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46B1 -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46B1
KR101248846B1 KR1020110028376A KR20110028376A KR101248846B1 KR 101248846 B1 KR101248846 B1 KR 101248846B1 KR 1020110028376 A KR1020110028376 A KR 1020110028376A KR 20110028376 A KR20110028376 A KR 20110028376A KR 101248846 B1 KR101248846 B1 KR 10124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egg
eggs
opening
kic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485A (ko
Inventor
윤택진
Original Assignee
윤택진
주식회사 에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진, 주식회사 에그텍 filed Critical 윤택진
Priority to KR102011002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08Grading eggs according to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의 선별 포장 시스템에서 계란의 선별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의 중량 검출, 계란의 이송, 이송 방향 전환 및 등급별 적출 작용을 하도록 된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계란을 버킷(bucket)으로 실어 나르면서 난좌에 계란을 포장함과 아울러 난좌를 공급 및 반출하도록 된 포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포장부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는 킥암(kick arm)과 상기 킥암의 회동에 의해 버킷이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버킷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출면부와 상기 돌출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 부위만을 돌출되게 형성한 개방유지용 돌기부 및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에 의해 상기 킥암이 원위치로 복원되어도 상기 버킷으로부터 투하되는 계란이 완전히 투하될 수 있는 시간만큼 상기 버킷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킥암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한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egg inser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selection egg packer}
본 발명은 계란을 등급(중량, 사이즈)별로 선별하여 난좌에 삽입하여 포장할 수 있게 한 계란의 선별 포장 시스템에서 선별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여 난좌에 삽입함에 의해 계란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포장하도록 하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을 도 1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은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포장부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에서 보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계란 정렬부(10), 선별부(20), 포장부(30), 제어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정렬부(10)는 집란부(11)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선별부(20)는 정렬부(10)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의 중량 검출, 이송방향 전환 및 등급별 적출 등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포장부(30)는 상기 선별부(20)에서 처리되어 후술하게 되는 홀더에 적재된 계란을 공급된 난좌(34)에 삽입하여 포장함과 아울러 난좌(34)를 공급 및 반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홀더(32)에 적재된 계란(E)을 난좌(34)에 삽입할 수 있게 하고, 또 난좌(34)를 공급 및 반출하는 등의 상기 포장부(30)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서는 계란의 중량 측정, 등급 분류, 선별 등 상기 선별부(20)를 제어하는 기능과 정렬, 선별, 포장 등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의 작용으로 처리해야 될 계란(E)과 이를 담을 빈 난좌(34)를 넣어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선별 및 포장되어 집하대(50)를 통하여 출하되는데, 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집란부(11)에서 보내지는 계란은 정렬부(10)에서 그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여 선별부(20)로 이동시킨다. 상기 정렬부(10)는 컨베이어에 설치된 롤러들에 의해 계란이 이송되면서 일측으로 설치된 가이드에 의해 계란의 방향이 한쪽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은 통상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정렬부(10)에 의해 계란의 방향이 한쪽 방향으로 정렬되어 상기 선별부(20)로 이송된 계란은, 중량을 측정한 후 전환(Transfer)부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202)에 설치된 버킷(200)에 안착되어 포장부(30)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버킷(200)은 체인 컨베이어(202)에 소정 각도 회전되게 설치되어 집란부(11)에서 오는 계란(E)를 싣거(적재)나 내려(적출) 놓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킷(200)은 체인 컨베이어(202)에 장착되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같이 이동하면서, 전환(Transfer)부가 담아주는 계란(E)을 실어 나르는 것으로, 상기 포장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작동하는 킥암(210)이 상기 버킷(200)의 상부 돌출부(200a)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그 버킷(200)의 상부 돌출부(200a)가 킥암(210)에 눌리게 되어 버킷(200)에 담겨져 있던 계란이 버킷(200)의 아래쪽으로 투하된다.
예컨대, 상기 버킷(200)은 체인 컨베이어(202)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선택적으로 킥암(210)이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작동되면 버킷(200)의 상부 돌출부(200a)가 눌리게 되어 계란을 하부로 투하시킨다.
또한, 투하된 계란은 홀더(32)에 안착된 후 난좌(34)에 삽입되어 포장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공보공고번호 제1993-6073호(1993년 7월 7일)의 '계란을 용기에 수용하는 장치' 및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818702호(2008년 3월 26일 등록)의 '계란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자세히 알려져 있다.
상기 난좌(34)는 계란(E)이 1열씩 삽입됨에 따라 1열씩 이동되어 홀더(32)의 직하에 위치시켜 다음 1열의 계란(E) 삽입을 대기하도록 한다. 상기 난좌(34)에 계란(E)이 모두 삽입되면 이를 적재대로 밀어내고 다음 빈 난좌(34)가 공급되어 삽입을 대기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은 그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버킷(200)이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202)를 고속으로 이동하게 되면, 킥암(210)을 빨리 복귀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 솔레노이드(201)를 제어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버킷(200)에 안착된 계란(E)이 미처 투하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버킷(200)이 닫히기 때문에 계란(E)이 깨지는 파손율, 즉 파란(破卵)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버킷(200)이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의 작동에 의한 킥암(210)의 회동에 의해 열리고, 또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의 작동에 의해 킥암(210)이 원위치로 복원됨에 의해 닫히게 작동함으로서,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가 고속으로 이동되는 경우 버킷(200)을 열기 위한 시점은 쉽게 제어할 수 있으나, 상기 버킷(200)이 닫히게 하는 시점은 제어할 수 없었다.
예컨대, 체인 컨베이어(202)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부(40)에서 계산하여 킥암(210)이 작동될 수 있게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의 작동시점을 제어할 수는 있으나, 상기 킥암(210)이 복원되게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의 복원시점은 제어할 수 없다. 즉, 상기 버킷(200)으로부터 계란(E)이 투하되는 시간의 제한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202)를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경우 킥암(210)이 복귀되는 시점에서는 계란이 투하되지도 않았는데 닫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의 고속 이동은 불가능하고, 최고 속도는 계란이 투하되는 시간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음으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의 선별 포장 시스템에서 계란의 선별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의 중량 검출, 계란의 이송, 이송 방향 전환 및 등급별 적출 작용을 하도록 된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계란을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버킷(bucket)으로 실어 나르면서 난좌에 계란을 삽입하여 포장함과 아울러 상기 난좌를 공급 및 반출하도록 된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부의 상부에서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의 상부 일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계란을 실어 나르는 버킷을 상기 선별부에서 검출된 중량에 의해 계란의 이송 및 등급별로 투하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로 작용되게 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한 킥암(kick arm); 상기 킥암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 상기 버킷이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면서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버킷의 상부 일측이 상기 칵암에 의해 눌리도록 상기 버킷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출면부; 상기 돌출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 부위만을 돌출되게 형성한 개방유지용 돌기부; 및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에 의해 상기 버킷으로부터 투하되는 계란이 완전히 투하될 수 있는 시간만큼 버킷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버킷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버킷이 이동되게 하고, 상기 버킷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눌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된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은 "ㄷ"형상을 이루어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킷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ㄷ"형상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간섭되지 않고, 상기 버킷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ㄷ"형상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통과되게 하여 버킷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여 난좌에 삽입하여 포장하는 계란의 선별 포장 시스템에서 계란의 선별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 구비되는 포장부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선에서 보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5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서 버킷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서 버킷이 킥암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표시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에서 버킷이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표시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 ~도 11b는 버킷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a ~도 12b는 버킷에 대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13은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설치되어 버킷을 개방하는 킥암과 그 킥암에 인접하게 설치된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정렬부(10), 선별부(20), 포장부(30), 제어부(40)를 구비하며, 상기 포장부(30)에서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작동하는 킥암(210)에 눌리면서 열리는 버킷(200)의 닫히는 시점을 계란(E)이 투하 완료되는 시점에 맞추어 닫힐 수 있게 함으로서 체인 컨베이어(202)를 고속으로 이동시켜도 버킷(200)으로부터 계란(E)의 투하에 따른 불량을 없게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버킷(200)을 열기 위한 킥암(kick arm)(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킥암(210)은 상기 포장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는 버킷(200)을 열어줄 수 있게 작동한다. 즉, 상기 선별부(20)에서 검출된 중량에 의해 계란의 이송 및 등급별로 투하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로 작용되게 한 제어부(40)에 의해 작동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서 그 위치를 지나는 버킷(200)을 열어 준다.
이러한 킥암(210)은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200)의 상부 일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계란(E)을 실어 나르는 버킷(200)을 열리게 하여 버킷(200)에 안착된 계란(E)이 하부의 홀더(32)로 투하되게 한다.
또한, 상기 킥암(210)에 의해 버킷(200)이 열릴 수 있게 상기 버킷(200)에는 돌출면부(22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킥암(210)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어 상기 돌출면부(220)를 눌러 줌으로서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200)이 열리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면부(2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 부위만을 돌출되게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유지용 돌기부(230)는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의 해지에 의해 킥암(21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도 상기 버킷(200)이 소정 시간만큼 열려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개방유지용 돌기부(230)는 상기 돌출면부(220)의 상단부에서 일 부위 만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돌출면부(220)가 눌려 그 돌출면부(220)의 상단부 위치가 하부로 변경되면,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의 위치도 당연히 하부로 변경된다. 즉, 상기 돌출면부(220)가 눌려 버킷(200)이 열리도록 회전되면, 상기 돌출면부(2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개방유지용 돌기부(230)의 위치도 변경된다.
또한, 상기 킥암(210)이 복귀된 후에도 상기 버킷(200)이 소정 시간만큼 열려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버킷(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210)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은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210)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버킷이 계속 열러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킥암(210)에 의해 돌출면부(220)가 눌려 버킷(20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버킷(200)은 체인 컨베이어(202)에 의해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위치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는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되므로 상기 버킷(200)의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1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을 벗어나는 순간 스프링(204)에 의해 복원되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은, 상기 버킷(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와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상기 버킷(200)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접촉되어 통과되게 함으로서,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킥암(210)이 원위치로 복원되어도 상기 버킷(200)으로부터 투하되는 계란이 완전히 투하될 수 있는 시간만큼 상기 버킷(2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구성은, "ㄷ"형상을 이루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210)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은 상기 버킷(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ㄷ"형상의 사이를 통과하여 간섭되지 않고, 상기 돌출면부(220)가 눌려 버킷(2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ㄷ"형상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통과하면서 버킷(20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킥암(210)에 의해 돌출면부(220)가 눌려 버킷(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킥암(210)이 복위되어도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있는 동안에는 버킷(20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킷(200)은 스프링(도 12b표시의 도면 부호 (204)참조)에 의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버킷(200)에 형성되는 돌출면부(220)가 킥암(210)에 의해 눌려 있는 동안, 또는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돌기부(230)의 하부면을 통과하면서 눌려있는 동안만 열리게 되고, 그 눌린 상태가 해지되는 순간 스프링(204)에 의해 닫히게 된다.
도 5 ~도 6에는 버킷(200)이 열리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킥암(210)이 버킷(200)의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버킷(200)의 닫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킥암(210)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는 버킷(200)에 형성된 돌출면부(220)가 킥암(210)에 눌리지 않게 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는 "ㄷ"형상으로 된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ㄷ"형상의 사이를 통과 함으로서 버킷(200)이 열리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 7 ~도 8에는 버킷(200)이 킥암(210)에 의해 열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40)의 신호에 의해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201)가 작동되어 상기 킥암(21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되는 버킷(200)은 상기 돌출면부(220)가 킥암(210)에 눌려 버킷이 열리게 된다. 이후, 상기 버킷(200)은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면서 킥암(210)을 통과하는 동안에만 열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가 고속으로 이동되는 경우 버킷(200)으로부터 계란(E)이 투하 완료될 때 까지 버킷(200)이 열려 있게 해야만 투하 불량을 막을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를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을 킥암(210)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버킷(200)이 개방된 상테에서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될 수 있는 개방유지용 돌기부(230)를 상기 돌출면부(2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킥암(210)이 복귀된 후에도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될 때까지는 상기 버킷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계란이 투하될 수 있는 시간만큼 버킷이 열려있게 할 수 있다.
도 9 ~도 10에는 버킷(200)이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에 의해 열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킥암(210)이 원위치로 복원되어도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될 때까지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계란(E)이 투하되는 시간만큼 열려있게 한다. 즉,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는 버킷(200)은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하는 동안 버킷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어 계란(E)이 투하되는 시간만큼 열려있게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면서 킥암(210)에 의해 열린 버킷(200)은 상기 킥암(210)이 복귀된 후에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하는 동안만큼 열려 있게 됨으로서 계란(E)이 완전하게 투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버킷(200)이 닫히는 시점을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작동하는 킥암(210)이 복귀될 때 스프링(204)의 복원력으로 닫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을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통과하는 순간 스프링(204)의 복원력으로 닫히게 된다. 즉, 상기 버킷(200)의 개방은 킥암(210)의 작동에 의해 돌출면부(220)가 눌려 열리게 되고, 상기 버킷(200)이 닫히는 것은 버킷(200)이 열린 상태에서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하여 벗어나는 순간 닫히게 됨으로, 버킷의 닫히는 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버킷(200)이 체인컨베이어(202)와 함께 이동되면서 로터리 솔레노이드(201)에 의해 작동하는 킥암(210)에 돌출면부(220)가 눌려 개방되면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의 위치는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되어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통과하므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킷(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4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통과하는 동안에는 버킷이 열려있게 되고, 개방유지용 돌기부(230)가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220)을 지나는 순간 스프링(204)의 복원력으로 버킷은 닫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체인 컨베이어(202)를 고속으로 이동시켜도 버킷(200)이 정확한 타이밍에 닫힐 수 있게 하여 불량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정렬부 20 - 선별부
30 - 포장부 40 - 제어부
200 - 버킷(bucket) 210 - 킥암(kick arm)
220 - 돌출면부 230 - 개방유지용 돌기부
240 -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

Claims (2)

  1.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의 중량 검출, 계란의 이송, 이송 방향 전환 및 등급별 적출 작용을 하도록 된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계란을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버킷(bucket)으로 실어 나르면서 난좌에 계란을 삽입하여 포장함과 아울러 상기 난좌를 공급 및 반출하도록 된 포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부의 상부에서 체인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버킷의 상부 일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계란을 실어 나르는 버킷을 상기 선별부에서 검출된 중량에 의해 계란의 이송 및 등급별로 투하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로 작용되게 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한 킥암(kick arm);
    상기 킥암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면, 상기 버킷이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면서 개방될 수 있게 상기 버킷의 상부 일측이 상기 칵암에 눌리도록 상기 버킷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돌출면부;
    상기 돌출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일 부위만을 돌출되게 형성한 개방유지용 돌기부; 및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에 의해 상기 버킷으로부터 투하되는 계란이 완전히 투하될 수 있는 시간만큼 버킷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버킷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통과되고, 상기 버킷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접촉된 상태로 통과될 수 있게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된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지용 제어브라켓은 "ㄷ"형상을 이루어 상기 버킷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킥암의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킷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ㄷ"형상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간섭되지 않고, 상기 버킷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유지용 돌기부가 "ㄷ"형상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통과되게 하여 버킷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KR1020110028376A 2011-03-29 2011-03-29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KR10124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76A KR101248846B1 (ko) 2011-03-29 2011-03-29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76A KR101248846B1 (ko) 2011-03-29 2011-03-29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85A KR20120110485A (ko) 2012-10-10
KR101248846B1 true KR101248846B1 (ko) 2013-04-01

Family

ID=4728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76A KR101248846B1 (ko) 2011-03-29 2011-03-29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71A (ko) * 2017-08-08 2019-02-18 한인희 계란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0983B (zh) * 2022-12-27 2024-04-19 广州市华南畜牧设备有限公司 一种种蛋吸盘、种蛋装置以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76A (ko) * 1993-02-10 1994-09-14 도모스에 시게오 계란전송용 버킷장치
JPH11278428A (ja) 1998-03-27 1999-10-12 Kyowa Kikai Kk 鶏卵受取機構
JP2004001803A (ja) 2002-05-30 2004-01-08 Kyowa Machinery Co Ltd 鶏卵選別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67280B1 (ko) 2006-07-14 2007-10-17 박준국 계란 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76A (ko) * 1993-02-10 1994-09-14 도모스에 시게오 계란전송용 버킷장치
JPH11278428A (ja) 1998-03-27 1999-10-12 Kyowa Kikai Kk 鶏卵受取機構
JP2004001803A (ja) 2002-05-30 2004-01-08 Kyowa Machinery Co Ltd 鶏卵選別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67280B1 (ko) 2006-07-14 2007-10-17 박준국 계란 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71A (ko) * 2017-08-08 2019-02-18 한인희 계란 이송 장치
KR101996270B1 (ko) 2017-08-08 2019-07-04 한인희 계란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85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6093B (zh) 用于装填容器的方法和装置
JP2008063007A (ja) 部材を箱に包装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8034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ing loose sheet material
KR101248846B1 (ko)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
CN103482422A (zh) 自动络纱机
KR101390411B1 (ko)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버킷장치
US114273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value documents, in particular banknotes, and system for processing value documents
WO2015005101A1 (ja) 測定容器供給装置
KR101226124B1 (ko) 형상검사부가 구비된 계수장치
US20110308206A1 (en) Packaging system for filling a collecting container with articles
KR200459839Y1 (ko) 캡핑 불량 선별장치
NO136920B (no) Apparat for anbringelse av beholderlukker.
KR100767280B1 (ko) 계란 포장기
US7784618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transporting identified packaging units
KR102157167B1 (ko) 계란 선별기의 자가 센싱 검출시스템
JP6465684B2 (ja) ワーク供給装置
JPH09132315A (ja) ボトル姿勢制御装置
KR101332272B1 (ko)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
JP2015095058A (ja) 紙葉類投入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US3579953A (en) Cigarette packers
KR20010067493A (ko) 과일바구니를 이송하여 쏟는 장치
JP2006335381A (ja)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ホッパー挿入状態検出方法
US3122268A (en) Mechanism for feeding the weft-bobbins to the automatic bobbin-change of a mechanical loom
JP2015040076A (ja) 固定状態判別装置
EP27495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ds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