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270B1 - 계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270B1
KR101996270B1 KR1020170100280A KR20170100280A KR101996270B1 KR 101996270 B1 KR101996270 B1 KR 101996270B1 KR 1020170100280 A KR1020170100280 A KR 1020170100280A KR 20170100280 A KR20170100280 A KR 20170100280A KR 101996270 B1 KR101996270 B1 KR 10199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coupled
lever
fram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271A (ko
Inventor
한인희
Original Assignee
한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희 filed Critical 한인희
Priority to KR102017010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스프라켓 및 상기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복수의 버킷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부; 및 상기 제1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4스프라켓 및 상기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체인이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란 이송 장치{A EGG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계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부의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버킷부의 이송과 공급부의 계란 공급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계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으로 계란을 생산하는 양계장에서는 인력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계란을 출하시키기 위해 계란의 선별 및 포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 제 10-2017-0061842 호에는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를 설명하자면, 기울어진 자세로 수취가 이루어진 계란을 똑바로 세워지도록 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프레임(1a)에 지지되어 회전운동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1b)에 체인(1c)이 감아 걸려 순환 회전하는 컨베이어장치(1)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의 체인(1c)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고 계란을 수취하는 버킷장치(2)와, 상기 버킷장치(2)가 수취한 계란의 자세를 수직자세로 교정하는 자세교정장치(3)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장치(2)는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체인(1c)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를 통하여 연동 회전되며 "V(브이자)"모양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계란 수취가 가능한 폐쇄상태가 되고 "11(십 일자)"모양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계란 방출이 가능한 개방상태가 되는 한 쌍의 버킷부재와, 한 쌍의 상기 버킷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와, 한 쌍의 버킷부재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버킷부재에 항상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교정장치(3)는 상기 버킷장치(2)의 일부 이동경로에서 한 쌍의 상기 버킷부재가 개방상태로 회전되도록 레버와 간섭을 일으키는 간섭부재(3a)와, 상기 버킷장치(2)의 하부쪽에 설치되고 상기 간섭부재(3a)에 의한 버킷부재의 개방에 따라 계란의 일부분이 방출된 상태에서 계란의 하부 끝부분을 양측에서 비스듬하게 받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부가 형성되는 받침부재(3b)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버킷장치(5)의 버킷부재가 계란이 자세교정장치(6)에 의해 밀리면서 벌어지도록 하여 계란을 수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체인(4)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경우 계란이 자세교정장치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에너지가 점차 커지게 되어 계란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다른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1390411 호에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를 설명하자면, 버킷장치의 닫힘과 열림 유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선별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계란을 실어 나르면서 난좌에 계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체인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기어치에 의해 상호 맞물려 회전되면서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제1, 제2수용체(4a, 4b)로 이루어진 버킷몸체(4)를 구비하고, 이 버킷몸체(4)의 제1, 제2수용체(4a, 4b)중 어느 하나의 수용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걸림돌부(4ba)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부(4ba)에 걸려 버킷몸체(4)의 제1, 제2수용체(4a, 4b)가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제2스프링(5a)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되며, 다른 일측은 상부로 돌출되는 돌부(5b)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5b)가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작동하는 킥암(kick arm)에 의해 눌려질시 상기 걸림돌부(4ba)로부터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어 상기 제1, 제2수용체(4a, 4b)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전환하는 작동레버(5); 및 상기 작동레버(5)에 의한 걸림 상태가 해지되는 순간 버킷몸체(4)의 상기 제1, 제2수용체(4a, 4b)가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상기 제1, 제2수용체(4a, 4b)에 소정 텐션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6a)이 설치되며, 상기 제1스프링(6a)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면서 제1, 제2수용체(4a, 4b)가 닫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부(4ba)가 형성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수용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닫힘용 브라켓에 눌려 상기 제1, 제2수용체(4a, 4b)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돌부(4ba)가 상기 작동레버(5)에 걸리도록 작동되게 하는 작동돌부(6)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계란을 수용하는 제1수용체(4a)와 제2수용체(4b)가 닫힘용 브라켓에 의해 벌어졌다가 다시 좁혀지는 수단으로 제1스프링(6a)만이 구비되기 때문에, 제1수용체(4a)와 제2수용체(4b)가 반복적으로 벌어졌다가 좁혀지는 경우 상기 제1스프링(6a)이 늘어나게 되어 안정적으로 계란을 수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61842 호(2017.06.07.) 등록특허공보 제 10-1390411 호(2014.04.23.) 등록특허공보 제 10-1316249 호(2013.10.01.)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04083 호(2009.01.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체인이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되도록 하는 계란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회전축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축에 결합된 캠이 연장대의 밀림부재를 밀어주게 되어, 지지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구성에 의해 제1레버와 제2레버가 'V(브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계란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 복수의 스프라켓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체인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복수의 버킷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계란을 자유 낙하하여 상기 버킷부로 전달하는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4스프라켓 및 상기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켜서 상기 이송부와 공급부로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4스프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프레임을 연결하여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제1기어가 형성되는 제1레버; 상기 제3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가 형성되는 제2레버; 상기 제2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위치에 고정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V(브이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며 말단에 밀림부재가 결합되는 연장대;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며 일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 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밀림부재를 밀어주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 제3회전축, 제1레버, 제2레버 및 피니언기어는 복수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처음에 배치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에서 공급되는 계란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1지점이라 하고, 마지막에 배치되는 제1레버와 제2레버에서 공급되는 계란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2지점이라 하는 경우, 상기 제1지점에서 낙하된 계란을 수용한 제1버킷부의 다음에 배치된 제2버킷부가 상기 제2지점으로 낙하되는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됐을 때 상기 캠에 의해 밀림부재가 밀리게 되도록 상기 캠에 의해 밀림부재가 밀리게 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과 프레임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와 제2지지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지지고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레버의 축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축 둘레의 1/8 내지 4/8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와 버킷부의 간격은 10 ~ 20c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에 의하면, 제1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체인이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회전축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축에 결합된 캠이 연장대의 밀림부재를 밀어주게 되어, 지지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구성에 의해 제1레버와 제2레버가 'V(브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버킷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제1레버와 제1레버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부의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버킷부의 이송과 공급부의 계란 공급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계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버킷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의 제1레버와 제1레버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6d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계란 이송 장치는 크게 다섯 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10), 이송부(20), 버킷부(30), 공급부(40) 및 구동부(50)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이송 장치는 상기 구동부(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20)가 상기 버킷부(3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40)에서 상기 버킷부(30)로 계란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계란(100)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버킷부(30)에 수용되는 계란(100)이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버킷부(30)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계란(100)이 안정적으로 이송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계란 선별장치의 전면과 후면에만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0)는, 복수의 스프라켓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체인(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21),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22) 및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스프라켓(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인(24)는 다양한 실시 예로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스프라켓(23)이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21)의 하부와 제2스프라켓(22)의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킷부(3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부(20)의 체인(24)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계란(100)를 수용하며, 수용된 계란(100)과 함께 상기 체인(24)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버킷부(30)는, 상기 체인(24)과의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공급되는 상기 계란(100)의 중앙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계란(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틀(31) 및 상기 틀(31)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V(브이 자)'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계란(1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킷부(30)는 상기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계란(1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은 상기 버킷부(30)를 구성하는 연장부(32)가 'V(브이 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벌어졌다가 다시 'V(브이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킷부(30)의 탄성은 상기 버킷부(30)의 연장부(32)에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계란(100)을 자유 낙하하여 상기 버킷부(3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판(41), 상기 지지판(41)과 프레임(10)을 연결하여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2), 상기 지지판(41)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43)과 제3회전축(44), 상기 제2회전축(43)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제1기어(45a)가 형성되는 제1레버(45), 상기 제3회전축(44)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제1기어(45a)와 맞물리는 제2기어(46a)가 형성되는 제2레버(46), 상기 제2회전축(43)의 타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47) 및 상기 피니언기어(47)와 맞물리는 위치에 고정되는 랙기어(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는, 상기 지지판(41)이 상기 스프링(42)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V(브이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41)이 상기 스프링(42)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41)에 결합된 제1레버(45)와 제2레버(46)가 'V(브이 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4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가 '11(십일 자)'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에 수용되어 있던 계란(100)이 상기 버킷부(3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지지판(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51)과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며 말단에 밀림부재(41b)가 결합되는 연장대(41a) 및 상기 제1회전축(51)에 결합되며 일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51)의 회전 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밀림부재(41b)를 밀어주는 캠(49)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캠(49)이 상기 제1회전축(51)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밀림부재(41b)를 밀어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판(41)의 슬라이드 이동이 일정한 간격 및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1회전축(51)이 회전되면 상기 제1회전축(51)에 결합된 캠(49)이 일 측으로 상기 연장대(41a)에 결합된 밀림부재(41b)를 밀어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림부재(41b)가 밀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연장대(41a)와 지지판(41)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지지판(41)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43)의 타단에 결합된 피니언기어(47)가 상기 랙기어(48)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회전축(43)의 일단에 결합된 제1레버(45)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레버(4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레버(45)의 제1기어(45a)와 맞물리게 구성된 제2기어(46a)가 상기 제2레버(46)를 회전시켜주게 되어, 본 발명의 공급부(40)를 구성하는 제1레버(45)와 제2레버(46)가 상기 제1회전축(51)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V(브이 자)'를 형성하거나 '11(십일 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45a)는 상기 제1레버(45)의 축(45b)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축(45b) 둘레의 1/8 내지 4/8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어(46a)는 상기 제1기어(45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어(45a)는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의 회전 반경에 필요한 만큼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40)와 버킷부(30)의 간격은 10 ~ 20cm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40)에서 버킷부(30)로 공급되는 계란(100)이 낙하되는 거리가 10 ~ 20cm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0)와 버킷부(30)의 간격이 10cm 이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버킷부(30)의 연장부(32)에 수용된 계란(100)이 상기 제1레버(45) 및 제2레버(46)와 부딪히는 등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공급부(40)와 버킷부(30)의 간격이 20cm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공급부(40)에서 공급되는 계란(100)이 상기 버킷부(30)와 부딪히면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41)과 프레임(1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41c)와 제2지지고리(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급부(40)의 스프링(42)은 상기 지지판(41)에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41c)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제2지지고리(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42)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지지고리(41c)와 제2지지고리(11)에 연결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에 따른 대응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회전축(51), 상기 제1회전축(5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4스프라켓(52) 및 상기 제4스프라켓(52)을 회전시켜서 상기 이송부(20)와 공급부(40)로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5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축(51)은 상기 제1스프라켓(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51)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4스프라켓(52)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5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모터(53)는 상기 프레임(1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제4스프라켓(5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4스프라켓(52)과 제1회전축(51)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인(24)과 결합된 제1스프라켓(2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43), 제3회전축(44), 제1레버(45), 제2레버(46) 및 피니언기어(47)는 복수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처음에 배치되는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에서 공급되는 계란(100)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1지점이라 하고, 마지막에 배치되는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에서 공급되는 계란(100)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2지점이라 하는 경우, 상기 제1지점에서 낙하된 계란(100)을 수용한 제1버킷부의 다음에 배치된 제2버킷부가 상기 제2지점으로 낙하되는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됐을 때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게 되도록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게 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게 되어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가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복수의 계란(100)이 한 번에 공급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로 공급되는 계란(100)이 상기 버킷부(30)에 중복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점에서 낙하된 계란(100)을 수용한 제1버킷부의 다음에 배치된 제2버킷부가 마지막에 배치된 제1레버(45)와 제2레버(46)로부터 공급되는 계란(100)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왔을 때마다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계란(100)의 낙하 속도와 상기 복수의 버킷부(30)가 갖는 각각의 간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의 일단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4스프라켓이 결합되고, 구동 모터가 제4스프라켓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스프라켓 내지 제3스프라켓을 경유하는 체인이 안정적인 속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제2지지고리
12 : 가이드레일
20 : 이송부 21 : 제1스프라켓
22 : 제2스프라켓 23 : 제3스프라켓
24 : 체인
30 : 버킷부 31 : 틀
32 : 연장부
40 : 공급부
41 : 지지판 41a : 연장대
41b : 밀림부재 41c : 제1지지고리
42 : 스프링 43 : 제2회전축
44 : 제3회전축
45 : 제1레버 45a : 제1기어
45b : 축
46 : 제2레버 46a : 제2기어
47 : 피니언기어 48 : 랙기어
49 : 캠
50 : 구동부 51 : 제1회전축
52 : 제4스프라켓 53 : 구동 모터
100 : 계란

Claims (10)

  1. 다각 형상의 프레임(10);
    복수의 스프라켓과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체인(24)를 포함하는 이송부(20);
    상기 체인(24)에 결합되는 복수의 버킷부(3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고 계란(100)을 자유 낙하하여 상기 버킷부(30)로 전달하는 공급부(40); 및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회전축(51), 상기 제1회전축(51)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4스프라켓(52) 및 상기 제4스프라켓(52)을 회전시켜서 상기 이송부(20)와 공급부(40)로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53)를 포함하는 구동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판(41), 상기 지지판(41)과 프레임(10)을 연결하여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2), 상기 지지판(41)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43)과 제3회전축(44), 상기 제2회전축(43)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제1기어(45a)가 형성되는 제1레버(45), 상기 제3회전축(44)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제1기어(45a)와 맞물리는 제2기어(46a)가 형성되는 제2레버(46), 상기 제2회전축(43)의 타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47) 및 상기 피니언기어(47)와 맞물리는 위치에 고정되는 랙기어(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51)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4스프라켓(52)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5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21),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22) 및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스프라켓(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45)와 제2레버(46)는,
    상기 지지판(41)이 상기 스프링(42)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V(브이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41)이 상기 스프링(42)에 의해 탄성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11(십일 자)' 형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지지판(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51)과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며 말단에 밀림부재(41b)가 결합되는 연장대(41a); 및
    상기 제1회전축(51)에 결합되며 일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51)의 회전 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밀림부재(41b)를 밀어주는 캠(4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43), 제3회전축(44), 제1레버(45), 제2레버(46) 및 피니언기어(47)는 복수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처음에 배치되는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에서 공급되는 계란(100)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1지점이라 하고, 마지막에 배치되는 제1레버(45)와 제2레버(46)에서 공급되는 계란(100)이 낙하되는 위치를 제2지점이라 하는 경우, 상기 제1지점에서 낙하된 계란(100)을 수용한 제1버킷부의 다음에 배치된 제2버킷부가 상기 제2지점으로 낙하되는 계란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됐을 때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게 되도록 상기 캠(49)에 의해 밀림부재(41b)가 밀리게 되는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1)과 프레임(1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41c)와 제2지지고리(11)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42)은,
    상기 지지판(41)에 형성되는 제1지지고리(41c)와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제2지지고리(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45a)는,
    상기 제1레버(45)의 축(45b)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축(45b) 둘레의 1/8 내지 4/8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0)와 버킷부(30)의 간격은,
    10 ~ 20c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이송 장치.
KR1020170100280A 2017-08-08 2017-08-08 계란 이송 장치 KR10199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80A KR101996270B1 (ko) 2017-08-08 2017-08-08 계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80A KR101996270B1 (ko) 2017-08-08 2017-08-08 계란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71A KR20190016271A (ko) 2019-02-18
KR101996270B1 true KR101996270B1 (ko) 2019-07-04

Family

ID=6556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80A KR101996270B1 (ko) 2017-08-08 2017-08-08 계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87A (ko)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에그텍 경사캠을 이용한 계란반송 및 방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337B1 (ko) * 2022-12-12 2024-03-14 한건수 계란 선별 포장을 위한 전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710A (ja) * 1999-04-07 2000-10-17 Kyowa Kikai Kk 卵搬送装置
KR101248846B1 (ko) 2011-03-29 2013-04-01 윤택진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4779C2 (nl) * 1996-12-13 1998-06-17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afzonderlijke produkten, zoals eieren en fruit, van een aanvoertransporteur naar een verpakkingsinrichting.
KR200239017Y1 (ko) * 1998-10-14 2002-11-23 양인근 계란자동포장장치
DE60132662T2 (de) 2001-07-03 2009-02-05 Barco N.V.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chtzeitkorrektur eines Bildes
KR101316249B1 (ko) 2012-05-25 2013-10-08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에스컬레이터 방식의 계란 자동선별기
KR101390411B1 (ko) 2012-08-14 2014-04-30 윤홍기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
KR101778007B1 (ko) 2015-11-27 2017-09-13 전수봉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710A (ja) * 1999-04-07 2000-10-17 Kyowa Kikai Kk 卵搬送装置
KR101248846B1 (ko) 2011-03-29 2013-04-01 윤택진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87A (ko)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에그텍 경사캠을 이용한 계란반송 및 방출장치
KR102570240B1 (ko) * 2021-07-30 2023-08-25 주식회사 에그텍 경사캠을 이용한 계란반송 및 방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71A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270B1 (ko) 계란 이송 장치
US20120067693A1 (en) Bread conveying apparatus and bread packaging system
US4750316A (en) Egg packer with egg alignment device
KR940000008A (ko) 계란 수집기
DK2560882T3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 of eggs to a package unit
US6533126B1 (en) Produce sizing transport mechanism
JP5797501B2 (ja) 物品仕分装置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KR102073215B1 (ko)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KR101778007B1 (ko)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
US2792040A (en) Egg breaking machine
WO2022010678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the spacing of conveyed objects
JP2005254172A (ja) 青果物の選別装置
EP1433727B2 (en)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of fruit and vegetable produce
JPS6323041B2 (ko)
JP2003128241A (ja) 洗浄機の容器供給装置
JP2005058145A (ja) 野菜移植機
KR102570240B1 (ko) 경사캠을 이용한 계란반송 및 방출장치
US4513856A (en) Stick transport apparatus
JP6259595B2 (ja) スクレーパコンベヤ
KR200364863Y1 (ko) 과일 이송기
US3430750A (en) Rotary gripper transfer mechanism
KR20170132372A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JP3821535B2 (ja) 平板状物品の仕分け設備
JPH11236112A (ja) 単列コンベヤの鶏卵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