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15B1 -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15B1
KR102073215B1 KR1020190083702A KR20190083702A KR102073215B1 KR 102073215 B1 KR102073215 B1 KR 102073215B1 KR 1020190083702 A KR1020190083702 A KR 1020190083702A KR 20190083702 A KR20190083702 A KR 20190083702A KR 102073215 B1 KR102073215 B1 KR 10207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s
egg
coupled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국
Original Assignee
박준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국 filed Critical 박준국
Priority to KR102019008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의 중량을 측정한 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계란이 안착되어 난자에 포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변경하여 난좌로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Transfer device for automatic egg filling}
본 발명은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의 중량을 측정한 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계란이 안착되어 난자에 포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변경하여 난좌로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생산되어 많은량의 계란은 계란선별장으로 수집한 후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과 병균을 제거한느 세척과정과 살균과정을 거친 후 중량별로 선별하여 난좌에 포장한 후 시중에 유통되며, 계란에는 생산날자, 생산자코드 등이 인쇄된다.
이와 같이 대량의 계란을 신속하게 포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세척, 살균, 선별, 포장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설비가 설치되고 있어 양계장에서 매일 생산되는 많은 량의 계란을 포잘하여 신성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설비 중 계란의 중량을 측정한 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계란을 일정하게 정렬하여 난좌에 포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자동 계란설변 포장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교정하고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로 구성된 정렬부; 계란의 중량 검출, 이송방향 전환, 버킷 컨베이어 이송 및 등급별 적출 등의 기능을 갖는 요소로 구성된 선별부; 홀더에 적재된 계란을 란좌에 삽입하고, 란좌를 공급·반출하는 기능 을 갖는 요소로 구성된 포장부; 계란 삽입, 란좌 공급·송출 등 포장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로 구성된 포장제어부; 계란중량 측정, 등급 분류, 선별 등 선별부를 제어하는 기능과 정렬, 선별, 포장, 표시, 통신, 인쇄 등 전체 시스템을 운전을 관장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로 구성된 주처리부; 운전상황과 시스템 상태의 표시 및 키 조작요소로 구성된 표시부; 시스템 전원공급 및 시스템 기동·정지조작 등의 요소로 구성된 조작부를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량이 측정된 계란을 받아 계란을 90°회전시켜 정렬한 후 공급하는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여 정확한 세팅 및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작동불량이 발생하고,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해 유입되는 계란이 이탈하여 파란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측정된 계란을 공급하는 속도가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시간대비 많은 량의 계란을 운반할 수 없어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37994호(2004.06.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을 측정한 계란이 유입된 후 난좌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계란의 방향을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다수개의 계란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유입되는 계란을 난좌의 간격에 맞춰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링크구조를 통해 일정한 방향의 회전을 통해 가지는 경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여 계란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계란 및 이동속도에 맞춰 안정적으로 계란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란의 공급되는 간격과 배출되는 간격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개 배치된 상태에서 계란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계란의 유입되는 위치와 배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란부에서 이송되는 계란을 선별장치에서 중량규격에 측정하여 이송장치를 통해 난좌에 포장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계란을 정렬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계란의 중량을 측정하는 선별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선별장치에서 이송된 상기 계란을 공급받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이송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일측이 회동하며, 안착된 계란을 회전시켜 정렬하는 버킷이 구비된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의 회동에 따라 안착된 계란을 고정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선별장치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으로 돌출된 기어부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상기 고정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2회전축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가 결합되는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작동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며, 계란이 안착되는 상기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킷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계란이 안착되는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부재는,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U"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계란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점과, 타면에는 계란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서 지지하는 제2지점과 제3지점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동부에 고정결합되어 회전하는 캠과, 상기 정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회전축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캠의 회전반경에 맞춰 회전하는 접촉자와, 상기 정렬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정렬부에 안착된 계란을 잡아주는 지지부재와, 상기 제3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끝단은 상기 접촉자에 밀착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따르면,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다수개의 계란이 유입된 후 난좌의 포장방향에 맞춰 계란의 방향을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다수개의 계란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유입되는 계란을 난좌의 간격에 맞춰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구조를 통해 일정한 방향의 회전을 통해 가지는 경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여 계란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계란 및 이동속도에 의해 유입된 계란이 버킷을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3지점에서 계란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계란의 파란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란의 공급되는 간격과 배출되는 간격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고정바와, 캠의 각도변화를 통해 다수개의 공급수단에 계란이 공급되는 위치와 배출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계란의 방향을 정렬한 후 이송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캠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재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캠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의 중량을 측정한 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계란이 안착되어 난자에 포장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변경하여 난좌로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집란부에서 이송되는 계란을 선별장치에서 중량규격에 측정하여 이송장치를 통해 난좌에 포장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계란의 방향을 정렬하여 난좌의 간격에 맞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 및 공급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앞서, 계란은 비대칭 형상의 타원형태를 가지며, 중량규격을 측정하기 위해 집란부에서 눕혀진 방향의 계란이 롤러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한 후 상기 선별장치로 굴려서 이동하여 중량을 측정 한 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해 세워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계란은 눕혀진 상태의 길아와 세워진 상태의 길이가 서로 다르며, 난좌의 규격에 맞춰 다수개의 상기 계란의 상호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이송장치로 공급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계란의 중량을 측정하는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100)는 다수개의 상기 공급수단(200)이 결합되며, 일정한 경로를 따라 반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0)은 상기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프레임(110)은 지면, 상기 선별장치(300) 또는 상기 이송장치(400) 중 어느 한군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1)은 상기 제1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공급수단(200)이 고정된다.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은 상/하에 수평을 유지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측면은 상기 선별장치(300)를 맞주보도록 배치한다.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이송된 상기 계란을 공급받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선별된 계란을 받을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된며, 상기 공급수단(200)은 통상적으로 상기 선별장치(300)는 난좌에 맞춰 1열에 6개의 계란을 공급할 수 있도록 6개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공급수단(200)은 계란을 정렬할 수 있도록 작동부(210), 정렬부(220) 및 지지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21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작동부(2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어 일측이 회동하며, 안착된 계란을 회전시켜 정렬하는 버킷(22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220)의 회동에 따라 안착된 계란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200)은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상기 정렬부(220)가 일정한 경로로 반복이동하며, 계란을 공급받아 방향을 정렬하여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220)의 이동경로에 따라 작동하여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잡아준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210), 상기 정렬부(220), 상기 지지부(23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작동부(210)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11), 고정바(212), 제2회전축(213), 가이드바(214) 및 지지바(2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축(211)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으로 돌출된 기어부재(211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재(211a)는 기어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1프레임(110)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기 삽입홈(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211a)는 다수개가 상기 제1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체인, 벨트, 기어 구조를 통해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211)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기어부재(211a)를 따라 회전한다.
상기 고정바(212)는 상기 제1회전축(211)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고정홈(2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212)는 상기 제1회전축(211)의 회전시 타측이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축(213)은 상기 고정바(212)의 상기 고정홈(21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축(213)은 상기 고정바(212)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2회전축(213)은 내축에 외축이 결합된 이중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축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고, 내축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바(214)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214)는 끝단이 상기 제2프레임부(100)에 결합되되, 상기 제1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215)는 상기 제2회전축(213)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바(2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2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215)는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2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디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바(2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바(215)는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213)의 회전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타측에의 상기 가이드바(214)는 링크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동일한 회전경로를 따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반복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지지바(215)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215)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지지바(215)에 의해 이동하며, 계란이 안착되도록 브라켓(221)과 버킷(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21)은 상기 작동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브라켓(221)은 상기 작동부(210)의 상기 지지바(215)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축(228)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215)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킷(222)은 상기 브라켓(221)의 전면에 결합되며, 계란이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버킷(222)은 상기 브라켓(221)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3)와, 상기 결합부재(223)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계란이 안착되는 안착부재(2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224)는 계란을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계란의 방향을 정렬하여 상기 이송장치(400)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재(224)는,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U"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계란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점(225)과, 타면에는 계란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서 지지하는 제2지점(226)과 제3지점(227)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지점(225)과, 상기 제2지점(226) 및 상기 제3지점(227)이 삼각형상을 가지도록 위치하여 계란을 3점에서 지지하여 이동 및 회전시 흔들림 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서로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다양한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220)에 안착된 계란을 고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231), 접촉자(232), 지지부재(233) 및 탄성부재(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캠(231)은 상기 작동부(210)에 고정결합되어 회전한다.
즉, 상기 캠(231)은 상기 제2회전축(213)의 외축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2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213)의 외축을 따라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캠(231)은 중앙부분에 관통홈(231a)을 형성한 후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캠과 상기 제2회전축(213)의 외축에 고정된다.
상기 접촉자(232)는 상기 정렬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회전축(233a)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캠(231)의 회전반경에 맞춰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3회전축(233a)은 상기 정렬부(220)의 상기 브라켓(2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자(232)는 상기 제3회전축(233a)의 타측 끝단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캠(23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캠(231)의 회전에 상기 제3회전축(233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3회전축(233a)은 상기 접촉자에 의해 일정한 반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정렬부(2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회전축(233a)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정렬부(220)에 안착된 계란을 잡아준다.
즉,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회전축(233a)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제3회전축(233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회전축(233a)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부재(224)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진다.
상기 탄성부재(234)는 상기 제3회전축(233a)에 삽입되어 일측끝단은 상기 접촉자(232)에 밀착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지지부재(233)에 밀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33)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탄성부재(234)는 탄성에 의해 상기 캠(231)에 의해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23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캠(2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회전축(233a)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233)가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재(224)에서 멀어지고, 상기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착부재(224)에 가까워지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계란의 공급시 확장되고, 계란이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되면 계란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231)은 상기 지지부재(233)가 안정적으로 계란을 지지할 수 있는 이동반경을 가지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캠(231)은 다수개의 상기 공급수단(200)의 이동시 상기 이송장치(400)의 간격에 맞춰 계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은 1/4로 나윈 반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제3회전축(233a)과 결합되는 상기 관통홈(2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자(232)는 상기 캠(231)의 돌출된 (a)부분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3회전축(233a)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233)가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멀어져 계란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자(232)가 상기 캠(231)의 함돌된 (b)부분에 외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3회전축(233a)은 상기 탄성부재(234)의 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지지부재(233)가 상기 안착부재(224)와 인접하여 상기 계란에 접촉되어 상기 계란을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촉자(232)가 상기 캠의 돌출된 (c)부분의 외주면에 접촉되면,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넓어져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된 계란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캠(231)은 호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지지부재(233)는 일정한 경로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은 "
Figure 112019071047159-pat00001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기 제3회전축(233a)과 결합되는 관통홈(2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자(232)는 상기와 같이 상기 캠(23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233)와 상기 안착부재(224)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계란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캠(231)은, 4지점에서 상기 지지부재(233)가 이동하여 계란의 유입, 지지 및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 캠(231)의 (a)부분이 상기 접촉자(23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224)와 상기 지지부재(233)의 간격이 가장 멀어져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계란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이 확장되며,
상기 캠(231)의 (b)부분이 상기 접촉자(23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탄성부재(234)에 의해 상기 안착부재(224)와 인접하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계란을 잡아주며,
상기 캠(231)의 (c)부분이 상기 접촉자(23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와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된 계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간격이 확장되며,
상기 캠(231)의 (d)부분이 상기 접촉자(23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a)부분에서 용이하게 계란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재(224)와 상기 지지부재(233)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캠(231)은 1회전 시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계란이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되고, 안착된 계란을 잡아 상기 안착부재(224)의 이동시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된 계란을 상기 이송장치(40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공급되는 계란과 계란의 간격과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되는 계란과 계란의 간격이 상이함에 따라 상기 캠(231)과 상기 고정바(212)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재(233)에 의해 지지된 계란의 배출위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선별장치(300)에서는 누워진 상태의 계란을 이동시켜 중량규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약 70mm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장치(400)는 상기 계란을 세워진 상태에서 난좌에 포장할 수 있도록 약 64mm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공급된 계란을 정렬하여 상기 이송장치(4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200) 중 상기 고정바(212)는, 다수개의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α각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배치하며, 상기 캠(231)은, 다수개의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β각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배치한다.
즉, 다수개의 상기 캠(231)과 상기 고정바(212)은 상호간에 설치각도를 약 5°의 간격으로 다르게 배치시켜 상기 지지부재(233)의 개폐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계란의 공급위치 및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장치(400)의 간격에 맞춰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바(212)의 각도에 따라 상기 버킷(222)은 단차 및 각도가 상이하게 배치되나, 상기 버킷(222)에 장홈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221)에 결합시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버킷(222)은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되, 상기 캠(231) 및 상기 고정바(212)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시켜 상기 지지부재(233)의 개폐위치의 조절을 통해 계란의 배출 위치 및 속도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는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6개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선별장치(300)와 상기 이송장치(400)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중량규격을 측정한 계란을 정렬하여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100)가 상기 이송장치(400) 또는 지면에 설치하여 상기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200)은 외부의 동력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기어부재(211a)가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211a)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 벨트,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하여 외부에 설치된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기어부재(211a)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제1회전축(211)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211)의 회전시 상기 고정바(212)는 상기 제1회전축(211)과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의 상기 고정홈(212a)이 회전되어 상기 고정홈(212a)에 결합된 상기 제2회전축(213)은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바(215)는 일측은 상기 제2회전축(213)과, 타측은 상기 가이드바(214)와 각각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바(215)와 상기 가이드바(214)는 링크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바(215)는 타측의 상기 가이드바(214)를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축(213)과 결합된 일측이 상기 제2회전축(213)의 회동경로를 따라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214)는 상기 제2프레임(12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바(215)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215)가 회동가능하며,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바(215)는 상기 가이드바(214)가 결합된 타측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축(213)이 결합된 일측방향이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지지바(215)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상기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에 결합되어 계란이 안착되는 상기 버킷(222)은 상기 지지바(215)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동한다.
이때, 상기 버킷(222)은 상부면에 계란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215)와 동일한 회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버킷(222)은 타측이 고정되고, 일측이 회전됨에 따라 상부면은 일측방향이 이동경로에 따라 하향경사를 가지거나, 수평상태를 가지도록 작동된다.
아울러 상기 버킷(222)의 타측은 상기 지지바(215)가 상기 가이드바(214)에 링크결합됨에 따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되, 전체적인 작동상태는 상기 버킷의 상부면이 경사 및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버킷(222)은 전면에 배치된 상기 선별장치에서 유입된 계란을 90° 회전시켜 상기 이송장치(400)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버킷(222)은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공급된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재(224)에는 상기 제1지점(225), 상기 제2지점(226) 및 상기 제3지점(22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지점(225), 상기 제2지점(226) 및 상기 제3지점(227)은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하여 비대칭 타원형상의 계란이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에 상관 없이 지지하여 안착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이동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제1, 제2, 제3지점(225, 226, 227)은 상기 안착부재(224)에서 일정부분 돌출되어 계란이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일정한 경로로 반복이동하는 상기 정렬부(220)에 안착된 계란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정렬부(220)의 이동경로에 따라 계란의 유입, 고정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유기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제2회전축(213)에 결합된 상기 캠(2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230)가 일정한 경로 내에서 반복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캠(231)의 회전시 상기 캠(231)과 접촉된 상기 접촉자(232)는 상기 브라켓(221)과 결합된 상기 제3회전축(233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자(232)는 회전하는 상기 캠(2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회전하여 상기 제3회전축(233a)이 회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4)는 상기 접촉자(232)가 상기 캠(231)을 따라 이동시 상기 접촉자(232)의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발생한다.
즉, 상기 접촉자(232)는 초기위치에서 상기 캠(231)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3회전축(233a)을 회전한 후, 상기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제3회전축(233a)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제3회전축(233a)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도록 작동된다.
이를 통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계란이 유입될 때는 상기 지지부재(233)가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멀어져 계란이 유입되는 공간을 확보한 후 상기 안착부재(224)에 3지점을 통해 계란이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이 후,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좁아져 상기 계란의 상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계란이 상기 안착부재(2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224)는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유입된 계란을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하며, 계란을 정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33)에 의해 계란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캠(2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부재(224)와 간격이 멀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224)는 상기 이송장치(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재(224)에 안착된 계란을 상기 이송장치(4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33)가 상기 계란에서 이탈되어 계란이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33)는 상기 안착부재(224)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선별장치(300)로 이동하여 계란이 공급되는 반복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작동부(210)에 의해 일정한 경로를 따라 반복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위치되면 상기 정렬부(220)에 계란이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치(4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정렬부(220)에 안착된 계란을 상기 이송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안착부재(224)의 3지점을 통해 흔들리거나, 서로다른 크기의 계란을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계란 및 정렬부의 이동속도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계란의 파란율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상시 선별장치(300)에서 상기 정렬부(220)로 계란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정렬부(220)에 정렬된 계란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장치(400)에서 계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프레임부
110: 제1프레임 111: 삽입홈
120: 제2프레임
200: 공급수단
210: 작동부 211: 제1회전축 211a: 기어부재
212: 고정바 212a: 고정홈
213: 제2회전축 214: 가이드바
215: 지지바
220: 정렬부 221: 브라켓 222: 버킷
223: 결합부재 224: 안착부재
225: 제1지점 226: 제2지점
227: 제3지점 228: 연결축
230: 지지부 231: 캠 231a: 관통홈
232: 접촉자 233: 지지부재
233a: 제3회전축 234: 탄성부재
300: 선별장치
400: 이송장치

Claims (6)

  1. 집란부에서 이송되는 계란을 선별장치에서 중량규격에 측정하여 이송장치를 통해 난좌에 포장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계란을 정렬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계란의 중량을 측정하는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배치된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에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선별장치(300)에서 이송된 상기 계란을 공급받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이송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부(210)와,
    상기 작동부(2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어 일측이 회동하며, 안착된 계란을 회전시켜 정렬하는 버킷(222)이 구비된 정렬부(220)와,
    상기 정렬부(220)에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220)의 회동에 따라 안착된 계란을 고정하는 지지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선별장치(300)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홈(111)이 형성된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2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21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으로 돌출된 기어부재(211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축(211)과,
    상기 제1회전축(211)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고정홈(212a)이 형성된 고정바(212)와,
    상기 고정바(212)의 상기 고정홈(21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213)과,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는 가이드바(214)와,
    상기 제2회전축(213)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바(2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정렬부(220)가 결합되는 지지바(2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작동부(210)에 고정결합되어 회전하는 캠(231)과,
    상기 정렬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회전축(233a)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캠(231)의 회전반경에 맞춰 회전하는 접촉자(232)와,
    상기 정렬부(2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회전축(233a)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정렬부(220)에 안착된 계란을 잡아주는 지지부재(233)와,
    상기 제3회전축(233a)에 삽입되어 일측끝단은 상기 접촉자(232)에 밀착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지지부재(233)에 밀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33)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2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231)은,
    "
    Figure 112019097949338-pat00010
    " 형상으로 형성되고,
    4지점에서 상기 지지부재(233)가 이동하여 계란의 유입, 지지, 배출 및 유입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바(212)는 다수개의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설치각도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고, 상기 캠(231)은 다수개의 상기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설치각도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되, 다수개의 상기 캠(231)과 상기 고정바(212)는 상호간에 설치각도를 5°의 간격으로 다르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20)는,
    상기 작동부(2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브라켓(221)과,
    상기 브라켓(221)의 전면에 결합되며, 계란이 안착되는 상기 버킷(2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222)은,
    상기 브라켓(221)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3)와,
    상기 결합부재(223)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계란이 안착되는 안착부재(224)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부재(224)는,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U"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계란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점(225)과, 타면에는 계란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서 지지하는 제2지점(226)과 제3지점(227)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6. 삭제
KR1020190083702A 2019-07-11 2019-07-11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KR10207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02A KR102073215B1 (ko) 2019-07-11 2019-07-11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702A KR102073215B1 (ko) 2019-07-11 2019-07-11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215B1 true KR102073215B1 (ko) 2020-02-04

Family

ID=6957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702A KR102073215B1 (ko) 2019-07-11 2019-07-11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337B1 (ko) * 2022-12-12 2024-03-14 한건수 계란 선별 포장을 위한 전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066A (ko) * 1973-12-26 1975-08-01
JPH04173517A (ja) * 1990-11-03 1992-06-22 Mamoru Kamo 卵供給装置
JPH0912135A (ja) * 1995-06-28 1997-01-14 Kyowa Kikai Kk 鶏卵の移し替え装置
JPH1191714A (ja) * 1997-09-19 1999-04-06 Kyowa Kikai Kk 鶏卵の移替え装置
KR100437994B1 (ko) 2000-06-24 2004-07-02 김장권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방법
JP2011173714A (ja) * 2010-02-25 2011-09-08 Kyowa Machinery Co Ltd 卵移し替え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移し替え用卵座
JP6043211B2 (ja) * 2013-02-26 2016-1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着座検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066A (ko) * 1973-12-26 1975-08-01
JPH04173517A (ja) * 1990-11-03 1992-06-22 Mamoru Kamo 卵供給装置
JP2534579B2 (ja) * 1990-11-03 1996-09-18 守 加茂 卵供給装置
JPH0912135A (ja) * 1995-06-28 1997-01-14 Kyowa Kikai Kk 鶏卵の移し替え装置
JPH1191714A (ja) * 1997-09-19 1999-04-06 Kyowa Kikai Kk 鶏卵の移替え装置
KR100437994B1 (ko) 2000-06-24 2004-07-02 김장권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방법
JP2011173714A (ja) * 2010-02-25 2011-09-08 Kyowa Machinery Co Ltd 卵移し替え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移し替え用卵座
JP6043211B2 (ja) * 2013-02-26 2016-1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着座検知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337B1 (ko) * 2022-12-12 2024-03-14 한건수 계란 선별 포장을 위한 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4082B2 (ja) 多列搬送コンベアおよび選別装置
KR20030076651A (ko) 소물품의 계수 공급 장치
JP5487248B2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KR102073215B1 (ko) 계란의 자동 투입을 위한 트랜스퍼 장치
JP2017015600A (ja) ホッパ及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秤
US20160297622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containers
JP2011173714A (ja) 卵移し替え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移し替え用卵座
JP4199898B2 (ja) 農産物の供給装置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KR101778007B1 (ko) 계란 자동 선별 포장시스템의 계란 포장용 운송기
JP6289145B2 (ja) 重量測定装置
US7383945B2 (en) Conveying units
US5634547A (en) Apparatus for automated sorting of plastic utensils
JPH069332Y2 (ja) 物品供給装置
JP2006335556A (ja)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KR200263578Y1 (ko) 계란 투입장치
JP3396073B2 (ja) 小物品の外観検査装置における振り分け装置
KR101332272B1 (ko)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
JPH09150941A (ja) 鶏卵の移替え装置
EP1337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ighing suspended objects
JPH0912135A (ja) 鶏卵の移し替え装置
KR200220532Y1 (ko) 계란선별기의 이송체인
KR102364179B1 (ko) 계란 자동 정렬 및 이송장치
KR101193937B1 (ko) 계란 포장용 난좌 이송장치
KR100417370B1 (ko) 란 포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