-04
BR112014008150A2 (pt) 2017-04-11
CN202766133U (zh) 2013-03-06
JP2015511567A (ja) 2015-04-20
US20140291269A1 (en) 2014-10-02
CA2851435A1 (en) 2013-10-03
AU2013241731B2 (en) 2017-08-10
CA2851435C (en) 2019-11-19
WO2013144319A1 (de) 2013-10-03
ES2568059T3 (es) 2016-04-27
BR112014008150B1 (pt) 2021-03-09
JP6025963B2 (ja) 2016-11-16
DE102012102809A1 (de) 2013-10-02
RU2596204C2 (ru) 2016-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692B1 (ko)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KR101996114B1 (ko)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US9790060B2 (en) Crane, in particular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AU2015261845B2 (en) Crane girder for a crane, in particular for an overhead or gantry crane, and a crane comprising such a girder
US9751730B2 (en) Crane, in particularly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two crane girders
US10407281B2 (en) Crane, in particular bridge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US10604383B2 (en) Crane, in particular bridge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CN216516403U (zh) 一种薄型底板叠合板
CN114396133A (zh) 一种薄型底板叠合板的制作方法和施工方法
RU2574299C1 (ru) Подъёмный кран, в частности мостовой или козловый кран, с крановой бал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